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1099B1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099B1
KR100581099B1 KR1020030099884A KR20030099884A KR100581099B1 KR 100581099 B1 KR100581099 B1 KR 100581099B1 KR 1020030099884 A KR1020030099884 A KR 1020030099884A KR 20030099884 A KR20030099884 A KR 20030099884A KR 100581099 B1 KR100581099 B1 KR 10058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pattern
spacers
light emitting
substrates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0402A (en
Inventor
박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099B1/en
Priority to US10/880,317 priority patent/US7196465B2/en
Priority to DE102004031670A priority patent/DE102004031670B4/en
Priority to CNB2004100632756A priority patent/CN100452420C/en
Priority to GB0418350A priority patent/GB2409759B/en
Priority to TW093125338A priority patent/TWI253877B/en
Priority to FR0409865A priority patent/FR2864707B1/en
Priority to JP2004358154A priority patent/JP4309333B2/en
Publication of KR2005007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09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 내부면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의 어레이 소자와, 상기 각 어레이 소자에 대응되는 제 2 기판 내부면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정의되는 어레이 영역과; 상기 어레이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각 어레이 소자 및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기판의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다수의 전도성 스페이서와; 상기 제 1, 2기판을 합착하기 위해 제 1, 2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패턴과; 상기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과; 상기 씰패턴 내부에 형성된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 array region defined by an array element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second substrate corresponding to each array element; A plurality of conductive spacers positioned in the array region and connecting the array element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and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Seal patterns formed at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bo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gether; 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 spacers formed in an area from outside the array area to a seal pattern;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may be included.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기본 픽셀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basic pixel structure of a general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2는 종래의 하부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3은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a dual panel type.

도 4는 도 3의 특정영역(I-I')에 대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region I-I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a dual panel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특정영역(Ⅱ-Ⅱ')에 대한 단면도.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region II-II ′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 공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공정흐름도.Figure 7 is a process flow diagram for one embodiment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0 : 씰패턴 510 :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500: seal pattern 510: first dummy pattern spacer

520 :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520: second dummy pattern spacer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a dual panel typ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FPD : Flat Panel Display)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콘트라스트 등이 우수하며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경량 박형이 가능하고,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One of the new flat panel displays (FP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self-luminous, so they have better viewing angles, contrast, etc. than liquid crystal displays. Do.

또한,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rive DC low voltage, fast response speed, and all solid,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 wide use temperature range, and especially inexpensiv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특히,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조공정에는, 액정표시장치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달리 증착(deposition) 및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장비가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단순하다. In particular, 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plasma display panel (PDP), the deposition and encapsulation equipments can be referred to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rocess is very simple.

종래에는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구동방식으로 별도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지 않는 패시브 매트릭스형(passive matrix)이 주로 이용됐었다. In the related art, a passive matrix having no separate switching device has been mainly used as a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그러나, 상기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게이트 라인(scan line)과 데이터 라인(signal line)이 교차하면서 매트릭스 형태로 소자를 구성하므로, 각각의 픽셀을 구동하기 위하여 게이트 라인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하므로, 요구되는 평균 휘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평균 휘도에 라인수를 곱한 것 만큼의 순간 휘도를 내야만 한다. However, in the passive matrix method, since the gate lines (scan lines) and data lines (signal lines) cross each other to form a device in a matrix form, the gate lines are sequentially driven over time to drive each pixel. In order to represent the average luminance, the instantaneous luminance must be equal to the average luminance multiplied by the number of lines.

그러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픽셀(pixel)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서브픽셀(sub pixel)별로 위치하고, 이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전극은 서브픽셀 단위로 온/오프되고, 이 제 1 전극과 대향하는 제 2 전극은 공통전극이 된다. However, in the active matrix method,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switching element for turning on / off a pixel, is positioned for each subpixel, and the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is The second electrode, which is turned on / off in subpixel units and faces the first electrode, becomes a common electrode.

그리고,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픽셀에 인가된 전압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 storage capacitor)에 충전되어 있어, 그 다음 프레임(frame)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전원을 인가해 주도록 함으로써, 게이트 라인 수에 관계없이 한 화면동안 계속해서 구동한다. In the active matrix method, a voltage applied to a pixel is charged in a storage capacitor (C ST ), and the power is applied until the next frame signal is applied to the number of gate lines. Run continuously for one screen regardless.

따라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 의하면 낮은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므로 저소비전력, 고정세, 대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active matrix method, since the same luminance is applied even when a low current is applied, it has the advantage of low power consumption, high definition, and large size.

이하, 이러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특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기본 픽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sic pixel structure of a general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으로 게이트 라인(GL)(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데이터 라인(DL)(3) 및 전력공급 선(power supply line, VDD)(4)이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서브픽셀 영역을 정의한다. As shown, the gate lines GL 2 ar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r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ower supply line (VDD) 4 is formed to define one subpixel region.

상기 게이트 라인(2)과 데이터 라인(3)의 교차지점에는 어드레싱 엘리먼트(addressing element)인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itching TFT)(5)가 형성 되어 있고, 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5) 및 전력공급선(4)과 연결되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6) 및 전력공급선(4)과 연결되어, 전류원 엘리먼트(current source element)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와 연결되어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lectro luminescent Diode)(8)가 구성되어 있다. At the intersection of the gate line 2 and the data line 3, a switching TFT 5, which is an addressing element, is formed, and the switching TFT 5 and the power supply line 4 are formed. ) and which is the storage capacitor (C ST) 6 are formed connection, the storage capacitor of the driving TFT (C ST) associated with a 6 and a power supply line (4), a current source element (current source element) ( 7) is formed,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7 to form an organic luminescent diode 8.

이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8)는 유기발광물질에 순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정공 제공층인 양극(anode electrode)과 전자 제공층인 음극(cathode electrode)간의 P(positive)-N(negative) 접합(Junction)부분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면서 서로 재결합하여, 상기 전자와 정공이 떨어져 있을 때보다 작은 에너지를 가지게 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 차로 인해 빛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8 supplies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in a forward direction, a P (positive) -N (negative) junction between an anode electrode, which is a hole providing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which is an electron providing layer, is applied. Since the electron and the hole move and recombin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junction, they have less energy than when the electron and the hole are separated, and thus, the principle of emitting light due to the difference in energy generated at this time is used.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의 진행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classified into a top emission type and a bottom emission type according to a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도 2는 종래의 하부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적, 녹, 청 서브픽셀로 구성되는 하나의 픽셀 영역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is illustrated based on one pixel area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10, 3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2 기판(10, 30)의 가장자리부는 씰패턴(40 ; seal pattern)에 의해 봉지되어 있는 구조에 있어서, 제 1 기판(10)의 투명 기판(1) 상부에는 서브 픽셀별로 박막 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고,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어 제 1 전극(12)이 형성되어 있고, 박막트랜지스터(T) 및 제 1 전극(12) 상부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어 제 1 전극(12)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적(Red), 녹(Green), 청(Blue) 컬러를 띠는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층(14)이 형성되어 있고, 유기전계발광층(14) 상부에는 제 2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 and 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 and 30 are sealed by a seal pattern 40.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 of the first substrate 10 for each subpixel, is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and the first electrode 12 is formed. Red, green, and blue colors are disposed on the transistor T and the first electrode 12 to b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12.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 including a light emitting material is formed, and a second electrode 16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

상기 제 1, 2 전극(12, 16)은 유기전계발광층(14)에 전계를 인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6 serve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

그리고, 전술한 씰패턴(40)에 의해서 제 2 전극(16)과 제 2 기판(30) 사이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기판(30)의 내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미도시) 및 흡습제와 제 2 기판(30)간의 접착을 위한 반투성 테이프(미도시)가 포함된다. The second electrode 16 and the second substrate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al pattern 40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0 may be formed from the outside. A moisture absorbent (not shown) that absorbs the incoming moisture and a semipermeable tape (not shown) for adhesion between the moisture absorbent and the second substrate 30 are included.

한 예로, 하부발광방식 구조에서 상기 제 1 전극(12)을 양극으로, 제 2 전극(16)을 음극으로 구성할 경우 제 1 전극(12)은 투명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되고, 제 2 전극(16)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물질에서 선택되며, 이런 조건 하에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층(14)은 제 1 전극(12)과 접하는 층에서부터 정공주입층(14a ; 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14b ; 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14c ; emission layer), 전자수송층(14d ; electron transporting layer)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12 is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6 is a cathode in a bottom emission structure, the first electrode 12 is selected fro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electrode 16 is formed. ) Is selected from a metal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and under these condition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 is formed from a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2, a hole injection layer 14a, a hole transport layer 14b; A transporting layer), an emission layer 14c,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4d are formed in this order.

이때, 상기 발광층(14c)은 서브픽셀별로 적, 녹, 청 컬러를 구현하는 발광물질이 차례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layer 14c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emitting materials for implementing red, green, and blue colors are sequentially disposed for each subpixel.

상기와 같은 기존의 하부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어레이 소자 및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제 1기판(10)과 별도의 인캡슐레이션용 제 2기판(30)의 합착을 통해 소자를 제작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is manufactured b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10 having the array element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substrate 30 for encapsulation.

이 경우, 어레이 소자의 수율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수율의 곱이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수율을 결정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구조에서는 후반 공정에 해당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공정에 의해 전체 공정 수율이 크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소자가 양호하게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1000Å 정도의 박막을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층의 형성시 이물이나 기타 다른 요소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불량 등급으로 판정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product of the yield of the array device and the yiel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termines the yiel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structure has a total process yield by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process, which is a late step. There was a problem that is greatly limited. For example, even if the array element is satisfactorily formed, if a defect occurs due to foreign matter or other elements in form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layer using a thin film of about 1000 mW,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is determined to be a poor grade.

이로 인하여, 양품의 어레이 소자를 제조하는데 소요되었던 제반 경비 및 재료비 손실이 초래되고,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s results in a loss of overall costs and material costs that wer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array device of good qua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그리고, 하부발광방식은 인캡슐레이션에 의한 안정성 및 공정이 자유도가 높은 반면 개구율의 제한이 있어 고해상도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부발광방식은 박막트랜지스터 설계가 용이하고 개구율 향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수명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기존의 상부발광방식 구조에서는 유기전계발광층 상부에 통상적으로 음극이 위치함에 따라 재료선택폭이 좁기 때문에 투과도가 제한되어 광효율이 저하되는 점과, 광투과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박막형 보호막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 외기를 충분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bottom emission method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stability due to the encapsulation proces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high-resolution produc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perture ratio.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 life, but in the conventional top emission type structure, since the material selection range is narrow as the cathode is normally position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transmittance is limited and the light efficiency is reduced,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minimized. In order to configure a thin film type protective film,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sufficiently block the outside air.

본 발명은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제 1더미 패턴 스페 이서들을 형성하고, 상기 씰패턴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과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의 조밀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 하판 간의 간격을 어레이 영역 내부와 거의 유사하게 유지하고,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는 씰패턴의 보강재 역할을 수행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in an area from an outside of an array region to a seal pattern,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in the seal pattern, and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are formed. By differentiating the density of these,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lmost similar to the inside of the array region,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to provid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hat serves as a reinforcement of the seal patter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 내부면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의 어레이 소자와, 상기 각 어레이 소자에 대응되는 제 2 기판 내부면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정의되는 어레이 영역과; 상기 어레이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각 어레이 소자 및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기판의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다수의 전도성 스페이서와; 상기 제 1, 2기판을 합착하기 위해 제 1, 2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패턴과; 상기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과; 상기 씰패턴 내부에 형성된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 array region defined by an array element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second substrate corresponding to each array element; A plurality of conductive spacers positioned in the array region and connecting the array element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and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Seal patterns formed at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bo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gether; 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 spacers formed in an area from outside the array area to a seal pattern;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 1, 2 기판에는 화면을 구현하는 최소 단위영역인 서브픽셀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픽셀 단위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위치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제 1전극, 유기전계발광층 및 상기 서브픽셀 단위로 패턴화된 제 2전극이 차례대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스페이서는 각 서브픽셀 단위로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defined as subpixels, which are the smallest unit areas for implementing a screen, and the thin film transistors are positioned in units of the subpixel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ed in units of the subpixels, and the conductive spacer electrically connects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econd electrode in each subpixel unit.

또한, 상기 제 1 더미 패턴 스페이서 및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는 각각 다른 조밀도를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1 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may have different densitie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may be formed more densely than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more densely than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또한, 상기 실패턴는 유리 섬유가 포함되지 않은 실런트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ail tu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ant is made of a glass fiber-fre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은, 적, 녹, 청 서브픽셀로 구성되는 픽셀이 정의된 제 1, 2기판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의 상부 어레이 영역 상에 서브픽셀별로 스위칭 소자를 가지는 어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 상에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 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전극 상부에 유기전계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층 상부에 서브픽셀 단위로 제 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기판을 전도성 스페이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기판의 어느 한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씰패턴을 형성하여, 제 1, 2 기판을 합착함에 있어 상기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고, 상기 씰패턴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n which pixels composed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re defined; Forming an array device having switching elements for each subpixel on an upper array area of the first substrate; Forming a first electrod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on the second substrate;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units of subpixel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conductive spacers; Forming a seal pattern at an edge por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form first dummy pattern spacers in a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to the seal pattern in bond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forming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inside the seal pattern.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특정영역(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단, 도 4의 경우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픽셀 영역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FIG. 3 is a plan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a dual panel typ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region I-I 'of FIG. 3. However, in FIG.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one pixel area is illustrated.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110, 130)이 서로 대향 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2 기판(110, 130)의 가장자리부는 씰패턴(140)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As illustrate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are sealed by the seal pattern 140.

상기 제 1 기판(110)의 투명 기판(100) 상부에는 어레이 소자(120)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기판(130)의 투명 기판(101) 하부에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가 형성되어 있다. An array element 120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0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formed below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of the second substrate 130. .

상기 어레이 소자(120)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미도시) 및 전력 공급선(미도시)과,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스토리지 캐패시터(미도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어레이 소자(120) 및 그에 대응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의해 발광 표시부 즉, 어레이 영역(300)이 형성된다. The array element 120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positioned at a point where a gate line (not shown), a data line (not shown) and a power supply line (not shown) intersecting the gate line, and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cross each other. (T) and a storage capacitor (not shown) are included, which is provided in a matrix form, and is formed by the array element 12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corresponding thereto. 300) is formed.

또한,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은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패드(310) 및 데이터 패드(32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gate pad 310 and the data pad 320 shown in FIG. 3.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는, 공통전극으로 이용되는 제 1 전극(132)과, 제 1 전극(132) 하부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층(134)과, 유기전계발광층(134) 하부에 위치하며, 서브픽셀별로 패턴화된 제 2 전극(136)으로 이루어진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position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32 used as a common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132,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And a second electrode 136 patterned for each subpixel.

상기 유기전계발광층(134)은 서브픽셀별로 적, 녹, 청 컬러를 띠는 발광물질이 배열된 발광층(134b)과, 발광층(134b)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유 기물질층(134a) 및 제 2 유기물질층(134c)으로 구성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layer 134b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materials are arranged for each subpixel, and a first 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light emitting layer 134b, respectively. 134a) and the second organic material layer 134c.

상기 제 1 유기물질층(134a) 및 제 2 유기물질층(134c)을 이루는 유기전계발광 물질은 양극 및 음극의 배치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한 예로, 제 1 전극(132)을 양극, 제 2 전극(136)을 음극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 1 유기물질층(134a)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을 포함하며, 제 2 유기물질층(134c)은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organic material layer 134a and the second organic material layer 134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32 may be an anode, a second electrode. When the second electrode 136 is configured as a cathode, the first organic material layer 134a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material layer 134c may include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have.

그리고, 상기 어레이 소자(120)는 박막트랜지스터(T) 및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는 제 2 전극 연결패턴(112)으로 구성되는데, 제 2 전극 연결패턴(112)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이루는 전극패턴의 연장패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금속물질을 패턴화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와 연결되는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에 해당된다. The array element 120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T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ion pattern 112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The second electrode connection pattern 112 is formed of a thin film transistor T.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as an extension pattern or may be formed by patterning a separate metal material. The thin film transistor T corresponds to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그리고, 상기 제 2 전극(136)과 제 2 전극 연결패턴(112) 사이 구간에는 전술한 씰패턴(140)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 2 전극(136)과 박막트랜지스터(T)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 스페이서(114)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36 and the second electrode connection pattern 112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electrode 136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al pattern 140 described above. Conductive spacers 114 are formed.

또한, 상기 전도성 스페이서(114)는 어레이 영역 내의 셀 갭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nductive spacer 114 serves to maintain a cell gap in the array region.

그리고, 상기 유기전계발광층(134)에서 발광된 빛을 제 2 기판(130) 쪽으로 발광시키는 상부발광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ight emission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light emitting method for emitting the light toward the second substrate 130.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전극(132)은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되고, 상기 유기전계발광층(134)과 접하는 음극용 제 2 전극(136)의 물질층은 발광 방향의 후면에 위치하는 전극이기 때문에, 일함수값이 낮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박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132 is selected from a light-transmitting conductive material, and the material layer of the second electrode 136 for the cathode in contact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is an electrod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emission direction. Therefore , it is desirable to form an opaque metal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value into a thin film.

상기 불투명 금속물질로는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과 알루미늄의 합금(이하, 마그네슘:알루미늄으로 표시함), 알루미늄:리튬(Li), 알루미늄:벤조네이트(benzonate)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aque metal material is selected from any one of aluminum (Al), magnesium (Mg) and an alloy of alumin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gnesium: aluminum), aluminum: lithium (Li), and aluminum: benzonate.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제 1 전극(132)은 공통전극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항상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제 1기판(110)의 일 면에 구비된 전극 패드(330)로부터 인가된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32 serves as a common electrode, and a constant voltage should always be applied from the electrode pad 33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즉, 상기 전극 패드(330)로부터 인가된 전압은 상기 제 1전극(132)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촉부(332)를 통해 상기 제 1전극으로 인가되는 것이다.That is,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electrode pad 330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through the contact portion 332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132.

또한, 상기 제 1, 2 기판(110, 130)간의 이격공간(I)은 질소(N2) 분위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pace I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preferably forms a nitrogen (N 2 ) atmosphere.

이와 같은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서로 다른 기판 상에 구성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동일 기판 상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어레이 소자의 수율에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영향을 받지 않아 각 소자의 생산관리 측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Such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es an array element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lement on different substrates, so that the conventional array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lement shown in FIG. 1 are placed on the same substrat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orm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device is not affected by the yield of the array device, and thus can exhibit goo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duction management of each device.

또한, 전술한 조건 하에서 상부발광방식으로 화면을 구현하게 되면, 개구율을 염두하지 않고 박막트랜지스터를 설계할 수 있어 어레이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 고, 고개구율/고해상도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듀얼 패널(dual panel) 타입으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상부발광방식보다 외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creen is implemented using the top emission method under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the thin film transistor can be designed without minding the aperture ratio, thereby increasing the array process efficiency, and providing a high aperture ratio / high resolution product, and dual panel.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s formed as a dual panel ty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outside air than the conventional top emitting method,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종래의 하부발광방식 제품에서 발생되었던 박막트랜지스터 설계에 대해서도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별도의 기판에 구성함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 1 전극을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어레이 소자 상부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구조와 비교해볼 때, 제 1 전극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thin film transistor design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lower light emitting device product is configured on a substrate separate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arrangement of the thin film transistor can be obtained sufficiently, and the firs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an be obtained. Since the electrode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forming the first electrode on the existing array el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first electrode.

앞서 설명한 듀얼 패널 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에서, 상기 어레이 영역(300)에 대해서는 전도성 스페이서(114)가 각 서브픽셀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일정한 갭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양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패턴(140) 내부에 유리섬유(glass fiber)가 구비되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In the above-described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conductive spacer 114 is formed in each subpixel region with respect to the array region 300 to form a constant gap, and formed at the edges of both substrates. A glass fiber is provided in the seal pattern 14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어레이 영역(300)의 외부 즉, 상기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실패턴(140)까지의 영역에는 상기 양 기판의 갭을 유지토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씰패턴(140) 내부에 구비된 유리섬유에 의해서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is case,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hat is, the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o the failure turn 140 is not provided with a means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the seal The glass fiber provided in the pattern 140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gap at all times.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듀얼 패널 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가 대면적 패널에 적용될 경우, 합착 공정에서 양 기판의 갭이 일정치 않게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 기 전도성 스페이서(114)와 제 2전극(136)이 접촉불량이 발생되어 이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점 결함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As a result, when such a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applied to a large area panel, the gap between the two substrates may become inconsistent in the bonding process. In this case, the conductive spacer 114 and the second electrode 136 may be used. This poor contact can occur which may appear in the form of point defects on the displ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특정영역(Ⅱ-Ⅱ')에 대한 단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of a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region II-II ′ of FIG. 5.

단,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 3,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패널 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 1, 2기판의 어레이 영역 내 구조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structure in the array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f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패널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dual panel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ummy pattern spacers 510 are formed in an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area 300 to the seal pattern 500.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seal pattern 500.

또한, 상기 더미 패턴 스페이서는 상기 영역 상에서 다양한 배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지그 재그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mmy pattern spacers may be provided in various arrangements on the region.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an aligned form as shown, may also be provided in a zigzag form.

도 6은 도 5의 특정영역(Ⅱ-Ⅱ') 즉, 씰패턴(500) 및 상기 어레이 영역(도 5의 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20)이 형성되어 있 고, 상기 상기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는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10)이 형성되어 있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specific region II-II ′ of FIG. 5, that is, the seal pattern 500 and the array region 300 of FIG. 5 to FIG. 6. As illustrated,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520 are formed in the seal pattern 500, and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in an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o the seal pattern 500. 510 is formed.

이 때, 상기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10)의 조밀도와, 상기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20)의 조밀도는 서로 다른데,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20)의 조밀도가 상기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510)들에 비해 더 크다.At this time, the density of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510 and the density of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5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nsity of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52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ensity. Larger than the dummy pattern spacers 510.

즉,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형성된 더미 패턴 스페이서(520)가 상기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 형성된 더미 패턴 스페이서(510)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dummy pattern spacer 520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500 is denser than the dummy pattern spacer 510 formed in the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o the seal pattern 500. will be.

단, 상기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520)는 어레이 영역 상에 형성된 전도성 스페이서(114)에 비해서는 덜 조밀하게 형성된다. However,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520 is less dense than the conductive spacer 114 formed on the array region.

또한,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520)을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씰패턴(500)의 경우는 종래와는 달리 그 내부에 유리섬유(glass fiber)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as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520 is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500, in the case of the seal pattern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lass fibers are included in the seal pattern 500, unlike the conventional art. Not.

이 때 상기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520)는 기존의 유리섬유보다 상기 씰패턴(500)에 대한 보강재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520 performs a role of a reinforcement for the seal pattern 500 more efficiently than conventional glass fibers.

상기와 같이 상기 씰패턴(500) 내부 및 상기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 더미 패턴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2기판(110, 130) 즉, 상, 하기판의 간격을 어레이 영역(300) 내부와 거의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in the seal pattern 500 and in the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o the seal pattern 500, there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The spacing of the lower substrate can be maintained to be almost similar to the inside of the array region 300.

즉, 대면적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패널을 형성하게 되더라도, 종래와 같은 디 스플레이 불량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That is, even if a large area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anel is formed, display defects as in the prior art do not occur.

또한,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520)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수분 차단 효과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520 is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500, a water blocking effect from the outside may also be obtaine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 공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공정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ST1에서는, 제 1 기판(110) 상에 어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투명 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버퍼층 상부에 반도체층 및 캐패시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반도체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캐패시터 전극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소스 전극과 연결되는 파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어레이 소자는 어레이 영역(300) 내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4 to 7, in ST1, an array element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In this step, a buffer layer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semiconductor lay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uffer layer. Forming a capacitor electrode, forming a gate electrode, a source and a drain electrode o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forming a power electrode on the capacitor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In this case, the array element is formed in a matrix form in the array region 300.

이 단계에서는, 후속 공정에서 제 1, 2 기판(110, 13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도성 스페이서(114)가 형성될 수 있다. ST2에서는, 상기 제 2 기판(130) 상에 제 1 전극(13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ST1에서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다른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step, a conductive spacer 114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may be formed in a subsequent process. In ST2, the first electrode 132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30, and is formed on a substrate different from the array element formed in the ST1.

본 발명에서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용 제 1 전극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존과 달리 투명 기판 상에 바로 형성하기 때문에, 재료선택 폭을 넓힐 수 있고 공정을 진행하기가 훨씬 용이해진다. 상기 제 1 전극은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성 물질에서 선택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first electrod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ince it is formed directly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the material selection range can be widened and the process becomes much easier. The first electrode is selected from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ST3에서는, 상기 제 1 전극(130) 상에 유기전계발광층(134)을 형성하는 단계 로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층은 적, 녹, 청 컬러를 띠는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 및 전자 또는 정공을 주입 및 수송하는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층에서 선택된다. In ST3,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layer 134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layer is injected with electrons or holes and a light emitting layer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having a red, green, and blue color. It is selected from the low molecular or high molecular material layer to transport.

ST4에서는, 상기 유기전계발광층(134) 상부에 제 2 전극(136)이 형성된다.In ST4, the second electrode 136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4.

ST5에서는, 상기 제 1, 2 기판을 전도성 스페이서(114)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제 1 기판(110)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또는 박막트랜지스터 연결된 제 2 전극 연결패턴(112)을 이용하여 제 1, 2 기판(110, 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 기판의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In ST5,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conductive spacers 114, and more specifically, the thin film transistors or the second electrode connection patterns 112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on the first substrate 110. )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That is, it serves to connect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f the second substrate.

ST6에서는, 제 1, 2 기판(110, 130)을 인캡슐레이션하는 단계로서, 제 1, 2 기판의 어느 한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씰패턴(500)을 형성하여, 제 1,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제 1, 2 기판 간의 이격 공간을 질소 분위기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ST6, as a step of encapsulat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0 and 130, a seal pattern 500 is formed at an edge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bo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gether. This step includes the step of mak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in a nitrogen atmosphere.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2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510 are formed in an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o the seal pattern 500,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 520 is formed.

이 때, 상기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10)의 조밀도와, 상기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20)의 조밀도는 서로 다른데,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520)의 조밀도가 상기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510)들에 비해 더 크다.In this case, the densities of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510 and the densities of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5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nsities of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5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arger than the dummy pattern spacers 510.

즉, 상기 씰패턴(500) 내부에 형성된 더미 패턴 스페이서(520)가 상기 어레이 영역(300) 외부로부터 씰패턴(500)까지의 영역에 형성된 더미 패턴 스페이서(510)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dummy pattern spacer 520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500 is denser than the dummy pattern spacer 510 formed in the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300 to the seal pattern 500. will be.

이와 같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어레이 소자 제조 단계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제조 단계 중 어느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유기전계발광 소자패널 전체가 불량처리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레이 기판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기판 각각에 대한 검사공정을 거쳐 양품의 두 기판을 합착하므로 제품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생산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entir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is poorly treated even if a defect occurs in any of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arr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y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By inspecting each board, the two boards of good products can be bonded together to reduce product defect rate and improve production management efficiency.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고, 상기 씰패턴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과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의 조밀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 하판 간의 간격을 어레이 영역 내부와 거의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in the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to the seal pattern,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in the seal pattern, By differentiating the density of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can be maintained almost similar to the inside of the array region.

또한, 씰패턴 내부에 상기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유리 섬유(glass fiber)가 없는 실런트를 사용하여 공정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inside the seal patter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 deviation by using a sealant without glass fiber,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ect of blocking the water from the outside.

Claims (1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2기판과,First and second substrat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1기판 내부면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매트릭스 형태의 어레이 소자와, 상기 각 어레이 소자에 대응되는 제 2 기판 내부면에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정의되는 어레이 영역과,An array region in a matrix form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 array region defined b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second substr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rray elements; 상기 어레이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각 어레이 소자 및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기판의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상기 각 어레이 소자에 대응된 전도성 스페이서와,A conductive spacer disposed in the array region and connecting the array element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상기 제 1, 2기판을 합착하기 위해 제 1, 2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패턴과,Seal patterns formed at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bo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상기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과,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 spacers formed in an area from outside the array area to a seal pattern; 상기 씰패턴 내부에 형성된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formed inside the seal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2 기판에는 화면을 구현하는 최소 단위영역인 서브픽셀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픽셀 단위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위치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제 1전극, 유기전계발광층 및 상기 서브픽셀 단위로 패턴화 된 제 2전극이 차례대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스페이서는 각 서브픽셀 단위로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Subpixels, which are the smallest unit areas for implementing a screen, are defined i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is positioned in units of the subpixel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ed in units of subpixels, and the conductive spacers electrically connect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econd electrode to each subpixel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더미 패턴 스페이서 및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는 각각 다른 조밀도를 가지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 are formed with different densities, respectivel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1 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more densely than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도성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The conductive spacers are formed more densely than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패턴는 유리 섬유가 포함되지 않은 실런트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The failed turn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ealant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glass fibers. 적, 녹, 청 서브픽셀로 구성되는 픽셀이 정의된 제 1, 2기판을 구비하는 단계와;Providing first and second substrates defining pixels consisting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상기 제 1기판의 상부 어레이 영역 상에 서브픽셀별로 스위칭 소자를 가지는 어레이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n array device having switching elements for each subpixel on an upper array area of the first substrate; 상기 제 2기판 상에 투광성을 가지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 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first electrod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on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제 1전극 상부에 유기전계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상기 유기전계발광층 상부에 서브픽셀 단위로 제 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units of subpixels; 상기 제 1, 2기판을 전도성 스페이서로 연결하는 단계와;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conductive spacers; 상기 제 1, 2기판의 어느 한 기판의 가장자리부에 씰패턴을 형성하여, 제 1, 2 기판을 합착함에 있어 상기 어레이 영역 외부로부터 씰패턴까지의 영역에 제 1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고, 상기 씰패턴 내부에 제 2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방법.Forming a seal pattern at an edge por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form first dummy pattern spacers in a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array region to the seal pattern in bonding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forming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inside the seal patter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 더미 패턴 스페이서 및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는 각각 다른 조밀도를 가지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방법.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with different densities, respectively.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1 더미 패턴 스페이서들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방법.The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are formed more densely than the first dummy pattern spacer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도성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패턴 스페이서에 비해 더 조밀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방법.The conductive spacers are more densely formed than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 spacer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실패턴는 유리 섬유가 포함되지 않은 실런트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 제조방법.The failed turn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ealant material does not contain glass fibers.
KR1020030099884A 2003-12-30 2003-12-30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xpired - Lifetime KR100581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884A KR100581099B1 (en) 2003-12-30 2003-12-30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04031670A DE102004031670B4 (en) 2003-12-30 2004-06-30 Organo-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B2004100632756A CN100452420C (en) 2003-12-30 2004-06-30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880,317 US7196465B2 (en) 2003-12-30 2004-06-30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GB0418350A GB2409759B (en) 2003-12-30 2004-08-17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093125338A TWI253877B (en) 2003-12-30 2004-08-23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R0409865A FR2864707B1 (en) 2003-12-30 2004-09-1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DOUBLE PANEL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358154A JP4309333B2 (en) 2003-12-30 2004-12-10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884A KR100581099B1 (en) 2003-12-30 2003-12-30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402A KR20050070402A (en) 2005-07-07
KR100581099B1 true KR100581099B1 (en) 2006-05-16

Family

ID=3726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884A Expired - Lifetime KR100581099B1 (en) 2003-12-30 2003-12-30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09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13A1 (en) 2021-12-03 2023-06-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Radical scavenger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KR20230084037A (en) 2021-12-03 2023-06-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Radical Scavenging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KR20230090576A (en) 2021-12-15 2023-06-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999B1 (en) * 2005-09-30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conductive spac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21951B1 (en) 2005-11-16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foreign material trap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26994B1 (en) * 2005-11-29 200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751808B1 (en) * 2006-02-22 2007-08-23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KR100759668B1 (en) * 2006-03-08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66934B1 (en) * 2006-05-16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307550B1 (en) * 2007-12-31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579977B1 (en) * 2008-12-08 2015-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ual Pla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84270B1 (en) 2009-12-01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lat Panel Display
KR101202352B1 (en) 2010-07-19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795249B1 (en) 2017-02-14 2025-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13A1 (en) 2021-12-03 2023-06-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Radical scavenger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KR20230084037A (en) 2021-12-03 2023-06-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Radical Scavenging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KR20230090576A (en) 2021-12-15 2023-06-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402A (en)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491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460210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4249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52352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09333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6536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0069707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433992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81099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74001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58110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711001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001423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029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1290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474000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16706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79002B1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29612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87257B1 (e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20050104100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50067253A (e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KR100726943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579127B1 (en) Dual Plate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100588869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6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