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971B1 -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Complex Joint Exercise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Complex Joint Exerci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0971B1 KR100580971B1 KR1020040084047A KR20040084047A KR100580971B1 KR 100580971 B1 KR100580971 B1 KR 100580971B1 KR 1020040084047 A KR1020040084047 A KR 1020040084047A KR 20040084047 A KR20040084047 A KR 20040084047A KR 100580971 B1 KR100580971 B1 KR 100580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joint
- shaft
- base member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10392 Bone Frac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076 Fra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058 directional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9 pelvic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027 skelet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운동에 의한 무릎관절과 회전운동에 의한 고관절 운동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를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각기 나란하게 설치된 왕복운동축, 회전운동축 및 가이드축이 설치되고, 왕복운동축 및 회전운동축은 베이스부재 일측 하우징 내에 설치된 각각의 모터에 결합되는 구조의 구동수단과; 왕복운동축에 결합되어 왕복운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운동축 및 가이드축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블럭과; 베이스 부재의 일측단에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일측단이 3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로 결합되는 허벅지 지지대와; 상기 허벅지지지대의 타 측단에 몸통의 일측부가 축 결합되는 장딴지 지지대와; 상기 장딴지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발 지지대와; 상기 이동블록의 움직임에 종속되도록 이동블록의 몸통부를 통과하여 한 요소의 단부는 회전운동축에 물려지고, 다른 요소의 단부는 가이드축에 미끄럼 대우로 결합되며, 각 요소의 단부는 장딴지 지지대의 몸통부에 2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로 결합되는 2개의 나란한 로드가 포함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joint exercise rehabilitation exercise mechanism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rovide a knee joint by the linear motion and hip joint mo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the base member; Drive mean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eciprocating shaft, a rotating shaft and a guide shaft are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he reciprocating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being coupled to respective motors installed in the base member one side housing; A moving block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shaft and reciprocating in a state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and the guide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shaft; A thigh suppo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member with a joint having one side end having three degrees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 calf support having one side of the bod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gh support; A foot support coupled to an end of the calf support; Passing through the body of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the end of one element is bitten by the axis of rotation, the end of the other element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by sliding treatment, the end of each element is the body of the calf support Th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two side-by-side rod coupled to the joint having two degrees of freedom.
Continuous Passive Motion, 재활의료, 복합관절운동Continuous Passive Motion, Rehabilitation Medical, Complex Joint Exercise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운동기구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구동 수단의 상세 구조도2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a drive means;
도3a 및 도3b는 굴신운동의 동작 상태도3a and 3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tretching movement
도4a 및 도4b는 회전운동의 동작 상태도4a and 4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rotary motion
* 주요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Major Codes
10.베이스 부재 20.왕복운동요소 21.모터 22.볼스크류축10.
30.회전운동요소 31.스플라인축 32.웜기어30.
33.모터 40.이동블록 41.리테이너33.Motor 40.Moving block 41.Retainer
42.본체 43.가이드 축 44.지지롤러42.
45.홈 50.로드 60.상부구조45
61.허벅지 지지대 62.장딴지 지지대 63.발 지지대61.thigh support 62.calf support 63.foot support
64.3자유도 조인트 65.축 66.축64.3 Degree of freedom joint 65.axis 66.axis
67.조임나사 68.2자유도 조인트67.Tightening screw 68.2 Degree of freedom joint
69.고정나사 80.밴드 90.거치대69.Fixing screw 80.
100.제1앵글센서 110.제2앵글센서100.
본 발명은 단위근력약화로 보행력이 약화된 노인 및 장애인, 골절환자들의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직선운동에 의한 무릎관절과 회전운동에 의한 고관절 운동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mechanism for the recovery of the elderly, disabled and fracture patients with weakened unit strength weakened, more specifically can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knee joint by the linear movement and hip joint movement by the rotational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a composite joint exercise.
단위근력 약화나 수술로 인해 보행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장기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보행에 필요한 관절과 단위근력이 약화되고 굳어지게 된다. 특히, 골절환자는 골유합을 위해 장기간 깁스를 하거나 고정 장치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깁스나 고정장치를 푼 후에는 관절과 전체 골격에 갑작스런 움직임을 주어서는 안 된다.People who have poor walking ability due to weakened unit muscle strength or surgery cannot move for a long time, so the joints and unit muscle power required for walking are weakened and hardened. In particular, fracture patients should not give a sudden movement to the joints and the entire skeleton after loosening the cast or fixation device because of the long periods of cast or fixation for bone union.
따라서, 노화로 인한 보행근력이 약화되어 활동성이 저하된 노인, 단위근력약화로 인해 보행능력이 약화된 사람에게는 지속적으로 단위근력을 증가시켜줄 수 있는 운동이 필요하고 골절로 인해 골유합을 시도해 장기간 움직이지 않은 환자들은 점진적으로 관절을 운동시켜 줌으로서 무리 없이 보행을 시도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Therefore, the elderly who have lost their walking activity due to aging weakened, and those whose walking ability has weakened due to weakened unit muscle strength need exercise that can continuously increase the unit muscle strength, and they try bone union due to fracture and do not move for a long time. Patients who do not have to gradually move their joints should be able to walk without difficulty.
보행능력은 고관절과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향상될 수 있고, 이들 각 관절은 부드러운 물렁뼈로 된 관절막과 근육 및 힘줄로 둘려 싸여 있어 보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재활운동장치는 이들 요소에 효과적인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요구되어 진다.Gait 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hip, knee and ankle joint movement is smooth, each of these joints are surrounded by a soft medullary joint membrane, muscles and tendons, so tha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walking ability is It is required to give an element an effective exercise.
종래 사용되는 재활운동기구는 기계적으로 관절부위에 반복적인 굴신운동을 제공함으로서 관절의 수동운동에 의해 점진적으로 근력을 회복시킴으로서 보행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된 것으로 다리를 받치는 프레임에 동력화 된 링크 기구를 사용하여 구부렸다 폈다하는 굴신운동을 제공함으로서 관절을 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진다.The rehabilitation apparatus used in the prior art is mechanically provided with repetitive stretching movements at the joints, thereby gradually recovering muscle strength by passive movement of the joints. It is configured to exercise the joints by providing flexion movements using flexed link mechanisms.
이와 같은 연속 수동운동(CPM, Continuous Passive Motion)을 위한 기구는 US4,825,852, US6,267,735 B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형태의 프레임(베이스)과, 프레임의 한쪽 끝에 링크절과 피봇구조로 결합된 허벅지 지지대와, 허벅지지지대의 끝에 링크절과 피봇구조로 결합되는 장딴지 지지대와, 장딴지 지지대의 한쪽 끝에 장착되는 발 지지대와,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고 모터에 연결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 축에 결합되어 전 후진 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장딴지 지지대를 U형으로 연결하여 안정되게 하는 부재로 이루어져 모터에 의해 상기 가동부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링크절의 운동에 의해 무릎 관절 부위가 구부려졌다 펴졌다 하면서 관절운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CPM 기구는 무릎관절 위주의 운동기구로서 보행능력의 향상에 필수적인 고관절 운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고관절 운동기구를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The mechanism for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is a long frame (base), as shown in US 4,825,852, US 6,267,735 B1, and a link clause and a pivot structure at one end of the frame. Combined thigh support, calf support coupled to the linkage and pivot structure at the end of the thigh support, foot support mounted on one end of the calf support, screw shaft coupled to the mo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the screw shaft It is composed of a movable part coupled to the front and backward movement, and a member for connecting the movable part and the calf support in a U-shape to stabilize the movable part forward or backward by a motor, the knee joint is bent by the movement of the linkage It is configured to give joint motion. As such, the general CPM mechanism is a knee joint-oriented exercise apparatus, which requires a separate hip exercise apparatus for the hip joint exercise, which is essential for improving walking ability.
대한민국 특허등록제 0386701호 및 특허공개 1999-0045112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파트가 꺾여지고 펴지게 힌지 결합되어 이용자의 다리를 얹을 수 있도록 된 프레임과, 베이스부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지지함과 더불어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이송수단으로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환자의 다리를 프레임에 얹고 베이스부재와 구동수단을 직선상으로 하여 구동 수단에 의해 프레임의 일단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서 무릎관절을 굴신운동 시키고, 구동수단을 베이스부재로 부터 회전시킨 상태에서 프레임의 일단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서 이용자의 다리가 벌어지는 힙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무릎운동과 힙(고관절운동)을 각기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구에 의한 고관절운동은 무릎운동을 종료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고관절과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이 상호 관련되고 유기적으로 움직임으로서 비로소 보행이 가능해지는 골근운동의 원리에 비추어 고관절운동과 무릎운동을 각기 따로 실시하는 운동요법은 비 효율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고관절( Hip Joint)은 공과 같이 생긴 대퇴골의 골두와 이 공 부분을 감싸고 있는 소켓 모양의 골반골의 비구로 구성되는 다축성(多軸性) 구조로서 고관절을 감싸고 있는 대퇴골두인대와 장골대퇴인대(腸骨大腿靭帶)에 효과적인 재활운동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관절을 비틀고 회전시키는 다축성 운동이 가장 적절하나 상기 기구는 다리를 옆으로 벌리는 방향성이 제한된 운동만 제공함으로서 고관절의 전체적인 유연성 향상과 근 인대조직의 근력 향상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0386701 and Patent Publication No. 1999-0045112 is a base member, a frame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and a plurality of parts are hinged to be folded and unfolded, the base and the user's legs, Composed rotatably around the other end of the member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frame and a drive means for reciprocating one end of the frame by a transfer means operated by a motor to put the patient's leg on the frame and the base member The hip movement of the user's legs spreads by flexing the knee joint by reciprocating one end of the frame by the driving means with the driving means in a straight line, and reciprocating one end of the frame with the driving means rotated from the base member. Knee exercises and hips as configured to An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allowing you to perform the exercise), respectively. However, the hip joint movement by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is performed independently after the knee movement is completed, and the hip joint movement and the knee joint in view of the principle of the skeletal muscle movement where the hip joint, the knee joint and the ankle joint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are organically movable is possible. Exercise therapy, which is a separate exercise, is inefficient. The hip joint is a multiaxial structure consisting of a ball-like femoral ball head and a socket-shaped pelvic bone that surrounds the ball, and the femoral head ligament and iliac thigh that surround the hip joint.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ligaments, multiaxial exercise that twists and rotates the hip joint is most appropriate. However, the device provides only the limited directional movement of the leg to the side, improving the overall flexibility of the hip joint and muscle ligaments. There was a limit to effectivel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organization.
본 발명은 종래 제시된 재활운동 기구가 갖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좌우 회전운동과 직선왕복운동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무릎관절과 고관절의 운동력과 단위근력 강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exercise mechanism as a single exercise device to perform the right and left rotational movement and the straight reciprocating movement at the same time or selectively performed to strengthen the movement and unit muscle strength of the knee joint and hip joint It is designed to make it possible to carry out this effectivel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긴 길이를 갖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각기 나란하게 설치된 왕복운동축, 회전운동축 및 가이드축이 설치되고, 왕복운동축 및 회전운동축은 베이스부재 일측 하우징 내에 설치된 각각의 모터에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왕복운동축에 결합되어 왕복운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운동축 및 가이드축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블록과; 베이스 부재의 일측단에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일 측단이 3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로 결합되는 허벅지 지지대와; 상기 허벅지 지지대의 타 측단에 몸통의 일측부가 축 결합되는 장딴지 지지대와; 상기 장딴지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발지지대와; 상기 이동블록의 움직임에 종속되도록 이동블록의 몸통부를 통과하여 한 요소의 단부는 회전운동축에 물려지고, 다른 요소의 단부는 가이드축에 미끄럼 대우로 결합되며, 각 요소의 단부는 장딴지 지지대의 몸통부에 2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로 결합되는 2개의 나란한 로드를 포함하는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를 제시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member having a long length; Reciprocating shaft, the rotary shaft and the guide shaft are install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the reciprocating shaft and the rotary shaft is a drive means including a structure coupled to each motor installed in the base member one side housing and; A moving block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shaft and reciprocating in a state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and the guide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shaft; A thigh support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base member with a joint having one side end having three degrees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A calf support having one side of the body coupled to the other side end of the thigh support; A foot support coupled to an end of the calf support; Passing through the body of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the end of one element is bitten by the axis of rotation, the end of the other element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by sliding treatment, the end of each element is the body of the calf support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a composite joint exercise including two side-by-side rods coupled to a joint having two degrees of freedom in a part is presented.
상기 구조는 왕복운동용 모터의 정역회전이 왕복운동축에 전달되어 그에 결합된 이동블록을 전후 왕복시키고, 상기 이동블록의 움직임은 로드를 통하여 장딴 지 지지대에 전달됨으로서 발 지지대, 장딴지 지지대, 허벅지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부구조가 로드의 전후 왕복운동에 의한 4절 링크 구조를 이루어 장딴지 지지대와 허벅지 지지대를 연결하는 축(Knee Joint)을 중심으로 구부렸다 폈다 하는 굴신운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회전운동용 모터의 정역회전이 회전운동축에 전달되어 그에 물려진 로드를 좌우 회전시킴으로서 허벅지 지지대, 장딴지 지지대 및 발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서 고관절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The structure i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eciprocat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reciprocating shaft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the moving block coupled there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block is transmitted to the calf support through the rod, foot support, calf support, thigh support The upper structure includes a four-bar link structure by th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of the rod to generate flexural movement to bend around the axis (Knee Joint) connecting the calf support and the thigh support. In additio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for rotational movement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shaft to rotate the left and right rods by rotating the upper structure consisting of thigh support, calf support and foot support to the left and right to make the hip joint move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왕복운동용 모터와 회전운동용 모터를 제어함으로서 무릎관절의 반복적인 굴신운동과 고관절의 회전운동을 각기 수행할 수 있고, 무릎관절운동과 고관절운동 및 그에 수반되는 발목관절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함으로서 보행능력의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repetitive flexion movement of the knee joint and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hip joint by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tor and the rotational motor by a constant control program, respectively, the knee joint movement and the hip joint movement and the accompanying 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performing ankle joint exercis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ore efficient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recovery of walking 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체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재(10), 상기 베이스 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왕복운동요소(20) 및 회전운동요소(30)가 포함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의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한 이동블록(40)과, 이동블록의 움직임을 상부구조에 전달하는 로드(50)와, 이동블록 및 로드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회전과 굴신운동이 이루어져 그에 얹어 지는 사용자의 다리에 굴신운동과 회전운동에 의한 CPM을 제공하는 상부구조(60)로 이루어진다.Figure 1 is for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베이스부재(10)는 기기 전체의 몸체를 구성하며, 길이가 긴 몸체(11)의 일측에 모터등 내부 구성요소를 장치하기 위한 하우징(12)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부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축받침(1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구동수단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부구조(60)에 대하여 굴신운동과 회전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왕복운동요소(20)와 회전운동요소(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driving means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or imparting a stretching motion and a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왕복운동요소(20)는 상기한 이동불럭(40)을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전 후진 왕복시킴으로서 상기 상부구조(60)를 굴신운동 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본 실시례는 왕복운동용 모터(21)와,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일 측단에서 모터에 결합되는 볼 스크류축(22)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볼스크류축(22)에는 상기한 이동블록(40)이 대우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전 후진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이 전후진 왕복 운동하도록 결합된다. 상기한 볼 스크류축은 이동블록내의 접촉부에 결합된 리테이너(41,retainer)와 물려 대우를 이루며, 볼 스크류는 미끄럼 없는 직선 왕복운동을 상부구조에 제공하여 상부구조를 구성하는 허벅지 지지대 및 장딴지 지지대가 등속성 굴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The
회전운동요소(30)는 상기한 상부구조(60)를 좌우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스플라인축(31)과, 상기 스플라인축(31)에 대하여 웜기어(32)로 결합되는 회전운동용 모터(33)로 이루어지며, 스플라인축(31)은 볼 스크류축(22)과 나란하게 베이스 부재 내에 설치되며, 모터 및 웜기어는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상기한 웜기어는 모터의 고 회전을 큰 감속비로 감속시키고, 고 출력을 낼 수 있으며, 역회전이 방지됨으로서 모터의 전원이 끊기는 등 돌발 상황으로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자동으로 정지되어 훈련 중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동블록(40)은 구동수단으로 부터의 동력을 상부구조(60)에 전달하고,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베이스 부재에 전달하는 작용을 하는 요소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리테이너(41)가 결합되어 볼 스크류축(22)에 물리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볼 스크류축(22) 및 스플라인축(31)과 나란히 설치된 가이드축(43)에 미끄럼 짝을 이루도록 관통 결합되어 볼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축을 타고 전 후진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플라인축(31)은 상기 이동블록에 접촉되지 않고 단순 통과되어 스플라인축의 회전이 상기 이동블록에 영향을 주지 않게 결합된다.The moving block 40 is an element that transmits the power from the driving means to the
상기 이동블록의 좌우 베이스 부재 접부에는 지지롤러(44)를 부착하여 베이스 부재에 접지 된 상태로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서 직선왕복운동과 좌우회전운동의 운동력을 상부구조에 전달해주고 운동 시 사용자 다리의 무게를 지지하여 구동수단인 모터와 각 축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Attaching the support roller 44 to the left and right base member contact portion of the moving block is configured to roll in the grounded state to the base member, thereby transmitting the kinetic force of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al motion to the upper structure and during the movement B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s legs it is possible to operate smoothly by preventing the overload of the motor and each shaft as a driving means.
로드(50)은 구동수단에 의한 움직임을 상부에 직접 전달하기 위한 요소로서 베이스와 상부구조가 이루는 4절 링크구조에 의한 굴신운동의 구동력 전달 요소로서의 기능과, 스플라인축에 의한 회전운동을 상부구조에 제공하는 구동력 전달요소 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이를 위해 로드(50)는 양단에 각기 연결부를 갖는 2개의 나란한 부재(51)(52)로 이루어지며, 그 중 하나의 부재(51)는 그 단부가 상기한 이동블록을 통과하여 스플라인축(31)에 물려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요소(52)는 그 단부가 이동블록을 통과하여 가이드축(43)에 미끄럼 대우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실시례는 상기한 로드가 이동블록을 그대로 통과하여 스플라인축 및 가이드축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이동블록의 로드 결합위치에 홈(45)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결합된 로드는 이동블럭의 전후진 왕복운동에 종속되어 이동블록과 함께 이동하지만 스플라인축으로부터의 회전운동은 이동블록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로드를 통하여 상부구조에만 전달되게 된다.To this end, the
상부구조(60)은 기구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고 구동 수단으로부터의 운동에 의해 무릎관절의 굴신운동과 고관절의 회전운동을 부여하는 요소로서 허벅지 지지대(61), 장딴지 지지대(62) 및 발지지대(63)를 포함한다.The
허벅지 지지대(61)는 환자의 허벅지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한 부재(61a)(61b)로 이루어지며, 각 요소의 일단은 베이스의 축받침(13)에 대하여 3자유도 조인트(64)에 의해 결합된다. 실시례에 의한 3자유도 조인트는 축받침(13)에 수직으로 설치한 축(64b)에 소켓 형태로 유니버셜조인트(64a)의 일단이 결합되고 유니버셜조인트의 타단은 허벅지 지지대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축받침에 고정된 축(64b)에 대하여 결합된 유니버셜조인트는 수평방위에서 360°자유 회전이 이루어지고, 유니버셜조인트 자체의 특성 에 의해 3차원 공간에서 자유회전이 이루어져 상부구조의 직선 굴신운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좌우 회전운동이 그리는 복잡한 기구학적 운동 모델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The
장딴지 지지대(62)는 장딴지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기 상기한 허벅지 지지대(61)의 각 부재(61a)(61b)에 축(65)으로 결합되는 부재(62a)(62b)와, 상기한 각 부재(62a)(62b)를 연결하는 반원형 밴드(62c)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반원형 밴드(62c)는 장딴지를 받쳐주는 작용과 함께 허벅지 지지대 및 장딴지 지지대의 각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The
발 지지대(63)는 장딴지 지지대의 끝에 결합되어 발을 받쳐 주는 작용을 하며, 받침부(63a)와 상기 받침부의 양측에 고정된 날개(63b) 및 장딴지 지지대 결합부재(63c)로 이루어지며, 장딴지 지지대의 단부에는 조임나사(67)에 의해 접촉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각도 조절판(62d)이 형성되어 축(66)과 조임나사에 의한 작용으로 장딴지의 변위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발목관절을 움직여 질 수 있도록 하거나 발목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로드의 각 단부와 장딴지 지지대의 몸통부는 2자유도 조인트(68)에 의해 결합된다. 실시례에 의한 2자유도 조인트는 " H " 형태의 연결부재(68a)를 사용하여 각 단부에 각기 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한 축(68b)(68c)를 사용하여 장딴지 지지대(62)와 로드(50)을 연결하는 구조이며, 로드의 좌우 회전 운동을 상부구조에 그대로 전달하면서 이동블록의 전후 왕복 직선운동을 상부구조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Each end of the rod and the trunk of the calf support are joined by a two degree of freedom joint 68. The two degree of freedom j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상기에서 허벅지 지지대 및 장딴지 지지대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접이식 관구조로 하고 고정나사(69)에 의해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신장차이에 따른 허벅지와 장딴지 길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각 지지대의 중간에 장딴지 또는 허벅지를 받쳐줄 수 있도록 밴드(80)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안락한 상태에서 훈련할 수 있도록 거치대(90)등을 설치할 수 있다.Each member constituting the thigh support and the calf support in the above is a foldable pipe structure and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length by the fixing
또한, 상기 구조는 운동 방식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부가 함께 구성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기구의 운동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센서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실시된다. 본 실시례는 기구의 운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벅지 지지대와 장딴지 지지대를 연결하는 축(65)에 제1앵글센서(100)를 장착하여 무릎관절의 운동각을 측정하고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스플라인축(31)에 제2앵글센서(110)를 결합하여 고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고 범위를 제한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trained in a variety of ways,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gether so that the exercise mode can be controlled by a program, it is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to attach a sensor to control the range of motion of the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the
도3a 및 도3b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복합관절 운동용 재활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제어를 위하여 키 패드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훈련 상황에 맞게 굴신 최대각, 회전최대각, 운동속도, 시간 등을 설정한 상태에서 굴신운동을 선택 동작시키면 왕복운동용 모터가 굴신 최대각 범위( 0 ~135°)내에서 설정된 각도에 이를 때까지 회전하고, 최대 각도에 이르면 제1앵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역회전 동작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지시키지 않는 한 정해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굴신운동을 제공하게 된다.Figures 3a and 3b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a composite joint exercis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using the keypad or the remote control for the program control, the maximum angle, the maximum rotation angle, the maximum flexion to fit the training situation of the user If you select and operate the stretching motion with the speed and time set, the reciprocating motor rotates until it reaches the set angle within the maximum angle range (0 ~ 135 °), and when the maximum angle is reached, the first angle sensor Sensing this and the controller repeats the process of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to provide a continuous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unless stopped within the set angle range.
도4a 및 도4b는 회전운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운동을 동작시키면 회전운동용 모터가 최대 회전각도( 통상 -45 ~ 45°) 범위 내에서 설정각도에 이를 때까지 회전하고, 설정 각도에 이르면 제2앵글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역회전 동작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지시키지 않는 한 정해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고관절 회전운동을 제공하게 된다.4A and 4B illustrate a state of rotational motion. When the rotational motion is operated, the motor for rotational motion rotates until it reaches a set angle within a maximum rotational angle (typically -45 to 45 °) and reaches a set angle. The second angle sensor detects this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hip joint rotation movement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unless the second angle sensor repeats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and stops it within the set angle range.
상기한 직선 굴신운동과 회전운동은 각기 따로 수행할 수 있을 뿐아니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합 관절운동은 기존의 직선운동에 의한 무릎의 굴신 운동만 시행하거나 무릎의 굴신운동 및 고관절 운동을 각기 분리 시행하는 재활운동기구에 비하여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linear flexion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can be performed separately as well as separately. Such complex joint mo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existing flexion motion of the knee by the conventional linear motion or by the flexion motion and hip motion of the knee. The training effect can be maximized as compared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that is separately performed.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무릎관절과 고관절을 동시에 운동시킬 수 있고,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simultaneously exercise the knee joint and the hip joint, it is configured to enable a three-dimensional movemen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linear motion and a rotational motion can improve the exercis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볼스크류축과 로드 및 상부구조가 2자유도 및 3자유도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4절 링크구조로 이루어져 직선 및 회전운동이 원활하고, 고관절 부위의 운동 효과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four-segment link structure in which the ball screw shaft, the rod, and the superstructure are connected by two degree of freedom and three degree of freedom joints, so that the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are smooth, and the effect of the hip join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ll b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4047A KR100580971B1 (en) | 2004-10-20 | 2004-10-20 |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Complex Joint Exerci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4047A KR100580971B1 (en) | 2004-10-20 | 2004-10-20 |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Complex Joint Exerci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4986A KR20060034986A (en) | 2006-04-26 |
KR100580971B1 true KR100580971B1 (en) | 2006-05-16 |
Family
ID=3714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40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0971B1 (en) | 2004-10-20 | 2004-10-20 |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Complex Joint Exerci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0971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6621B1 (en) | 2008-03-20 | 2010-01-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Leg exercise rehabilitation apparatus |
KR100936620B1 (en) | 2008-03-20 | 2010-01-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Leg exercise rehabilitation apparatus |
KR101006396B1 (en) * | 2009-01-23 | 2011-01-12 | (주) 디.엠.씨 | Joint motion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
KR101555999B1 (en) * | 2014-01-28 | 2015-10-01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Control method of Training robot for leg rehabilitation |
KR101567906B1 (en) * | 2014-03-11 | 2015-11-10 | (주)케어테크 | Apparatus for a recovering exercise for bone-fracture patient |
KR101764587B1 (en) | 2016-02-05 | 2017-08-10 | (주)케어테크 | Apparatus for recovering exercise of joint-rehabilitation exercise having duel sense |
KR101793812B1 (en) | 2016-01-19 | 2017-11-06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of knee joint |
CN110251381A (en) * | 2019-06-25 | 2019-09-20 |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 Postpartum care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pregnant women |
KR20210043761A (en) | 2019-10-10 | 2021-04-22 |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555B1 (en) * | 2006-06-20 | 2007-10-30 | (주)한맥테크놀로지 | Passive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devices |
KR100814744B1 (en) * | 2007-02-26 | 2008-03-19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ngle adjusting device of knee joint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KR101958750B1 (en) * | 2017-04-14 | 2019-03-15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
CN107198640A (en) * | 2017-05-18 | 2017-09-26 |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joint of lower extremity trainer |
JP6923202B2 (en) * | 2017-12-28 | 2021-08-18 | アベ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 Joint drive device |
CN108309694B (en) * | 2018-03-02 | 2023-12-19 | 合肥哈工力训智能科技有限公司 | Foot-drive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09124993A (en) * | 2018-09-29 | 2019-01-04 | 南京艾提瑞精密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kne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and the recovery training method based on the device |
KR102330315B1 (en) | 2018-12-05 | 2021-11-24 | (주)비빔플래닛 | Apparatus for joint mobilization |
KR102021304B1 (en) * | 2018-12-13 | 2019-09-20 | 주식회사 엠디알 | Multi-angle knee joint traction apparatus |
CN110711126B (en) * | 2019-11-19 | 2024-07-16 | 北京工业大学 | Shank muscle rehabilitation and nursing device |
KR102269719B1 (en) * | 2020-01-09 | 2021-06-28 | 장기남 | Joint exercise equipment |
WO2021172745A1 (en) * | 2020-02-25 | 2021-09-02 |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for upper and lower limbs |
CN111631910B (en) * | 2020-06-05 | 2024-09-13 | 爱乔(上海)医疗科技有限公司 | Foldable lower limb joi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3040996B (en) * | 2021-03-30 | 2023-12-08 | 郑州科技学院 | Intelligent angle measurement multifunctional cervical spondylosis auxiliary treatment chair |
CN113576838A (en) * | 2021-08-27 | 2021-11-02 | 上海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 Three-degree-of-freedom platform for ankle joint rehabilitation |
CN116251330B (en) * | 2022-10-19 | 2023-09-01 | 天津医科大学总医院空港医院 | Knee joint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
-
2004
- 2004-10-20 KR KR1020040084047A patent/KR10058097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6621B1 (en) | 2008-03-20 | 2010-01-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Leg exercise rehabilitation apparatus |
KR100936620B1 (en) | 2008-03-20 | 2010-01-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Leg exercise rehabilitation apparatus |
KR101006396B1 (en) * | 2009-01-23 | 2011-01-12 | (주) 디.엠.씨 | Joint motion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
KR101555999B1 (en) * | 2014-01-28 | 2015-10-01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Control method of Training robot for leg rehabilitation |
KR101567906B1 (en) * | 2014-03-11 | 2015-11-10 | (주)케어테크 | Apparatus for a recovering exercise for bone-fracture patient |
KR101793812B1 (en) | 2016-01-19 | 2017-11-06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of knee joint |
KR101764587B1 (en) | 2016-02-05 | 2017-08-10 | (주)케어테크 | Apparatus for recovering exercise of joint-rehabilitation exercise having duel sense |
CN110251381A (en) * | 2019-06-25 | 2019-09-20 |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 Postpartum care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pregnant women |
KR20210043761A (en) | 2019-10-10 | 2021-04-22 |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4986A (en) | 2006-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0971B1 (en) |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Complex Joint Exercise | |
KR102622967B1 (en) |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 |
KR102622966B1 (en) |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 |
CN209059884U (en) | A wearable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 | |
CN104812352B (en) | Robotic device for assistance and rehabilitation of lower limbs | |
KR100942968B1 (en) | A movement machine for rehabilitation medical cure | |
US6416448B1 (en) | Therapy and training device | |
KR100814744B1 (en) | Angle adjusting device of knee joint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 |
CN100358599C (en) | Exercise apparatus | |
KR101494685B1 (en) | 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 |
US8142379B2 (en) | Orthopedic arm and shoulder brace | |
KR101230458B1 (en) | Rehabilitation machine device for knee joint | |
JP4085422B2 (en) | Joint drive device | |
KR101869978B1 (en) | Tran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KR101019452B1 (en) | Automatic finger exercise device | |
KR102531025B1 (en) | a robot device of strengthening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of upper and lower limbs | |
KR102084168B1 (en) | Shoulder Rehabilitation Robot | |
Feng et al. | Biomechanical design of the powered gait orthosis | |
CN213218751U (en) | A rehabilitation exoskeleton robot | |
KR20220035302A (en) |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for compound joint exercise for recovery of walking ability | |
JP4802336B2 (en) |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 |
JP2020192124A (en) | Passive exercise device | |
JP2008237785A5 (en) | ||
KR20190058150A (en) | Motion assist apparatus | |
RU2423961C2 (en) | Module orthopedic seat-tr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