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8742B1 -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 Google Patents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742B1
KR100578742B1 KR1020030090545A KR20030090545A KR100578742B1 KR 100578742 B1 KR100578742 B1 KR 100578742B1 KR 1020030090545 A KR1020030090545 A KR 1020030090545A KR 20030090545 A KR20030090545 A KR 20030090545A KR 100578742 B1 KR100578742 B1 KR 10057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over
cloth
vehicle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607A (ko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3009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7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7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덮개로 구성된 텐트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덮개를 잠그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의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회전시키는 덮개 개방수단과, 상기 베이스와 덮개의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단부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덮개가 열리면 전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덮개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야영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천과, 상기 텐트 천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전방에서 상기 덮개에 상단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전개되면 상기 출입문과 차량의 도어 사이를 덮어 외부와 차단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플라이 천과, 상기 덮개가 열리면 상기 플라이 천을 외부로 밀어내는 푸셔로 구성되어 이동공간에 의해 타인의 시선이나 간섭이 없는, 그리고 외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등의 상태로 자유롭게 야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에 관한 것이다.
루프, 야영, 차량, 텐트

Description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Tent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접힌 상태를, (B)는 펼쳐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의 덮개 부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의 플라이 천이 정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의 접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의 지주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접힌 상태를, (B)는 펼쳐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차량 2a : 루프
2b : 도어 10 : 텐트 케이스
11 : 베이스 12 : 덮개
20 : 로크수단 30 : 덮개 개방수단
40 : 텐트 천 45 : 투명창
50 : 출입문 91 : 랜턴
92 : 환기장치 93 : 선풍기
210 : 플라이 천 210a : 고리
220 : 푸셔 221 : 푸시패널
221a : 돌출부 222 : 탄성부재
223 : 지주 223a : 홈부
230 : 접착수단 240 : 바인더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서 야영을 할 수 있게 한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인의 시선이나 기후 등을 의식할 필요가 없는 편안하고 자유로운 야영을 할 수 있게 한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일을 최우선으로 하던 노동주의 사고는 차츰 스스로 만족을 얻기 위한 자유로운 활동으로서 활동을 행하는 일 그 자체가 목적인 레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맞춰 기존과 다른 다양한 레저용품이 개발, 생산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차량의 루프 위에 텐트를 설치하여 마치 이동식 주택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한, 흔히 카 펜션(car pension)이라 불리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이다.
상기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는 레저와 자동차 문화를 조화시킨 것으로서, 대형 트레일러나 캠핑카와는 달리 간편하게 차량에 설치하여 운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이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는 차량의 루프에 탈착수단(104)에 의해 장착되는 베이스(102) 및 상기 베이스(102)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덮개(103)로 구성된 텐트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2)에 덮개(103)를 잠그는 로크수단(107)과, 상기 로크수단(107)의 작용이 해제되면 덮개(103)가 개방되도록 회전시키는 덮개 개방수단(108)과, 상기 베이스(102)와 덮개(103)의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단부가 부착된 상태로 텐트 케이스(101)에 수납되고 덮개(103)가 열리면 전개되어 베이스(102)와 덮개(103)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야영공간(CS)을 형성하는 텐트 천(112)과, 상기 텐트 천(112)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마련된 지퍼식 출입문(1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수단(104)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한 쌍의 루프 레일(105)과, 상기 루프 레일(105)을 감싼 상태로 베이스(102)에 볼트로 체결된 다수의 클램프(106)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 개방수단(108)은 베이스(102)와 덮개(103) 사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린더(109)와, 상기 실린더(109)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플런저(110)와, 상기 플런저(110)와 실린더(109)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실린더(109)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관통되고 조이면 플런저(110)의 이동이 구속되게 압박하는 고정볼트(111)로 구성되어 그 양끝이 각각 베이스(102)와 덮개(103)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은 덮개(103)를 닫아 실린더(109) 내부로 플런저(110)를 진입시키면 그 힘으로 압축되고, 반대로 덮개(103)가 열리면 압축은 해제된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14는 야영 시 사용자에게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리스이고, 115는 열린 덮개(103)를 용이하게 닫고자 마련된 로프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로크수단(107)을 조작하여 그 작용을 해제하면 덮개 개방수단(108)의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덮개(103)가 회전되어 개방됨과 아울러 텐트 천(112)이 전개되는 바, 이 상태에서 사다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출입문(113)을 통해 텐트 케이스(101)와 텐트 천(112)에 의해 형성된 야영공간(CS)으로 들어가 야영을 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다는 특성으로 야영공간이 협소해 각종 야영물품을 차량 안에 보관해야만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야영 중 텐트와 차량을 오가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데 반해 야영공간과 차량의 실내가 공간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이동경로가 외부로 드러나 있어 자유로운 야영활동을 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취침하고자 잠옷(속옷)만을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안에 보관된 야영물품을 필요로 할 경우, 외출복을 착용하고 텐트에서 나와 차량에서 물품을 꺼낸 후 텐트로 들어와 다시 잠옷으로 갈아입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다른 예로 대개의 경우, 신발을 텐트 안에 보관하면 야영공간이 지저분하게 되므로 차량 안에 보관하는데, 이 경우에 외출하고자 신발을 차량에서 꺼내기까지 맨발로 이동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무척 번거롭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 경우는 신발을 차량의 루프에 벗어 놓으면 편리하나 분실의 위험이 뒤따르기 때문에 그러하질 못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상기의 문제점들이 우천이나 설천 시, 또는 한파 등으로 기온이 떨어지 면 더욱 심화됨은 자명하다.
이상의 문제점들은 종래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이동성을 우선 시 하여 초래된 사용상의 불편함으로서, 이것이 곧 종래 텐트의 사용을 기피하게끔 만드는 중요 요인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텐트와 차량 사이에 외부와 차단되도록 양자를 공간적으로 잇는 이동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타인의 시선이나 간섭이 없는, 그리고 외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등의 상태로 자유롭게 야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덮개로 구성된 텐트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덮개를 잠그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의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회전시키는 덮개 개방수단과, 상기 베이스와 덮개의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단부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덮개가 열리면 전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덮개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야영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천과, 상기 텐트 천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출입 문과, 상기 출입문의 전방에서 상기 덮개에 상단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전개되면 상기 출입문과 차량의 도어 사이를 덮어 외부와 차단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플라이 천과, 상기 덮개가 열리면 상기 플라이 천을 외부로 밀어내는 푸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5)는 차량(2)의 루프(2a)에 탈착되는 베이스(11) 및 이 베이스(11)에 힌지 연결되어 베이스(11)를 여닫는 덮개(12) 등으로 이루어진 텐트 케이스(10)와, 상기 베이스(11)에 덮개(12)를 잠가 개방작동을 구속하는 로크수단(20)과, 상기 로크수단(20)의 작용이 해제되면 덮개(12)가 열리도록 약 70~80도 회전시키는 덮개 개방수단(30)과, 상기 베이스(11)와 덮개(12)의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단부가 부착된 상태로 텐트 케이스(10)에 수납되고 덮개(12)가 열리면 전개되어 베이스(11)와 덮개(12) 사이에 야영공간(13)이 형성되게 외부와 차단하는 텐트 천(40)과, 상기 텐트 천(40)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마련된 출입문(50)과, 상기 출입문(50)과 차량(2)의 도어(2b) 사이에 텐트(5)와 차량(2)을 자유로이 오갈 수 있게 외부와 차단된 이동공간(211)을 형성하는 이동공간 형성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트 케이스(10)는 베이스(11)와 덮개(12)의 힌지 연결 부위가 차량(2) 앞쪽을 향해 장착된 기다랗고 납작한 함체로서, 먼저 상기 베이스(11)는 루프 레일(61) 및 클램프(62)로 구성된 탈착수단(60)에 의해 루프(2a) 상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야영공간(13)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에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리스(70)가 깔린다.
여기서 상기 매트리스(70)는 발열하는 전열선(71) 및 진동하여 마사지 작용하는 다수의 바이브레이터(72)가 내장되고, 상면의 적소에는 다수의 지압돌기(73)가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열선(71)에 의해 동절기에 따뜻한 수면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상기 바이브레이터(72)와 지압돌기(73)에 의해 야영으로 지친 심신의 피로와 여독을 풀 수 있다.
다음 상기 덮개(12)는 주행 시 받는 유체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차량(2) 앞쪽에서 뒤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유선형으로 그 외관이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12)는 야영공간(13)의 천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에는 빛을 내어 야영공간(13)을 밝히는 랜턴(91), 환기하는 환기장치(92) 및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93)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환기장치(92)는 덮개(12)에 형성된 개방부를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개폐패널과, 상기 개폐패널이 개방되면 환기 작동하도록 구성된 환기팬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랜턴(91)의 불빛으로 야간에 독서 등을 불편함 없이 행할 수 있고, 상기 환기장치(92)에 의해 야영공간(13)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선풍기(93)에 의해 하절기에 시원한 수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텐트 천(40)은 야영공간(13)의 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자외선 차단과 방습/방수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야영공간(13)에서 외부를 내다볼 수 있게 한 하나 이상의 투명창(45)이 적소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창(45)은 안에서 밖을 내다볼 수는 있으나, 반대로 밖에서는 안이 잘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사생활이 보호된 상태에서 외부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이동공간 형성수단(200)은 출입문(50)의 전방에 배치되게 덮개(12)에 상단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10)에 수납되고 전개되면 출입문(50)과 도어(2a) 사이를 덮어 여기에 이동공간(211)을 형성하는 플라이 천(210)과, 덮개(12)가 열리면 상기 플라이 천(210)을 텐트 케이스(10)에서 외부로 밀어내는 푸셔(220)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이 천(210)은 전개되었을 때 지면과의 사이를 통해 이동공간(211)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지면과 충분히 맞닿는 길이로 형성되고, 바람에 의해 펄럭거리도록 나부끼는 방지하고자 텐트용 말뚝 등으로 지면에 팽팽하게 정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리(210a)가 하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텐트 천(40)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차단 및 방습/방수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공간(211)에서 외부를 내다볼 수 있고 밖에서는 안이 잘 보이지 않게 구성된 투명창(215)이 적소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플라이 천(210)은 전개되었을 때 텐트 천(4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이동공간(211)으로 외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가 텐트 천(40)과 접착수단(230)에 의해 단단히 접착된다.
상기 접착수단(230)은 섬유재 서로 뒤엉킨 룹(loop)(231)과, 상기 룹(231)과 접착되게 끝이 구부러진 훅(hook)(232)을 한 쌍으로 하여 텐트 천(40)과 플라이 천(210)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이다.
상기 푸셔(220)는 텐트 천(40)과 플라이 천(210) 사이에 배치되게 덮개(12)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텐트 케이스(10)에 수납되는 푸시패널(221)과, 상기 푸시패널(221)에 탄성력을 부여해 덮개(12)가 열리면 푸시패널(221)이 플라이 천(210)을 외부로 밀어내게 회전시키는 탄성부재(222)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패널(221)은 덮개(12)의 측면에 비해 길이가 약간 짧도록 형성된 평판으로서, 상기 탄성부재(222)의 작용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플라이 천(210)의 상부를 지지하게 되고, 차량(2)의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그 형상과 마찬가지로 이동공간(211) 역시 그 평단면의 형상이 대략 유사하도록 형성 된다.
따라서 차량(2)의 도어(2b)를 열더라도 도어(2b)와 플라이 천(210)은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푸시패널(221)은 탄성부재(222)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 외력으로 인해 텐트 케이스(10)에 수납되게 반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상단이 푸시패널(221)과 결합된 지주(223)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지주(223)는 반으로 또는 그 이상 접히도록 다수 개의 로드를 서로 간에 힌지 연결하여,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지면에 박아 안정감 있도록 세우고자 하단이 뾰족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일정 깊이의 홈부(223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홈부(223a)에 끼워지도록 상기 푸시패널(221)에는 돌출부(221a)가 형성되어 서로 간에 견고히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222)는 덮개(12)와 푸시패널(221) 사이의 힌지부에 배치되게 장착된 토션 스프링으로서, 상기 푸시패널(221)을 텐트 케이스(10)에 수납하면 압축되고 반대의 경우 압축이 해제되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80은 열린 상태의 덮개(12)를 지상에서 손 쉽게 닫을 수 있게 덮개(12)에 연결된 로프이고, 240은 플라이 천(210)을 사용하지 않을 시 롤 형상으로 말아 묶음으로써 단정하게 정리하기 위해 덮개(12)에 연결된 다수의 바인더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수단(20)의 작용을 해제시킴으로써 덮개 개방수단(30)의 작용으로 덮개(12)를 열고, 텐트 천(40)을 전개시켜 베이스(11)와 덮개(12) 사이에 야영공간(13)을 형성한다.
이처럼 덮개(12)가 열리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222)의 복원력으로 푸시패널(221)은 회전하여 펼쳐지게 되고, 상기 푸시패널(221)의 회전력으로 플라이 천(210)은 외부로 밀려 텐트 케이스(10)에서 끄집어 낸 상태로 된다.
다음 지주(223)의 홈부(223a)에 푸시패널(221)의 돌출부(221a)를 끼워 결합시킨 상태로 지주(223)를 지면에 수직하게 박아 푸시패널(221)을 떠받치고, 플라이 천(210)이 바인더(240)에 의해 묶여 정리된 상태일 경우 묶은 것을 풀음으로써 플라이 천(210)을 전개시켜 출입문(50)과 차량(2)의 도어(2b)에 걸쳐 플라이 천(210)이 덮이도록 한다.
그 다음 플라이 천(210)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그 양측을 차량(2)에 밀착시키 고 하단을 지면에 밀착시킨 후 텐트용 말뚝을 고리(210a)에 걸은 상태로 박아 상기 플라이 천(210)의 하단을 지면에 정착시킴과 아울러 접착수단(230)으로 텐트 천(40)에 플라이 천(210)을 접착시키면 텐트(5)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면 출입문(50)과 도어(2b) 사이에는 여기를 덮는 플라이 천(21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이동공간(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텐트(5)에서 차량(2),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이 상기 이동공간(211)에 의해 타인의 시선이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되고, 더불어 바람 등을 막아주므로 이동공간(211)에서의 취사나 휴식 등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차량(2)의 창문을 연 상태로 히터나 에어컨을 가동시키면 그 기운이 이동공간(211)으로 전달되므로 이에 이동공간(211)은 보다 쾌적하게 조성된다.
한편 텐트(5)를 걷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지면에 박힌 텐트용 말뚝 뽑아 플라이 천(210)의 정착을 해제하고, 지주(223)와 푸시패널(221)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지주(223)를 지면에서 뽑는다.
그리고 접착수단(230)인 벨크로 테이프로 상호 접착된 텐트 천(40)과 플라이 천(210)의 접착을 해제한 후 플라이 천(210)을 단정하도록 말아 바인더(240)로 묶음으로써 플라이 천(2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킨다.
다음 플라이 천(210)과 함께 푸시패널(221)이 텐트 케이스(10) 안에 수납되도록 푸시패널(221)을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로프(80)를 이용, 덮개(12)를 닫은 후 잠금수단(20)으로 베이스(11)에 덮개(12)를 잠그면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각종 전기장치는 차량(2)의 전원(배터리)에서 동작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되게 구성을 이룰 수도 있고, 자체 전원을 구비하여 이로부터 동작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되게 그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발명은 차량(2)의 오디오 등을 텐트(5) 안에서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 리모콘과, 전자식 모기 퇴치기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은 텐트의 출입문과 차량의 도어 사이를 덮는 플라이 천에 의해 여기에 외부와 차단된, 출입문과 도어를 공간적으로 잇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필요 없이 야영 중 잠옷이나 속옷 차림으로 자유롭게 텐트에서 차량을 오갈 수 있고, 타인의 간섭 또한 차단되어 야영물품을 텐트나 차량이 아닌 상기의 출입문과 도어 사이의 공간에 분실의 염려 없이 보관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기후가 차단되므로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공간을 맘껏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랜턴, 환기장치 및 선풍기 등에 의해 야영공간 안에서 보다 편리한 야영을 영위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덮개로 구성된 텐트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덮개를 잠그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의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회전시키는 덮개 개방수단과, 상기 베이스와 덮개의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단부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덮개가 열리면 전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덮개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야영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천과, 상기 텐트 천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전방에서 상기 덮개에 상단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전개되면 상기 출입문과 차량의 도어 사이를 덮어 외부와 차단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플라이 천과, 상기 덮개가 열리면 상기 플라이 천을 외부로 밀어내는 푸셔를 포함한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텐트 천과 플라이 천 사이에서 상기 덮개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는 푸시패널과, 상기 푸시패널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덮개가 열리면 상기 플라이 천이 외부로 밀리도록 상기 푸시패널을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된 푸시패널을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떠받쳐 상기 푸시패널이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단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패널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다수의 로드가 힌지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천은 상기 플라이 천이 팽팽해지게 하단을 텐트 펙 등으로 지면에 정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리가 하단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천을 사용하지 않을 시 말은 상태로 묶어 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에 연결된 다수의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천과 플라이 천에는 전개되었을 시 상기 텐트 천과 플라이 천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텐트 천에 상기 플라이 천을 붙이는 접착수단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텐트 천과 플라이 천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천과 플라이 천에는 외부가 내다보이게 투명창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야영공간을 밝히는 랜턴, 환기시키는 환기팬 및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가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KR1020030090545A 2003-12-12 2003-12-12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57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545A KR100578742B1 (ko) 2003-12-12 2003-12-12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545A KR100578742B1 (ko) 2003-12-12 2003-12-12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607A KR20050058607A (ko) 2005-06-17
KR100578742B1 true KR100578742B1 (ko) 2006-05-16

Family

ID=3725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5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8742B1 (ko) 2003-12-12 2003-12-12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7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589B1 (ko)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101465731B1 (ko) * 2013-03-20 2014-12-10 서동찬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KR102290071B1 (ko)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KR20230037746A (ko) 2021-09-09 2023-03-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형 냉난방구조를 갖는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20250000640U (ko) 2023-10-17 2025-04-24 권헌수 루프탑용 가이드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771B2 (en)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KR102172333B1 (ko) * 2018-08-27 2020-10-30 주식회사 아이캠퍼 차량용 루프탑 텐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86U (ko) * 1989-05-26 1991-01-17
JPH0658021A (ja) * 1991-04-15 1994-03-01 Yasuaki Kohama 自動車搭載テント
US5544671A (en) 1994-08-26 1996-08-13 High Gear Inc. Lightweight, portable, self-opening, collapsible shelter/camper/storage unit
JPH09183342A (ja) * 1995-10-30 1997-07-15 Mitsuo Gamo 車載用キャリアベース
JP2000027493A (ja) 1997-02-27 2000-01-25 Hansung Ekonet:Kk 自動車ルーフ付着型テ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86U (ko) * 1989-05-26 1991-01-17
JPH0658021A (ja) * 1991-04-15 1994-03-01 Yasuaki Kohama 自動車搭載テント
US5544671A (en) 1994-08-26 1996-08-13 High Gear Inc. Lightweight, portable, self-opening, collapsible shelter/camper/storage unit
JPH09183342A (ja) * 1995-10-30 1997-07-15 Mitsuo Gamo 車載用キャリアベース
JP2000027493A (ja) 1997-02-27 2000-01-25 Hansung Ekonet:Kk 自動車ルーフ付着型テン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31B1 (ko) * 2013-03-20 2014-12-10 서동찬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KR101420589B1 (ko)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US9222278B2 (en) 2014-04-11 2015-12-29 SoonGyu PARK Expandable hard-shell tent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KR102290071B1 (ko)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KR20230037746A (ko) 2021-09-09 2023-03-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형 냉난방구조를 갖는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20250000640U (ko) 2023-10-17 2025-04-24 권헌수 루프탑용 가이드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607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446B2 (en) Pet tent
US10829028B2 (en) Pop-up camper and associated accessories
US8522806B2 (en) Outdoor canopy
US5957525A (en) Pickup tent
KR0122375Y1 (ko) 승용차 커버
US5226689A (en) Collapsible portable tent apparatus for tailgate-type vehicles
US20080210283A1 (en) Tent with hinged door or window
US4422492A (en) Insulating shade device
KR100578742B1 (ko)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US20100326485A1 (en) Outdoor canopy
US20220298857A1 (en) Window screen systems
US20160375816A1 (en) Tonneau Tent
JP2020084756A (ja) テント
KR101283203B1 (ko) 창호 단열장치
KR101526059B1 (ko) 차양형 접이식 루버창
KR20090001576U (ko) 차량루프 설치용 텐트
JP2009515068A (ja) ヒンジ付きドアまた窓を有するテント
KR102692297B1 (ko) 착탈 가능한 메쉬스크린이 구비된 사계절용 텐트
US20110023921A1 (en) Outdoor canopy
CN108386063B (zh) 多用途可变帐篷
CA2534752A1 (en) A foldable mosquito-free patio
CN100562640C (zh) 一种外墙遮阳防护百页帘
KR200163296Y1 (ko) 텐트겸용침낭
CN213940424U (zh) 一种防蚊虫门帘
JP3255760B2 (ja) 建物の開口枠への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005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50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