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2160B1 -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 Google Patents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60B1
KR100582160B1 KR1020030052471A KR20030052471A KR100582160B1 KR 100582160 B1 KR100582160 B1 KR 100582160B1 KR 1020030052471 A KR1020030052471 A KR 1020030052471A KR 20030052471 A KR20030052471 A KR 20030052471A KR 100582160 B1 KR100582160 B1 KR 10058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ice
underwater beam
underwate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884A (ko
Inventor
정태헌
Original Assignee
정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헌 filed Critical 정태헌
Priority to KR102003005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1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02B8/045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utomatical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에 따라 수중보의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며 물에 의해 실려와 수중보의 하부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에 의해 수중보의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수중보의 저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오염방지와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고 어로를 항상 형성할 수 있는 관리가 용이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수중보, 부력부재, 퇴적물, 배출, 와이어

Description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A DAM EASY TO DISCHARGE DEPOS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문 10a: 힌지축
11 : 덮개 12 : 개구부
13 : 지지대 14 : 제2수문부재
15 : 물유입홀 16 : 안내로울러
17 : 걸림턱 18 : 패킹부재
19 : 부유물질 배출구 20 : 퇴적물 배출로
30 : 퇴적로 개폐부재 40 : 부력승강부재
50 : 와이어 100 : 수중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에 따라 수중보의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며 물에 의해 실려와 수중보의 하부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의 농업용수나 공장지대의 공업용수 등은 대개 근처의 하천에 제방을 쌓고 수중보를 설치하여 확보하거나, 산간지대에 소규모댐 또는 저수지를 축조하여 확보하였다,
이들 수중보나 소규모댐, 저수지 등은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동이나 반자동 직립식의 수문을 개폐 시켜 저수량을 조절한다.
즉, 하천을 가로 지르는 다수개의 언체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의 언체사이에 승하강되는 전도식 수문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식 수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권양기를 수문의 상부에 설치하여 유압실린더 등으로 작동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곤란한 한편, 수문 자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부식 등으로 사용기간이 제한되었다.
또한, 수중보가 설치된 하천의 저부바닥에 물과 함께 실려온 퇴적물등이 쌓여 퇴적물을 제거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로 하여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에 의해 수중보의 수문이 자동으로 개폐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수중보의 저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수질오염방지와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고 어로를 항상 형성할 수 있는 관리가 용이한 수중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수중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물의 수위을 조절하는 수문과, 상기 수중보의 저면에 퇴적물을 배출하는 퇴적물 배출로와,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하는 퇴적로 개폐부재와, 상기 수중보내에 구비되어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승강부재와, 상기 퇴적로 개폐부재와 부력승강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중보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은, 상기 수중보(100)의 개구부(12)에 하부 양측면이 힌지축(10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개폐하고, 상부는 부력에 의해 자동 회동되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중보(100)의 개구부(12) 내측면에는 상기 수문(10)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을 제어하도록 지지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문(10)은, 수문(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물유입홀(15)을 통해 유입된 물에 따른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수문(10)의 상단 길이를 조절하는 제2수문부재(14)와, 상기 제2수문부재(14)의 양측면에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안내로울러(16)와, 상기 안내로울러(16)가 접촉되어 상기 제2수문부재(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문(10)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중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에 구비되어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문(10)을 구비한 수중보(100)의 저면에 퇴적한 퇴적물을 배출하는 퇴적물 배출로(20)를 다수 형성한다.
상기 퇴적물 배출로(20)를 개폐하는 퇴적로 개폐부재(30)를 퇴적물 배출로(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중보(100)의 내부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부력에 의해 승하강되는 부력승강부재(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부력승강부재(40)와 상기 퇴적로 개폐부재(30)를 와이어(50)로 연결하여 상기 부력승강부재(40)의 승하강시 상기 퇴적로 개폐부재(30)가 힌지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퇴적물 배출로(20)를 개폐되게 한다.
상기 수중보(100)의 상부에는 덮개(11)를 구비하여 수중보(100)의 내부 공간에 물위에 떠있는 부유물질(나뭇가지, 쓰레기등)을 인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중보(100)의 후면 상부를 절단하여 수위의 상승에 따라 상기 수중보(100) 내부에 물 및 부유물질이 상승되어 배출되도록 부유물질 배출구(19)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중보(100)의 수문(10)은 수중보(100)를 소정 너비로 절단하여 개구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수중보(100)의 개구부(12) 내측면에 힌지축(10a)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상기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하고, 수문(10)의 상측은 부력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위에 따른 상기 수문(10)의 동작을 보면, 상기 힌지축(10a)을 중심으로 상향 또는 하향 회동되게 동작되는 것으로,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수문(10)의 상측이 부력부재로 이루어진 관계로 수위면에 접촉되어 동일위치에 구비되도록 하향 회동되어 지고, 수문(10)의 하측은 반대로 상향 회동되면서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수위가 높아 지는 경우에는 상기 수문(10)의 상측이 수위면에 접촉되면서 점차적으로 상향 회동되어 지고, 수문(10)의 하측은 하향 회동되면서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점차적으로 폐쇄시키게 되며, 만수위가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수문(10)이 수평선상에 직각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되어 수문(10)의 하측이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완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2)의 내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지지대(13)를 구비하여 만수시 회동되는 수문(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13)와 수문(10)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패킹부재(18)를 구비하여 담수시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문(10)의 내부에는 상기 수문(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수문부재(14)를 더 구비하는데, 이는 상기 수문(10)의 상단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내에 제2수문부재(14)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수문부재(14)는 부력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부력부재를 사용하며, 상기 수문(10)의 전면에는 다수의 물유입홀(15)을 형성하여 물이 상기 수문(10)내의 공간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수문부재(14)의 승하강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안내로울러(16)를 구비하며, 상기 수문(10)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로울러(16)가 걸리도록 걸림턱(17)을 구비하여 상기 제2수문부재(14)가 상기 수문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부력부재는 외측면은 합성수지재로 감싸고, 내부에는 스티로폼등을 충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수문(10)은 상단의 부력부재에 의해 물의 수위에 따라 상향회동하게 되며,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차폐하게 된다.
또한, 수위에 따라 수문(10)의 내부에 구비된 제2수문부재(14)가 물유입홀(15)을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해 승하강되어 수문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수문이 상향회동하여 수중보(100)의 개구부(12)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대(13)와 접촉되어 수문(10)이 더이상 회동되지 못하고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중보(100)의 내부에 구비된 부력승강부재(40)는 물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수중보(100)의 내부에서 승강되고, 이때 부력승강부재(40)에 와이어(50)로 연결된 퇴적로 개폐부재(30)는 상향회동하며 퇴적물 배출로(20)를 개구하여 하천의 저면에 퇴적된 퇴적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물위에 떠다니는 부유물질들이 수중보(100)의 내부에 칩입하게 되면, 이는 수중보(100)의 상면 덮개(11)를 열고 제거할 수 있으며, 수위의 상승으로 인해 수중보(100) 내부의 물 및 부유물질 또한 상승되어 수중보(100) 후면 부유물질 배출구(19)를 통해 넘쳐 흐르면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수위가 낮아지게 될 경우, 수중보(100)내의 부력승강부재(40)는 하강하게 되며 부력승강부재(40)의 하강으로 퇴적로 개폐부재(30)는 하향회동을 하며 퇴적물 배출로(20)를 차폐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수문(10)은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측이 하향 회동하게 되고, 하측이 상향 회동되면서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개구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의 수위에 따라 수문(10) 및 퇴적로 개폐부재(30)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어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퇴적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에 의해 수문이 회동되어 소정 물을 저수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가 있어 수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수중보의 저면에 퇴적된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별도의 퇴적물 제거작업과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 관리 및 유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수중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물의 수위을 조절하는 수문과, 상기 수중보의 저면에 퇴적물을 배출하는 퇴적물 배출로와, 상기 퇴적물 배출로를 개폐하는 퇴적로 개폐부재와, 상기 수중보내에 구비되어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승강부재와, 상기 퇴적로 개폐부재와 부력승강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중보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은, 상기 수중보(100)의 개구부(12)에 하부 양측면이 힌지축(10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위에 따라 수중보(100)의 개구부(12)를 개폐하고, 상부는 부력에 의해 자동 회동되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수중보(100)의 개구부(12) 내측면에는 상기 수문(10)의 회동시 접촉되어 회동을 제어하도록 지지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0)은, 수문(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물유입홀(15)을 통해 유입된 물에 따른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수문(10)의 상단 길이를 조절하는 제2수문부재(14)와, 상기 제2수문부재(14)의 양측면에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안내로울러(16)와, 상기 안내로울러(16)가 접촉되어 상기 제2수문부재(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문(10)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KR1020030052471A 2003-07-29 2003-07-29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Expired - Lifetime KR10058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471A KR100582160B1 (ko) 2003-07-29 2003-07-29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471A KR100582160B1 (ko) 2003-07-29 2003-07-29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884A KR20050013884A (ko) 2005-02-05
KR100582160B1 true KR100582160B1 (ko) 2006-05-23

Family

ID=3722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471A Expired - Lifetime KR100582160B1 (ko) 2003-07-29 2003-07-29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20251234A1 (ko) * 2019-06-10 2020-12-1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8B1 (ko) * 2005-09-12 2007-01-1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0673981B1 (ko) *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수위조절이 가능한 하천의 수중보
KR101899041B1 (ko) * 2018-03-02 2018-09-14 주식회사 우승산업 가동보에 설치 가능한 자동 개폐식 어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012A (en) * 1979-12-29 1981-08-05 Komai Tekkosho:Kk Sluice device
KR200286652Y1 (ko) * 2002-04-19 2002-08-21 정태헌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012A (en) * 1979-12-29 1981-08-05 Komai Tekkosho:Kk Sluice device
KR200286652Y1 (ko) * 2002-04-19 2002-08-21 정태헌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20251234A1 (ko) * 2019-06-10 2020-12-1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884A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JPH04203112A (ja)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100582160B1 (ko)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KR101074864B1 (ko)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친환경 하천 수중보
KR101790145B1 (ko) 어도가 구비된 수문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KR100478245B1 (ko)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KR20110111343A (ko) 댐에 설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연중 역할이 가능한 어도 장치
KR102134558B1 (ko)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는 친환경 가동보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2263671B1 (ko) 무동력 자동수문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101613117B1 (ko) 부력 개폐형 차등차수보를 갖는 다기능 생태 하천
CN110670555B (zh) 生态过鱼设施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564134B1 (ko)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
KR102732965B1 (ko) 중력 개폐식 어도
JP3427324B2 (ja) チェーンゲート装置
KR200338295Y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JPS6016611A (ja) 制水用樋門における扉の全自動開閉装置
KR100453798B1 (ko) 수문의 토사적층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1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