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6949B1 -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949B1
KR100576949B1 KR1020037003636A KR20037003636A KR100576949B1 KR 100576949 B1 KR100576949 B1 KR 100576949B1 KR 1020037003636 A KR1020037003636 A KR 1020037003636A KR 20037003636 A KR20037003636 A KR 20037003636A KR 100576949 B1 KR100576949 B1 KR 10057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provider
module
telecommunications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987A (ko
Inventor
로난 비엘
Original Assignee
프랑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텔레콤 filed Critical 프랑스 텔레콤
Publication of KR2003002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9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6)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이벤트 및 사용자(8)의 고유 환경에 대한 상태도의 현재 상태에 따라 사용자(8)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제출한 서비스 요청을 승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정 시스템(6)은 접속 모듈(11),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계약 모듈(14) 및 1 이상의 환경 관리자(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ORDINA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본 발명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조정(coordination)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포된 시스템의 구조 및 인텔리전트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전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형의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정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통신 터미널로부터의 사용자에게 모든 접속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낸다. 원격통신 터미널은 컴퓨터 터미널이거나 또는 전화 터미널이다.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하기와 같은 4가지의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제1의 서비스는 오디오 데이터만을 전송하거나 그 밖에 비디오 데이터도 전송하는 링크를 통해 또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을 제공한다. 제2의 서비스는 데이터 베이스의 자문(consultant)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3의 서비스는 은행 계좌 관리와 같은 형태의 데이터 처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4의 서비스는 예를 들면 메시징 서비스에서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과 같은 데이터의 저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가 상이한 원격통신 운용자(operator)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할지라도, 이의 수행시 동일한 사용자를 위한 여러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리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가 여러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원격통신 운용자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할지라도, 사용자간의 각종 원격통신 서비스들의 수행의 일치성(coherence)을 보장하고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보증하는 서비스 계약을 클라이언트에게 공급할 수 있다.
현재, 원격통신의 각종 서비스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이들 각종의 서비스들간의 수행 일치성을 항상 보증받는 것은 아니다. 모순(incoherence)이 검출되는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부정적 상호작용"이라는 용어로 표시된다. 이러한 부정적 상호작용의 문제점은 특히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또는 원격통신 운용자 또는 여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 발생하다. 부정적 상호작용의 경우는,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서 1차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고, 컴퓨터 터미널을 통해 인터넷 네크워크로 2차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서비스 제공자는 동일한 원격통신 운용자에 의하여 운영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그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나 다른 터미널로부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는 사용자와 동일인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사실상, 각각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통해 사용자를 인지하게 되며, 이러한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성명, 주소 가입한 서비스 제공자 리스트, 전용 서비스 접속 프로파일 등을 포함한다. 그래서,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의 내용을 정한다.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로의 접속을 요청하고, 그 요청이 유효한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의 세션, 즉 서비스 제공자로의 접속 경로가 할당된다. 일단 특정의 1차 서비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2차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운용자와의 승인된 계약에도 불구하고, 1차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2차 서비스 제공자로의 연속은 항상 가능하지는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계약을 따른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임의의 전화기로부터 전화거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전화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접속 코드를 다이얼링하여 카드에 연관된 코드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사용자는 임의의 전화기로부터 카드에 연관된 호출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며; 이러한 호출 서비스 제공자는 그 전화기를 전용 전화기인 것처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사용자는 운용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화 조회 서비스를 문의할 수 있다. 요청된 정보가 전화 번호인 경우에는, 그 사람에게로의 직접적인 호출이 전화 카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가능하지 않을 지라도, 서비스 제공자는 그 번호에 전화할 수 있다. 1차 서비스의 연결, 전화 카드에 연결된 서비스, 2차 서비스, 조회 서비스 이후의 관련된 서비스는 모순이 없다. 사실상, 카드휴대자와 그 카드에 관련된 서비스 사이의 계약은 이러한 카드의 사용 조건, 특히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할 수 있는 지리적 영역을 정의한다. 그래서, 조회 서비스는 이러한 계약의 내용, 특히 통화 가능한 지리적 영역을 한정하는 제약사항을 알 수 없다. 결과적으로, 조회 서비스는, 상기 통화자가 계약의 제한때문에 사용자가 직접통화가 불가한 지리적 영역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청된 상대방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서로 다른 서비스간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방법을 수행한다. 상기 공지된 방법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접속되는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간의 대화 메카니즘을 정의한다. 상기 방법은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동일한 구조를 부가하며,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의 발전이 서로 종속하도록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의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은 동일한 사용자가 접속하길 원하는 상이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원격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시된 기술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 사용자로부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로의 각각의 접속 요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서비스 세션으로 구성되는 고유의 환경을 생성하고,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접속 요청의 유효성을 처리하는 단계,
- 접속 요청이 유효한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고유의 세션을 할당하는 단계 [이러한 세션은 사용자의 고유의 환경을 형성함],
- 사용자의 환경이 취한 상태를 모델화하고, 상태도를 통해 상태간의 관계를 모델화하여 고유의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 (여기서, 상태의 변화는 정해진 이벤트에 의하여 시작되며, 상기 이벤트 중 일부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된 여러 서비스와 연결됨),
-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이벤트 및 사용자의 환경 상태도의 현재 상태에 따라 세션을 갖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사용자에 의해 제출된 서비스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 서비스 제공자가 상태도에서 어느 한 상태로부터 다음 상태로 진행할 때, 사용자의 환경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은 원격통신 터미널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되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조정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정 시스템은
- 사용자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요청 서비스 제공자로도 불리는 임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접속되는 조정 시스템의 제1 입력 포인트를 구성하는 접속 모듈,
- 데이터 베이스와 접속된 프로파일 관리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프로파일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접속 모듈에 접속되는 프로파일의 관리 모듈,
-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와의 계약 리스트, 이러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 및, 서비스와의 접속 비용 리스트를 포함하는 계약 모듈, 및
- 접속 요청이 유효한 모든 서비스를 접속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길 원하는 조정 시스템의 제2의 입력 포인트인, 프로파일 관리 모듈 및 계약 모듈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 관리자(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정 방법 및 시스템은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한다. 사실상, 사용자 환경의 집중된 관리는 환경 관리자에 해당하는 고유의 환경 주소를 사용자에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환경 관리자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모든 서비스 제공자와 대화하며, 적어도 사용자 환경의 특징적인 상태도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도는 사용자가 접속하게 되는 서비스와, 사용자가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요청한 서비스에 따라 전개한다.
조정 방법 및 시스템은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 제공되는데, 상기 정보는 아무런 위험성 없이 분배될 수 있는 조건을 필요로 한다. 조정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를 특징화하는 모든 데이터와 그 사용자의 환경 사이의 일치성이 훼손되지 않게 하며, 이는 안전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클라이언트간의 체결된 계약을 따르도록 보장한다. 클라이언트와 사용자는 동일한 개인이거나 또는 상이한 개인일 수 있거나 또는, 클라이언트는 개인 또는 법인인 한 명 이상의 사용자들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환경을 항상 알고 있음으로써 조정 방법 및 시스템이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즉 네트워크상에서의 그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추적 기능은 GSM 네트워크의 HLR (영어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의 약어)과 같은 이미 존재하는 고유의 또는 복수의 서버에 기초할 수 있다.
부정적인 상호 작용의 문제점은 본 발명에 의하여 해소될 수 있으며, 특히 요청 서비스 제공자 각각 및 조정 시스템간의 대화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 그래서, 서비스 제공자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정 방법 및 시스템은 조정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 특수한 전개 플랫폼을 부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 및 시스템은 또한 요청 서비스 제공자에 공통적인 구조를 부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정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확인 및/또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 실시의 특정예를 수행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된 하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정 시스템의 블록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정 시스템의 다중서비스 사용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이 해당되는 배경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원격통신 터미널로부터, 각종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 중에서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하려 한다. 각종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조정하고 중앙집중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조정 시스템에 전화기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조정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되며 도 1에 예시된 다수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1의 단계(1)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 요청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한 고유의 환경이 생성된다. 환경이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이미 생성된 경우, 이는 후속의 처리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서비스 제공자로의 접속 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처리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접속 요청이 거절, 즉 유효화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할 수 없는 이유는 다양하다. 이는 서비스 운용자와 사용자간에 체결된 계약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의 이용 조건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해진 서비스 제공자는 특정의 터미널로부터만 접속 가능할 수도 있다.
제2의 단계에서는, 활성화가 유효하게 되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에 고유의 서비스 세션이 할당된다. 이러한 세션은 사용자의 고유 환경의 일부이다.
제3의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환경이 취해질 수 있는 상태를 모델화하고, 상태도를 사용하여 이들 상태간의 관계를 모델화하여 고유의 환경을 관리한다. (여기서, 상태의 변화는 정해진 이벤트에 의하여 시작되며, 이중 일부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된 여러 서비스와 연관된다). 다음의 예는 환경이 다수의 상태도에 의하여 관리되는 특정 실시예에 해당한다. 각각의 서비스 세션에 대한 상태도가 존재하며, 환경은 다른 상태도와 관련되어 있다. 상태도의 상태는, 항상 개시 상태와 종료 상태가 있다. 이들 2 가지의 상태 사이의 상태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환경의 모델링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상태도에서, 초기 상태, 요금 책정 인증 상태 및 요금 책정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초기 상태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령한 후 개시 상태로부터 달성된다. 요금 책정 자동화 상태는 서비스 제공자 접속 요청이 유효화된 후에 초기 상태 이후로부터 달성된다. 요금 책정 상태는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된 서비스 요청이 승인된 후 요금 책정 자동화 상태로부터 달성된다. 그리고 최종 상태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중단시키는 결정이 이루어진 후, 초기 상태, 요금 책정 자동화 상태 및 요금 책정 상태로부터 달성된다. 이러한 결정은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중지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치로부터 이루어지거나, 서비스 제공자 사용의 조건에 따라, 계약에 따라, 사용자에게 승인된 신용 총액에 따라 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4의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출된 서비스 제공자로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자동화를 승인하며, 여기서 서비스의 요청에 연관된 이벤트, 서비스 요청의 성질, 계약서내에 명기된 서비스 사용의 세부 사항, 사용자의 환경 상태도의 현재 상태에 따라서 서비스 세션이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할당된다.
제5의 단계에서, 환경, 특히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태도에서 어느 한 상태로부터 다음 상태로 진행할 때 업데이트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정 시스템(6)의 개략도로서, 이는 사용자(8)에 의하여 요청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의해 접속된다. 사용자(8)는 컴퓨터나 또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전화와 같은 원격통신 터미날(9)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를 호출한다.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는 네트워크(10)에 의하여 조정 시스템에 접속된다.
조정 시스템(6)은 접속 모듈(11), 확인 및 인증 모듈(12),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계약 모듈(14) 및 환경 관리자(15)를 포함한다.
접속 모듈(11)은 사용자(8)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 임의의 서비스 제공자(7)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조정 시스템(6)의 제1 입력 포인트이다.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는 적어도 식별자 및 임의적인 암호, 주소, ...를 포함하는 사용자(8)의 ID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8)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간의 세션을 정의하는 특징, 세션 주소 등등과 같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요청을 접속 모듈(11)로 보낸다. 접속 모듈(11)은 서버 또는 모든 등가의 수단이 될 수 있다.
확인 및 인증 모듈(12)은 접속 모듈(11)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8)를 확인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8)의 ID에 관한 정보로부터, 확인 및 인증 모듈(12)은 상기 ID의 존재를 확인하고, 인증을 필요로 하는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를 위해 상기 확인 및 인증 모듈(12)은 사용자(8)를 인증한다. 인증은 예를 들면 사용자(8)에 의하여 제공된 패스워드가 사용자(8)에게 미리 부여된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확인 및 인증 모듈(12)은 확인 및 인증의 결과를 접속 모듈(11)에 전달한다. 확인 및 인증 모듈(12)은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조정 시스템(6)의 외부에 존재하는 등가의 모듈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확인 및 인증 모듈(1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식별자를 제공하여야만 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확인 및 인증 기능은 별도의 2 개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확인 및 인증 모듈(12)은 모듈(11)과 동일한 서버 상에 또는, 다른 서버 또는 등가의 모든 수단상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파일의 관리 모듈(13)은 프로파일의 관리 및 프로파일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국소 또는 원격의 각종 메모리에 저장 및 분배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은 사용자(8)의 식별자를 공급하는 접속 모듈(11)과 연결되어 있다. 프로파일 관리자는 한편으로는 사용자(8)의 ID에 해당하는 프로파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할 경우 이러한 프로파일에 연결된 서비스의 개인화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게 된다. 프로파일 관리자는 이러한 사용자(8)에 대한 환경을 생성하며, 관리를 위해 상기 생성된 환경을 환경 관리자(15)에 제공하거나, 또는 복수의 환경 관리자들이 있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15)에 제공한다. 상기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은 이러한 환경 관리자(15)에게 사용자 프로파일의 요금(charge)에 대하여 질의을 하며, 그에 대한 회답으로 질의된 환경 관리자(15)로부터 적절한 서비스 세션의 식별자를 얻는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은 서비스 세션의 식별자와 네트워크(10)의 환경 관리자의 주소를 접속 모듈(11)로 전달하는데, 상기 접속 모듈은 그것들을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게 전송한다. 사용자(8)에 대한 환경을 생성하기 이전에,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은 사용자(8)의 환경상에서 이미 작동하는 환경 관리자가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한다. 환경 관리자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은 사용자(8)의 환경을 변경하기 위하여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대한 정보를 환경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대한 회답으로 환경 관리자(15)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에 서비스 세션의 식별자를 보내며, 이 모듈(13)은 네트워크(10)내의 환경 관리자(15)의 주소와 함께, 서비스 세션의 식별자를 접근 모듈(11)로 전달하는데, 상기 접근 모듈은 그것들을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전송한다. 상기 전술한 프로파일 관리자(13)와 환경 관리자(15)간의 교환은 사용자(8)의 환경의 단일성을 보장하게 된다.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은 접속 모듈(11) 및, 확인 및 인증 모듈(12)과 동일한 서버 상에 또는 다른 서버 또는 모든 등가의 수단상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파일의 데이터 베이스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13)의 서버의 메모리상에 또는 별도의 대량 메모리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환경 관리자(15)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계약 모듈(14)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조정 시스템(6)의 제2 입력 포인트가 된다.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될 수 있는 서비스의 사용 콘텍스트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8)의 프로파일을 인지함으로써, 환경 관리자(15)는 서비스를 참고하기 위한 여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이는 서비스의 자동화, 부가되는 요금 책정, 서비스의 가격, 통지문의 발송과 같은 서비스 후에 담당하게 되는 실행, 및 계약 모듈에 근거한 정지 명령의 발송 등을 결정하게 된다. 환경 관리자(15)는 선행의 작업을 잘 수행하고 요청 서비스 제공자와 함께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논리를 갖는다. 상기 논리는 사용자의 환경 및 상태간의 관계를 취할 수 있는 상태의 상태도에 의한 모델화에 근거를 둔다. 상태의 변화는 정해진 이벤트에 의하여 시작되며, 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여러 서비스와 연관된다. 각각의 환경 관리자(15)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환경상에서 작동되며, 여기서 프로파일 관리자(13)는 관리를 위임하게 된다. 환경 관리자(15)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접속 모듈(11) 및, 확인 및 인증 모듈(12)과 동일한 서버 상에서 또는 다른 서버 또는 모든 등가의 수단상에 설치될 수 있다.
계약 모듈(14)은 요금 책정 및 가격 안정(valorisation) 모듈, 서비스 카탈로그 모듈 및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요금 책정 및 가격 안정 모듈은 서비스에 연결된 서비스의 가격 및 요금 리스트를 포함한다. 서비스 카탈로그 모듈은 시스템(6)의 모든 사용자에게 그리고 이의 환경에 전달되는 서비스의 사용 콘텍스트 또는 서비스의 세부 정보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은 사용자에 의하여 서명된 서비스에 대한 계약 리스트를 포함한다. 계약 모듈 정보는 사용자(8)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액세스하도록 승인할지 여부를 환경 관리자(15)가 결정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조정 시스템(6)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점(PCSR) 또는 영어의 약자로 SCP (Service Control Point)로 공지된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의 개체상에 완전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서로간에 연결된 다수의 서버에 분포될 수 있다.
사용자(8)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접속을 요청할 때, 절차는 다음과 같다.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는 제1의 입력점(11)에 접속하게 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주어진 제1의 식별자를 제공한다. 임의의 경우, 사용자(8)의 확인 및, 임의적인 인증은 부정적인 또는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8)가 인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제공된 패스워드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결과는 부정적이게 된다.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확인 작업은 제2의 식별자의 제공에 의하여 종결된다. 제1의 식별자 또는 제2의 식별자의 공급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8)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게 되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가 사용자(8)를 위하여 활성화된다는 것을 조정 시스템(6)에 알리는 지시자를 자동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조정 시스템(6)은,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인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서비스의 세션 및 사용자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에 대한 고유의 환경을 생성한다.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얻는 정보 및, 특히 계약 모듈로부터의 서비스에서 얻는 정보에 따라서, 조정 시스템(6)은 서비스 제공자로의 접속 요청이 유효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금지된 경우 이러한 요청은 유효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로의 접속 요청이 유효하게 된 후, 조정 시스템(6)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가 이후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사용해야 하는 고유의 세션을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제공한다. 이후의 작업의 경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는 각각의 작업시 상기 세션과 함께 조정 시스템(6)의 제2의 입력점(15)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작업은 예를 들면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가받고, 사용자(8)에 대한 정보를 얻고, 서비스의 요금 책정 개시 또는 종료를 요청하며, 사용자(8)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며, 또는 사용자(8)에게 이벤트의 통지를 요청할 수 있는 작업이 된다. 또는, 사용자(8)에게 다른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호출을 요청하거나 또는 사용자(8)를 위하여 현재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 종료를 나타낼 수 있는 작업이 된다.
사용자(8)가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접속시,
-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가 접속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사용자(8)가 요청하는 경우,
- 사용자를 확인하고, 그에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개인화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사용자(8)가 요청하는 경우,
- 사용자(8)가 지불 및 인보이스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삭제
- 인증이 필수인 경우의 작업을 사용자(8)가 실행하게 되는 서비스를 사용자(8)가 요청하는 경우,
- 지불 및 인보이스의 중지가 필요한 경우 그리고 이러한 지불과 인보이스 작성이 기간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8)에 의하여 요청된 서비스의 종료시에 또는
-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이 종료됨을 알리기 위해서 사용자(8)를 위하여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 종료시에.
상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는 조정 시스템(6)에 질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정 시스템의 멀티서비스의 사용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정 시스템(6)은 동일한 사용자(8)에 의한 여러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을 조정한다.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와 조정 시스템(6)간의 교환은 네트워크(10)의 링크를 통해서 성립된다. 조정 시스템(6)에 접속하는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는 조정 시스템(6)의 입력 포인트를 통해 대화하게 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조정 시스템(6)에 접속 가능한 요청을 포함한다. 통지 중 하나는 예를 들면 사용자(8)의 신용이 거의 고갈되어 간다는 것을 사용자(8)에게 통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가 된다. 상기 제어는 예를 들면 사용자(8)의 신용이 고갈된 경우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본 발명에 상응하는 조정 시스템은 멀티사용자이다. 상기 시스템은 서로 다른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들의 사용을 동시에 조절하는데,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서비스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공통일 수 있다.

Claims (9)

  1. 원격통신 터미널(9)을 통해 사용자(8)에 의해 호출될 때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 사용자(8)로부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로의 각각의 접속이 요청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상기 사용자(8)와 관련된 서비스의 세션을 포함하는 고유의 환경을 생성하고,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로의 접속 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처리하는 단계(1),
    - 접속 요청이 유효한 각각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게 고유의 세션을 할당하는 단계(2) (상기 세션은 사용자(8)의 고유한 환경의 일부를 형성함),
    - 사용자(8)의 환경이 취해질 수 있는 상태를 모델화하고, 상태도에 의하여 이들 상태간의 관계를 모델화하여 상기 고유의 환경을 관리하는 단계(3) (여기서, 상기 상태의 변화는 정해진 이벤트에 의하여 시작되며, 상기 이벤트 중 일부는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의하여 제공된 여러 서비스와 연관됨),
    - 상기 서비스 요청과 관련된 이벤트 및 사용자(8)의 환경 상태도의 현재 상태에 따라 세션을 갖는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로의 사용자(8)에 의해 제출된 서비스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4), 및
    -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가 상태도에서 어느 한 상태로부터 다음 상태로 진행할 때, 사용자(8)의 환경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 사용자로부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로의 각각의 접속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사용자에게 식별자를 할당하면서 식별 모듈에서 사용자(8)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 사용자(8)로부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로의 각각의 접속 요청이 있을 때, 인증 모듈로부터 사용자(8)를 인증하는 단계, 및
    - 인증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8)로부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로의 접속 요청을 유효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정 방법.
  4.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이 원격통신 터미날(9)로부터 사용자(8)에 의하여 요청되며, 상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가 네트워크(10)에 의해 조정 시스템(6)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을 조정하는 조정 시스템(6)으로서,
    - 사용자(8)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 서비스 제공자로 지칭되는 임의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의해 접속되는 조정 시스템(6)의 제1 입력 포인트를 구성하는 접속 모듈(11),
    - 접속 모듈(11)과 연결되고,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된 프로파일 관리자, 사용자 프로파일 및 서비스 제공자 프로파일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 사용자(8)에 의해 입력된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와의 계약 리스트, 상기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대한 정보 및 접속 및 서비스 요금 리스트를 포함하는 계약 모듈(14), 및
    - 접속 요청이 유효한 임의의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에 의해 접속되는 조정 시스템(6)의 제2 입력 포인트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및 계약 모듈(14)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관리자(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6).
  5.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접속 모듈(11)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 모듈(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6).
  6.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을 조정하는 제4항에 따른 조정 시스템(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조정 시스템(6)의 여러 모듈들이 각기 다른 서버에 설치되어 있고, 원격통신 서비스 제공자(7)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제4항에 따른 조정 시스템(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서로 접속된 서버 세트.
  8. 프로파일 관리 모듈(13), 계약 모듈(14) 및 제4항에 따른 조정 시스템(6)의 환경 관리자(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10)는 인터넷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시스템(6).
KR1020037003636A 2000-09-14 2001-09-13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76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1999 2000-09-14
FR0011999A FR2814021B1 (fr) 2000-09-14 2000-09-14 Procede et dispositif de coordination de services de telecommunication
PCT/FR2001/002852 WO2002023919A1 (fr) 2000-09-14 2001-09-13 Procede et dispositif de coordination de services de tele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987A KR20030029987A (ko) 2003-04-16
KR100576949B1 true KR100576949B1 (ko) 2006-05-10

Family

ID=885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6949B1 (ko) 2000-09-14 2001-09-13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990184B2 (ko)
EP (1) EP1303995B1 (ko)
JP (1) JP2004509492A (ko)
KR (1) KR100576949B1 (ko)
AT (1) ATE283609T1 (ko)
AU (1) AU2001290016A1 (ko)
CA (1) CA2422220C (ko)
DE (1) DE60107433T2 (ko)
ES (1) ES2236301T3 (ko)
FR (1) FR2814021B1 (ko)
NO (1) NO326868B1 (ko)
PL (1) PL361183A1 (ko)
PT (1) PT1303995E (ko)
WO (1) WO2002023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1514B2 (en) 2002-07-31 2011-05-10 Level 3 Communications, Llc Order entry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service
FR2863810A1 (fr) * 2003-12-11 2005-06-17 France Telecom Procede et systeme de coordination de services de telecommunication
WO2007019689A1 (en) * 2005-08-16 2007-02-22 Corporation De L'ecole Polytechnique De Montreal Coordination of client and geo-location oriented services in a mobile network
WO2007140293A2 (en) 2006-05-25 2007-12-06 Aspen Aerogels, Inc. Aerogel compositions with enhanced performance
US8200807B2 (en) * 2006-08-31 2012-06-12 The Mathworks, Inc. Non-blocking local events in a state-diagramming environment
US10590770B2 (en) * 2015-03-06 2020-03-17 Snap-On Incorporated Reversing mechanism for a power to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1057B2 (en) * 1984-06-01 1989-11-3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Local area network for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
JP2680057B2 (ja) * 1988-08-15 1997-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網のサービス競合チェック方式
JP2933380B2 (ja) * 1990-11-15 1999-08-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交換サービス制御方式
JP3248120B2 (ja) * 1994-05-06 2002-01-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顧客対応サービス実行管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41765B2 (ja) * 1996-02-19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クレジット呼サービスシステム
US5920618A (en) * 1996-11-29 1999-07-06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elephony-based services
US6778651B1 (en) * 1997-04-03 2004-08-17 Southwestern Bell Telephon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rvice management of communications servic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I108325B (fi) * 1998-02-03 2001-12-31 Nokia Corp Palvelujen tarjoaminen tietoliikenneverkossa
US6226516B1 (en) * 1998-03-30 2001-05-01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for invoking dynamically modifiable subscriber services and an intelligent telecommunication network incorporating the same
US6249815B1 (en) * 1998-05-06 2001-06-19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subscriber service profile based on subscriber related data
FI105755B (fi) * 1998-09-11 2000-09-29 Nokia Networks Oy Älyverkkopalvelujen suorittaminen
US6430276B1 (en) * 1998-11-18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providing generic network access service
US6940847B1 (en) * 1999-01-15 2005-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service nodes from entities disposed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532285B1 (en) * 1999-04-14 2003-03-1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services per trigger
US6823056B1 (en) * 2000-09-01 2004-11-2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ultiple services per trigger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303995E (pt) 2005-04-29
CA2422220A1 (fr) 2002-03-21
US20040014455A1 (en) 2004-01-22
JP2004509492A (ja) 2004-03-25
DE60107433T2 (de) 2005-12-15
NO20031163D0 (no) 2003-03-13
EP1303995B1 (fr) 2004-11-24
AU2001290016A1 (en) 2002-03-26
KR20030029987A (ko) 2003-04-16
NO326868B1 (no) 2009-03-09
WO2002023919A1 (fr) 2002-03-21
DE60107433D1 (de) 2004-12-30
FR2814021A1 (fr) 2002-03-15
CA2422220C (fr) 2007-03-20
US6990184B2 (en) 2006-01-24
ATE283609T1 (de) 2004-12-15
EP1303995A1 (fr) 2003-04-23
PL361183A1 (en) 2004-09-20
NO20031163L (no) 2003-05-13
HK1051619A1 (en) 2003-08-08
ES2236301T3 (es) 2005-07-16
FR2814021B1 (fr) 200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339B2 (en) Automatic, connection-based terminal or user authent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6134658A (en) Multi-server location-independent authentication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US8738741B2 (en) Brokering network resources
US6997379B2 (en) Method for performing identity card provision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der fulfillment
AU7770798A (en) Procedure for the control of applications stored in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20030154168A1 (en) Method for using software products that are offered via a network
JP2001515636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利用者に目的物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212717B (zh) 业务管理设备、融合业务系统及融合业务实现方法
US20030046246A1 (en) Blocking server
US200802127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of remote party identification
CN114422231A (zh) 一种多云管理平台的资源管理方法及相关设备
KR100576949B1 (ko) 원격통신 서비스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30069855A1 (en) Control server for supporting the charging of services
CN101827347A (zh) 通信方法、通信系统、业务提供平台接入方法
US200800763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User's Identity
KR20100057733A (ko) Sim의 생성 및 제어가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US2009009468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cessing call number portability data
WO1999055067A1 (en) Method for submitting user profiles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HK1051619B (en) Method and device for co-ordina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2008524880A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ライアビリティデータの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CN1795664B (zh) 带有供应商数据库以及用户数据库的移动电话网络中的系统
KR20020036295A (ko)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이용료 과금 대행 방법및 시스템
KR20000039808A (ko) 데이터망을 이용한 지능망서비스 가입자데이터 관리 방법
HK1237958A (en) Order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payment server
EP18782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 communication par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