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097B1 - Air supply and integrated hood - Google Patents
Air supply and integrated h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7097B1 KR100577097B1 KR1020040056942A KR20040056942A KR100577097B1 KR 100577097 B1 KR100577097 B1 KR 100577097B1 KR 1020040056942 A KR1020040056942 A KR 1020040056942A KR 20040056942 A KR20040056942 A KR 20040056942A KR 100577097 B1 KR100577097 B1 KR 100577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 air supply
- air
- hole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주방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공급된 공기에 의해 유도되어 보다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급배기 일체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for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air to be supplied into the room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the kitchen to be blocked and at the same time by the air supplied with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t relates to a supply and exhaust integrated hood to be guided to discharge more smoothly.
그 구성은 배기관과 급기관을 갖는 공기조화기와 연결되고 주방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구가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과 연결되는 급기구가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배기공간이 형성되도록 배기경사판이 부착되고, 상기 배기경사판에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상기 급기구와 연통된 급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간에 공급된 공기를 실내측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토출하면서 동시에 상기 배기경사판을 향해 토출하여 배기를 유도하는 급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figuration includes a hood installed in the kitchen and connected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pipe and an air supply pipe; A case in which an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n air supply por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 exhaust part having an exhaust inclination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to form an exhau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port, and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exhaust inclination plate; An air supply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ir exhaust portion, and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space is dischar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the indoor side and simultaneously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inclination plate to exhaust the air. Inducing air supply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주방, 후드, 조리, 급기, 배기Kitchen, Hood, Cooking, Air Supply, Exhau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필터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filter in an operational state;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케이스10: case
11 : 배기구 12 : 급기구 11: exhaust port 12: air supply port
20 : 배기부20: exhaust
21 : 배기공간 22 : 배기경사판 23 : 배기공 21: exhaust space 22: exhaust inclined plate 23: exhaust hole
24 : 배기팬 25 : 상부걸림턱 26 : 하부걸림턱 24: exhaust fan 25: upper locking jaw 26: lower locking jaw
27 : 필터 27: filter
30 : 급기부30: air supply unit
31 : 급기공간 32 : 급기경사판 33 : 수평급기공 31: air supply space 32: air supply slope plate 33: horizontal air supply
34 : 수직급기공 35 : 배기유도공 36 : 급기팬 34: vertical air supply hole 35: exhaust induction hole 36: air supply fan
37 : 장착커버 38 : 메시망 37: mounting cover 38: mesh network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주방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공급된 공기에 의해 유도되어 보다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급배기 일체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for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air to be supplied into the room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the kitchen to be blocked and at the same time by the air supplied with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t relates to a supply and exhaust integrated hood to be guided to discharge more smoothly.
일반적으로 주방용 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kitchen hood is installed in the kitchen to be used to prevent air pollution in the kitchen by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food smell, water vapor, etc. generated when cooking food in the kitchen to the outside.
그런데, 상기한 후드는 조리기의 연소가스와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일부가 후드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실내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ood has a problem that a part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when cooking the combustion gas and the food of the cooker remains in the room without being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hood.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에 잔류하게 되는 배출가스는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하는 음식냄새를 실내 전체에 확산시키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gas remaining in the room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o contaminate the indoor air and to diffuse the food smell generated when cooking the food throughout the room.
또한, 상기한 후드는 발생된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역할만을 함으로써, 밀폐된 주방에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hood only serves to exhaust the generated exhaust gas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ly of fresh air to the closed kitchen is not properly mad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그 목적은 실내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주방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고 동시에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공급된 공기에 의해 유도되어 보다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The purpose is to block the inflow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the kitchen while supplying the air 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at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s guided by the supplied air and discharged mor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기팬 및 배기팬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가 없거나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급기 및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so that the air supply and exhaust is smoothly performed even in the absence or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중에 이 배출가스에 내포된 기름이 적절히 여과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여과된 기름이 손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oil contained in the discharge gas to be properly filtered while the discharge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s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to easily discharge the filtered oi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망에 의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활히 여과되면서 동시에 상기 메시망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mesh network while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by the mesh network is smoothly filte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후드는 배기관과 급기관을 갖는 공기조화기와 연결되고 주방에 설치되는 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연결되는 배기구가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과 연결되는 급기구가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상기 배기구와 연통된 배기공간이 형성되도록 배기경사판이 부착되고, 상기 배기경사판에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상기 급기구와 연통된 급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간에 공급된 공기를 실내측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토출하면서 동시에 상기 배기경사판을 향해 토출하여 배기를 유도하는 급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supply and exhaust integrated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exhaust pipe and the air supply pipe and installed in the kitchen; A case in which an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n air supply port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 exhaust part having an exhaust inclination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to form an exhau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port, and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exhaust inclination plate; An air supply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po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in correspondence with the air exhaust portion, and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space is dischar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the indoor side and simultaneously discharged toward the exhaust inclination plate to exhaust the air. Inducing air suppl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급기부는, 상기 급기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경사지면서 하향으로 절곡된 급기경사판이 부착되고, 상기 급기공간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으로 수평급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급기경사판의 하면에 수직급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경사판의 하부 내측면에 수평으로 배기유도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유동공의 하단으로 상기 급기경사판의 내측에 상향으로 절곡된 공기유도판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unit, the air supply slope plate bent downward while being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case so that the air supply space is attached, a horizontal air supply hol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in which the air supply space is formed, the air supply The vertical air supply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the exhaust induction hole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air inclined plate, and the air induction plate bent upward in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inclined plate to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flow hole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배기공간의 공기를 상기 배기관으로 토출하도록 상기 배기구에 배기팬이 설치되고, 상기 급기관의 공기를 상기 급기공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급기구에 급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xhaust fan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ort so as to discharge air from the exhaust space to the exhaust pipe, and an air supply fan is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ort to supply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to the air supply space.
또한, 상기 배기경사판에 형성된 배기공의 상단으로 상부걸림턱이 부착되고, 상기 배기공의 하단으로 하부걸림턱이 부착되며, 상기 상부걸림턱과 하부걸림턱에 유격된 상태로 착탈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upper catching jaw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hole formed in the exhaust inclined plate, a lower catching jaw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hole, and provided with a filter detachable in a state spaced between the upper catching jaw and the lower catching jaw.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상부걸림턱과 하부걸림턱에 맞닿도록 상하로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일측이 개구된 육각형상의 그리스접착구가 다수개로 상호 엇갈리게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the frame is provided up and down so as to contact the upper locking jaw and the lower locking jaw, characterized in that the hexagonal grease contact openings having one side open between the frame is a plurality of alternately attached to each other. do.
또한, 상기 수평급기공을 가리도록 이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다수의 수평통공을 갖는 장착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급기공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상기 장착커버와 볼트로 체결되는 메시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ounting cover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through holes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air supply hole, and the mounting cover and the bolt ar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air supply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network is provided.
또한, 상기 급기경사판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측으로 전등이 설치되며, 상기 통공에 내열유리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ir supply slope plate, a lamp is installed inside the through hole, and the heat resistant glass window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하부걸림턱에 기름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공의 하부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기름수집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름수집부의 하면 일측으로 삽탈턱이 부착되고, 상기 기름수집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착탈턱에 삽탈되는 기름포집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oil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catching jaw, and an oil collecting pa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as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oil discharge hole, and an inserting jaw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il collecting part, the oil collecting par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il trap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detachable jaw while communicat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 일체형 후드는 주방의 천장에 장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기부(20)와, 상기 배기부(20)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급기부(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ir supply / exhaust integrated hood includes a
상기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 입방체로 형성되고 상면에 내부에 연통된 다수의 배기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11)에 대응하여 상면에 급기구(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배기구(11)는 공기조화기의 배기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서 상기 배기관을 통해 상기 배기구(11)에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배기구(11)와 연통된 케이스(10)의 내부측 즉 배기부(20)에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급기구(12)는 공기조화기의 급기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서 상기 급기관을 통해 상기 급기구(12)에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급기구(12)와 연통된 케이스(10)의 내부측 즉 급기부(30)에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진다.The
상기 케이스(10)의 상면 모서리부위에 각각 부착되는 브래킷(13)은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를 천장에서 견고히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또한, 상기 배기부(20)는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으로 부착된 배기경사판(22)에 의해 배기공간(21)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경사판(22)에 배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23)의 상하로 상부걸림턱(24)과 하부걸림턱(25)이 부착되며, 상기 상부걸림턱(24)과 하부걸림턱(25)에 삽탈 가능하게 필터(26)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26)의 하부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기름수집부(2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배기부(20)는 조리중에 발생하여 케이스(10)의 하부로 상승되는 배출가스를 배기공(23)을 통해 배기공간(21)으로 흡입하여 배기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배기관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배출가스의 흡입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기관에 형성된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상기 상부걸림턱(24)과 하부걸림턱(25)은 필터(26)가 유격된 상태로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필터(26)의 설치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다.The upper catching
상기 필터(26)는 배기공(23)을 통해 흡입되는 배출가스가 통과되면서 이 배출가스에 함유된 그리스 즉 기름이 접착되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기름수집부(27)는 필터(26)에 접착되어 걸러진 그리스 즉 기름이 하부걸림턱(25)에 형성된 기름배출공(251)을 통해 흘러내려 포집되는 곳으로, 상기 기름수집부(27)에 포집된 기름은 다시 케이스(10)의 하면 일측으로 삽탈턱(271)에 설치된 기름포집함(272)으로 저장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기름포집함(272)은 사용자가 삽탈턱(271)에서 빼내어 이에 저장된 기름을 제거한 후에 다시 상기 삽탈턱(271)에 장착하여 필터(26)에 의해 걸러진 기름이 손쉽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급기부(30)는 배기경사판(22)에 대응하여 케이스(10)의 내부 타측으로 부착된 급기경사판(32)에 의해 급기공간(31)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간(31)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면으로 수평급기공(33)이 형성되며, 상기 급기경사판(32)의 하면으로 수직급기공(34)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경사판(22)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경사판(32)에 배기유도공(35)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급기공(33)에 장착커버(36)와 메시망(37)이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급기부(30)는 공기조화기의 급기관을 통해 급기구(12)로 공급되는 공기 를 급기공간(31)에서 수평급기공(33)과 수직급기공(34)을 통해 수평 및 수직으로 주방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급기공간(31)으로 공급된 공기가 배기유도공(35)을 통해 배기경사판(22)으로 토출되어 배출가스의 배기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배기유도공(35)의 하단으로 배기경사판(2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유도판(351)은 급기공간(31)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급기공간(31)에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유도공(35)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장착커버(36)는 케이스(10)의 외측면으로 장착되어 수평급기공(33)을 가리는 역할을 하면서 이에 형성된 다수의 수평통공(361)을 통해 주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The mounting
상기 메시망(37)은 수평급기공(33)의 내측으로 장착커버(36)와 함께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수평급기공(3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다소 덩어리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상기 급기경사판(32)에 형성된 통공(321)에 내열유리창(323)이 장착되고, 상기 내열유리창(323)의 내부로 전등(32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at-
상기 전등(322)은 케이스(10)의 하부를 향해 비춰 조리자가 밝은 상태에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내열유리창(323)은 상기 전등(322)의 빛이 통과하면서 조리시 발생하여 상승되는 열에 잘 견디도록 내열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필터의 작동상 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 일체형 후드에 설치되는 필터(26)는 상부걸림턱과 하부걸림턱에 맞닿도록 상하로 프레임(26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261)의 사이에 일측이 개구된 육각형상의 그리스접착구(262)가 다수개로 상호 엇갈리게 부착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상기 필터(26)는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배출되면서 그리스접착구(262)를 통과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그리스접착구(262)의 외부면에 배출가스에 포함된 기름이 접착되며, 이렇게 접착된 기름이 그리스접착구(262)를 타고 흘러내려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필터(26)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배출가스는 선단에 부착된 그리스접착구(262)에 일차적으로 부딪히면서 상기 그리스접착구(262)를 지나 두 개의 상기 그리스접착구(262)의 양끝단 사이로 진입되고, 다시 마주보면서 엇갈리게 부착된 그리스접착구(262)의 내측면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그리스접착구(262)의 절곡된 부위를 따라 유동된다.Exhaust gas flowing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그리스접착구(262)의 절곡된 부위를 따라 유동되는 배출가스는 다시 선단에 부착된 그리스접착구(262)의 내측면을 통과한 후에 후단에 부착된 그리스접착구(262)의 사이를 통과하여 진입된다.Then, the exhaust gas flowing along the bent portion of the grease
이와 같이, 상기 그리스접착구(262)는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복잡한 유로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여 이에 포함된 가스상태의 기름이 상기 그리스접착구(262)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부딪히면서 접착되어 걸러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rease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 일체형 후드는 주방에 설치된 조리대(T)의 상부로 천장에 케이스(10)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배기구(11)가 공기조화기(2)의 배기관(3)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급기구(12)가 상기 공기조화기(2)의 급기관(4)과 연결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a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2)가 작동되어 배기관(3)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조리대(T)에서 조리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가 케이스(10)의 하부로 상승된 후에 배기경사판(22)에 설치된 필터(26)를 통과하면서 배기공간(21)의 내부로 흡입된다.Then, when the
그리고, 상기 배기공간(21)으로 흡입된 배출가스는 배기구(11)를 지나 배기관(3)을 통해 공기조화기(2)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exhaust gas sucked into the
이때, 상기 필터(26)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가스화된 기름을 접착하여 걸러내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2)가 작동되어 급기관(4)을 통해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면, 이 공기가 급기구(12)를 통과하여 급기공간(31)에 공급되고, 상기 급기공간(31)에 공급된 공기는 메시망(37)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리진 후에 장착커버(36)를 지나 수평방향으로 주방에 공급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급기공간(31)에 공급된 공기중에 일부는 급기경사판(32)을 따라 하향으로 유동된 후에 상기 급기경사판(32)의 하면에 형성된 수직급기공(34)을 통해 조리대(T)의 일측으로 주방에 수직으로 공급된다.Then, a part of the air supplied to the
아울러, 상기 급기공간(31)에 공급된 공기중에 일부는 급기경사판(32)을 따 라 하향으로 유동된 후에 공기유도판(351)에 의해 유도되어 배기유도공(35)을 통해 상기 급기경사판(32)에서 배기경사판(22)을 향해 토출되어 배출가스를 상기 배기경사판(22)으로 유도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air supplied to the
그리고, 상기 수직급기공(34)을 통해 수직으로 주방에 공급되는 공기는 조리대(T)의 일측으로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열이 실내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상기 조리대(T)의 일측으로 조리를 하는 조리자를 시원하게 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the kitchen vertically through the vertical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 일체형 후드는 별도의 공기조화기가 없어 급배기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공기조화기를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원활한 급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케이스(10)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11)와 급기구(12)에 배기팬(28)과 급기팬(38)이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exhaust / exhaust integrated hood has no separate air conditioner, and thus, an
상기 배기팬(28)은 배기공간(21)에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배출가스가 케이스(10)의 하부에서 필터(26)를 지나 상기 배기공간(21)을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기팬(28)에 의해 흡입된 배출가스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상기 급기팬(38)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된 배관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급기공간(3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주방의 조리 시에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실내 유입이 차단되며,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공급된 공기에 의해 유도되어 보다 원활히 배출되고, 그에 따라 조리공간의 환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s supplied to the room, the inflow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f the kitchen is blocked, and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is guided by the supplied air to be discharged more smoothly, Accordingly, the cooking space is ventilat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급기팬 및 배기팬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가 없거나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급기 및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조리공간의 환기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후드의 적용범위와 활용도가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air supply fan and the exhaust fan, the air supply and exhaust even in a state where the air conditioner or no operation, it is made smoothly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of the cooking space is more smoothly so that the coverage and utilization of the hood is improved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중에 이 배출가스에 내포된 기름이 적절히 여과되고, 여과된 기름이 손쉽게 배출되며, 그에 따라 오염된 공기의 외부 유출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oil contained in the discharge gas is properly filtered while the discharge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s discharged, and the filtered oil is easily discharged, thereby minimizing the outflow of contaminated air.
또한, 본 발명은 메시망에 의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활히 여과되고, 상기 메시망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보다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면서 상기 메시망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by the mesh network is smoothly filtered,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mesh network is made easy, accordingly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room of the mesh network It has the effect that cleaning is easy.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6942A KR100577097B1 (en) | 2004-07-21 | 2004-07-21 | Air supply and integrated h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6942A KR100577097B1 (en) | 2004-07-21 | 2004-07-21 | Air supply and integrated ho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7715A KR20060007715A (en) | 2006-01-26 |
KR100577097B1 true KR100577097B1 (en) | 2006-05-04 |
Family
ID=3711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69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7097B1 (en) | 2004-07-21 | 2004-07-21 | Air supply and integrated h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70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68976A4 (en) | 2008-04-18 | 2011-04-20 | Halton Group Ltd Oy | Exhaus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pture and containment |
KR101524988B1 (en) * | 2014-12-18 | 2015-06-15 | (주) 아시안룩스 | Hood system of circulating 4-way air flow for commercial usage |
CN107773059A (en) * | 2017-11-30 | 2018-03-09 | 谢金承 | A kind of semi-automatic dual-purpose baking box |
KR102713262B1 (en) * | 2024-04-02 | 2024-10-04 | 주식회사 경문이앤씨 | Ceiling module system for kitchen ventil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ceiling module system for kitchen ventilation |
KR102796981B1 (en) * | 2024-12-30 | 2025-04-18 | (주)유원기술 | An Air Supply and Exhaust Hood System for Cooking Room with Improved Cooking Fume Removal Efficiency |
-
2004
- 2004-07-21 KR KR1020040056942A patent/KR1005770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7715A (en) | 2006-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35339B2 (en) |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air supply and exhaust | |
KR101803836B1 (en) | Electric roaster equipped recircul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
KR100823674B1 (en) | Hood and deodorizer for meat grill | |
KR102153416B1 (en) | Electric roaster equipped recirculation and purification guide plate of oil mist and smoke | |
KR100577097B1 (en) | Air supply and integrated hood | |
KR100730403B1 (en) | Range hood | |
JP3126576U (en) | Improved structure of ventilation fan | |
JP5070080B2 (en) | Exhaust system | |
KR200429243Y1 (en) | The kitchen hood structure | |
KR100730405B1 (en) | Range hood | |
KR200386369Y1 (en) | A range hood | |
KR100601216B1 (en) | Kitchen hood with air conditioner | |
JP3931897B2 (en) | Range food | |
CN100498082C (en) | Fume sucking machine | |
KR200214878Y1 (en) | An air circulation type of roaster | |
JP3931902B2 (en) | Range food | |
KR100565905B1 (en) | Double-Suction Gas Stove Hood | |
KR100434562B1 (en) | A Range Hood | |
JP4677147B2 (en) | Smokeless roaster | |
KR100619734B1 (en) | Kitchen Exhaust Hood | |
CN211600838U (en) | Hood with air curtain for fume extraction | |
KR200271676Y1 (en) | The spreading-air essence structure of the roster | |
KR20170136841A (en) | A ventilation hood | |
JP5451804B2 (en) | Exhaust system | |
KR200383643Y1 (en) | A hood of gas r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