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0205B1 -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05B1
KR100580205B1 KR1020040092335A KR20040092335A KR100580205B1 KR 100580205 B1 KR100580205 B1 KR 100580205B1 KR 1020040092335 A KR1020040092335 A KR 1020040092335A KR 20040092335 A KR20040092335 A KR 20040092335A KR 100580205 B1 KR100580205 B1 KR 10058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igh voltage
power
unit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205B1/ko
Priority to US11/249,303 priority patent/US20060104666A1/en
Priority to CNB2005101202834A priority patent/CN10045615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8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at least one recording member having plural associated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고전압인가기판과, 고전압인가기판에 형성된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접촉 및 분리시키는 왕복동 푸셔부, 왕복동 푸셔부에 연동되어 외부 동력원에 의한 동력을 왕복동 푸셔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동력원과 동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해당하는 현상기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발명과 달리 복수의 현상기에 고전압을 인가시 현상기의 유동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에 가해지는 부하 변동이나 진동을 방지하여 화상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현상기를 구동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를 이용해 현상기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게 되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을 제거함으로써 제조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Apparatus for driving developmen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현상기 고전압 인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 고전압 인가 장치 중 일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전압인가기판과 현상기의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체 102...대전롤러
103...광주사 유닛 104C, 104M, 104Y, 104K...현상기
105...전사벨트 106...제1클리닝장치
108...고전압전원공급부 109...제2클리닝장치
110...전사전 제전유닛 111...정착부
112...전사롤러 113...급지카세트
125...현상롤러 140...본체 프레임
200...현상기 구동 장치 202...구동유닛
204C, 204M, 204Y, 204K...고전압인가단자
205C, 205M, 205Y, 205K...스프링 터미널
206C, 206M, 206Y, 206K...터미널단자 207C, 207M, 207Y, 207K...제1단자
207a, 207b, 207c, 207d...접촉단부 208C, 208M, 208Y, 208K...제2단자
210...고전압인가기판 220...왕복동 푸셔부
230...제1부재 240...제2부재
250...동력전달부 270...동력단속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프로세스,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과 같은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프로세스,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프로세스,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하여 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급지되는 급지프로세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와 같이 급지된 용지로 전사(transfer)하는 전사프로세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고온, 고압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프로세스,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배지프로세스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프로세스는 감광체와 현상기의 전위차에 의해 현상기의 토너가 감광체로 이송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현상기 또는 4개 의 현상기에 순차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인 칼라 화성형성장치에 채용된 현상기에 고전압을 인가해주는 장치의 전형적인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부호 80은 감광드럼, 82는 현상기, 그리고, 83은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장치이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색상별로 4개의 현상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4개의 현상기가 같은 구조 및 동작을 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현상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기 현상기(82)는 감광드럼(80)에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현상기(8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90)와 토너 공급롤러(92)를 구비한다.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장치(83)는 모터(86)와 캠(84)을 구비하며, 각 현상기(82)의 후단측에 배치된다. 이 구동장치(83)는 해당하는 현상기(82)를 상기 감광드럼(80) 측으로 진퇴 유동시킴으로써 현상롤러(90)가 감광드럼(80)에 근접하여 현상롤러(90)의 토너가 감광드럼(8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감광드럼(80)과 현상롤러(90)에 현상에 필요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고압단자(88)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83)에 의해 현상기(82)가 감광드럼(80) 측으로 전진하게 되면, 현상롤러(90)의 축과 상기 고압단자(88)가 접촉되면서 현상롤러(90)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해당하는 현상기(82)의 토너가 감광드럼(80)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 후, 상기 현상기(82)는 그 후단에 설치된 복귀스프링(94)에 의해 후퇴되며, 다른 현상기가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전진하면서 다른 색상의 토너에 의한 현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연속된 동작으로 각 색상별 현상기가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감광드럼(80)의 정전 잠상을 색상별 토너로 현상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일반적인 현상기 고전압 인가장치는, 모터(86) 및 캠(84)으로 구성된 구동장치(83)를 이용하여 현상기(82)를 감광드럼(80) 측으로 진퇴시키는 방식으로, 현상기의 유동으로 인해 진동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현상기가 감광드럼에 주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감광드럼 회전시 부하변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궁극적으로 감광드럼의 속도변화를 유발시킴으로써 칼라 화상의 생명인 화상품질에 치명적인 지터(JITTER) 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상기 유동방식 고전압 인가장치는, 현상기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별도의 전선(wire)을 필요로 하므로 기기 내부가 각종 전선(wire)들의 연결로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상기 유동방식 고전압 인가장치는, 현상기의 유동거리가 항상 일정하여야만 적절한 현상닙이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구동장치(83)의 노화 및 마모 등으로 인해 유동거리가 달라지면서 현상기의 유동거리가 변하여 일정한 현상닙을 유지하지 못함으로서 화상의 품질 저하 문제가 야기될 소지도 있다.
또한, 종래의 현상기 고전압 인가장치는, 현상기 유동에 필요한 모터나 캠, 그리고, 현상기를 색상별로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홈 센서 등의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비가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상기 유동방식 고전압 인가장치는, 현상기를 구동시키는 현상기 구동장치와 별도로 설치되므로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모터 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발명과 달리 솔레노이드를 이용해 현상기에 고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각각의 현상기에 선택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기 유동으로 인해 감광체에 가해지는 부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기 구동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나 다른 장치없이 현상기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현상기에 고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시킬 수 있는 현상기 구동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wire)을 제거하여 제조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상기 구동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고전압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고전압회로와, 상기 각 현상기에 마련된 고전압인가단자에 접속되는 터미널단자와, 상기 터미널단자 및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전압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호 대응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춘 스위치를 구비하는 고전압인가기판과;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접촉 및 분리시키는 왕복동 푸셔부와;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연동되어 외부 동력원에 의한 동력을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원과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해당하는 현상기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터미널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단자에 대응하는 접촉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단부는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의해 상기 제2단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기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단자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컨택트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부는 전자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내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제2부재의 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캠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회전시 상기 캠면이 상기 돌기부에 간섭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접촉단부측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켜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부재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기판의 터미널단자와 상기 현상기의 고전압인가단자는 스프링 터미널에 의해 밀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왕복동 푸셔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종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종동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기판의 터미널단자와 상기 현상기의 고전압인가단자는 스프링 터미널에 의해 밀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들은 상기 감광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기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구동장치는, 고전압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고전압회로와, 상기 각 현상기에 마련된 고전압인가단자에 접속되는 터미널단자와, 상기 터미널단자 및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전압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호 대응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춘 스위치를 구비하는 고전압인가기판과;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접촉 및 분 리시키는 왕복동 푸셔부와;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연결되어 외부 동력원에 의한 동력을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원과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해당하는 현상기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터미널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내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제2부재의 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캠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회전시 상기 캠면이 상기 돌기부에 간섭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접촉단부측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왕복동 푸셔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종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상기 구동 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먼저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상기 구동 장치(20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레임(140) 내부에 감광체(101)와, 대전롤러(102)와, 광주사 유닛(103)과, 4개의 현상기(104)와, 전사벨트(105)를 구비한다.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체(10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본체 프레임(14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은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롤러(125)는 현상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현상롤러(125)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전기장 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일측에는 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현상기 구동 장치(200)가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은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시안 현상기(104C), 마젠타 현상기(104M), 옐로우 현상기(104Y), 블랙 현상기(104K)의 순서로 배치된다.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현상기(104K)의 상방에는 전사전 제전유닛(110)이 위치된다. 감광체(101)의 하방에는 광주사 유닛(103)과 제전램프(107)가 위치된다. 감광체(101)를 중심으로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반대쪽에는 용지이송유닛(120)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전사벨트의 내주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닙롤러(105a)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 (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105b)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105b)와 닙롤러(105a)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즉, 전사벨트(105)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된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감광체(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과정 후에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1블레이드(106a)와,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106b)을 구비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전사벨트(105)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2블레이드(109a)와,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109b)을 구비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전사될 수 있다.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한다. 전사전 제전유닛(110)은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한다.
고전압전원공급부(High voltage power supply, 108)는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 바이어스전압 등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에 전압을 제공한다.
정착부(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1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배지대(180)에 적재된다.
참조부호 113a는 급지카세트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는 제2급지카세트(113b) 및 MPF(multi-purpose feeder, 1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피드롤러(116)는 픽업롤러(115a, 115b, 1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b, 1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용지이송부(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용지이송부(120)는 피드롤러(116)와 정착부(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1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122)를 포함한다. 용지이송부(120)에는 용지정렬기(registration roller, 118)가 설치된다. 용지정렬기(118)는 피드롤러(116)로부터 이송된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S)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용지(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며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부(111)를 거쳐 용지(S)에 정착되고, 배지롤러(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 밖 으로 배지된다.
양면인쇄시에는 배지롤러(1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를 따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 유닛(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기(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에 고전압전원공급부(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기(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C) 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이때, 현상기 구동 장치(200)는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현상이 이루어지도록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를 구동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또는 급지카세트(113b)) 또는 MPF(113c)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 (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부(111)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전압인가기판과 현상기의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왕복동 푸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200)는 복수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것으로, 고전압인가기판(210)과, 왕복동 푸셔부(220)와, 동력전달부(250)와, 동력단속부(270)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 각각의 일측에는 고전압인가단자(204C, 204M, 204Y, 204K)가 설치된다. 고전압인가단자(204C, 204M, 204Y, 204K)와 후술하는 터미널단자들(206C, 206M, 206Y, 206K)은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스프링 터미널(205C, 205M, 205Y, 205K)에 의해 밀착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압인가기판(210)은 상기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전압인가기판(210)은 고전압전원공급부(108, 도 3 참조)에 연결되는 고전압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고전압인가기판(210)에는 고전압인가단자들(204C, 204M, 204Y, 204K)에 접속되는 터미널단자들(206C, 206M, 206Y, 206K)과, 터미널단자들(206C, 206M, 206Y, 206K) 및 고전압회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로 전달되는 고전압을 단속하는 스위치들(2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들(209)은 터미널단자들(206C, 206M, 206Y, 206K)에 연결되는 제1단자들(207C, 207M, 207Y, 207K)과, 고전압회로에 연결되는 제2단자들(208C, 208M, 208Y, 208K)을 구비하고, 제1단자들과 제2단자들은 소정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터미널단자들(206C, 206M, 206Y, 206K)은 고전압인가기판(210)의 일측면에, 제1단자들(207C, 207M, 207Y, 207K)과 제2단자들(208C, 208M, 208Y, 208K)은 타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 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시안 현상기(104C)를 위주로 설명한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단자(207C)의 일측은 터미널단자(206C)에 연결되는 고전압인가기판(210)에 고정설치된다. 제1단자(207C)의 타측에는 제2단자(208C)에 대응하는 접촉단부(20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부(207a)는 후술하는 왕복동 푸셔부(220)에 의해 제2단자(208C)에 접촉 및 분리되며, 접촉시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고전압전원공급부(108)에 의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해당하는 현상기(104C)에 인가된다.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현상기(104C)에 설치된 현상롤러(125)에 인가되면, 현상롤러(125)는 그 외주에 부착된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제1단자(207C)는 제2단자(208C)에 접촉 및 분리되어야 하므로, 탄성력이 있는 콘택트 스프링(contact spring)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왕복동 푸셔부(220)는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현상기(104C)에 전달되도록 제1단자의 접촉단부(207a)를 간섭하여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킨다.
도 6 내지 도 9는 왕복동 푸셔부(2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왕복동 푸셔부(220)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부(2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부재(230)와, 접촉단부(207a)를 간섭하여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제2부재(240)를 구비한다. 제1부재(230)는 축(234)에 결합되어 동력전달부(250)와 연동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부재 (230)의 내면에는 제2부재(240) 측으로 돌출되게 돌기부(23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부재(230)와 동력전달부(250)는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며, 직접 동력이 전달되는 부분에는 기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부재(230)는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부재(240)는 제1부재(230)와 동축(234)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부재(230)에 연동되어 축(234)과 나란한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된다. 제2부재(240)는 축(234) 상에서 축(234)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허브부 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축(234)이 제1부재(230) 내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축(234) 상을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부재(2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축(234) 상에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부재(240)는 제1부재(230)에 연동되어 축(234)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단자(207C)가 제2단자(208C)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단부(207a)를 간섭한다. 제2부재(240)가 전진하여 제1단자(207C)를 제2단자(208C)에 접촉시키면 통전이 되어 해당하는 현상기(104C)에 고전압이 인가되며, 제2부재(240)가 후진하여 제1단자(207C)가 제2단자(208C)로부터 분리되면, 전기적으로 접속이 끊기게 된다. 제1부재(230)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232)에 대응하는 제2부재(240)의 내면에는 제2부재(240)의 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캠면(242)이 형성된다. 제1부재(230)의 회전시 캠면(242)이 돌기부(232)에 간섭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제2부재(240)를 접촉단부(207a) 측으로 전진시켜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가 접촉된다. 접촉 후 해당 현상기(104C)에 의한 현상이 완료되면, 다른 현상기의 현상을 위해 후술하는 동력단속부(270)가 동력을 단속한다. 이때, 제1단자(207C)는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부재(240)를 제1부재(230)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고, 이로 인해 제1단자(207C)는 제2단자(208C)로부터 그 접촉이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왕복동 푸셔부(22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전롤러(102)가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면, 광주사 유닛(103)이 광을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주사하여 첫 번째 색상으로 현상할 화상의 정전잠상을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시킨다. 시안 색상을 첫 번째로 현상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동력단속부(270)는 해당하는 현상기, 즉 시안 현상기(104C)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전달부(250)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30)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232)가 제2부재(240)의 내면에 형성된 캠면(242)을 간섭하여 제2부재(240)를 접촉단부(207a) 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제2부재(240)가 접촉단부(207a)를 간섭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를 접촉시키면 제1단자(207C)와 제2단자(208C)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고전압전원공급부(108)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전원공급부(108)에 의해 공급되는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고전압회로 → 제2단자(208C) → 제1단자(207C) → 터미널단자(206C)를 거쳐 현상기(104C)에 마련된 고전압인가단자(204C)로 공급되어 해당 색상을 현상한다. 시안 색상의 현상이 완료되면 고전압전원공급부(108)가 고전압을 단속하고, 동력단속부(270)도 동력전달부(250)로 전달되 는 동력을 단속한다. 제1단자(207C)의 복원력에 의해 제2부재(24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제1단자(207C)는 현상기(104C)에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는 과정과 반대 과정을 거쳐 제2단자(208C)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시안 현상기(104C)에 의한 현상이 완료되면, 현상기 구동 장치(200)는 다른 현상기들(104M, 104Y, 104K)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해당하는 색상을 현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 진행되는 것에 의해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칼라 화상으로 현상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왕복동 푸셔부(2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250)는 왕복동 푸셔부(22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252)를 구비하고, 왕복동 푸셔부(220)는 축(260)과, 종동기어(262)와, 간섭부(264)를 구비한다.
종동기어(262)는 축(26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동력전달기어(252)에 의해 종동된다. 종동기어(262)는 동력전달기어(252)에 연동되는 것으로, 축(260)을 따라 축(260)과 나란한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기어(262)는 축(260) 상에서 축(260)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허브부 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축(260)이 종동기어(262) 내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축(260) 상을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262)는 다양한 방식으로 축(260) 상에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간섭부(264)는 종동기어(26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단자(207C)가 제2단자(208C)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단부(207a) 를 간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기어(262)는 축(260)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기어(252)의 회전에 연동되어 접촉단부(207a)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종동기어(262)에 마련된 간섭부(264)가 접촉단부(207a)를 간섭하여 제1단자(207C)를 제2단자(208C)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때, 제1단자(207C)는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간섭부(264)를 제2단자(208C)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종동기어(262)가 동력전달기어(252)의 회전에 의해 앞뒤로 슬라이딩되도록 종동기어(262)와 동력전달기어(252)는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헬리컬 기어는 톱니가 경사져 있어서 회전시 축방향으로 추력(thrust)이 발생된다. 따라서, 동력전달기어(252)가 축에 고정되면, 종동기어(262)는 동력전달기어(252)의 회전에 의해 추력을 받아 앞뒤로 왕복 슬라이딩된다.
왕복동 푸셔부(2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현상기 구동 장치와 비슷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250)는 외부 동력원(미도시)에 의한 동력을 왕복동 푸셔부(220)에 전달한다. 또한, 동력전달부(250)는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설치된 현상롤러(125)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전달한다. 즉, 동력전달부(250)는 해당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현상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을 왕복동 푸셔부(220)로 전달하고, 현상롤러(125)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전달한다.
동력단속부(270)는 동력원(미도시)과 동력전달부(250) 사이에 마련되어 현상롤러(1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및 왕복동 푸셔부(220)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단속한다. 동력단속부(270)는 전자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클러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유닛(202)은 동력전달부(250)와 동력단속부(270)를 포함하여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기어, 축 등을 구비한다. 구동유닛(202)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나 기어, 축 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화상형성장치(100, 도 1 참조)에 있어서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은 감광체(101) 주위에 고정 설치되며,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125)와 감광체(101)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감광체(101)의 정전잠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다른 현상롤러들에 묻지 않도록 상기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은 감광체(1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200)는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에서는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전달되는 고전압 인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고전압을 인가시 감광체(101)의 유동없이 안정되게 고 정된 상태에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을 순차적으로 현상하기 위해 현상롤러(125)의 회전을 연결하거나 단속하는 동력단속부(270)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치(모터나, 캠, 솔레노이드 등)없이 선택적으로 현상기들(104C, 104M, 104Y, 104K)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에 고전압을 인가시 현상기의 유동없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에 가해지는 부하 변동이나 진동을 방지함으로써 화상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현상기를 구동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를 이용해 현상기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게 되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고전압회로를 고전압인가기판에 내장함으로써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이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고전압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고전압회로와, 상기 각 현상기에 마련된 고전압인가단자에 접속되는 터미널단자와, 상기 터미널단자 및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전압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호 대응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춘 스위치를 구비하는 고전압인가기판과;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접촉 및 분리시키는 왕복동 푸셔부와;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연동되어 외부 동력원에 의한 동력을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원과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해당하는 현상기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터미널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단자에 대응하는 접촉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단 부는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의해 상기 제2단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기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단자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컨택트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부는 전자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 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내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제2부재의 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캠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회전시 상기 캠면이 상기 돌기부에 간섭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접촉단부측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켜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부재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기판의 터미널단자와 상기 현상기의 고전압인가단자는 스프링 터미널에 의해 밀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왕복동 푸셔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종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종동기어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기판의 터미널단자와 상기 현상기의 고전압인가단자는 스프링 터미널에 의해 밀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들은 상기 감광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구동 장치.
  16.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기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구동장치는,
    고전압전원공급부에 연결되는 고전압회로와, 상기 각 현상기에 마련된 고전압인가단자에 접속되는 터미널단자와, 상기 터미널단자 및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전압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호 대응하는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춘 스위치를 구비하는 고전압인가기판과;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을 간섭하여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접촉 및 분리시키는 왕복동 푸셔부와;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연결되어 외부 동력원에 의한 동력을 상기 왕복동 푸셔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원과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 마련되어 해당하는 현상기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터미널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고전압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동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내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제2부재의 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캠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회전시 상기 캠면이 상기 돌기부에 간섭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접촉단부측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왕복동 푸셔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왕복동 푸셔부는,
    축과;
    상기 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종동되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앞뒤로 슬라이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자가 상기 제2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단부를 간섭하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2335A 2004-11-12 2004-11-12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8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335A KR100580205B1 (ko) 2004-11-12 2004-11-12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249,303 US20060104666A1 (en) 2004-11-12 2005-10-14 Developing unit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2005101202834A CN100456159C (zh) 2004-11-12 2005-11-09 显影单元驱动装置和具有该显影单元驱动装置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335A KR100580205B1 (ko) 2004-11-12 2004-11-12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205B1 true KR100580205B1 (ko) 2006-05-16

Family

ID=3638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335A KR100580205B1 (ko) 2004-11-12 2004-11-12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04666A1 (ko)
KR (1) KR100580205B1 (ko)
CN (1) CN1004561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822B1 (ko) * 2005-10-05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화상형성장치
JP4743199B2 (ja) 2007-12-28 2011-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0072034A (ja) * 2008-09-16 2010-04-02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ユニット、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6143059B2 (ja) * 2012-11-12 2017-06-07 株式会社リコー 給電装置、被給電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80003315A (ko) * 2016-06-30 2018-01-0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구동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521142B2 (ja) * 2018-04-25 2019-05-2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09041B2 (ja) * 2019-11-25 2024-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982A (ja) * 1998-02-06 1999-08-17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KR100428646B1 (ko) * 2002-07-03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고전압 절환장치
US7266321B2 (en) * 2002-09-30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to develo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6159C (zh) 2009-01-28
CN1773389A (zh) 2006-05-17
US20060104666A1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7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xtended image carrier life
JP4667106B2 (ja) 画像形成装置
US9971269B2 (en) Discharging method for latent image bear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08546B2 (en) Image carri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80205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72748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er-cleaning capabilities
JPH0730196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6217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73890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nit therefore
JPH1115275A (ja) 現像駆動装置
EP1494088A2 (en) Cleaning roller with specific brush filaments, us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for cleaning a contact charger, related methods of removing deposit
US73178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a defined relationship among an image length, transforming member length, and length of an electric field area
JP2004348001A (ja) 画像形成装置
US10895827B2 (en) Developer conveyor having three blades
JP4628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613061A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6909428B2 (ja) 潜像担持体の除電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0312A (ja) 画像形成装置
JP3698176B2 (ja) 画像形成装置
US6807394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developing bias power supply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JP2003287936A (ja) 像担持体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19075B1 (ko) 회전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6889025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s in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a photosensitive medium
JPH1014293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