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0269B1 -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 - Google Patents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69B1
KR100580269B1 KR1019997009301A KR19997009301A KR100580269B1 KR 100580269 B1 KR100580269 B1 KR 100580269B1 KR 1019997009301 A KR1019997009301 A KR 1019997009301A KR 19997009301 A KR19997009301 A KR 19997009301A KR 100580269 B1 KR100580269 B1 KR 10058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nipple
container
cap
ri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221A (ko
Inventor
앤드류 존 브랜든 뮬스
제임스 크리스챤 미첼
Original Assignee
앤드류 존 브랜든 뮬스
제임스 크리스챤 미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O6131A external-priority patent/AUPO613197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P0523A external-priority patent/AUPP052397A0/en
Application filed by 앤드류 존 브랜든 뮬스, 제임스 크리스챤 미첼 filed Critical 앤드류 존 브랜든 뮬스
Publication of KR2001000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61J11/0085Protecting caps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5Non-rigid or collapsible feeding-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8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storage compartments, e.g. for storing a t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10)는 유아가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도록 꼭지를 구비한다. 음료 용기는 음료로 미리 충전되는 예컨대 작은 병 형태의 용기 본체(12)와 용기를 폐쇄하는 캡 조립체(20)를 구비한다. 캡 조립체는 용기 본체 내부로부터 음료를 배출하는 가요성 흡입 꼭지(25)를 포함한다. 꼭지는 캡 림(24)에 의해 용기 본체에 유지되며, 캡 조립체는 처음에 용기를 밀봉하여 꼭지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밀봉부(28)를 더 포함한다. 밀봉부는 분리되어 꼭지를 사용하도록 노출시킬 수 있다. 한가지 형태에서, 밀봉부는 캡 림과 일체로 형성되고 파괴되어 캡 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다른 형태에서, 밀봉부는 캡 림의 중앙 구멍 주위에 밀봉되는 가요성 디스크를 구비한다. 꼭지는 밀봉부가 제자리에 있는 때에 용기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DISPOSABLE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본 발명은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 음료 용기 및 그 용기의 토출(吐出) 꼭지 부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종래의 음료 토출구를 갖는 용기로부터 액체를 마시는데 어려움을 갖는 유아 또는 노인들이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예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 음료 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 편리성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사용하고 버리는 용기는 제조 및/또는 패키징(packaging) 작업시에 적용되는 검증된 살균법 및 불투과성 밀봉부의 사용을 고려할 때 확실한 청결 및 위생을 제공할 수 있다. 널리 보급된 일회용 음료 용기의 한가지 유형은 사용자가 입이나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용기를 밀봉시키며, 또한 밀봉 해제시킬 수 있는 노즐을 갖는 스포츠 음료 용기들로부터 유래되었다. 사이클리스트와 같은 운동가들은 통상적으로 이들 용기의 종래 형태를 사용하였지만, 그 용기는 내용물 없이 판매되었으며 사용 전에 음료의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되어야 했다. 미리 충전되어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 형태의 운동 음료 용기의 편리성은 상업적인 비탄산 청량 음료 판매, 구체적으로는 운동 활동 중 또는 이후의 미네랄 또는 영양물의 보충에 관련된 음료의 판매에서 상당한 증가를 가져왔다.
종종, 유아들 및 간혹 허약한 노인들은 액체를 입안으로 토출시키는 니플(nipple) 또는 꼭지가 달린 특수한 용기로부터 (음료를) 마시는 것을 필요로 하거나 원한다. 유아용 음료 용기의 가장 통상적인 형태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니플 또는 꼭지가 달린 캡이 있는 단순한 재사용 가능한 포유병 또는 젖병(nursing bottle)이다. 아동에게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음용 유체 용기를 열고 포유병을 충전하며 니플 또는 꼭지가 있는 캡을 교체해야 한다. 사용간에 용기는 세척되어야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살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육자에게 있어서, 특히 외출 중이며 다른 아동의 소지품을 갖고 있는 때에는 유아에게 포유병의 음료를 제공하는 것은 문제 거리이다.
여러 가지 형태의 미리 충전되는 사용하고 버리는 유아용 음료 용기는 과거에도 제안되었다. 예컨대, 마리코마(Maricoma) 등의 미국 특허 제5,273,171호는 꼭지에 의해 육아용 액체(nursing liquid)를 유지 및 토출하는 미리 충전되는 사용하고 버리는 수유(授乳) 용기(nursing container)를 개시하고 있다. 수유 용기는 장방형 상자의 형태로 그 꼭지가 상부에서 꼭지 부착 피이스에 의해 상자에 부착된다. 꼭지 부착 피이스는 상자 위의 입구 포트를 관통하도록 작동하여 액체가 상자로부터 꼭지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예리한 돌출부를 갖는다. 수유 용기는 판매시 및 사용되지 않는 때에는 꼭지를 덮기 위해 마찰식으로 끼워 맞춰지는 분리 가능한 캡을 이용한다.
사용하고 버리는 포유병의 다른 예가 콘래드(Conrad) 명의의 미국 특허 제5,112,628호에 개시되는데, 이는 사용에 있어서 종래의 재사용 가능한 포유병과 더욱 유사하다. 콘래드의 특허에서 기재된 젖병(bottle feeder)의 주안점은 꼭지를 둘러싸는 밀봉된 밀봉 해제 흔적 명시성 캡(tamper evident cap) 조립체에 있는데, 이는 일회 사용 용례에 특히 적합하다. 최초 형상에 있어서, 캡 조립체는 꼭지가 반전되도록 소정 방향으로 용기의 상부에 밀봉된다. 사용을 위해, 캡 조립체는 용기로부터 분리되며 꼭지는 그 내부로부터 밀봉 해제된다. 이어서, 꼭지를 갖는 캡 조립체의 일부가 소정 방향으로 반전되고 용기 상부에 재부착되어 젖병을 사용을 위한 상태에 두게 된다.
다른 여러 형태의 사용하고 버리는 포유병도 역시 공지되어 있는데, 몇 가지 예가 미국 특허 제4,678,092호, 제4,830,205호 및 제4,706,827호에 기재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하고 버리는 용기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opening)가 있는 주둥이를 상부에 구비하는 액체를 담기 위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부착된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용기 본체와 유체 연통된 가요성 꼭지와, 사용시에 상기 꼭지가 통과해 돌출할 수 있는 구멍(aperture)이 있으며 상기 주둥이에 부착되고 상기 꼭지 주위에 밀봉되는 캡 림(cap rim), 그리고 용기의 제1 형상에서 상기 캡 림의 구멍 주위에 위생적으로 밀봉되어 용기로의 액체 또는 가스의 주입과 용기로부터의 액체 또는 가스의 배출을 방지하는 분리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꼭지는 용기의 제1 형상에서 상기 밀봉부 아래에 내장되고, 상기 밀봉부는 용기를 제2 형상으로 배치하기 위해 캡 림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기 가요성 꼭지가 캡 림 구멍을 통해 신장되어 사용을 위한 상태에서 용기의 상부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된 작은 병 등의 형태이다. 예컨대, 용기는 비교적 얇은 벽이 있는 플라스틱 병의 형태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PET 재생 가능한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병은 바닥에서는 그 병이 평탄한 표면에 설 수 있게 해주는 기부를, 상부에서는 캡 조립체가 부착되는 주둥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 림은 플라스틱재로 구성될 수 있다. 캡 림은 선호되게는 아래로 연장된 둘레 플랜지(flange)와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내측 환상부로 형성되며, 이 환형부는 중앙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의 주둥이와 정렬된다. 플랜지는 캡 조립체를 용기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캡 림은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캡 림 플랜지 및 용기 본체 주둥이에 형성된 상호 끼워지는 둘레 릿지(ridge) 및/또는 홈에 의해 용기 주둥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캡 림과 용기 본체 주둥이는 예컨대 상호간 나사 끼워 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캡 림 플랜지는 고온 용접되거나 유사하게 용기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가요성 꼭지는 선호되게는 캡 림의 환상부의 아래쪽 주위와 접하는 바깥으로 연장된 둘레 플랜지를 구비하므로, 꼭지는 구멍에 대해 중앙에 위치된다. 선호되는 형태의 캡 조립체에 있어서, 꼭지의 일부는 반전될 수 있기 때문에, 꼭지는 용기의 제1 형상에서 부분적으로 "접히게" 되어 그 꼭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캡의 환상부 아래에 유지된다. 이 형상에 있어서, 캡 림이 용기 주둥이에 밀봉되고 캡 조립체의 밀봉부가 구멍 위의 제자리에 놓이면, 꼭지는 용기, 캡 림 및 밀봉부에 의해 제한되는 공간 내에 밀봉되며, 이 공간은 용기의 음료를 유지하는 공간과 동일하다. 밀봉부가 분리되면, 꼭지의 단부를 구멍을 통해 잡아 뺄 수 있으므로, 꼭지가 캡 림의 구멍을 통해 충분히 연장하도록 꼭지부를 반전 해제시켜, 꼭지를 음용 형상으로 배치시킨다. 음용 형상에서, 유아는 꼭지 단부를 통해 용기 본체로부터 액체를 빨아낼 수 있다.
선호되게도, 꼭지는 용기의 내용물이 한번에 소모되지 않는 경우 저장을 위해 음용 형상으로부터 접힌 형상으로 재반전될 수 있다. 보호용 오버 캡이 용기에 공급되어, 필요하거나 요망되는 경우, 캡 조립체 위에 끼워져 그러한 저장 중에 꼭지를 보호하고 그리고/또는 분리 전에 밀봉부를 보호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부는 캡 림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 구멍을 형성하는 캡 림의 내부 가장자리에 성형된 밀봉부의 외부 가장자리 주위에는 취성 밀봉부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제자리에 있을 때 캡 림으로부터 직립된 돌출부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취성 밀봉부를 파괴하고 캡 림으로부터 밀봉부를 분리하기에 충분한 측방력을 이 돌출부에 가할 수 있다. 밀봉부는 직립의 돌출부에 대해 꼭지의 말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형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구멍을 밀봉하도록 캡 림의 환상부에 융착되거나 접착제로 부착된 가요성 플라스틱 또는 적층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경 우, 밀봉부는 느슨한 탭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 탭을 움켜쥐고 캡 림으로부터 밀봉부를 벗겨냄으로써 구멍 내의 꼭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꼭지의 단부를 잡고 이것을 구멍을 통해 당김으로써, 꼭지를 접힌 형상으로부터 음용 형상으로 잡아 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용기 본체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용기 본체의 벽을 부드럽게 쥐어짜 꼭지를 반전 해제시킬 수 있다. 용기 본체를 쥐어짜면 용기의 내부 압력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데, 이것은 용기의 출구가 하나뿐이며 이 출구는 통상 매우 작은 구멍만을 갖는 꼭지를 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가된 압력에 의해 꼭지는 캡 환상부의 구멍을 통해 확장되고 음용 형상으로 신장되도록 압박된다.
꼭지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 등의 비교적 연질이고 불활성인 가요성의 성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가지 형태에서, 꼭지에는 둘레 플랜지가 있는데, 이 플랜지는 용기 본체 주둥이에 부착된 캡 조립체에 의해 캡 환상부 표면과 용기 본체 주둥이 사이에 압박되므로, 꼭지를 용기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캡 조립체와 용기 본체 사이에 액체 누설 방지(liquid-tight)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액체를 담아 두기에 적합하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가 있는 주둥이를 상부에 구비하는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용기 본체를 음료로 거의 충전시키는 단계와, 용기 본체의 주둥이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캡 림과, 이 캡 림 내부에 끼워지고 캡 림의 입구 포트와 정렬된 흡입 단부를 구비한 가요성 꼭지와, 그리고 입구 포트를 밀봉하도록 캡 림의 입구 포트 위에 부착되는 분리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꼭지를 용기 본체 주둥이에 유지하여 캡 림 및 분리 가능한 밀봉부 아래에서 용기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캡 림이 용기 본체 주둥이 주위에 밀봉되도록 캡 조립체를 용기 본체에 끼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는 예컨대 PET 등의 플라스틱재로 제조된 용기를 구비한다. 이것은 예컨대 용기 본체의 형성을 "중공 성형법(blow molding)"과 같은 적절한 성형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캡 림 또한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지만, 당업계에서 실행되는 바와 같이, 캡에는 용기 본체와는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꼭지는 유아가 빨기에 알맞도록 비교적 연질의 가요성 재료로 성형되어야 하며, 성형 실리콘 고무 등이 그러한 목적을 위해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용기 본체 및 캡 조립체는 캡 조립체가 용기 본체에 끼워질 때에 음료의 예기치 않은 오염을 방지하도록 살균 상태인 것이 선호된다. 그 때문에, 몇몇 경우에서는 충전 및 캡 장착 과정이 비교적 살균 상태하에서 수행되고 그리고/또는 음료의 도입 후에 용기 본체에 남아있는 소정의 공기 공간이 캡 조립체의 끼워짐에 선행해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충전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그러한 예방 조치는 미리 충전되는 음료 및 식품 용기 제조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형태에서, 밀봉부는 캡 림과 일체로 형성되며 캡 조립체가 용기 본체에 끼워지면 용기 본체 주둥이로부터 돌출하는 직립형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밀봉부는 선호되게는 얇은 환상 벽 섹션에 의해 입구 포트의 내부 둘레 주위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에 손가락으로 가해진 측방향 힘에 의해 그 밀봉부가 캡 림으로부터 밀봉 해제 및 제거될 정도로 충분히 약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구성은 특히 유익한데, 그것은 음료 용기 구성체의 제조는 용기 본체와, 꼭지와, 일체형 캡 림 및 밀봉부의 단지 3개 요소의 조립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또한, 캡 림과 밀봉부 사이의 살균 밀봉은 이들 두 요소가 얇은 벽 섹션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특정 접합 과정과는 무관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밀봉부의 직립형 돌출부는 선호되게는 중공이며 그 내에 꼭지의 흡입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꼭지의 흡입 단부는 돌출부의 내부에 보다 양호하게 끼워지며, 돌출부의 내부 표면은 음용 구멍이 있는 꼭지의 단부에 대해 접하게 되어, 그 구멍을 밀봉해 누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밀봉부는 적절한 플라스틱, 포일, 또는 포일과 플라스틱의 적층물 등의 액체 및 가스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된 평탄한 가요성 디스크 형태로 구성된다. 그 경우, 밀봉부는 취성 접착제 또는 가열 밀봉 기법에 의해 입구 포트 위에서 캡 림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들 기법에 의해 디스크는 캡 림으로부터 벗겨져, 사용을 위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 과정은 보호용 오버 캡을 캡 조립체에 끼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호용 오버 캡은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와 캡 림의 적어도 일부 위에 끼워지고, 캡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 밀봉부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밀봉부를 제거한 후에는 개방 이후의 용기의 저장 중에 꼭지를 보호하도록 제자리에 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용 오버 캡은 밀봉부의 밀봉 해제 및 분리 전에 그 밀봉부를 보호하여 밀봉부의 예기치않은 제거나 밀봉부가 제공하는 밀봉의 조기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오버 캡이 캡 조립체에 끼워진 경우, 원한다면 오버 캡 주위 또는 그 위에는 추가의 밀봉 밴드 또는 커버가 마련되어, 사용 전에 오버 캡의 분리를 방지하거나 오버 캡의 권한 없는 분리 또는 부정 사용에 대한 시각적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용기를 위한 캡을 제공하는데, 상기 용기 본체에는 액체가 통과해 나올 수 있는 개방부를 갖는 주둥이가 있으며, 상기 캡은 용기 본체 주둥이 위에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중앙 입구 포트를 구비하는 캡 림과, 이 캡 림 내부에 배치되어 구멍이 있는 흡입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 포트와 정렬된 가요성 꼭지와, 캡 림의 입구 포트 주위에 부착되어 밀봉되는 분리 가능한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꼭지 흡입 단부는 밀봉부의 내에 수용 및/또는 그 내부에 대해 접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형태에서, 분리 가능한 밀봉부는 캡 림과 일체로 형성되며 직립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밀봉부와 캡 림 사이의 변두리 부분은 직립형 돌출부에 가해지는 측방력에 대해 부서지기 쉬운 얇은 벽의 환상 섹션을 구비한다. 돌출부는 선호되게는 중공이며 꼭지의 흡입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흡입부가 밀봉부의 돌출부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꼭지의 기부가 부분적으로 반전되며, 흡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을 위한 위치에 있는 때에 꼭지 자체가 돌출하는 만큼 멀리 캡 림으로부터 돌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꼭지는 또한 그 꼭지의 음용 형상과 비교하였을 경우 꼭지의 기부가 반전되도록 접힌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기부의 둘레 주위에 배열된 꼭지의 플랜지가 캡 환상부에 부착되며, 접힌 형상에서 꼭지의 반전된 기부는 분리 가능한 밀봉부로부터 멀리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하여, 꼭지의 단부와의 일체형 부착 지점에 이르게 된다. 유아가 빨도록 구성된 부분인 꼭지의 흡입 단부는 기부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밀봉부 쪽으로 다시 연장된다. 이 경우, 밀봉부는 예컨대 적절한 플라스틱, 포일, 또는 플라스틱, 포일 및/또는 마분지의 적층물 등의 액체 및 가스 불투과성 재료로 된 가요성의 평탄한 디스크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꼭지는 캡 림 주위에 배열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그 위치에서 캡 림이 용기 주둥이 주위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꼭지 플랜지는 캡 림과 용기 주둥이 사이에 끼이거나 압착되도록 배열되어 캡 림과 용기 주둥이의 부착 지점을 밀봉한다.
캡 림은 입구 포트를 형성하는 중앙 구멍이 있는 평탄한 디스크와, 캡을 용기에 부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아래로 연장하는 둘레 플랜지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에는 그 내측에 형성된 둘레 릿지 또는 홈이 마련되어, 용기 주둥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릿지 또는 홈과 상호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가 담겨 있으며 캡 조립체에 의해 밀봉된 주둥이 개방부가 있는 가요성 플라스틱 병 또는 단지(jar)로 된,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 음료 용기를 포함하며, 캡 조립체는 중앙 구멍이 있는 캡과, 이 캡 내부에 배치되며 캡 내의 구멍과 정렬된 흡입부를 갖는 꼭지와, 캡 구멍 위에 분리 가능하게 밀봉된 밀봉부를 포함하며, 캡 조립체는 캡과 주둥이 개방부의 림 사이에 끼인 꼭지의 플랜지에 의해 병 또는 단지에 연결되며, 꼭지는 주둥이 개방부 내에서 밀봉부 아래에 내장되고, 사용 시에는 구멍 내의 꼭지가 노출되도록 밀봉부를 캡으로부터 분리하여, 그 구멍을 통해 흡입부를 잡아 당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고 버리는 유아용 수유 용기(infant nursing container)를 위한 꼭지를 제공하는데, 상기 꼭지는 이 꼭지를 액체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대체로 환상인 플랜지 형태의 부착부와, 용기에 부착된 경우 상기 꼭지에 의해 액체를 용기로부터 유아에게 전달하기 위한 구멍이 있는 흡입부와, 이 흡입부 및 부착부 중간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꼭지에는 2개의 안정된 형상, 즉 저장 형상 및 음용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흡입부와 연결부의 경계에 둘레 홈이 마련되며, 연결부는 음용 형상과 비교할 경우 저장 형상에서는 반전되어 있다.
꼭지는 예컨대 실리콘 고무 등의 비교적 연질의 가요성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의 흡입 및 연결 부분은 음용 형상에서 둘레 홈이 꼭지를 따라 대략 중간에 있도록 대략 동일한 크기인 것이 선호된다. 저장 형상에서, 상기 홈에 의해 꼭지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꼭지의 둘레 접힘 또는 굴곡이 용이해진다.
꼭지에, 또는 꼭지의 연결부와 부착부 사이의 경계 부근에, 추가의 둘레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꼭지가 저장 형상과 음용 형상 사이에서 움직이며 부착부가 수유 용기에 부착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의 홈에 의해 꼭지의 둘레 굴곡 또는 접힘과 펼쳐짐이 촉진된다.
선호되는 구성에서, 꼭지의 연결부는 플랜지에 연결된 지점에서의 대체로 수평인 평면으로부터 흡입부에 연결된 지점에서의 대체로 수직인 평면으로 완만한 곡률을 갖는다. 이렇게 해서, 저장 형상 및 음용 형상 사이의 꼭지의 움직임이 용이해진다.
또한, 선호되게는 꼭지에서의 흡입부의 내부 표면에 표면 강화 구성체가 제공됨으로써, 꼭지의 직경 방향 대향 표면이 서로 접혀 꼭지를 통한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경향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강화 구성체는 흡입부의 내부 표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둘레 방향 릿지 및/또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단지 예시일 뿐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하 더 상세히 기재된다.
도 1은 보호용 오버 캡이 제자리에 있는 밀봉된 형상의 음료 용기의 등각도이고,
도 2는 오버 캡과 밀봉부가 분리된 밀봉된 형상의 음료 용기의 등각도이며,
도 3은 사용을 위해 꼭지가 노출된 음용 형상의 음료 용기의 등각도이고,
도 4는 보호용 오버 캡이 있는 음료 용기 및 캡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보호용 오버 캡을 포함하는 밀봉된 형상의 음료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밀봉부가 제자리에 있고 꼭지가 접힌 음료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꼭지를 끄집어내는 것을 나타내는, 밀봉부가 분리된 음료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꼭지가 끄집어내어진 음료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끄집어내어진 상태의 꼭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꼭지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접힌 상태의 꼭지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꼭지의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특정 형태의 꼭지의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꼭지가 부착된 음료 용기 상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5는 제2 형태의 상부가 장착된 제2 음료 용기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밀봉부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 15의 음료 용기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사용을 위해 밀봉부가 분리되고 꼭지가 신장된 음료 용기 상부의 제2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제2 형태의 음료 용기 상부가 음료 용기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중앙 단면도이며,
도 20은 끄집어 내어진 형상의 선호되는 꼭지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충분히 수축된 형상의 선호되는 꼭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0)가 도 1 내지 도 8에 여러 가지의 형상 및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용기(10)는 대체로 원통 형태이면서 하부 단부에는 평탄한 기부(14)가 있으며 상부 단부에는 둥근 구멍을 갖는 주둥이(16)가 있는 용기 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도 4에 가장 잘 도시).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12)는 음료 용기의 구성에 대해 공지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PET 플라스틱 등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된 병(bottle)을 포함한다. 선호되는 형태의 병은 비교적 작아서 예컨대 액체 저장 용량이 대략 100 내지 250 밀리미터인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특히 유아의 의해 사용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용기(10)는 용기 본체의 주둥이(16)에 끼워져 사용시 주둥이의 개방부(18)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20)를 더 구비한다. 캡 조립체는 캡 림(22; cap rim)을 포함하며, 이 캡 림은 중앙의 원형 구멍(25)이 있는 평탄한 환상부(24)와, 아래로 연장된 플랜지부(26)를 갖는다. 용이한 참조를 위해, 플랜지부(26)는 아래로 연장되는 것으로 언급되는데, 그 이유는 캡 조립체가 용기 본체에 끼워지고 용기가 그 기부(14)를 아래로 하여 배치되는 때에 플랜지는 위를 향한 용기의 외부 표면에 대해 환상부(24)로부터 아래로 연장하기 때문이다. 플랜지부(26)의 내부 둘레는 용기 주둥이(16)의 외부 둘레보다 약간 더 크게 구성되므로, 캡 림(22)은 용기 주둥이(16)에 끼워질 수 있으며, 환상부의 아래쪽 (하향) 표면은 주둥이의 립 가장자리(lip edge)에 인접하게 된다. 실제로, 캡 림(22)은 주둥이(16)에서 용기 본체(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캡 림과 용기 본체는 접착제 결합이나, 가열 밀봉(heat-sealing), 또는 캡 림과 용기 주둥이에 형성된 둘레 릿지(ridge) 및/또는 홈을 맞물리게 하거나 서로 끼우는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 등의 소정의 편리한 방법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 꼭지(50)는 꼭지 단부가 구멍(25)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도록 캡 림(22)에 부착되어 있다. 신장된 또는 음용 형상의 꼭지(50)는 형상이 대체로 원추형이며(예컨대 도 9 참조), 그 기부에는 부착부가 있다. 예시된 형태의 꼭지에서, 부착부는 꼭지의 기부 주위로 바깥으로 연장된 평탄한 환상 플랜지(52)이다. 캡 림(22)에 끼워진 꼭지(50)에 있어서, 플랜지(52)는 환상부(24)의 아래쪽 표면에 놓여 있다. 플랜지(52)는 접착제 등에 의해 캡 림(22)에 부착되거나, 캡 림 및 용기 주둥이의 표면으로부터의 대향 압력에 의지하여 캡 림 내에 느슨한 마찰식 끼워 맞춤을 형성함으로써,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캡 조립체가 부착되면 꼭지를 용기에 고정할 수 있다.
가요성 꼭지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안정된 형상을 갖는데, 하나의 형상에서 꼭지는 대체로 원추 형태이며 예컨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로부터 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본원에서는 신장되고 끌어내어진 또는 음용 형상 또는 상태로 언급됨). 다른 형상은 접힌(collapsed) 또는 저장 형상 또는 상태로서, 꼭지는 신장된 형상인 때의 꼭지 크기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 둘레 접힘 또는 굴곡 영역을 중심으로 자체가 안으로 접혀 있다. 꼭지(50)는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접힌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힌 형상인 때에, 부착부(52)와 흡입부(56)(도 9 또는 도 10 참조) 사이에서 연장하는 꼭지의 연결부(54)가 반전되므로, 연결부(54)는 부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고 흡입부(56)는 연결부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것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꼭지(50)의 접힌 형상을 초래한다. 접힌 형상의 꼭지(50) 및 캡 림(22)에 부착된 부착부(52)에 의해, 꼭지는 캡 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환상부(24)의 상부 표면 아래로 하향 연장하는데, 이것은 도 2, 도 4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캡 조립체(20)는 소정 재료의 가요성 디스크 형태인 밀봉부(28)를 포함한다(도 4). 밀봉부(28)는 적절한 포일,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및 포일의 적층물과 같은 액체 및 가스 불투과성 재료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이러한 유형의 밀봉부는 미리 충전되는 음료 및 식품 용기의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밀봉부(28)는 캡 림(22)의 상부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구멍(25)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있다. 캡 림(22)과 용기 본체(12) 사이의 밀봉 부착과 밀봉부(28)에 의해, 용기(10)의 내용물은 용기 사용 전까지 밀봉을 확실히 유지한다.
용기 본체(12)에 부착된 캡 림(22)과 제자리에 있는 밀봉부(28)에 의해, 접힌 형상의 꼭지는 밀봉부(28) 아래에 감추어지고, 용기 본체(12), 캡 림(22) 및 밀봉부(28)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둘러싸인다. 이것은 보관되는 액체를 용기(10)가 유지하는 공간과 동일하다. 밀봉부(28)가 분리되면 캡 림(22) 내의 구멍(25)에 접한 접힌 꼭지가 노출된다(도 2). 이어서, 구멍(25)을 통해 꼭지(50)를 끄집어내어, 꼭지를 사용하기 위해 그 꼭지가 구멍을 통해 바깥으로 신장된 흡입 또는 신장된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도 3). 꼭지(50)가 도 3에 도시된 신장된 상태이면, 유아는 흡입부를 자신의 입에 넣고 용기를 뒤집어서 꼭지의 단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용기로부터 액체를 흡입할 수 있다.
캡 조립체는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용 오버 캡(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호용 오버 캡(30)은 캡 림에 부착되면 밀봉부(28) 위에 끼워져, 밀봉부(28)의 우발적인 파괴 또는 분리를 방지하고, 용기 및 그 내용물의 부정 사용 가능성을 줄인다. 용기의 부정 사용 방지성(tamper resistance)을 더 개선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오버 캡의 가장자리 및 용기 본체(12)의 인접 부분 둘레에 밀봉 밴드(도면에 도시 생략)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한 밀봉 밴드는 오버 캡이 밀봉 밴드의 손상 없이는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설계되므로, 오버 캡의 분리 또는 부정 사용을 시각적으로 지시한다. 오버 캡이 제자리에 있으면(도 1), 밀봉부(28)는 감추어진다.
선호되는 실시예의 오버 캡(30)은 이 오버 캡이 끼워지는 캡 림(22)보다 약간 더 크며, 캡 림의 하부 가장자리에 대해 지지되도록 내부 표면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작은 돌출형 릿지를 갖도록 형성되어, 캡 림 위에 끼워진 경우 분리 가능하게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간단한 스냅식 끼워 맞춤 캡(snap-fit cap)은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및 식품 용기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오버 캡은 바람직하게는 그에 의해 차지되는 공간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밀착되게 캡 림 위에 끼워진다. 최초 사용 후에 용기의 오버 캡을 재배치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호되는 형태에서의 오버 캡과 캡 림 사이의 밀착 끼워 맞춤 때문에, 오버 캡을 재배치하기 전에 꼭지를 저장 형상으로 재배치해야 한다. 꼭지가 환상부(24) 높이의 실질적으로 아래에 유지되도록, 꼭지의 흡입부(56)를 구멍(25) 안으로 압박함으로써 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심지어 사용시에 꼭지(50)가 연장되는 구멍 위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경우에도 오버 캡은 꼭지를 간섭하는 일(interfering)이 없이 캡 림 위로 재배치될 수 있다. 오버 캡은 오버 캡의 내부 표면의 중앙 주변에서 낮은 환상 벽 또는 환상 만입부와 같은 위치 설정 구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위치 설정 구조체는 오버 캡이 재배치될 때 신장된 상태의 꼭지의 단부가 안쪽에 안착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므로, 꼭지는 재배치 중에 오버 캡으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신장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더욱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미리 충전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에 적용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및 꼭지의 현저한 장점은 사용의 용이성이다. 미리 충전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10)는 예컨대 슈퍼마켓 등에서 도 1 또는 도 5의 단면도로 도시한 상태로 구매될 수 있다. 용기(10)는 사과 주스 등의 적절한 음료(13)가 이미 담겨 있고(도 5 참조), 제조시 살균되며, 오염물에 밀봉, 보다 구체적으로는 꼭지(50)를 감추는 밀봉부(28)에 의해 밀봉된다. 음료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보육자는 단지 보호용 오버 캡(30)을 분리하고 밀봉부(28)를 벗겨내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꼭지(50)는 구멍(25) 내에서 노출되며, 사용을 위해서는 저장 형상으로부터 음용 형상으로 신장시켜야 한다. 이것은 꼭지를 분리할 필요 없이 쉽게 행해지므로, 음료 용기는 최소의 작업으로 사용하도록 준비된다.
미리 충전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10)의 사용을 위한 과정은 도 5 내지 도 8로 이루어진 일련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소비자가 통상 미리 충전된 용기를 구매하는 상태인 밀봉된 상태의 용기(10)를 나타낸다. 보호용 오버 캡(30)의 가장자리 주변에 마련될 수 있는 소정의 밀봉 밴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용 오버 캡(30)은 선호되게도 캡 림(22) 위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며, 따라서 보육자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6에는 보호용 오버 캡이 없는 용기(10)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용기(10)로부터 밀봉부(28)를 분리하여 아래에 놓인 꼭지(50)를 사용자에 의한 접근을 위해 노출시킨다. 그 후, 음료 용기(10)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꼭지(50)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저장 형상으로부터 끄집어내어야 한다. 꼭지(50)를 저장 형상으로부터 음용 형상으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끄집어낼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방법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꼭지의 단부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쥐고 위로 부드럽게 당겨 꼭지를 구멍(25)을 통해 잡아 뺄 수 있다.
용기(10)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에 비해 증가시켜 꼭지(50)를 용기로부터 신장된 형상으로 압박함으로써 꼭지를 끄집어낼 수 있다. 용기(10)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용기 본체(12)의 외부를 부드럽게 쥐어짜거나 압박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꼭지(50)는 신장된 상태를 향해 편향된 스프링 편향체(spring bia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경우, 꼭지(50)는 밀봉부(28)의 분리시 접힌 형상으로부터 음용 형상으로 자동으로 튀어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음료 용기의 처음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서는 특히 유익하지만 꼭지를 저장 형상으로 복귀시키길 원하는 경우에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꼭지가 그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면, 원하는 경우, 밀봉 해제 후 꼭지의 보호를 위해, 신장된 상태의 꼭지 위에 끼워질 수 있는 오버 캡을 제공하는 것은 유익하다. 꼭지에는 꼭지가 구성되는 재료의 성질에 의해 필요한 스프링 편향체가 제공될 수 있는데, 다만 그 경우 꼭지의 벽 두께가 신장된 형상 및 저장 형상 모두에서 안정된 전술한 꼭지 구성에 비해 더 두꺼워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꼭지가 구성되는 재료의 벽을 더 두껍게 하여 꼭지의 탄성 및 신장된 형상의 형태로 복귀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신장된 형상의 꼭지(50)를 갖는 용기(10)가 단면도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장된 형상 및 접힌 형상 모두의 측단면도로 꼭지(50)가 도시되어 있다. 꼭지(50)는 유아가 입안에 넣기에 알맞은 비교적 연질이고 불활성이면서 무독성인 성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는 하나의 적절한 재료이며,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와 같은 다른 재료는 당업자에게 매우 명백할 것이다. 꼭지(50)는 선호되게는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이용되는 성형 기법의 유형은 꼭지가 구성되는 재료에 의존할 것이다. 꼭지는 바람직하게는 신장된 형상의 형태로 성형되며(도 9 및 도 10), 이어서 캡 조립체(20)의 제조 중에 저장 형상(도 11 및 도 12)으로 조작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꼭지는 부착부(52)와, 단부에 작은 음용 구멍이 있는 흡입부(56)와, 부착부 및 흡입부 중간의 연결부(54)를 구비한다. 부착부(52)는 꼭지를 캡 림(22) 및/또는 용기 본체(12)에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평탄한 환상 플랜지를 구비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연결부(54)는 상부 절단 원추 형태이며, 환상 부착부(52)의 내부 둘레로부터 더 작은 지름의 흡입부(56)의 기부로 가늘어진다. 흡입부(56)는 통상 원추 형태이며, 연결부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음용 구멍을 포함하는 단부로 연장되어 있다(음용 구멍은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음). 물론, 꼭지의 흡입부는 소정의 선호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부에서 구형이 형성된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유아용 흡입 꼭지를 위해 확정된 적절한 형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선호되는 꼭지는 2개의 안정된 형상, 즉 도 10 및 도 12에 각각 단면으로 도시된 신장된 형상 및 접힌 형상을 갖는다. 2개의 형상 사이의 주요 차이는 접힌 형상으로 반전된 연결부(54)의 배치이다. 꼭지의 연결부가 반전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것은 통상 바깥쪽을 향한 표면이 반전된 상태에서는 안쪽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본 예에서, 또한 이것은 연결부(54)가 반대 방향으로도 역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컨대 반전된 중에는 아래로 연장되며 그 반대로 반전되지 않은 때에는 위로 연장된다. 저장 형상의 꼭지에 있어서(도 11 및 도 12), 연결부(54)는 부착부(52)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며, 흡입부(56)는 연결부와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부착부의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다시 위로 연장한다. 다른 한편, 음용 형상의 꼭지에 있어서(도 9 및 도 10), 연결부(54)는 부착부(52)로부터 위로 연장하며, 흡입부(56)는 연결부(54)의 끝으로부터 더 위로 연장한다.
저장 형상의 꼭지는 사용시 캡 림의 환상부(24) 아래에 부착되는 부착부 평면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아래에 놓이므로, 밀봉부(28)는 제조 중에 꼭지와 간섭하는 일 없이 캡 림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3은 꼭지(50')의 특정 형태의 측단면도이다. 꼭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꼭지의 2개의 안정된 형상을 조장하는 형태로 성형된다. 특히, 꼭지(50')의 연결부 및 흡입부(54', 56')의 접합 지점에는 그 주위에 둘레 홈(60')이 마련되어 있다. 홈(60')에 의해 그 지점에서의 접힘이나 굴곡이 촉진되므로 꼭지는 더 안정되게 접힌 형상에 있게 된다. 동일한 이유로, 연결부와 부착부(54', 52')의 접합 지점에는 유사한 홈 구성체(62')가 마련될 수 있다. 홈 구성체가 꼭지 벽 재료에 허용할 수 없는 얇아짐이나 약화를 초래하는 경우에는, 홈 구성체(60', 62')에 꼭지 상의 상응하는 릿지 구성체가 수반될 수 있다.
도 13을 다시 살펴보면, 꼭지(50')에는 선호되게는 내부 표면에 하나 이상의 표면 구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강화 구성체가 꼭지 흡입부(56')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꼭지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표면들이 흡입 중에 서로 접히는 현상을 줄이기 위함이다. 하나 이상의 둘레 방향의 강화 릿지(64')가 꼭지 흡입부(56')의 내부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대안 또는 추가로, 꼭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강화 릿지가 같은 목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하고 버리는 미리 충전된 음료 용기(10)의 용기 본체(12)는 당업계에 공지된 음료 용기에 적합한 재생 가능한 PET 또는 다른 플라스틱재 등의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금속 또는 적층된 마분지 등의 용기 본체(12)의 구성을 위한 다른 재료가 대체 사용될 수 있지만, 경량이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용기는 밀봉이 용이하다는 점 등의 여러 이유로 플라스틱이 선호된다. 용기 본체의 제조는 공지된 방식에 의한 성형 단계를 수반하며, 그 세부 내용은 구성체의 재료에 의존할 것이다. 예컨대 중공 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다.
비록 다른 적절한 재료가 당업자에게는 매우 분명하겠지만, 캡 림은 또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 림은 용기 본체와는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적절한 농도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캡 림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제조 기법도 역시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적절한 재료에는 사출 성형이 알맞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꼭지는 바람직하게는 신장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캡 림과 연결되기 이전이나 이후에 접힌 형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선호되는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캡 림, 꼭지 및 밀봉부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제조한 다음에, 미리 충전되는 용기 본체에 끼운다. 예컨대, 캡 림 및 꼭지는 별도로 성형하고 밀봉부는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한다. 이어서, 꼭지를 캡 림 아래쪽으로부터 삽입시켜 그 캡 림 내에 끼운다. 동시에, 꼭지의 연장 축선을 따라 부착부 및 흡입부의 단부에 대향된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꼭지를 접힌 형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아니면, 몰드로부터 분리 중에 또는 분리 후에 바로 꼭지를 접힌 형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마찰식 끼워 맞춤에 의해, 꼭지를 캡 림에 고정하거나, 적절한 몇몇 추가적인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밀봉부는 당업자에 명백한 접착제, 가열 밀봉 또는 다른 적절한 밀봉 방법에 의해 캡 림의 환상부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캡 조립체의 형성이 완결되며, 요망되는 경우 오버 캡은 캡 조립체를 용기 본체에 끼워기 전에 또는 그 후에 캡 조립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밀봉 밴드 또는 커버가 또한 요구되는 경우에는, 캡 조립체가 용기에 끼워진 후에 부착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밀봉 밴드 또는 커버가 또한 용기 본체의 일부 위에 끼워져 캡 분리 또는 부정 사용에 대한 전술한 시각적 지시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용기 본체는 성형된 후에 음료로 충전된다. 이어서, 캡 조립체는 용기 본체에 끼워져 밀봉되어, 용기 액체 내용물과 꼭지를 내부에 밀봉한다. 캡 림은 접착제의 사용 또는 가열 밀봉과 같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소정의 적절한 방식으로 용기의 주둥이에 부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에 있어서, 꼭지 자체의 부착부를 이용하여 캡 조립체를 용기 본체에 밀봉한다. 도 1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의 플랜지(52)는 캡 림의 내부 표면과 용기 본체 주둥이의 가장자리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캡 조립체가 용기 본체에 끼워지면 꼭지 플랜지는 그 사이를 밀봉시킨다. 이것은 꼭지가 어느 정도의 압축을 허용하고 뛰어난 밀봉 특성을 제공하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특히 유익하다.
밀봉이 꼭지 플랜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캡 림은 여전히 용기 본체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고정은 용기 본체 주둥이의 외부 둘레와 캡 림 플랜지의 내부 둘레 주위에 형성된 서로 끼워 맞춰지는 릿지 및/또는 홈을 사용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구조는 캡 림 플랜지(24)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상응하는 둘레 홈(72) 및 릿지(74)와 서로 맞물리는, 용기 본체 주둥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둘레 릿지(70)를 보여준다. 캡 림과 용기 본체 주둥이 사이의 끼워 맞춤 공차는, 상응하는 릿지 및/또는 홈들이 견고하게 상호 맞물림되면 주둥이 가장자리와 캡 림 사이의 꼭지 플랜지에 압력이 가해져서 우수한 밀봉성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캡 림의 내부 표면과 용기 본체 주둥이의 외부 표면은 나선형 나사산(screw thread)이 형성됨으로써, 밀봉될 때까지 서로 나사식으로 상호 맞물려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부착은 본 예에서 선호되지 않는데, 그것은 나사 결합식 부착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캡 림이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은 필요하지도 원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10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음료 용기(100)는 비록 캡 조립체의 구조가 수정되었지만 전술한 용기(10)와 대체로 유사하다. 캡 조립체의 상이한 형태는 용기(100)의 캡 조립체(110)의 중앙 단면도인 도 19에 분명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음료 용기 캡 조립체에 있어서, 캡 림(112) 및 밀봉부(120)는 실제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밀봉부를 캡 림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에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피한다.
도 17은 용기(100)의 수정된 형태의 캡 조립체(110)의 상부 사시도이다. 캡 조립체(110)는 전술한 캡 림(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캡 림(112)을 구비하며, 캡 림(112)에는 평탄한 환상 상부 표면(114)과 아래로 연장된 플랜지부(116)가 있는데, 캡 림(112)은 플랜지부(116)에 의해 용기 본체의 주둥이에 고정된다. 하지만, 제조시, 캡 림(112)에는 캡 림(22)의 경우에서와 같은 중앙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며, 대신 중앙에 위치하고 일체로 성형된 분리 가능한 밀봉부(120)가 있다. 밀봉부(120)는 캡 림의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평탄한 환상 표면(114) 위로 돌출하며, 취성의 가장자리 벽 섹션(115)(도 15에서 점선으로 지시)에 의해 환상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캡 림 및 밀봉부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20)는 중공 구조이며 꼭지의 흡입 단부와 상당히 유사한 형태이다. 밀봉부 단부의 내부 표면의 형태는 꼭지 단부의 외부 표면의 형태와 매우 근사하게 정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용기가 밀봉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꼭지의 단부가 밀봉부의 중공형 내부 안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는 몇가지 이점을 갖는다. 예컨대, 음용 구멍을 구비하는 꼭지의 단부를 밀착되게 둘러싸는 밀봉부의 내부 표면에 의해, 액체가 용기 본체로부터 구멍을 통해 캡 조립체 내의 공간으로 누설될 가능성은 최소화된다. 액체는 꼭지의 음용 구멍을 통해 자유로이 유동될 수 없는데, 그것은 구멍이 너무 작아 그것을 허용할 수 없으며, 어쨌든 밀봉부 표면에 대해 접하기 때문이다. 음용 구멍은 실제로 구멍에서 꼭지의 압력차 또는 변형이 없으면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작은 슬릿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밀봉부는 캡 림과 동일한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므로, 비교적 강성이어서 꼭지의 변형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예컨대 용기를 쥐어짜거나 떨어뜨리면 발생할 수 있는 용기 본체의 상대적 압력 증가에 의해 구멍이 있는 꼭지 단부는 밀봉부 단부의 내부 표면에 대해 더 견고하게 압박되므로 액체 누설의 가능성이 더욱 경감된다. 밀봉부의 내부 표면 주위에는 단부 쪽으로 릿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단부를 향한 꼭지의 외부 표면 주위와 약간 부딪혀 꼭지 단부를 꼭지 외부 및 캡 내부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부터 밀봉한다.
밀봉부(120)가 캡 림으로부터 꼭지(130)의 전체 크기만큼 돌출하지 않는 것이 선호되는데, 그것은 밀봉부 돌출의 크기가 클수록 밀봉부와 캡 림 사이의 밀봉이 예기치 않게 파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봉부는 꼭지의 길이의 일부만, 즉 꼭지 길이의 대략 절반만 돌출하는 것이 선호된다. 예컨대, 꼭지의 종방향 길이가 3 내지 4 센티미터 범위이면 밀봉부 돌출의 크기는 1.5 내지 2 센티미터 범위일 수 있다. 이어서, 이렇게 해서, 꼭지는 비록 전술한 평탄한 밀봉부의 경우와 동일한 크기는 아니더라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림 아래에 부분적으로 접히거나 반전되어야 한다.
전술한 이러한 형태의 음료 용기(100)에서, 밀봉부(120)는 캡 림(112)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캡 림과 밀봉부가 함께 제작되어 음료 용기의 제작과 조립을 모두 보다 용이하게 한다. 캡 림 및 밀봉부의 사이에는 환상의 얇은 취성 벽 섹션(115)이 성형되며, 사용시 밀봉부(120)는 이 섹션(115)에서 캡 림(112)으로부터 절단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는 캡 림의 평탄한 표면(114)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섹션(124)까지 위로 만곡되고(도 16에 도면 부호 122로 표시), 이어서 위로 만곡되어 반구형 단부 섹션(126)이 되며, 단부 섹션(126)의 내경(內徑)은 꼭지 단부의 외경(外徑)과 면밀히 일치한다. 밀봉부 내부의 단부 내에 꼭지 단부가 밀착되게 끼워 맞춰지므로, 액체가 용기 본체로부터 꼭지 단부의 구멍을 통해 누설될 가능성은 크게 줄어든다. 반구형 꼭지 단부 부분의 외부 둘레가 반구형 밀봉부의 내부 둘레에 면밀히 일치하므로, 상대적인 내부 압력 증가가 용기 본체 내에서 발생하면, 가요성 꼭지는 밀봉부 내부 표면에 대해 더 단단히 압박되어 단부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캡 림과 밀봉부 사이의 환상의 얇은 벽 섹션(115)은 폭이 단지 몇 밀리미터 범위일 수 있으며, 두께는 1 밀리미터 이하가 선호된다. 캡 림 및 밀봉부를 성형하는 재료와, 밀봉부를 캡 림으로부터 파괴시켜 절단시키기 위해 가해지도록 요망되는 바람직한 힘에 따라, 실제의 벽 두께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취성의 가장자리에서의 벽 두께는 용이한 개방을 위해 더 큰 강도가 요망되는 경우 약간 더 두껍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에 있어서, 밀봉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탭부(128)가 마련되는데, 이 탭부(128)는 밀봉부의 외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들 탭부가 마련됨으로써 밀봉부(120)를 캡 림(112)으로부터 절단하여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밀봉부에 측방력을 가하는 것은 용이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두 손으로 용기를 움켜쥐고 밀봉부의 각 측면 상의 탭부(128)를 손가락으로 가압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밀봉부를 절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형태의 밀봉부(120)가 캡 림으로부터 다소 돌출하고 꼭지 단부는 용기가 밀봉된 채 그 사이에 배치되므로, 꼭지는 밀봉부가 제자리에 있을 때 완전히 "접히지"는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꼭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봉되면 캡 조립체 내부에 부분적으로 접히는데, 이는 밀봉부가 꼭지의 충분한 크기만큼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밀봉부가 분리될 때, 밀봉부는 측면으로로부터 압박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성 밀봉부가 파괴되도록 경사진다. 이러한 작업 중에, 꼭지의 단부는 밀봉부가 캡 림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밀봉부 안쪽에 유지된다(도 17 및 도 18). 완전히 분리되면, 꼭지 흡입부는 이 흡입부와 밀봉부의 내부 사이의 비교적 밀착된 끼워 맞춤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신장된 형상으로 완전히 당겨지는데, 상기 밀착된 끼워 맞춤은 그러한 분리시 밀봉부의 측면에 동시에 가해지는 소정의 압축에 의해 증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힌" 형상으로 꼭지가 완전히 수축될 수 있는 것이 선호되는데, 이는 용기의 내용물 전체가 한번에 소비되지 않은 경우 및 꼭지 오염의 가능성이 줄어들도록 용기를 저장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접힌 형상의 꼭지에 있어서, 다른 어떤 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꼭지가 캡 림의 표면(114) 위로 돌출하지 않고 그에 따라 비위생적인 표면 또는 물체와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지므로 오염의 가능성은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 캡(도시 생략)은 미리 충전된 음료 용기와 함께 공급될 수 있으며, 이것은 완전히 사용하지 않은 용기의 저장을 위해 캡 림 위에 배치되어 오염으로부터 꼭지를 추가로 보호할 수 있다. 오버 캡은 상세히 전술한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기재된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수송 및 판매 중에 밀봉부 위에 배치되는 오버 캡은 예컨대 밀봉부의 예기치 않은 파괴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용기의 대량 패키징은 예컨대 운송 중에 돌출된 밀봉부를 보호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의 운송 및/또는 저장을 위한 마분지 포장지, 팰릿(pallet) 등에는 만입부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만입부 안으로 밀봉부가 들어가 파괴로부터 상당히 보호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밀봉부(120) 자체는 밀봉부의 분리시 캡 림에 형성되는 구멍 안으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밀봉부(120)에는 이 밀봉부가 캡 림에 연결되는 취성 벽 섹션의 약간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둘레 림(도면에 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둘레 림은 수축된 꼭지를 보호하기 위해 캡 림 구멍 내에 밀봉부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캡 림 구멍의 직경보다 직경이 약간 더 큰 둘레 림에 의해, 밀봉부의 기부는 너무 멀리 지나가지는 않게 구멍 안으로 도로 압입될 수 있다. 이어서, 밀봉부는 구멍의 가장자리와 밀봉부의 가장자리 사이의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구멍 내에 유지되며, 둘레 림에 의해 과도한 삽입이 방지된다. 일단 두 요소가 분리되어, 밀봉부의 가장자리가 캡 림 구멍의 가장자리와 충분한 억지 끼워 맞춤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추가의 적절한 크기의 둘레 림이 상기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도록 제공된 림의 약간 아래에서 근접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다. 그 경우, 2개의 림 사이의 거리는 구멍의 가장자리에서 캡 림 재료의 두께에 상응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밀봉부(120)에 형성된 둘레 림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밀봉 해제 후에 용기의 재폐쇄를 위해 캡 림 구멍에 밀봉부를 유지할 목적으로, 러그(lug) 등이 밀봉부의 기부에 인접하여 탭부(128)로 형성될 수 있다. 여하튼, 꼭지가 밀봉부의 재배치 전에 접힌 형상으로 용기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선호된다.
사용을 위해 음료 용기(100)를 밀봉 해제 및 개방하는 과정은 도 15, 16 및 17에 차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밀봉부(120)가 캡 림(112)과 일체로 형성된 밀봉된 상태의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밀봉부(120)는 분리되어야 하며, 이것은 먼저 밀봉부의 돌출부에 측방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예컨대, 손으로 용기를 움켜쥔 동안 엄지손가락으로 탭부(128)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것은 취성의 얇은 벽 섹션(115)을 파열되게 하여 캡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를 파괴시킨다. 이렇게 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20)가 캡 림(112)으로부터 비틀려 열리게 된다. 밀봉부가 캡 림으로부터 비틀어져 열림에 따라, 단부가 밀봉부 내에 끼워진 꼭지(130)는 밀봉부에 의해 남겨진 구멍을 통해 끄집어내어진다. 밀봉부가 전체적으로 분리되면, 꼭지(13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로부터 완전히 신장되어 사용 준비된다.
도 20은 선호되는 형태의 꼭지(130)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꼭지 기부에는 대체로 평탄한 환상의 둘레 플랜지부(132)가 있으며, 이 플랜지부로부터 꼭지의 돌출된 흡입부(134)가 연장되어 있다. 꼭지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형 기부와 꼭지 단부(138) 사이에 꼭지의 연장 방향으로 대략 중간 위치에 둘레 홈(136)을 구비한다. 둘레 홈은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의 내부 쪽으로 형성된 홈이 있는 얇은 벽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홈 또는 얇은 벽은 접힌 형상을 한 꼭지의 안정성을 촉진한다. 또한, 기부 및 흡입부 중간의 꼭지의 연결부(140)는 플랜지형 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하는 돌출형 흡입부로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면의 곡률은 꼭지가 신장된 형상 및 접힌 형상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아치형일 수 있다. 꼭지의 연결부(140)가 두 개의 부분이 만나는 플랜지부(132)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구성되면, 꼭지를 신장된 형상으로부터 접힌 형상으로 아래로 압박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데, 이는 전술한 홈 또는 얇은 벽 섹션을 제외하고는 꼭지의 어떠한 구역에서도 현저한 굴곡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꼭지의 연결부가 기부 플랜지의 내경으로부터 중간 홈의 높이까지 완만하게 만곡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 21은 접힌 형상인 꼭지(130)의 단면을 나타낸다.
꼭지(130)는 1회만 사용되도록 의도되었기 때문에, 꼭지 구조체의 벽 두께는 재사용 가능한 꼭지만큼 두꺼울 필요는 없으므로, 성형 공정에 사용되는 재료가 절감될 수 있다. 예컨대, 대부분의 꼭지(130)의 벽은 두께가 0.5 내지 1.5 밀리미터의 범위이며, 기부 플랜지(132)에서 재료는 더 두껍다(예를 들면, 2밀리미터). 추가적으로, 액체 구멍(도시 생략)이 마련되는 반구형 단부 섹션은 또한 약간 더 두꺼운 벽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 단부는 유아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형 축부분(tubular shaft)에 비해 직경이 약간 더 클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음료 용기의 유익한 밀봉 특성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음료 용기는 미리 충전되는 1회용의 용례에 특히 적절한데, 이 경우 용기 내용물이 삽입되고 이어서 꼭지가 있는 캡 조립체가 부착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밀봉한다. 물론, 내용물의 삽입 및 조립체 전에 용기 및 캡 조립체를 살균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는데, 이것은 당업자에 공지된 소정의 종래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물론, 용기 본체에 대한 밀봉 직전에 살균 스팀 제트 등을 캡 조립체의 내부에 가하는 등의 조립 중에 위생에 관한 주의도 역시 기울여야 한다.
내용물 및 충전 기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 충전된 1회용 음료 용기는 슈퍼마켓 등에 제공되어 대량 소비하도록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유아용 음료는 현재 이러한 방법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음료는 모두 위생 및 편리성의 측면에서 고유의 결점 및 단점을 갖는 재사용 가능한 젖병(baby bottle) 등의 음료 용기에 옮길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백신 접종 또는 치료를 위해 경구 투여되는 약제의 전달 등의 의료 용도에, 또는 단지 살균 내용물이 특히 중요하고 용기에 담긴 용품의 사용이 많은 경우 병원의 신생아실(post-natal ward)에서의 유아의 급식을 위해 용이하게 적용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가능하게는 용기 및 내용물의 살균이 현장에서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기근이 닥친 세계의 일부 격지에서 약제의 전달 또는 유아 급식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충전된 1회용 음료 용기는 기근이 닥친 아동에 대한 음용 음식물의 공급에 있어서 발생하는 다른 어려움도 역시 해결하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음료가 부정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 전에 혼합되어야 하는 환경에서 제제의 잘못된 혼합 및 희석 등이다.
당업자에게는 용기 및 특정하게는 용기 본체의 형태가 본 발명의 사상에 중요하지 않으며, 병/단지(jar) 형태가 본원에 기재되고 도시되지만, 다수의 상이한 재료로 구성된 기타 다수의 용기 형태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는 모두 꼭지를 용기에 부착시키기 위해 "캡 림" 또는 고정 링을 이용하지만, 당업자는 꼭지를 그러한 방법으로 부착시키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특징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실제로, 적절히 공지된 제조 기법 및/또는 재료가 이용되는 경우, 꼭지를 용기 본체에 직접 결합하거나, 심지어 용기 본체와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달리 요망되지 않으면 "포함하다"와 그 변화인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언급된 구성체 또는 일군의 구성체를 포함하지만 다른 구성체 또는 일군의 구성체를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로서만 기재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2)

  1. 사용하고 버리는 유아용 음료 용기로서,
    개방된 주둥이가 있는 음료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 본체와,
    음료를 상기 용기 본체의 주둥이를 통해 유아에게 토출시키기 위한 흡입부를 갖는 꼭지와,
    일체로 형성된 캡 림 및 밀봉부를 갖는 캡
    을 포함하며,
    상기 꼭지는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주둥이를 덮도록 구성되고, 주둥이 주위에서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기 캡 림에 의해 상기 개방된 주둥이 위에서 제자리에 유지되며, 상기 캡 림 및 일체로 형성된 밀봉부는 꼭지의 흡입부를 외부 오염물에 대한 노출로부터 보호하고, 꼭지와 함께 용기 본체의 개방된 주둥이 위에 위생적인 밀봉부를 형성하여 상기 용기 내외로의 액체 및 가스상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방지하며, 상기 캡의 밀봉부는 사용을 위해 꼭지의 흡입부를 노출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캡 림으로부터 절단되되, 상기 캡 림의 남아있는 부분은, 주둥이 주위에서 용기에 부착된 채, 주둥이 위에서 꼭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림은 환상이며 그로부터 중앙에서 돌출하는 밀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와 캡 림은, 측방력이 캡 림과 밀봉부 사이에 가해지는 경우 파열되어 밀봉부를 캡 림으로부터 절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취성의 접합 섹션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밀봉부는 그 내에 꼭지 흡입부의 단부가 끼워지는 중공형 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플라스틱재로부터 단일 피이스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림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성의 접합 섹션은 벽 두께가 줄어든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둘레 플랜지가 있는 기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중앙에서 돌출하며, 상기 둘레 플랜지는 상기 개방된 주둥이를 형성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림과 상기 캡 림 사이에 유지됨으로써 상기 꼭지를 용기 본체에 고정하여 용기 본체 및 상기 캡 사이의 위생적인 밀봉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의 둘레 플랜지는 대체로 평탄하며, 상기 흡입부는 둘레 플랜지의 중앙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며, 상기 기부는 플랜지로부터 돌출형 흡입부로 완만하게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만곡된 기부와 상기 흡입부 사이의 굴곡 구역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굴곡 구역은, 꼭지가 접힌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평면 쪽으로 상기 꼭지 흡입부의 단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꼭지 기부의 부분적이고 안정된 반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림으로부터 상기 밀봉부를 분리시키면 상기 꼭지의 흡입부가 관통 돌출하는 중앙의 둥근 구멍이 캡 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꼭지를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중앙의 둥근 구멍에서 재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둘레 구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둘레 구성체는 상기 중앙 구멍에 재배치되는 경우 상기 캡 림의 가장자리와 서로 끼워 맞춰져 밀봉부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13. 음료 용기용 마개(closure)로서,
    캡 림 및 유아가 빨도록 구성된 가요성 꼭지를 포함하며,
    상기 캡 림은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고 음료 용기의 주둥이 위에 끼워져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부착부를 갖는 대체로 평탄한 환상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중앙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밀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는 취성 연결 섹션에 의해 상기 환상 패널의 내부 가장자리 주위에 부착 및 밀봉되고, 상기 취성 연결 섹션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부착부에 대해 밀봉부 상에 측방력을 가하면 밀봉부가 부착부로부터 절단되되, 상기 캡 림의 남아있는 부분은, 주둥이 주위에서 용기에 부착된 채, 주둥이 위에서 꼭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며,
    상기 밀봉부 및 상기 꼭지는, 꼭지의 단부가 밀봉부의 중공형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밀봉부가 분리되는 경우에 부착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부착부 내부에 끼워지는 환상의 둘레 플랜지가 있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꼭지의 단부를 갖는 꼭지의 흡입부를 구비하며, 중공 밀봉부의 내부는 사용시 꼭지 단부의 음용 구멍으로부터의 액체 누설의 가능성을 줄이도록 꼭지 단부에 대해 밀착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 및 상기 밀봉부는 플라스틱재로부터 단일 피이스로 성형되며, 상기 연결 섹션은 두께가 줄어든 플라스틱재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기부로부터의 상기 꼭지 흡입부 크기의 소정 부분만큼 상기 부착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상기 꼭지 단부가 밀봉부 내에 끼워지고 기부 플랜지가 상기 부착부 내에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꼭지가 상기 마개 내에서 부분적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연결 섹션에의 부착 지점에서 둘레 림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부착부의 내부 가장자리의 하나 이상의 영역과 상호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구성체를 둘레 림에 인접하여 구비함으로써, 밀봉 해제 및 분리 후에 그 밀봉부가 부착부에 재배치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봉부에 측방력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평탄한 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봉부에 측방력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평탄한 탭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평탄한 탭부와 상기 둘레 림과의 연결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0. 개방된 주둥이가 있는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본체 주둥이의 개방부 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흡입 꼭지를 성형하는 단계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분리 가능한 중앙 밀봉부를 구비하는 단일 피이스 캡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를 음료로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꼭지를 상기 개방부 위에 유지하여 음료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 주둥이 주위에 상기 캡을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가능한 밀봉부는 캡의 잔여부로부터 절단됨으로써, 용기를 밀봉 해제하고 꼭지를 노출시키되, 남아있는 상기 캡의 잔여부는, 주둥이 주위에서 용기에 부착된 채, 주둥이 위에서 꼭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하고 버리는 유아용 음료 용기를 형성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꼭지의 단부를 캡의 상기 밀봉부의 중공형 내부에 끼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리드 및 가요성 꼭지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lid)는 음료 용기의 주둥이 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림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중앙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림 부분이 상기 음료 용기 주둥이 위에 부착되면 음료 용기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상기 림 부분에 밀봉되며, 상기 중앙부에는 중공형 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요성 꼭지는 리드의 림 부분에 부착 가능한 둘레 플랜지와, 중앙부의 중공형 내부와 밀착되게 상호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된 티트 단부(teat end)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사용시에 상기 티트 단부가 노출되도록 림 부분으로부터 파괴되어 분리되되, 남아있는 상기 림 부분은, 주둥이 주위에서 용기에 부착된 채, 주둥이 위에서 꼭지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마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19997009301A 1997-04-11 1998-04-09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580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O6131A AUPO613197A0 (en) 1997-04-11 1997-04-11 Infant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AUPO6131 1997-04-11
AUPP0523A AUPP052397A0 (en) 1997-11-24 1997-11-24 Infant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AUPP0523 1997-11-24
PCT/AU1998/000243 WO1998046191A1 (en) 1997-04-11 1998-04-09 Disposable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221A KR20010006221A (ko) 2001-01-26
KR100580269B1 true KR100580269B1 (ko) 2006-05-16

Family

ID=2564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3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0269B1 (ko) 1997-04-11 1998-04-09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973479B1 (ko)
JP (1) JP2001521421A (ko)
KR (1) KR100580269B1 (ko)
CN (1) CN1263440C (ko)
AT (1) ATE422872T1 (ko)
BR (1) BR9808677A (ko)
CA (1) CA2285962A1 (ko)
DE (1) DE69840570D1 (ko)
EA (1) EA002662B1 (ko)
ES (1) ES2325231T3 (ko)
ID (1) ID25668A (ko)
IL (1) IL132200A0 (ko)
NZ (1) NZ500646A (ko)
PL (1) PL191792B1 (ko)
WO (1) WO1998046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5911D0 (en) 1999-07-08 1999-09-08 Richards Jane Drink packaging
JP4289592B2 (ja) * 2001-11-09 2009-07-01 ピジョン株式会社 人工乳首及び哺乳器
GB2404868A (en) * 2003-08-13 2005-02-16 Siobhan Fogarty Disposable self-heating baby feed container
US7775389B2 (en) 2006-03-17 2010-08-17 Poppet International Pty Ltd Closure for containers
CH701676A1 (de) * 2009-08-20 2011-02-28 Medela Holding Ag Saugnippeleinheit.
CH702991B1 (it) * 2010-04-23 2014-03-14 Lansinoh Lab Inc Dispositivo per l'allattamento dei bambini.
GB2543075A (en) * 2015-10-07 2017-04-12 Helpful Baby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lders
AU2017272138B1 (en) * 2017-10-24 2019-01-03 Hugopak Pty Ltd A bottle for feed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BR102018071563A2 (pt) * 2018-10-19 2020-04-28 Bathke Motta Da Silva Daniel recipiente descartável para alimentação de lactentes
EP3865109A1 (en) 2020-02-14 2021-08-18 Koninklijke Philips N.V. A teat for a bottle and a bottle having the teat
CN111968463A (zh) * 2020-08-12 2020-11-20 浙江工业大学 一种盲童用教学板
US11793730B2 (en) 2021-01-23 2023-10-24 Jennifer Wynh Retractable pacifi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7060A (en) * 1967-05-17 1971-03-02 Gene Ballin Infant-feeding apparatus
KR800002280Y1 (ko) * 1979-12-26 1980-12-31 이상학 플라스틱 우유병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1423A (en) * 1964-12-21 1967-01-31 Soto Ricardo Hurtado Feeding device for infants and method
US3477603A (en) * 1967-11-30 1969-11-11 American Flange & Mfg Feeding bottle having integral opening means
US3572533A (en) * 1969-05-12 1971-03-30 American Flange & Mfg Infant feeding bottle
US3655083A (en) * 1970-01-08 1972-04-11 Abbott Lab Infant feeding unit assembly
US3952897A (en) * 1973-02-12 1976-04-27 The West Company Primary nurser assembly
US4015740A (en) * 1975-09-17 1977-04-05 Lewis Woolf Griptight Limited Infants feeding bottle
FR2563500B1 (fr) * 1984-04-26 1986-11-28 Astra Plastique Recipient a jeter apres utilisation et destine plus particulierement a l'alimentation des nourrissons
GB2200049B (en) * 1987-01-21 1990-08-29 Metal Box Plc Baby feeding packs
BE1004721A5 (fr) * 1991-04-11 1993-01-19 Dael Bernard Adrien Marie Loui Tetine d'alimentation et bouteille pourvue d'une telle tetine.
WO1994028856A1 (en) * 1993-06-16 1994-12-22 David John Hoffmann Dispensing-sealing arrangement for a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7060A (en) * 1967-05-17 1971-03-02 Gene Ballin Infant-feeding apparatus
KR800002280Y1 (ko) * 1979-12-26 1980-12-31 이상학 플라스틱 우유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6191A1 (en) 1998-10-22
CA2285962A1 (en) 1998-10-22
ATE422872T1 (de) 2009-03-15
IL132200A0 (en) 2001-03-19
PL336147A1 (en) 2000-06-05
CN1263440C (zh) 2006-07-12
EP0973479A1 (en) 2000-01-26
EA002662B1 (ru) 2002-08-29
NZ500646A (en) 2000-04-28
EA199900923A1 (ru) 2000-04-24
CN1251982A (zh) 2000-05-03
DE69840570D1 (de) 2009-04-02
KR20010006221A (ko) 2001-01-26
ID25668A (id) 2000-10-19
EP0973479B1 (en) 2009-02-18
JP2001521421A (ja) 2001-11-06
EP0973479A4 (en) 2002-03-27
ES2325231T3 (es) 2009-08-28
PL191792B1 (pl) 2006-07-31
BR9808677A (pt) 200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705A (en) Sealed container for liquids particularly beverages
US6991121B1 (en) Disposable infant formula feeding pouch
US582342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pop-up drinking straw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6945394B2 (en) Beverage device
KR100580269B1 (ko)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
CN101155535A (zh) 具有吸管的饮料容器或者容器盖
US6612428B1 (en) Disposable/recyclable beverage device
JPS61181466A (ja) 乳首ユニット
US3554399A (en) Infant feeding unit
US20090045206A1 (en) Disposable non-spillable childs dispensing cup
JP2006500092A (ja) 乳児用及び幼児用の哺乳瓶及び飲料瓶
CN116472017A (zh) 肠道喂养系统
EP2217504A1 (en) Cylindrical spout for disposable cartons
US12240658B2 (en) Reclosable container with protection for the dispensing mouth
AU2006203687B2 (en) Disposable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WO2001003643A1 (en) Drinks packaging
US20060060552A1 (en) Disposable fluid container
MXPA99009301A (en) Disposable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AU6813298A (en) Disposable drinking container and nipple
JP2001206328A (ja) 飲料用ボトル
KR200173350Y1 (ko) 액체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JP3572024B2 (ja)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2006519147A (ja) 内部安全密閉装置
JP2022057898A (ja) パウ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