[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2193B1 -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 Google Patents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93B1
KR100582193B1 KR1020050096651A KR20050096651A KR100582193B1 KR 100582193 B1 KR100582193 B1 KR 100582193B1 KR 1020050096651 A KR1020050096651 A KR 1020050096651A KR 20050096651 A KR20050096651 A KR 20050096651A KR 100582193 B1 KR100582193 B1 KR 10058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derground
support
ground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9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선(高壓線) 지주에 결합되는 지지대에 고압선을 보호하는 지중관체와 지상관체를 고정하여 지중(地中)에 매설하여 고압선의 손상이나 누전, 감전 및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몸체 하우징(11)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고압선지주(50)가 관통되는 지주조립부(12), 몸체 하우징(11)의 상부측 절곡부(14)에 직교되게 연설되어 체결부재(60)가 결합되는 고정부(16), 몸체 하우징(11)의 동일 수직선상에 서로 직교되게 하나 이상 형성되는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 상기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지중관체(30)와 지상관체(20)를 고정시키는 체결용클램프(16,17)가 구비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고압선지주(5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압선, 지중선, 지주, 관체, 보호관, 지상선

Description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The electric pole high-pressure point underground whole line for subterranean laying under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와 고압선지주와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의 부분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가 고압선지주에 결합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지지대 11: 몸체 하우징
12: 지주조립부 13: 관연결구
14: 절곡부 15: 고정부
16,17: 체결용클램프 18: 관조립부
20: 지상관체 30: 지중관체
50: 고압선지주 60: 체결부재
C : 고압선
본 발명은 지중매설용 고압선(高壓線)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선지주에 결합되는 지지대에 고압선을 보호하는 지중관체와 지상관체를 고정시킨 상태로 지중(地中)에 매설하여 고압선의 손상이나 누전, 감전 및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에 설치되는 고압선은 외부로 노출되는데 따른 위험과 미관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 작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고압선(C)의 지중화 작업을 위해서는 고압선지주로부터 지하로 배선되는 고압선 특히, 사람의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이르기까지 고압선을 보호하도록 된 별도의 지상관체로 감싸게 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고압선 역시 별도의 지중관체로 감싸주어 고압선이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고압선을 보호하는 지상관체와 지중관체들이 서로 만나는 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는 전용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이들 연결부가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고압선 연결부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였을 경우에는 작은 외압에도 쉽게 손상을 주게됨은 물론 쥐 등과 같은 동물의 접근이 용이하여 누전(漏電), 단락(short)의 위험성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실용신안 20-245365호에서는 '┛' 형상 벤드의 양측에 삽지부를 형성하여 지중관체와 지상관체의 말단부를 삽지부에 서로 연결하여 굽힘되는 부분의 고압선 보호를 꾀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구성은 지상관체와 지중관체가 절곡되는 연결부위를 '┛' 형상인 벤드로 연결한 것으로 지상관체나 지중관체가 특정 구조물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를 잡아당기는 조그만 외력에도 쉽게 분리,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더욱이 지상관체는 띠 모양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압선지주에 고정되는 반면에 지중관체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매설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지상관체와 지중관체가 고압선지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게 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상관체와 지중관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선지주상에 지상관체와 지중관체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몸체 하우징(11)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고압선지주(50)가 관통되는 지주조립부(12), 몸체 하우징(11)의 상부측 절곡부(14)에 직교되게 연설되어 체결부재(60)가 결합되는 고정부(15), 몸체 하우징(11)의 동일 수직선상에 서로 직교되게 수개 형성되는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 상기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지중관체(30)와 지상관체(20)를 고정시키는 체결용클램프(16,17)가 구비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고압선지주(5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는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와 고압선지주와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의 일 요부를 발췌한 부분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가 고압선지주에 결합된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가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고압선지주(5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원통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몸체 하우징(11)의 내측 중앙부으로 고압선지주(50)가 관통되는 지주조립부(12)가 형성되고, 몸체 하우징(11)의 상단부는 그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안쪽방향으로 단차를 이루는 절곡부(14)를 형성하였다.
절곡부(14)에는 직교되는 고정부(15)가 연설되어 상기 고정부(16)가 고압선지주(50)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6)에는 지지대(1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재(60)의 조임나사(62)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부(15)가 안쪽방향으로 오무러들어 고압선지주(50)의 외주면에 고정시키거나 반대로 바깥쪽방향으로 외향되게 벌어져 고정 상태를 해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 하우징(11)에는 동일 수직선상에 서로 직교되는 수개의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가 형성되어 상기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는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용클램프(16,17)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용클램프(16,17)를 이용하여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연결되는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연결구(13)는 지중관체(30)와 조립에 편의와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부면 일부가 절단되게 되는 절개부(13a)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13a)에 위치하는 지중관체(30)의 외주면을 체결용클램프(16)가 직접 접촉하면서 관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관조립부(18)는 몸체 하우징(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 즉, 관연결구(13)가 형성되는 상부까지 연장되며, 관조립부(18)의 일측에는 체결용클램프(17)가 결합되는 체결구멍(18a)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멍(18a)으로 끼워지는 체결용클램프(17)로 지상관체(20)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지상관체(20)의 일측 선단에는 홈(22)이 형성되어 관조립부(18)에 결합되는 지상관체(20)는 홈(22)으로 체결되는 체결용클램프(1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체결용클램프(17)는 일측선단이 홈(22)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듯이 고정할 수 있도록 걸고리 모양으로 형성하여 타측단으로 조립되는 체결너트의 체결력만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10)를 고압선지주(50)에 결합시키도록 된 체결부재(60)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띠 모양의 조임밴드로 이루어져 고정부(1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되어 상기 조임밴드가 내측으로 오무러들거나 외향되게 벌어지는 작용으로 고정 및 고정상태를 해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압선(C)을 지중에 매설하고자 하는 것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압선지주(50)에 지지대(10)의 몸체 하우징(11)을 가조립 한 상태에서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차례로 연결하고, 체결용클램프(16,17)를 이용하여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조립되는 각각의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고정시킨다.
이처럼 고압선지주(50)에 고정되는 지지대(10)에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를 연결하고 고정되게 체결용클램프로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관로 단말처리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상관체(20)와 지중관체(30)의 연결부위는 별도 처리에 의하지 아니 하더라도 지지대(10)가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어 지중선과 지상선의 굽힘 부분을 처리하는 별도의 작업이 생략되어 질 수 있고, 고압선의 손상과 누전, 감전 및 단락(short)이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로공사 작업과 관로보수 및 관로 교체시에도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어 인력절감과 더불어 작업중 외부충격으로부터 관체의 연결부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선지주에 지지대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에 지중관체와 지상관체를 연결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관로 단말처리가 가능하고, 지중선과 지상선의 굽힘 부분이 지지대내에 위치하게 되어 고압선의 손상과 누전, 감전 및 단락(short)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관체와 지중관체가 고압선지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게 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상관체와 지중관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로공사 작업과 관로보수 및 관로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중 외부충격으로부터 관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몸체 하우징(11)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고압선지주(50)가 관통되는 지주조립부(12), 몸체 하우징(11)의 상부측 절곡부(14)에 직교되게 연설되어 체결부재(60)가 결합되는 고정부(15), 몸체 하우징(11)의 동일 수직선상에 서로 직교되게 수개 형성되는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 상기 관연결구(13)와 관조립부(18)에 지중관체(30)와 지상관체(20)를 고정시키는 체결용클램프(16,17)가 구비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를 고압선지주(5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13)는 하부면 일부가 절단되는 절개부(13a)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13a)에 위치하는 지중관체(30)의 외주면으로 체결용클램프(16)가 직접 접촉하면서 지중관체(30)를 고정하도록 되고, 관조립부(18)는 몸체 하우징(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측으로부터 관연결구(13)의 상부측까지 연장되어 관조립부(18)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18a)으로 조립되는 체결용클램프(17)가 지상관체(2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KR1020050096651A 2005-10-13 2005-10-13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KR10058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651A KR100582193B1 (ko) 2005-10-13 2005-10-13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651A KR100582193B1 (ko) 2005-10-13 2005-10-13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193B1 true KR100582193B1 (ko) 2006-05-23

Family

ID=3718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651A KR100582193B1 (ko) 2005-10-13 2005-10-13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1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388B1 (ko) * 2006-10-23 2007-01-24 이이순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0697643B1 (ko) 2006-11-28 2007-03-20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전기 고압선 지지대
KR100853688B1 (ko) * 2008-03-17 2008-08-25 (주)유일엔지니어링 배전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875657B1 (ko) 2008-08-07 2008-12-26 (주)세명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905126B1 (ko) 2009-01-31 2009-06-30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지중 매설 고압선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40A (ja) * 1993-08-31 1995-03-17 Nippon Chikou Kk 電柱立上り防護管用カバー
JPH1014064A (ja) 1996-06-20 1998-01-16 Denkenshiya:Kk 電柱用立ち上り管装置
JP2002017027A (ja) 2000-06-30 2002-01-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鋼管電柱に対する地中低圧ケーブルの分岐方法
JP2004236434A (ja) 2003-01-30 2004-08-19 Tepco Town Planning Co Ltd ケーブル類の立上り配線保護方法と立上り配線保護管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40A (ja) * 1993-08-31 1995-03-17 Nippon Chikou Kk 電柱立上り防護管用カバー
JPH1014064A (ja) 1996-06-20 1998-01-16 Denkenshiya:Kk 電柱用立ち上り管装置
JP2002017027A (ja) 2000-06-30 2002-01-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鋼管電柱に対する地中低圧ケーブルの分岐方法
JP2004236434A (ja) 2003-01-30 2004-08-19 Tepco Town Planning Co Ltd ケーブル類の立上り配線保護方法と立上り配線保護管路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388B1 (ko) * 2006-10-23 2007-01-24 이이순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0697643B1 (ko) 2006-11-28 2007-03-20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전기 고압선 지지대
KR100853688B1 (ko) * 2008-03-17 2008-08-25 (주)유일엔지니어링 배전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875657B1 (ko) 2008-08-07 2008-12-26 (주)세명엔지니어링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905126B1 (ko) 2009-01-31 2009-06-30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지중 매설 고압선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0087B2 (ja) 電源ケーブル接続器
CN102576962B (zh) 屏蔽连接器
CA2823130C (en)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KR100697643B1 (ko) 지중 매설용 전기 고압선 지지대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ES2610728T3 (es) Conectores estampados para una malla de puesta a tierra
KR100582193B1 (ko)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US6851969B2 (en) Pigtailed scotchcast assembly
CN107994359B (zh) 内置光纤电缆的接头组件及接头连接方法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596744B1 (ko) 지중송전선로의 전선 보호관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KR20100133887A (ko) 배선관연결구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KR100650064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JP4762700B2 (ja)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装置
KR20110113255A (ko) 배선관 연결구
KR101016056B1 (ko)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200417301Y1 (ko) 수중 전선용 소켓
CN213278534U (zh) 一种防潮电气接线端子
KR101103939B1 (ko) 송전탑 매설지선의 정비 방법 및 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1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5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