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498B1 - Capacitive switch - Google Patents
Capacitive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8498B1 KR100578498B1 KR1020040062898A KR20040062898A KR100578498B1 KR 100578498 B1 KR100578498 B1 KR 100578498B1 KR 1020040062898 A KR1020040062898 A KR 1020040062898A KR 20040062898 A KR20040062898 A KR 20040062898A KR 100578498 B1 KR100578498 B1 KR 1005784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terminal
- plate
- reference capacitor
- 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057—Rotary switches
- H03K2217/94073—Rotary switches with capacitiv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는, 유전체 기판(100); 정전용량 비교기(10)와, 제1기준커패시터(Cms)와, 제2기준커패시터(Cmr)를 포함하여 유전체 기판(100)의 윗면에 설치되는 회로부; 기판(100)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기판(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며, 기판(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는 제1기준커패시터(Cm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판(100)의 윗면에 설치되는 것이 기판(100)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것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는 센싱판(300); 및 제2기준커패시터(Cmr)에 연결되도록 기판(100)의 윗면에 설치되는 기준판(40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substrate 100; A circuit unit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100 including the capacitive comparator 10,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nd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Cmr;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ia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100,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100 is in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 sensing plate 300 electrically connected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a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a reference plate 400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Cmr.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tch from malfunction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정전용량, 면적, 기생 정전용량, 센싱판, 기준판, 오동작, Capacitance, area, parasitic capacitance, sensing plate, reference plate, malfunction,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회로도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도3은 도1의 회로도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ber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정전용량 비교기 100: 유전체 기판10: capacitance comparator 100: dielectric substrate
200: 회로부 300: 센싱판200: circuit portion 300: sensing plate
400: 기준판 Cms: 제1기준커패시터400: reference plate Cms: first reference capacitor
Cmr: 제2기준커패시터 Cps: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mr: Second Reference Capacitor Cps: First Sensing Variable Capacitor
Cpr: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 second sensing variable capacitor
본 발명은 정전용량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ive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acitive switch that can be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under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environment.
종래의 푸쉬형(push type) 스위치와 달리 단지 인체의 접촉만으로 동작하는 정전용량 스위치가 최근 들어 많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인체의 접촉이 있을 때에 생기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전용량 스위치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원하지 않게 외부 환경, 예컨대 습기 등 도전성 물체의 영향을 받아 오동작하기 쉽다. Unlike conventional push type switches, a capacitive switch that operates only by touching a human body has recently gained much attention, which uses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when a human body contact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pacitive switch utilizes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capacitive switch is undesirably susceptible to influence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for example, a conductive object such as moistur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acitive switch capable of preventing a malfun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는, 유전체 기판;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정전용량 값을 서로 비교하여 어느쪽 단자로 입력되는 값이 더 크냐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 비교기와, 한쪽 단자는 상기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자는 접지되는 제1기준커패시터와, 한쪽 단자는 상기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자는 접지되며, 상기 제1기준커패시터보다 더 큰 정전용량을 갖는 제2기준커패시터를 포함 하여 상기 유전체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회로부; 상기 기판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기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것이 상기 기판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것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는 센싱판; 및 상기 제2기준커패시터에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센싱판과 같은 면적을 가지는 기준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ielectric substrate; A capacitive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capacitance values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non-inverting terminal with each other and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which terminal has a larger value, and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ther A terminal comprising a first reference capacitor grounde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grounded, and a second reference capacitor having a larger capacitance than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A circuit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ia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A sensing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plat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a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reference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and having an area equal to a sens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상기 기준판은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센싱판과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erence plate preferably has the same area as the sens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기준판과 센싱판은 각각 복수개의 판으로 나뉘어지며, 이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erence plate and the sensing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lates,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센싱판과 아랫면에 설치되는 센싱판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ing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nsing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기준판은 상기 기판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센싱판의 가장자리 상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erence plate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sensing plat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는, 유전체 기판;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정전용량 값을 서로 비교하여 어느쪽 단자로 입력되는 값이 더 크냐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정전용량 비교기와, 한쪽 단자는 상기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자는 접지되는 제1기준커패시터와, 한쪽 단자는 상기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자 는 접지되며, 상기 제1기준커패시터보다 더 큰 정전용량을 갖는 제2기준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상기 유전체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회로부; 상기 기판의 아랫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기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판; 및 상기 센싱판보다는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센싱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기준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ielectric substrate; A capacitive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capacitance values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non-inverting terminal with each other and outputs different signals according to which terminal has a larger value, and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ther A terminal comprising a first reference capacitor grounde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grounded, and a second reference capacitor having a larger capacitance than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A circuit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 sensing plat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And a reference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sensing plate and positioned along an edge of the sens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회로도][Circuit diagram]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정전용량 비교기(10)의 반전단자에는 병렬연결되는 제1기준커패시터(Cms)와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는 병렬연결되는 제2기준커패시터(Cmr)와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a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nd a first sensing variable capacitor Cps connected in parallel are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따라서, 상기 반전단자로는 제1기준커패시터(Cms)와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의 정전용량 합이 입력되고, 상기 비반전단자로는 제2기준커패시터(Cmr)와 제 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정전용량 합이 입력된다. 정전용량 비교기(10)는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정전용량 값을 서로 비교하여 어느 쪽 단자로 입력되는 값이 더 크냐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sum of the capacitances of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nd the first sensing variable capacitor Cps is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Cmr and the second sensing variable capacitor are the non-inverting terminals. The capacitance sum of Cpr is input. The
비교기(10)에 연결되지 않는 제1기준커패시터(Cms)와 제2기준커패시터(Cmr)의 나머지 한 쪽 단자는 접지되고, 비교기(10)에 연결되지 않는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와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mr)의 나머지 한쪽 단자(A, B)는 플로팅되는데, 이 플로팅 단자(A, B)로 인체가 접근하면,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와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정전용량이 증가한다. The other terminals of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nd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Cmr not connected to the
제2기준커패시터(Cmr)가 제1기준커패시터(Cms)보다 더 큰 정전용량을 갖도록 하고, 플로팅 단자(A,B)에 손가락이 접근할수록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의 정전용량 증가량이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보다 더 크도록 하면, 초기에는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정전용량이 상기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것보다 더 컸다가 플로팅단자(A,B)에 손가락이 접근할 때 어느 순간에는 상기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정전용량이 상기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정전용량보다 더 커지게 되어 비교기(10)는 출력변화를 일으키게 된다.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Cmr has a larger capacitance than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nd as the finger approaches the floating terminals A and B, the capacitance increase amount of the first sensing variable capacitor Cps is increased. When larger than the two-sensing variable capacitor Cpr, the capacitance initially input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is larger than that inputted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n when the finger approaches the floating terminals A and B, At the moment, the capacitance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becomes larger than the capacitance input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so that the
비교기(10)의 반전단자에는 제1기준커패시터(Cms)와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의 정전용량 합이 입력되고, 비반전단자에는 제2기준커패시터(Cmr)와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정전용량 합이 입력된다고 하여 설명한 상기의 기재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에의 입력이 전술한 내용과 반대가 되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는데 는 전혀 상관없다. The sum of the capacitances of the first reference capacitor Cms and the first sensing variable capacitor Cps is input to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실시예 1]Example 1
도2는 도1의 회로도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1.
도2를 참조하면, 유전체 기판(100)의 윗면에는 회로부(200)가 설치되는데, 회로부(200)에는 정전용량 비교기(10)와, 제1기준커패시터(Cms)와, 제1기준커패시터보다 더 큰 정전용량을 갖는 제2기준커패시터(Cmr)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2, a
센싱판(300)은 기판(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며, 기준판(400)은 기판(100)의 윗면에만 설치된다. 기판(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는 센싱판(300)은 기판(100)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기판(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는 제1기준커패시터(Cp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100)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것이 윗면에 설치되는 것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다. 기판(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는 센싱판(300)은 동일한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설사 재질이 다르더라도 도전체라면 큰 상관이 없다. The
기준판(400)은 제2기준커패시터(Cmr)에 연결되도록 기판(100)의 윗면에 설치되는데, 기준판(400)과 기판(100)의 윗면에 설치되는 센싱판(300)은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령 같지 않더라도 그 면적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센싱판(300)과 손가락 사이가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가 되고, 기준판 (400)과 손가락 사이가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가 된다. The first sensing variable capacitor Cps is formed between the
기판(100)의 아랫면에 손가락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기판(100)의 아랫면에 있는 센싱판(300)이 기준판(400)보다 손가락에 더 가깝고, 기준판(400)과 손가락 사이에 유전체 기판(100)이 끼일 뿐만 아니라, 또한, 면적도 센싱판(300)이 기준판(400)보다 더 넓기 때문에,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의 정전용량이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정전용량보다 더 빨리 증가한다. 따라서, 터치순간에 비교기(10)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정전용량이 비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것보다 커지게 되어 스위치가 동작하게 된다. When the finger tou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만약, 기판(100)의 윗면에 센싱판(300)이 없다면, 기판(100)의 아랫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기판(100)의 윗면에 다른 손가락을 터치하는 경우에, 기준판(400)에 의한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쳐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I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100)의 윗면에도 기준판(400)과 면적이 비슷한 센싱판(300)을 설치하면, 기판(100)의 윗면에 손가락을 터치하는 경우에, 기준판(400)에 의한 정전용량의 증가도 발생하지만 이와 함께 기판(100)의 윗면에 있는 센싱판(300)에 의한 정전용량의 증가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이 서로 상쇄되어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f the
이러한 상황은 기준판(100)의 윗면에 다른 손가락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다른 불특정 감지체가 접근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방습을 위해서 기판(100)의 윗면을 방습몰딩처리하는 경우라든가 나아가 방습 몰드 상에 물방이 맺히거나 습기가 차는 경우에, 방습몰드, 물방울, 습기 등과 기준판(100) 사이에서 기생정전용량이 발생하여 상기와 같이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정전용량 증가에 따른 오동작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 또한 상기와 같이 기판(100)의 윗면에 보정용으로 센싱판(300)을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This situation is not limited to only touching another fing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기판의 윗면에 설치되는 기준판(400)과 센싱판(300)을 각각 복수개의 판으로 나누어서 이들을 서로 교번하여 배치하는 것이 오동작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It is more effective to prevent the malfunction by dividing the
[실시예2]Example 2
도3은 도1의 회로도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pacitive swit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ircuit diagram of FIG.
제2실시예는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판(400)이 기판(100)의 아랫면에 있는 센싱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판(400)은 센싱판(300)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다. 물론, 기판(100)의 윗면에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보정용 센싱판을 더 설치해도 좋음은 당연하다.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2실시예는 스위치의 측면에 다른 손가락이 터치되거나, 물방물이 맺히거나, 습기가 차는 경우에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인데, 손가락이 기판(100)의 측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기준판(400)이 센싱판(3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센싱판(300)과 기준판(400)에서 손가락까지의 거리가 비슷하므로 손가락의 접근에 의한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와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의 정 전용량 증가가 비슷하다. 따라서, 기판(100) 측면에 물방울이 맺히거나 손가락이 접근해도 비교기(10)의 출력에는 변화가 없게 된다. The second embodimen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another finger is touched on the side of the switch, water droplets, or the moisture is filled, the reference plate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ide of the substrate 100)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도전체가 기판(100)의 윗면으로 접근할 경우에 있어서도, 면적은 센싱판(300)이 더 넓기 때문에 면적에 의한 정전용량의 증가는 센싱판(300)에 의한 것이 더 크지만, 상기 도전체와의 거리는 기준판(400)이 더 가깝기 때문에 거리에 의한 정전용량의 증가는 기준판(400)에 의한 것이 더 크다. 따라서, 기준판(400)과 센싱판(300)의 면적 비율을 적절히 하면, 기판(100)의 윗면으로 물방울이나 손가락 등의 도전체가 터치되더라도 제2센싱가변커패시터(Cpr)와 제1센싱가변커패시터(Cps)의 변화량이 비슷하게 되어 비교기(10)의 출력이 영향을 받지 않아 바람직하게 된다. Even when the conductor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도3d와 같이 기준판(400)이 센싱판(300)의 전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하나의 폐쇄환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3b 및 도 3c와 같이 일부분만 설치해도 원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많은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의 터치부분에 해당되는 기판(100)의 아랫면으로 손가락이 터치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외의 부분, 즉 기판(100)의 윗면 및 측면에 물방울이 맺히거나 습기가 찰 경우 또는 손가락이 터치될 경우에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finger tou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898A KR100578498B1 (en) | 2004-08-10 | 2004-08-10 | Capacitive swi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898A KR100578498B1 (en) | 2004-08-10 | 2004-08-10 | Capacitive switc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4277A KR20060014277A (en) | 2006-02-15 |
KR100578498B1 true KR100578498B1 (en) | 2006-05-11 |
Family
ID=3712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2898A Expired - Lifetime KR100578498B1 (en) | 2004-08-10 | 2004-08-10 | Capacitive swi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84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005B1 (en) * | 2008-09-25 | 2009-05-18 | 김영호 | Beauty Equipment Capacitive Switch and Switch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29845B1 (en) * | 2009-10-09 | 2011-04-18 |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 Capacitive double-sided touch switch 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
CN109907850B (en) * | 2017-12-13 | 2021-08-27 | 东莞市沃伦电子科技有限公司 | Washable touch-controlled nurs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054306A1 (en) | 1980-12-17 | 1982-06-23 |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 Capacitive touch switch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
US4413252A (en) | 1980-01-23 | 1983-11-01 | Robertshaw Controls Company | Capacitive switch and panel |
KR20040037750A (en) * | 2002-10-30 | 2004-05-07 | 에이디반도체(주) | Capacitive switch |
-
2004
- 2004-08-10 KR KR1020040062898A patent/KR10057849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13252A (en) | 1980-01-23 | 1983-11-01 | Robertshaw Controls Company | Capacitive switch and panel |
EP0054306A1 (en) | 1980-12-17 | 1982-06-23 |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 Capacitive touch switch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
KR20040037750A (en) * | 2002-10-30 | 2004-05-07 | 에이디반도체(주) | Capacitive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4277A (en) | 2006-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329116A1 (en) | Controller-less quick tactile feedback keyboard | |
CN108845724B (en) | Capacitive key module with function of preventing mistaken touch | |
KR102006095B1 (en) | Pressure detecting device and intelligent terminal | |
US6867601B2 (en) | Capacitance type sensor | |
KR101905851B1 (en) | Capacitive switch | |
KR100969184B1 (en) | Capacitive switch | |
JP2004045173A (en) | Capacitance type sensor | |
TWI630537B (en) | Touch display system with pressure sensing | |
KR102724909B1 (en) | Touch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positions of multi-touch | |
US20200052695A1 (en) | Input device with function triggering or control which takes place on the basis of a capacitively measured actuation force and adaptation by means of capacitive contact detection | |
US9323399B2 (en) | Capacitive touch pad with adjacent touch pad electric field suppression | |
US10922515B2 (en) | Integrated fingerprint and force sensor | |
KR20110100565A (en) | touch screen | |
JPWO2019230510A1 (en) | Input device | |
JPWO2020090535A1 (en) | Input device and input system | |
KR100578498B1 (en) | Capacitive switch | |
US20190025959A1 (en) | Capacitive touch sensor | |
CN106708345A (en) | Touch control device and terminal thereof | |
CN106206129A (en) | Key switch and simulation pressur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 |
JP5615211B2 (en) | Capacitive input device | |
TWI780872B (en) | Touchpad with a force sensing func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its force sensitivity | |
CN210154592U (en) | Capacitive sensor without capacitive element | |
KR200303191Y1 (en) | Capacitive switch | |
KR20040037750A (en) | Capacitive switch | |
KR200352031Y1 (en) | Capacitance switch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502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