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5877B1 -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 Google Patents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877B1
KR100575877B1 KR1020050070533A KR20050070533A KR100575877B1 KR 100575877 B1 KR100575877 B1 KR 100575877B1 KR 1020050070533 A KR1020050070533 A KR 1020050070533A KR 20050070533 A KR20050070533 A KR 20050070533A KR 100575877 B1 KR100575877 B1 KR 10057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artificial wood
wood
artificial
buo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인조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인조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인조목재
Priority to KR102005007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8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지선은 부력을 받기 위한 부구와, 물건의 선적이 가능하도록 그 부구 위에 결합된 인조목재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바지선은, 염분에 잘 부식되지 않는 인조목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에 의한 파손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어 바지선의 수명이 길어지고, 선체 부식에 의한 수질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인조목재, 바지선, 가두리, 엠보싱

Description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Barge made of artificial wood}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바지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지선의 제작 시 사용되는 나사못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바지선의 제작과정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바지선 110...부구
111...케이스 112...스티로폼
120...본체 121...인조목재
121a...엠보싱 130...묶음용 끈
140...나사못 150...보강철판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 등에 운반선과 수산물 기자재 야적용으로 이용되는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댐과 같은 내수면이나 근해에 그물망으로 구획을 지어 그 안에서 물고 기 따위를 양식하는 이른바 가두리 양식이 성행하고 있다. 이 가두리 양식은 인공적인 수조를 설치하지 않고 자연환경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도 쉽게 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서 양식업 분야에 널리 확산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두리 양식장은 대개 바다나 호수 가운데로 깊이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곳에 사람이 작업을 위해 접근하거나 또는 양식장과 육지 간에 물건을 나르기 위해서는 운반선이 필요한데, 통상 그 운반량이 상당하고 횟수도 많아서 일반적인 소형 배보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지선(10)이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10)은, 부력을 받기 위한 부구(11) 위에 목재(12)를 여러 개 결합시켜서 상면을 평평하게 엮어 만든, 일종의 뗏목과 같은 형태의 배를 말한다. 상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선적할 수 있는 공간도 넓고, 선적과 하역 작업 시에도 선체의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되기 때문에, 양식업을 위해 바다나 호수 한가운데로 물건을 운반하고 그 위에서 작업을 하기 쉬워 이러한 바지선이 통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바지선(10)이 상기한 바와 같이 천연 목재(12)로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 목재(12)가 염분에 상당히 취약한 단점이 있다. 즉, 바다에 떠다니는 배이기 때문에 염분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는데, 목재(12)가 염분에 약하다 보니까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부식이 진행되어 바지선(10) 본체에서 목재(12)가 조금씩 떨어져 나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부식이 계속되면 결국 바지선(10)은 사용이 어려울 정도가 되어 폐기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문제는, 이와 같이 배가 부식되어 더 이상 쓸 수 없게 된다는 금전적인 손실보다도, 부식된 목재가 자꾸 바다나 호수에 쓸려 들어가면서 수질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이다. 즉, 배가 오래 사용되다 보면 수명을 다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도 볼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부식되어 떨어져 나간 폐목재들이 적절히 수거되지 못하고 주변에 떠다니는 것은 수질환경 악화에 직접적인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바지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염분에 잘 부식되지 않고 만들기도 쉬우며 작업자의 미끄러짐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바지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받기 위한 부구와, 물건의 선적이 가능하도록 그 부구 위에 결합된 본체를 포함하는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보강철판이 심어지고 표면이 엠보싱형상으로 된 인조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조목재들은 외주면에 드릴홈과 걸림부가 형성된 나사못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지선도, 부력을 받기 위한 부구(110)와, 물건 선적을 위한 본체(120)가 끈(130)으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평평한 본체(120)에 물건을 싣고 부구(110)의 부력으로 물 위를 떠다닐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본체(120)가 기존과 같은 천연 목재가 아니라 인조목재(121)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즉, 기존의 천연 목재는 염분에 의해 잘 부식이 되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를 쉽게 유발시켰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체(120)를 염분에 잘 부식되지 않는 인조목재(121)로 만들어서, 아무리 오래 사용해도 거의 부식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인조목재(121)는 폐자원을 녹여서 만들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계열의 폐플라스틱에, 비닐, 왕겨, 종이 등을 혼합하여 가열하고, 반응고상태의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면, 길다란 사각봉 형태의 인조목재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압출 성형을 하기 때문에 그 길이는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이것은 바지선 본체(120)의 중간 중간에 이음매가 없어도 된다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즉, 기존의 천연 목재는, 길이가 제각각인 목재들을 이어서 만들기 때문에, 본체(120) 중간 중간에 이음매가 생기게 되어 그곳이 취약점이 될 가능성이 많고, 연결하는 작업도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지만, 인조목재는 원하는 길이로 일정하게 압출성형되기 때문에, 그대로 연결만 하면 중간 이음매가 없는 깔끔한 본체(120)가 만들어진다.
또한, 인조목재(121)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계열이지만 못질도 무난하다. 즉, 단순한 플라스틱에 일정량의 발포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한 복합재료이기 때문에, 일반 플라스틱처럼 못질 시 부서지거나 하지 않고 나무처럼 못을 잘 받아준다. 따라서, 인조목재(121) 들을 연결할 때 일반 나무처럼 그대로 못을 쳐서 박으면 된다. 그리고,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드릴홈(141)과 걸림부(142)가 형성된 특수한 형상의 나사못(140)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드릴홈(141)에 의해 회전하면서 조여들어가는 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걸림부(142)가 박혀 있어서 잡아당겨도 여간해서는 잘 빠지지 않는 아주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조목재(121)는 단순한 플라스틱에 일정량의 발포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한 자재이기 때문에 외부의 힘에 의해 바지선이 파손되어도 파손물이 수면 위로 뜰 수 있기 때문에 파손물의 수거가 용이하여 환경오염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인조목재(121)의 표면은 원뿔, 사각, 마름모등의 어느 한 형상의 엠보싱(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작업자나 물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로서, 압출성형 시 다이(미도시)에 엠보싱 모양을 만들고 압출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즉,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어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본체(120) 상판이 물에 젖어 있어도 잘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인조목재(12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보강철판(150)을 심어 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바지선(100)을 조립하는 일 예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부구(110)를 인조목재(121)에 묶는다. 상기 부구(110)는 안에 스티로폼(112)이 들어있는 플라스틱 케이스(111)로 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끈(130)을 묶기 좋게 묶음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묶음홈(113)에 끈을 걸어서 인조목재(121)와 단단히 묶어둔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구(110)와 연결된 인조목재(121) 위에 그와 직각 방향으로 상판이 될 인조목재(121)를 올려놓는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인조목재(121)를 몇 층 더 쌓아올릴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바로 상판을 얹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상판이 될 인조목재(121)를 올린 후, 윗층과 아랫층의 인조목재 (121)를 나사못(140)으로 박아서 체결시킨다. 테두리에는 별도의 목재를 더 대고 나사못(140)을 박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2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된 인조목재 바지선(100)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바지선(100)을 사용하게 되면, 염분에 잘 부식되지 않는 인조목재의 특성 상 부식에 의한 파손이 거의 없게 되며, 따라서 수질을 오염시키는 일도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판에 울퉁불퉁한 엠보싱(12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작업하기에도 매우 편하고 안전해진다.
한편, 여기서는 바지선(100)이 가두리 양식장에서 운반선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는데, 이것은 일 예일 뿐이고 그 밖에도 해상 낚시터 왕복선이나 인근 섬 수송선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염분에 잘 부식되지 않는 인조목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에 의한 파손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어 배의 수명이 길어지고, 선체 부식에 의한 수질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인조목재 자체가 폐플라스틱과 같은 폐자원으로 만들어지므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고 폐자재에 의한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셋째, 인조목재는 압출성형으로 만들어지므로 원하는 길이만큼 마음대로 정할 수 있어서, 상판에 이음매가 없는 깔끔한 바지선을 만들 수 있다.
넷째, 인조목재의 표면을 압출성형 시 엠보싱 처리하면, 물에 젖어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안전한 상판을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부력을 받기 위한 부구와, 물건의 선적이 가능하도록 그 부구 위에 결합된 본체를 포함하는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보강철판이 심어지고 표면이 엠보싱형상으로 된 인조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조목재들은 외주면에 드릴홈과 걸림부가 형성된 나사못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형상은 원뿔, 사각, 또는 마름모 중 어느 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4. 삭제
  5. 삭제
KR1020050070533A 2005-08-02 2005-08-02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Expired - Fee Related KR10057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533A KR100575877B1 (ko) 2005-08-02 2005-08-02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533A KR100575877B1 (ko) 2005-08-02 2005-08-02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877B1 true KR100575877B1 (ko) 2006-05-02

Family

ID=3718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5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5877B1 (ko) 2005-08-02 2005-08-02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87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84B1 (ko) 2007-11-02 2010-03-15 주식회사 씨포트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KR101137500B1 (ko) * 2009-06-05 2012-04-20 주식회사 에코플랜 해양폐기물 집하장치
KR101232854B1 (ko) 2012-05-02 2013-02-13 남궁동우 수륙 연결용 부력 장치
KR101392207B1 (ko) * 2012-12-10 2014-05-14 정일교 Uv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 바지선
KR101807502B1 (ko) * 2017-08-04 2017-12-11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101880899B1 (ko) * 2017-01-24 2018-07-23 (주)경남해양테크 수상 부유구조물
KR102014812B1 (ko) * 2019-01-04 2019-10-21 동원철강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2041922B1 (ko) 2018-06-14 2019-11-27 이신원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튜브 구조의 선박 평형장치
KR102148255B1 (ko) * 2019-03-25 2020-08-26 최성진 금속재 뗏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84B1 (ko) 2007-11-02 2010-03-15 주식회사 씨포트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KR101137500B1 (ko) * 2009-06-05 2012-04-20 주식회사 에코플랜 해양폐기물 집하장치
KR101232854B1 (ko) 2012-05-02 2013-02-13 남궁동우 수륙 연결용 부력 장치
KR101392207B1 (ko) * 2012-12-10 2014-05-14 정일교 Uv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 바지선
KR101880899B1 (ko) * 2017-01-24 2018-07-23 (주)경남해양테크 수상 부유구조물
KR101807502B1 (ko) * 2017-08-04 2017-12-11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102041922B1 (ko) 2018-06-14 2019-11-27 이신원 공기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튜브 구조의 선박 평형장치
KR102014812B1 (ko) * 2019-01-04 2019-10-21 동원철강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KR102148255B1 (ko) * 2019-03-25 2020-08-26 최성진 금속재 뗏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877B1 (ko)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KR102203215B1 (ko)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102170716B1 (ko) 친환경 부자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20180083718A (ko)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101570334B1 (ko) 스마트 태그가 내장된 김 양식용 형광 부구장치
US7063033B1 (en) Stackable watercraft float system
KR101715289B1 (ko)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10221500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CN216196943U (zh) 一种水上游泳池
RU2381949C1 (ru) Сплоточная единица
KR200260483Y1 (ko) 침하식 어패류 양식 가두리 구조물
KR100306774B1 (ko) 합성수지체를 이용한 수상시설
KR20220079136A (ko)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수산부자
KR10031123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내파성 가두리 양식장의 프레임 구조
RU43735U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CN209241269U (zh) 一种漂浮桶
CN210054281U (zh) 单板式塑胶渔排
KR200282166Y1 (ko) 파이프 결속부를 갖는 부구
KR102630863B1 (ko) 단위 부력체 및 단위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 조립방법
KR20120057591A (ko) 플로트 제조방법
CN220343252U (zh) 一种供水禽上下池塘堤岸的桥板
KR102138234B1 (ko) 조립식 수상 구조물
Bonardelli et al. Technical evaluation of submerged mussel farms in the Baltic Sea
KR102594200B1 (ko) 양식장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