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6807B1 -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 Google Patents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807B1
KR100576807B1 KR1020030072543A KR20030072543A KR100576807B1 KR 100576807 B1 KR100576807 B1 KR 100576807B1 KR 1020030072543 A KR1020030072543 A KR 1020030072543A KR 20030072543 A KR20030072543 A KR 20030072543A KR 100576807 B1 KR100576807 B1 KR 10057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re
case body
fire extinguisher
fl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7108A (en
Inventor
윤병기
Original Assignee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807B1/en
Publication of KR2005003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80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하게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시키고,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detects the cause of a fire in advance and quickly responds to it, thereby preventing a fire accident in advance and enabling an early extinguishing at the time of fire. have.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for maximiz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fire extinguishing device to deploy and install it.

상기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 소화기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소화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와, 케이스 본체에는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하는 부저와, 센서부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동작 구동부와,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시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body for stably built-in and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a protective cover which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ase body to open and close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case body detects day and night Sensor unit installed to execute temperature detection, gas detection, flame detection and smoke detection, buzzer that outputs an alarm sound to notify the outside quickly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When the flame is detected through the unit is made to include an operation driver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to inject the extinguishing fluid, and the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signal of the components to output and drive the desired signal.

화재, 비상, 무인, 소화기, 소화장치, 분사, 센서, 불꽃, 화염Fire, Emergency, Unmanned, Fire Extinguisher, Fire Extinguisher, Injection, Sensor, Flame, Flame

Description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SPRINKLER SYSTEM}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SPRINKL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소화장치의 정면 구성도,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캠을 보여주기 위한 소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showing a press c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for show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동작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예시도,4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driver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구성 예시도,5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인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구의 높이에 따라 소화액이 분사되는 각도 및 반경을 보여주는 각각 실시예시도.Figure 7a to 8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ngle and radius of the extinguishing liquid is inject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injection port in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nstalled on the wal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 무인 자동 소화장치 10 : 소화기1: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10: fire extinguisher

20 : 케이스 본체 30 : 보호덮개20: case body 30: protective cover

40 : 센서부 50 : 부저40: sensor unit 50: buzzer

60 : 마이컴 100 : 동작 구동부60: microcomputer 100: operation drive unit

본 발명은 화재의 원인을 알려주어 신속히 대처하게 하고, 화재시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for minimizing the damage to property by informing the cause of the fire to respond quickly, and enable the initial extinguishing during the fire,

좀 더 상세하게는 설치된 장소에서 온도, 연기 및 가스에 대한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화재 발생시 화염 및 불꽃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화재의 발화점을 추적하여 진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하게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of temperature, smoke and gas in the installed place and outputs an alarm sound to inform the outside, and detects flames and flames by sensors in case of fire and automatically tracks the ignition point of the fire. By extinguishing,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ause of fire in advance and deal with it quickly to prevent fire accidents in advance, and to enable early extinguishing at the time of fire, and to prevent large fires in adv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for maximiz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user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user by placing and install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 전기배전판, 유흥업소, 변전실, 아파트 보일러실, 음식점 주방, 숙박업소, 생산시설, 물류창고, 공공기관 등과 같은 장소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the risk of fire is always exposed in places such as kitchens,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s, nightlife, substation rooms, apartment boiler rooms, restaurant kitchens, lodging facilities, production facilities, warehouses, and public institutions.

그러나, 상기의 장소 등에는 화재 발생시 사람이 직접 소화기를 들고 화재를 진화해야 되는 위험성을 갖는 문제와, 무인의 장소에서는 초기 진화가 어려워 오히려 대형화재를 유발시키는 등의 인명과 재산상의 문제들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 places, there is a problem that a person has to directly extinguish a fire when a fire occurs, and there are problems in life and property, such as causing a large fire due to difficult early evolution in an unmanned place.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는 자동식 소화기 및 스프링 쿨 러가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상기 자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사람으로 하여금 설치가 어려워 전문가를 통해 설치시켜야 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장소가 협소한 일반 주거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nd a sprinkler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related art. However,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has a large size, which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erson to install and thus requires installation by an expert. In addition to the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installation and use in a narrow residential space.

또한, 상기의 스프링 쿨러의 경우에는 건물 천정의 열을 감지하게 되면 쿨러가 동작하여 물을 뿌려주게 되는데, 이는 화재가 확산된 후에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후에 쿨러가 작동되기 때문에 초기 진화와 같은 신속한 화재의 진화가 불가능한 문제와, 현대건물의 형태들은 유독성 물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되면 스프링 쿨러에 의해서만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시키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sprinkler, when the heat of the building ceiling is sensed, the cooler operates to sprinkle water, which is detected after the spread of the fire and the cooler operates after being detected. It is impossible to extinguish the problem, and because the modern building is composed of materials of toxic substances, there is a problem that a fire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effectively extinguishing the fire only by the sprinkler.

그리고, 종래에는 가스렌지의 후드등에 소화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화재의 위험성을 사용자가 알면서도 설치조건이나 가격등의 문제로 일반 사람이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의 소화기는 일정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시스템이 동작되어 분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온도에 의해서만 작동하고 불꽃이나 연기가 발생할 때에는 미리 화재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related art, a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hood of a gas stove, but this is also a problem that a user cannot easily purchase and use due to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conditions or price while the user knows the danger of fire. The fire extinguisher has a problem in that it operates only by the temperature because the system is operated and sprayed when a certain temperature rises, and when the flame or smoke occurs, the fire state cannot be checked in advanc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문제들로 인해 어느 정도 효율성의 한계가 있어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설치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들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limitations to some degree of efficiency due to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implemented products, so that the user who installs and uses them minimizes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n installation and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은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하게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시키고,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cause of the fire in advance to respond quickly to prevent fire accidents in advance, and to enable the early evolution in the event of fir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to prevent large fires in adv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for maximiz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n use to the user using the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화기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소화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와, 케이스 본체에는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하는 부저와, 센서부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동작 구동부와,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시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body for stably built-in and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a protective cover which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ase main body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to facilitate the detachable fire extinguisher, and the case body ) And a buzzer that outputs an alarm to promptly inform the outside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respectively, to perform detection, temperature detection, gas detection, flame detection and smoke detection. When the flam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an operation driving unit for injecting the extinguishing liquid by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a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signals of the components to output and drive the desired signal.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detail.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것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mit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의 제작자 및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manufacturer and user of th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will be defin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즉,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불꽃을 진화하기 위해 불꽃을 향하여 내장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소화기(10)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10)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2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소화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3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방에 일측면이 노출되도록 케이스 본체(20)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40)와,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 부저(50)와,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10)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된 동작 구동부(100)와,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컴(60)을 포함시켜 이루어진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e extinguisher 10 to spray the built-in extinguishing fluid toward the flame in order to extinguish the flame when a fire occurs, the case body 20 for mounting the fire extinguisher 10 stably embedded And, the protective cover 30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case body 20 to open and close to facilitate the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10, and the case body so that one side is exposed in front of the case body (20) 20 is installed inside the sensor unit 40 and the sensor unit 40, which is installed in order to perform day and night detection, temperature detection, gas detection, flame detection and smoke detection, and the dangerous state through the sensor unit 40 When detected, the fire extinguisher 10 is operated when a flame is detected through the buzzer 50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case main body 20 and the sensor unit 40 to output an alarm sound to promptly inform the outside. Let The operation driver 100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20 to inject the extinguishing liquid, and the microcomputer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20 to drive and output a desired signal by controlling signals of the components. 60).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부에는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상태에서 비상시에 작동하는 비상전원의 공급으로 조명을 밝게 해주는 비상램프(21)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진다.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se main body 20 is further formed by including an emergency lamp (21) to brighten the light by the supply of emergency power to operate in an emergency in the state of the power failure is cut off.

상기 동작 구동부(100)는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1기어(1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어(10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103)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2기어(103a)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진 제2기어(10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3기어(104)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104)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3기어 (104a)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진 제3기어(104a)에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 (105)가 구비되고, 상기 캠기어(105)의 구동에 의해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수직운동으로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누름캠(106)이 구비되며, 상기 캠기어(105)의 일측 끝단에는 구동 완료된 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107)이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성부들을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는 브라켓트(10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driver 100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101 for driving by the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in order to automatically spray the extinguishing fluid stored in the fire extinguisher 10,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01 A first gear 102 for transmitting a drive is provided, and a second gear 103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102 is provided, and a stepped second gear is formed on an axis of the second gear 103. (103a) is provided, the third gear 104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stepped second gear (103a), the stepped third gear (104a) is provided on the axis of the third gear (104). Cam gear 105 is engaged with the stepped third gear (104a) for rotational drive, and by pressing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by the drive of the cam gear 105 in a vertical motion A press cam 106 for activating is provided, and at one end of the cam gear 105, a return for returning the driven cam gear is provided. Is provided with the spring 107 is connected, it is made a bracket 108 for mounting the parts configuration reliably is provided.

상기 누름캠(106)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단 (109)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sing cam 106 is made of a protection stage 109 for protecting the injection port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tegrated.

또한,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소정의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직선기어(111)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기어(111)와 소화기(10)의 분사구 (12) 후단에 형성된 전환기어(12a)가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직선기어(111)가 일정 한 길이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기어방지턱(112)이 상기 케이스 본체(20) 내부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직선기어(111)의 후단에는 구동 완료된 직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해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복귀단(1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rotate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to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operation driving unit 100 includes an injection hole direction switching motor 110 driven by the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And a straight gear 111 that is operated by driving of the jet direction reversing motor 110, and the straight gear 111 and the switching gear 12a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jet port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are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the linear gear 111 from moving over a certain length, the gear stopper 112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side the case main body 20, and the rear end of the linear gear 111 A return end 113 serving as a tension spring is formed to return the driven linear gear.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성부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ake various forms in the component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그리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And,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a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company is limited.

일반적으로, 전기에 의한 누전이나 불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겨울철에 화재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커짐은 주지한 사실이다.In general, fire occurs mainly in places where electricity is leaked or used by fire, and in particular, a lot of fires occur in winter, and it is well known that many fires and property damage increase when a fire occurs.

이와 같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방지시키기 위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인 자동 소화장치(1)는 대형화재의 원인을 초기에 알려주어 사용자가 신속히 대처하도록 하고 화재시 초기 발화지점을 신속히 진화시키 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전기배전판, 보일러실, 주방, 숙박업소, 유흥업소, 물류창고, 공공기관 등과 같은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동시에 그 크기가 소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As such, in order to minimize and prevent damage caused by a fire, th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forms the cause of a large fire at an early stage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cope with the initial ignition point in case of fire. It is intended to quickly evolv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places such as electric distribution boards, boiler rooms, kitchens, lodgings,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warehouses, public institutions, etc. .

이에 대한, 본 발명인 무인 자동 소화장치(1)의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케이스 본체(20)에 소화기(10)를 안정적으로 내장시킨 후에 보호덮개(30)을 닫힌 다음 사용자가 설치를 원하는 상기와 같은 장소에 설치하게 된다.In this regard, when explaining the specific operation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ors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first the fire extinguisher 10 in the case body 20 is stably embedded, then the protective cover 30 is closed and then installed by the user To be installed in the same place as desired.

이때, 주전원인 상용전원을 케이스 본체(20)의 전원단에 연결시킨 다음 전원스위치(SW1)를 온(ON)하게 되면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mmercial power source, which is the main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case body 20, and then the power switch SW1 is turned on, the power supply state is maintained.

상기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케이스 본체(20)에 설치된 센서부(40)가 여러 상황을 계속적으로 체크 및 감지하게 되고, 이때 센서부(40)를 통해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sensor unit 40 installed in the case body 20 continuously checks and detects various situations, and outputs an abnormal signal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40. .

즉, 무인 자동 소화장치(1)가 설치된 장소의 내부 온도가 약 70℃∼80℃ 정도로 온도 센서(41)를 통해 감지되면, 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5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부저(50)는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나 외부인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약90∼95㏈ 정도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is installed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1 at about 70 ° C. to 80 ° C., the detected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60 and then the microcomputer 60. The buzzer 50 is outputted to the buzzer 50 by a control signal of the buzzer 50, and the buzzer 50 outputs an alarm sound at a volume of about 90 to 95 kHz so that a user or an outsider who i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easily hear the buzzer 50. .

상기 온도 센서(41)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위하여 케이스 본체(20) 상에 다수개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emperature sensor 41 is installed on the case body 20 for quickness and accuracy.

또한,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42)는 설치된 장소의 내부 공기중에 0.06~0.45%의 LPG와 0.06~1.25%의 LNG의 가스 농도(통상 24시간 정도 감지한 농도)가 감지되면, 상기와 같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5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부저(50)는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나 외부인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약90∼95㏈ 정도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42 for detecting gas among the sensors of the sensor unit 40 has a gas concentration of 0.06-0.45% LPG and 0.06-1.25% LNG in the internal air of the installed place (usually detected for 24 hours Concentration) is detected, the signal detected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60 and then output to the buzzer 5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the buzzer 50 is separated from a certain distance The alarm sound is output at a volume of about 90 to 95㏈ so that users or outsiders can easily hear.

그리고,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43)는 설치된 장소의 내부에서 화학반응에 의한 연소현상으로 발생된 연기가 감지되면, 상기와 같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5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부저(50)는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나 외부인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약90∼95㏈ 정도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43 for detecting smoke among the sensors of the sensor unit 40 detects the smok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phenomenon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inside the installed place. ) Is then input to the buzzer 5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the buzzer 50 is about 90 ~ 95㏈ so that a user or an outsid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certain distance Alarm sound is output at the volume of.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주간과 야간을 구분하기 위해서 빛을 감지하는 주야센서(44)에 의해 야간시에는 비상램프(21)가 켜지고, 주간시에는 비상램프(21)가 꺼지게 되며, 또한 상기 비상램프(21)는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비상시에 작동하는 비상전원의 공급으로 조명을 밝게 해주기 때문에 정전시 비상등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The emergency lamp 21 is turned on at night and the emergency lamp 21 is turned off at night by the day / night sensor 44 which senses light to distinguish day and night from among the sensors of the sensor unit 40. In addition, the emergency lamp 21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of the case body 20, and the main power is cut off to brighten the light by the supply of emergency power to operate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so as to perform the role of emergency lights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do.

이와 같은, 상기 비상램프(21)는 고회도 백색 램프(LED) 3개가 삼각형태로 조합되어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재 및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연기로 인하여 방향 감각을 잃어 인명피해의 발생(특히 화재는 야간이나 새벽과 같이 수면을 취할 때 발생하게 되면 대부분 무방비 상태)을 최소화로 줄여줄 수가 있 는 것이다.As such, the emergency lamp 21 is preferably formed by combining three high-speed white lamps (LEDs) in a triangular shape, and when us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 power failure, loss of direction due to smoke causes human injury. This can be minimized (especially when a fire occurs during sleep, such as at night or at dawn).

또한,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불꽃(화염)을 감지하는 센서(45)는 설치된 장소의 내부에서 불꽃(화염)이 발생되면 화염의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영역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게 되고, 분석된 특성이 화재로 인식되면 이 인식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구동부(100)를 구동시켜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상기 불꽃(화염)에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mong the sensors of the sensor unit 40, the sensor 45 that detects a flame (flam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rared and ultraviolet wavelength regions of the flame when the flame (flame) is generated inside the installed place. When the analyzed characteristic is recognized as a fire, the recognized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60 and then drives the operation driver 10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to store the extinguishing liquid stored in the fire extinguisher 10. It is sprayed on a flame (fire)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불꽃 감지센서(45)를 통해 화재의 불꽃이 인식되면, 상기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불꽃이 발생된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driving unit 100, first, when the flame of the fire is recognized through the flame sensor 45,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should be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ame is generated.

이를 위해, 상기 마이컴(60)의 신호가 출력되면 이 출력된 신호에 따라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고, 상기의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직선기어(111)가 구동하게 되며, 상기 직선기어 (111)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 후단에 형성된 전환기어(12a)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직선기어(111)의 구동으로 인해 전환기어(12a) 또한 구동되어 소화기 (10)의 분사구(12)를 원하는 방향인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To this end, when the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is outputted, the injection hole direction switching motor 110 is driven to rotate in a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and the linear gear is driven by the injection hole direction switching motor 110. Since the linear gear 111 is engaged with the switching gear 12a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the switching gear 12a is driven by the linear gear 111. ) Is also driven to rotate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esired direction.

이때, 불꽃이 발생된 방향으로 분사구(12)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분사구 (12)를 수직으로 가압시켜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작동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jection hole 12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park is generated, the extinguishing liquid stored in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jected by vertically pressing the injection hole 12,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

상기 직선기어(111)가 약 1초간 구동하게 되면, 상기 분사구(12)는 전환기어 (12a)에 의해 45°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직선기어(111)는 기어방지턱 (112)에 의해 더 이상 이동 및 구동되지 않게 되며, 이때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는 약 20초간 연속하여 회동한 후에 정지하게 된다.When the linear gear 111 is driven for about 1 second, the injection hole 12 is rotated at an angle of 45 ° by the switch gear 12a, and the linear gear 111 is driven by the gear stopper 112. It is no longer moved and driven. At this time, the injection hole direction switching motor 110 is stopped after rotating continuously for about 20 seconds.

그리고,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축에는 회동한 후에도 모터의 손상을 발생시키기 않기 위해서, 원형의 사출성형물(미도시)을 삽입시키고, 외경 둘레에는 고무롤러(110a)을 구비시켜 상기 직선기어(111)와 접촉하게 한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motor even after it is rotated on the shaft of the injection hole redirection motor 110, a circular injection molded product (not shown) is inserted, and a rubber roller 110a is provided around the outer diameter to provide the straight line. Contact with the gear 111.

상기 직선기어(111)의 후단에 형성된 복귀단(113)은 구동 완료된 직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해, 즉 상기 무인 소화장치(1)의 사용후 또는 시험 조작후에 분사구 (12)가 중앙 위치에 자동 복귀하도록 상기 직선기어(111)의 하부면에 홈을 내어 스프링판이나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하여 이루어진다.The return stage 113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gear 111 automatically returns the injection port 12 to the center position after the use of the unmanned fire extinguishing device 1 or after the test operation. It is made by acting as a spring plate or a tension spring to make a groov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traight gear 111 to.

상기에서와 같이, 소화기(10)의 분사구(12)가 발생된 불꽃 지점을 향하여 위치시킨 다음 상기 소화기(10)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분사구(12)를 통해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01)가 일정속도를 갖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101)에 의해 제1기어(10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osition the injection port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toward the generated flame point and to spray the extinguishing liquid stored in the fire extinguisher 10 through the injection port 12, the microcomputer 60 first. The drive motor 101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a constant speed by the signal, and the first gear 102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drive motor 101.

이때, 상기 제1기어(10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맞물려 있는 제2기어(10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기어(103)의 축상에 구비된 단차진 제2기어(103a)는 맞물려 있는 제3기어(10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At this time, the first gear 10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gear 103 engag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tepped second gear provided on the axis of the second gear 103 ( 103a) rotates the interlocked third gear 104 clockwise.

이와 같이, 회전되는 제3기어(104)의 축상에 구비된 단차진 제3기어(104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맞물려 있는 캠기어(105)를 구동시키고, 상기 캠기어 (105)의 구동에 의해 누름캠(106)이 작동되어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수직운동으로 가압하게 된다.As such, the stepped third gear 104a provided on the axis of the third gear 104 to be rotated drives the cam gear 105 engaged while being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is driven by the cam gear 105. The pressing cam 106 is operated to press the injection port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n a vertical motion.

이때, 상기 누름캠(106)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단(109)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캠(106)이 수직 하강으로 작동하게 되면, 동시에 상기 보호단(109)은 상승되므로 소화기(10)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구(12)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분사(소화기의 용량에 따라 약 8∼20초간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되는 것이고, 이는 불꽃이 발생된 지점을 향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화재가 초기에 진화될 수가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protection cam 109 for protecting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tegrated in the push cam 106, when the push cam 106 operates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109 is raised so that the extinguishing liquid stored in the extinguisher 10 is easily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jection hole 12 (automatically spraying extinguishing liquid for about 8 to 20 seconds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extinguisher), The fire can be extinguished early because it is sprayed towards the point of occurrence.

상기의 제2기어(103) 및 제3기어(104)는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역활외에 원할한 작동을 위해서 회전력을 감소시키고 출력을 증가시키는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며, 상기 누름캠(106)은 분사구(12)의 분사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중력을 증가시키는 이중 캠 구조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gear 103 and the third gear 104 in addition to the ro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drive to perform a role of reducing the rotational force and increase the output for a smooth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press cam 106 is In order to increase the injection force of the injection hole 12, it is preferable to form a double cam structure to increase the gravity.

상기의 소화액 분사가 완료되면, 상기 캠기어(105)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07)에 의해 구동 완료된 캠기어(10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When the injection of the extinguishing liquid is completed, the cam gear 105 driven by the return spring 107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m gear 10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wait for the next operation.

그리고,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를 이루는 구성부들은 케이스 본체(20)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트(108)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108)의 측부에는 마이컴(60)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이 구비되어 있다.An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peration driving unit 100 is stably mounted on the bracket 108 provided in the case body 20, the side of the bracket 108, the microcomputer 60 is mounted printing A circuit board (PCB) is provided.

상기 무인 자동 소화장치(1)의 케이스 본체(20)에는 전원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시키는 아답터 잭(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 면 상단에는 LCD모니터창(22)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밧데리 사용량의 표시, 시간 및 온도 등과 같은 각종 작동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The case body 20 of th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is provided with an adapter jack 23 for connecting to facilitate the supply of pow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20 has an LCD monitor window ( 22) is provided to display a variety of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the display of the battery usage, the time and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후면 좌우측에는 공기의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통풍구(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호덮개(30)의 전면 중앙에는 소화기 (10)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하단에는 비상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재충전 건전지가 내장된 밧데리 단자(25)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body 20 are provided with vents (not shown) to allow air to be ventilated, respectively, and the mounting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10 can be check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protective cover 30. A viewing window 31 is formed, and a battery terminal 25 having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is provid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case body 20 to supply power in an emergency.

상기의 밧데리 단자(25)에 내장된 재충전 건전지의 용량이 떨어지면 상기 LCD모니터창(22)을 통해 교환시기 및 충전시기를 표시하게 되고, 이에 별도로 상기의 부저를 활용하게 되면 경보음(예를 들어, 삐리릭 삐리릭)을 출력하여 재충전 건전지의 교환시기 및 충전시기를 알려줄 수가 있을 것이다.When the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battery terminal 25 drops, the LCD monitor window 22 displays an exchange time and a charge time, and when an additional buzzer is used, an alarm sound (for example, , You can tell me when to replace and re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에는 전원 스위치(SW1)외에도 비상램프 스위치(SW2)와, 비상시의 상황이 끝날 경우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 스위치(SW3)가 구비되고, 이에 별도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LED1) 및 정상동작램프(LED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power switch SW1, an emergency lamp switch SW2 and an emergency stop switch SW3 for easily stopping a us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finished are provided at the upper front of the case body 20. The power lamp (LED1) and the normal operation lamp (LED2)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is provided.

상기의 무인 자동 소화장치(1)를 이용하여 실시할 경우 소화기(10)에 저장된 소화액의 분사거리는 분사구(12)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0.6m∼3m정도의 거리를 분사하게 되고, 분사된 소화액은 반경 약 30°정도로 형성됨을 알 수가 있다.When using th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the injection distance of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stored in the fire extinguisher 10 is sprayed at a distance of about 0.6 m to 3 m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injection hole 12, and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s injected. It can be seen that is formed with a radius of about 30 °.

이를 위해, 첨부도면 도 7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인 자동 소화장치(1)를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구(12)의 높이에 따라 소화액이 분사되 는 반경을 보여주는 실시예로서, 이는 케이스 본체(20)의 정면을 향한 지점에서 분사구(12)의 회전각은 반경 좌우측으로 약 45°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 (20)를 기준으로 하는 진화 반경은 분사구(20)의 회전 반경 90°와 소화액의 분사 반경 30°를 합한 약 120°정도되기 때문에 상기의 약 120°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화재의 발화지점을 진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7a to 8b, as an embodiment showing a radius in which the extinguishing liquid is spray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injection port 12 in the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is installed on the wall, This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injection hole 12 at a point facing the front of the case body 20 is rotated about 45 °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dius, the extinguishing radius relative to the case body 20 is the rotation of the injection hole 20 Since the sum of the radius of 90 ° and the spray radius of the extinguishing fluid is about 120 °,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the fire ignition point within the range of about 120 °.

따라서, 본 발명인 무인 자동 소화장치(1)는 설치 높이에 따라 분사 반경 및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의 주방이나 배전판 주변등과 같은 화재의 위험이 항상 내포하고 있는 장소의 적정한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시켜 사용하게 되면,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화재경보시스템보다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도 화재의 원인을 미리 알려주어 화재를 신속히 예방할 뿐만 아니라 화재시에는 대형화재를 미리 방지시키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1) may vary the spray radius and distanc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height, but the user at a suitable position of the place where the risk of fire, such as around the kitchen or the distribution board of the home at all times or When installed and used multiple times,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s quickly by notifying the cause of the fire at a lower cost than the fire alarm system, which is expensive, and to extinguish the fire that prevents large fires in advance. Don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된 장소에서 온도, 연기 및 가스에 대한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화재 발생시 화염 및 불꽃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화재의 발화점을 추적하여 진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의 원인이 사전에 감지될 수 있어 화재사고가 미연에 예방되는 효과와, 화재의 발화점이 센서에 의해 추적됨으로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가 가능하게 되어 대형화재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재충전 건전지와 비상램프가 구비되어 있어 정전시에도 원할한 전원 공급과 이로 인한 비상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효과등으로 인해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이 향상되어 이 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of temperature, smoke, and gas at an installed place, and outputs an alarm sound to inform the outside, and detects a flame and a flame by a sensor in case of a fire, and automatically fires a fire point. By tracking and extinguishing the fire, the cause of the fire can be detected in advance,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a fire accident is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ignition point of the fire is tracked by the sensor, which enables early extinguishing at the time of fire.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an emergency lamp, and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mproved due to the effect that the power supply and the emergency lamp function are performed even during a power failure. To maximize the user's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t can be effective at the same time.

Claims (5)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불꽃을 진화하기 위해 불꽃을 향하여 내장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소화기(10)가 내장되는 케이스본체(2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본체(20)의 전방에 노출토록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는 센서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케이스본체에 부저(50)가 설치되고,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마이컴(60)이 설치되는 자동소화장치에 있어서, In the event of a fire, a case body 20 in which a fire extinguisher 10 is installed to inject a fire extinguishing solution toward the flame to extinguish the flame is installed, and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ase body 20 to expose the day and night (晝夜). Sensor unit 40 for detecting, temperature sensing, gas sensing, flame sensing and smoke sensing is provided, and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an alarm sound is output to quickly notify the outside of the dangerous situation. I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having a buzzer 50 is installed in the case body, and the microcomputer 6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20 to drive and output a desired signal by controlling the signals of the components. 상기 소화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30)가 전면에 위치되고, 전면 상단부에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상태에서 비상시에 작동하는 비상전원으로 조명을 밝히도록 비상램프(21)가 설치되는 케이스본체(20); 및,The protective cover 3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the emergency lamp 21 to illuminate the lighting with emergency power operating in an emergency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is cut off at the front upper end. Case body 20 is installed; And,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10)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동작 구동부(100)의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When the flam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40 is made of a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drive unit 100 mounted inside the case body 20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10 to inject the extinguishing liquid, 상기 동작구동부(100)는,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1기어(102)가 구비되며, The operation driver 100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101 driven by the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the first gear 102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drive motor 101 is provided, 상기 제1기어(10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103)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2기어(103a)가 구비되며, A second gear 103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02 and rotates. A stepped second gear 103a is provided on an axis of the second gear 103. 상기 단차진 제2기어(10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3기어(104)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104)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3기어(104a)가 구비되며, The third gear 104 is engaged with the stepped second gear 103a and rotates, and the stepped third gear 104a is provided on the axis of the third gear 104. 상기 단차진 제3기어(104a)에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105)가 구비되고, 상기 캠기어(105)의 구동에 의해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수직운동으로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누름캠(106)이 구비되며, Cam gear 105 that is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stepped third gear (104a) is provided, and by operating the cam gear 105 to press the injection port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n a vertical motion to operate Press cam 106 is provided, 상기 캠기어(105)의 일측 끝단에는 구동 완료된 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107)이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성부들을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는 브라켓트(10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Multi-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cam gear 105 is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107 for returning the driven cam gear is connected, a bracket 108 for stably mounting the components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emergency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름캠(106)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단 (109)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The press cam 106 is 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on stage (109) for protecting the injection port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tegr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소정의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직선기어(111)가 구비되며, The operation driver 100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hole direction switching motor 110 for driving by the signal of the microcomputer 60 in order to rotate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to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Is provided with a straight gear 111 that is operated by the drive of the injection direction direction motor 110, 상기 직선기어(111)와 소화기(10)의 분사구(12) 후단에 형성된 전환기어 (12a)가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직선기어(111)가 일정한 길이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기어방지턱(112)이 상기 케이스 본체(20) 내부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The straight gear 111 and the switching gear 12a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jection ho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gear blocking jaw 112 is provided to prevent the straight gear 111 from moving beyond a certain length. It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side the case body 20, 상기 직선기어(111)의 후단에는 구동 완료된 직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해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복귀단(1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A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a multifunctional emergency mean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traight gear 111, wherein a return end 113 serving as a tension spring is formed to return the driven straight gear.
KR1020030072543A 2003-10-17 2003-10-17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Expired - Fee Related KR100576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43A KR100576807B1 (en) 2003-10-17 2003-10-17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43A KR100576807B1 (en) 2003-10-17 2003-10-17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08A KR20050037108A (en) 2005-04-21
KR100576807B1 true KR100576807B1 (en) 2006-05-10

Family

ID=3723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5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6807B1 (en) 2003-10-17 2003-10-17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80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3B1 (en) * 2008-01-15 2010-06-14 한국과학기술원 Automatic injection fire extinguisher and spraying method
KR101204642B1 (en) 2011-05-12 2012-11-23 임경범 Emergency lights System
WO2013022251A1 (en) * 2011-08-09 2013-02-14 (주)서한에프앤씨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1857163B1 (en) * 2017-03-10 2018-05-11 백민준 Fire extinguisher for vehicle
KR20180068507A (en) * 2016-12-14 2018-06-22 (주)두레샘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9300B2 (en) * 2006-05-18 2012-07-04 英夫 吉田 Fire extinguisher gas injector
CN107908256A (en) * 2017-12-13 2018-04-13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Easy-to-dismount flame proof enclosure
KR102118263B1 (en) * 2018-10-10 2020-06-02 문홍찬 Sprinkler
CN113129543B (en) * 2020-12-07 2025-05-16 保定市世纪消防工程有限公司 A fire alarm device and alarm metho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35845B1 (en) * 2022-01-12 2024-02-14 문병철 AI Flame Tracking Fire Extinguisher
CN116863674B (en) * 2023-07-18 2024-04-05 北京太青科技有限公司 Remote-control alarm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N120016675A (en) * 2025-04-16 2025-05-16 深圳市伟鹏世纪科技有限公司 Fire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3B1 (en) * 2008-01-15 2010-06-14 한국과학기술원 Automatic injection fire extinguisher and spraying method
KR101204642B1 (en) 2011-05-12 2012-11-23 임경범 Emergency lights System
WO2013022251A1 (en) * 2011-08-09 2013-02-14 (주)서한에프앤씨 Operating devic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20180068507A (en) * 2016-12-14 2018-06-22 (주)두레샘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KR101887914B1 (en) * 2016-12-14 2018-08-13 (주)두레샘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KR101857163B1 (en) * 2017-03-10 2018-05-11 백민준 Fire extinguish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08A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807B1 (en) Unmann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emergency means
US6029751A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7321301B2 (en) Wireless children&#39;s safety light in a security system
US5432500A (en) Overhead detector and light assembly with remote control
CN107863708A (en) A kind of dust-proof radiating electric power cabinet with fire-extinguishing function concurrently
CN207339031U (en) A kind of dust-proof radiating electric power cabinet with fire-extinguishing function concurrently
KR101625760B1 (en) Guiding apparatus to emergency exit
US20190169916A1 (en) Carbon Defense
KR20110002622A (en) Multifunctional Portable Fire Extinguisher System
KR20190093380A (en) Safty tool box
CN105513258A (en) Intelligent security lighting device
US7591322B2 (en) Fiber-optic based automatic fire-suppression controller
CN205412011U (en) Intelligence fire hose
CN212362146U (en) Warning device for oil smoke exhausting fireproof check valve
JP3139482U (en) Alarm system for escalator
CN116785618A (en) Automatic rotary battery compartment battery changing cabinet with fire-fighting function
KR100362691B1 (en) Rangehood with gas leakage sense and fire suppress function
CN205354260U (en) Intelligent security lighting device
CN106224878A (en) A kind of fire emergency lamp with blowing function
JP3566128B2 (en) Shut-off valve opening switch structure of microcomputer gas meter
CN201482034U (en) Independent intelligent extinguishment device
KR200335472Y1 (en) Emergency box
KR100576808B1 (en) Fragrance injector with emergency function
CN219680108U (en) Emergency article storage cabinet
CN216927780U (en) Gas alarm with ligh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