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5543B1 -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43B1
KR100575543B1 KR1020030062181A KR20030062181A KR100575543B1 KR 100575543 B1 KR100575543 B1 KR 100575543B1 KR 1020030062181 A KR1020030062181 A KR 1020030062181A KR 20030062181 A KR20030062181 A KR 20030062181A KR 100575543 B1 KR100575543 B1 KR 10057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n
power
protocol communication
talk
transce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934A (ko
Inventor
정제윤
Original Assignee
(주)에이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딕 filed Critical (주)에이딕
Priority to KR102003006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은 통신선;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전원 변환부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하는 제1 론 제어부와, 상기 제1 론 제어부와 상기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가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제1 론 트랜시버, 및 상기 제1 론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상기 제1 론 트랜시버와 임피던스 매칭 시켜서 상기 통신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제1 론 트랜시버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신호 합성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선으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내부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통신선을 통해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의 제조비가 대폭 절감된다.

Description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LON talk protocol communication system and LON talk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및 신호 합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 및 신호 분리부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신호들의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적용한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론(LON; Local Open Network) 토크 프로토콜(Talk Protocol)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선을 통해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전원을 함께 전송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론 토크 프로토콜은 통신망에 연결된 장치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 규약이다. 즉, 론 토크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도 1은 종래의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선(131)에 다수개의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111a∼111n)이 연결되어 있으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111a∼111n)은 통신선(131)을 통해서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111a∼111n)에는 전원 공급 장치들(121a∼121n)이 하나씩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 장치들(121a∼121n)을 통해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111a∼111n)은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101)에 구비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111a∼111n)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별도로 전원 공급 장치들(121a∼121n)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101)을 구성하기 위한 제조비가 많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선을 통해서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함께 전송하고 또 수신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선을 통해서 전원과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선;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소정 레벨로 변환하여 내부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변환된 전원을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함께 상기 통신선으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선으로부터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로부터 전원을 분리하여 내부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는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에 연결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받아서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하는 론 제어부; 상기 론 제어부와 외부 장치가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론 트랜시버; 및 상기 론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상기 론 트랜시버와 임피던스 매칭 시켜서 상기 통신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상기 전원 변환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전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론 트랜시버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신호 합성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제조비가 감소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201)은 전원 공급 장치(221),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 제1 및 제2 통신선들(241,251) 및 다수개의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231a∼231n)을 포함한다.
제1 통신선(241)은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함께 전송한다.
제2 통신선(251)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만을 전송한다.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는 전원 공급 장치(2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원을 내부 회로에 적합한 레벨로 변환하여 사용하며,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합성하여 제1 통신선(241)으로 전송한다.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는 또한, 제2 통신선(251)을 통해서 다른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미도시)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한다.
다수개의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231a∼231n)은 제1 통신선(241)을 통해서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231a∼231n)은 각각 수신한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분리된 전원을 내부 회로에 적합한 전원레벨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231a∼231n)은 각각 제1 통신선(241)을 통해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가 제1 통신선(241)을 통해서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함께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231a∼231n)은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201)의 구성이 간단하며, 이로 인하여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201)의 제조비가 종래에 비해 대폭적으로 절감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는 전원 변환부(311), 론 제어부(321), 론 트랜시버(331) 및 전원/신호 합성부(341)를 구비한다.
전원 변환부(311)는 전원 공급 장치(도 2의 221)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의 내부 회로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한다. 즉, 전원 변환부(311)는 전원 공급 장치(도 2의 2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론 제어부(321), 론 트랜시버(331) 및 전원/신호 합성부(341)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레벨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론 제어부(321)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한다. 론 제어부(321)는 뉴론칩(미도시)과 부가회로(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부가회로는 상기 뉴론칩과 연결되며, 론 통신망의 제어신호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입력장치를 위한 회로, 출력 장치를 위한 회로, 표시를 위한 회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를 부가하고, LED를 부가한다면, 상기 뉴론칩에 의해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망의 통신 변수를 해석하여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LED로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회로에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추가하여 특수연산 및 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론 트랜시버(331)는 론 제어부(321)와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231a∼231n)이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한다. 론 트랜시버(331)는 또한, 제2 통신선을 통해서 다른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와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다.
전원/신호 합성부(341)는 론 트랜시버(331)로부터 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전원 변환부(31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하고, 론 토크 프로 토콜 통신 신호를 론 트랜시버(331)와 임피던스 매칭 시킨 상태에서 전원과 함께 제1 통신선으로 송신한다. 전원/신호 합성부(341)는 또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전원 변환부(311)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여 론 토크 프로토콜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원 변환부(311)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론 트랜시버(331)로 입력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전원/신호 합성부(341)는 제1 통신선에서 입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론 트랜시버(331)로 전달하는 기능도 갖는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신호 합성부(341)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신호 합성부(341)는 제1 내지 제4 캐패시터들(C1∼C4), 트랜스포머(411), 다이오드 그룹(421) 및 제1 및 제2 인덕터들(L1,L2)을 구비한다.
터미널들(T1,T2)은 론 트랜시버(도 3의 331)의 출력 라인들에 연결되고, 터미널들(T3,T4)은 제1 통신선(도 2의 241)에 연결되며, 터미널들(T5,T6)은 전원 변환부(도 3의 311)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C1,C2)은 트랜스포머(4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3 및 제4 캐패시터들(C3,C4)은 트랜스포머(411)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 캐패시터들(C1∼C4)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는 통과시키고, DC 전원은 차단한다.
트랜스포머(411)는 론 트랜시버(도 3의 331)의 출력단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다. 따라서, 트랜스포머(411)에 입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는 론 트랜시버(도 3의 331)와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어서 최적 상태로 출력된다.
다이오드 그룹(421)은 트랜스포머(411)의 타측에 연결되며, 트랜스포머(411) 에 입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의 진폭을 제한한다. 다이오드 그룹(421)은 트랜스포머(411)의 타측에 연결된 2개의 라인들(43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복수개의 다이오드들(D1,D2), 및 2개의 라인들(43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제1 복수개의 다이오드들(D1,D2)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제2 복수개의 다이오드들(D3,D4)을 구비하며, 다이오드들(D1,D2)을 상호 접속하는 노드(N1)와 다이오드들(D3,D4)을 상호 접속하는 노드(N2)가 서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L1,L2)은 트랜스포머(411)의 타측에 연결되며, 트랜스포머(411)의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다. 즉,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는 각각 트랜스포머(411)의 인덕턴스의 절반값을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인덕터(L1)나 제2 인덕터(L2)를 하나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제1 인덕터(L1) 또는 제2 인덕터(L2)의 인덕턴스는 트랜스포머(411)의 인덕턴스와 같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L1,L2)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전원 변환부(도 3의 311)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원만을 전원 변환부(도 3의 311)로 공급해준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L1,L2)은 또한, 전원 변환부(도 3의 311)의 내부 캐패시턴스에 의해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감쇄되는 것을 막아준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31a)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31a)는 론 제어부(541), 론 트랜시버(531), 전원 변환부(511) 및 전원/신호 분리부(521)를 구비한다.
론 제어부(541)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도 2의 211)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론 제어부(541)는 뉴론칩(미도시)과 부가회로(미도시)를 구비하며, 부가회로는 도 3의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통해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론 트랜시버(531)는 론 제어부(541)와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도 2의 211)가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한다.
전원 변환부(511)는 제1 통신선(도 2의 241)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31a)의 내부 회로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한다. 즉, 전원 변환부(511)는 제1 통신선으로부터 수신한 전원전압을 론 제어부(541) 및 론 트랜시버(531)에 적합한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전원/신호 분리부(521)는 제1 통신선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원 및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입력하고,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는 론 트랜시버(531)로 전송하고, 전원은 전원 변환부(511)로 전송한다. 이 때, 전원/신호 분리부(511)는 전원이 론 트랜시버(5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전원 변환부(5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신호 분리부(521)의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신호 분리부(521)는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C5,C6), 및 제1 및 제2 인덕터들(L3,L4)을 구비한다.
터미널들(T11,T12)은 제1 통신선(도 2의 241)에 연결되고, 터미널들(T13,T14)은 론 트랜시버(도 5의 531)에 연결되며, 터미널들(T15,T16)은 전원 변환부(도 5의 511)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C5,C6)은 전원이 론 트랜시버(도 5의 5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론 토크 프로토콜 신호만을 론 트랜시버(도 5의 531)로 전달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L3,L4)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전원 변환부(도 5의 5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원만을 전원 변환부(도 5의 511)로 전달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L3,L4)은 론 트랜시버(도 5의 531)의 출력단 인덕턴스 및 트랜스포머(도 4의 411)의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다. 즉, 제1 인덕터(L3)와 제2 인덕터(L4)는 각각 트랜스포머(도 4의 411)의 인덕턴스의 절반값을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인덕터(L3)나 제2 인덕터(L4)를 하나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제1 인덕터(L3) 또는 제2 인덕터(L4)의 인덕턴스는 트랜스포머(도 4의 411)의 인덕턴스와 같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신호 합성부(도 3의 341)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도 4의 411)와 인덕터들(도 3의 L1,L2)의 인덕턴스가 론 트랜시버(도 3의 331)의 출력단 인덕턴스와 매칭되지 않거나 또는 전원/신호 분리부(도 5의 521)에 구비되는 인덕터들(L3,L4)의 인덕턴스가 트랜스포머(도 4의 411)의 인덕턴스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721)와 같이 파형이 왜곡되지만, 이들이 매칭될 경우에는 신호(711)와 같이 정상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만일, 캐패시터들(도 4의 C1∼C4, 도 6의 C5,C6))의 캐패시턴스가 론 토크 프로토콜에 규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에도 신호(721)와 같이 그 파형이 왜곡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적용한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801)은 조명 제어 장치(811), 전원 공급 장치(821), 조명 기기들(841a∼841n), 전기선(871), 스위치 제어 장치들(831a∼831n) 및 스위치들(851a∼851n, 861a∼861n)을 구비한다.
조명 제어 장치(811)는 전원 공급 모듈(813)과 릴레이 모듈(815)을 구비한다. 전원 공급 모듈(81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11)로 구성되며, 전원 공급 장치(8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릴레이 모듈(815)을 구동하여 조명 기기들(841a∼841n)에 전원을 공급한다. 조명 제어 장치(811)는 또한, 전기선(871)으로 전원과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스위치 제어 장치들(831a∼831n)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스위치 제어 장치(831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 제어 장치(831a)는 전원 사용 모듈(833a)과 스위치 모듈(835a)을 구비한다. 전원 사용 모듈(833a)은 도 2에 도시된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231a)로 구성되며, 전기선(87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스위치 모듈(835a) 및 스위치들(851a∼851n)에 공급하고, 스위치들(851a∼851n)의 온(on)/오프(off) 상태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기선(871)으로 전송한다. 스위치들(851a∼851n)의 온/오프 상태가 스위치 모듈(835a)에 구비되는 LED에 표시 되게 할 수 있다.
스위치들(851a∼851n)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조명기기들이 점등 또는 소등된다. 이 상태가 릴레이 모듈(815)에 구비되는 LED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제어 장치(831a)는 별도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조명 제어 장치(811)로부터 전기선(871)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원을 받아서 동작한다.
여기서, 조명 기기들(841a∼841n)을 특정한 곳에 설치하고, 스위치 제어 장치(831a) 및 스위치들(851a∼851n)을 상기 특정한 곳과 멀리 떨어진 통제실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통제실에서 스위치들(851a∼851n)을 조작하여 원격지의 조명 기기(841a∼841n)들을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기존의 론 통신망을 별도의 장치 없이 조명 제어 장치(811)에 연결하면, 조명 기기들(841a∼841n)의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도 2의 211)를 이용하여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통신선(도 2의 241)으로 전송하고,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들(도 2의 231a∼231n)은 통신선(도 2의 24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함에 따라 본 발명의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그로 인하여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제조비가 대폭적으로 절감된다.

Claims (11)

  1. 삭제
  2. 통신선;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전원 변환부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하는 제1 론 제어부와, 상기 제1 론 제어부와 상기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가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제1 론 트랜시버, 및 상기 제1 론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상기 제1 론 트랜시버와 임피던스 매칭 시켜서 상기 통신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제1 론 트랜시버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신호 합성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선으로부터 전원과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로부터 전원을 분리하여 내부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는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신호 합성부는
    상기 제1 론 트랜시버의 출력 라인들에 연결된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
    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론 트랜시버의 출력단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에 연결된 제3 및 제4 캐패시터들;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신호 합성부에 입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다이오드 그룹;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과 상기 제1 전원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4. 통신선;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소정 레벨로 변환하여 내부 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변환된 전원을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함께 상기 통신선으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및
    상기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와의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하는 제2 론 제어부와, 상기 제2 론 제어부와 상기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가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제2 론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한 전원을 소정 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론 제어부 및 제2 론 트랜시버로 공급하는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통신선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원 및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는 상기 제2 론 트랜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로 전송하는 전원/신호 분리부를 구비하는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신호 분리부는
    상기 통신선과 상기 제2 론 트랜시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 및
    상기 통신선과 상기 제2 전원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론 트랜시버의 출력단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지며,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전원만을 통과시키는 인덕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연결되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만을 전송하는 다른 통신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수신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8.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에 연결된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받아서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하는 론 제어부;
    상기 론 제어부와 외부 장치가 상호간에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론 트랜시버; 및
    상기 론 트랜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와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를 상기 론 트랜시버와 임피던스 매칭 시켜서 상기 통신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가 상기 전원 변환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전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론 트랜시버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신호 합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신호 합성부는
    상기 론 트랜시버의 출력 라인들에 연결된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
    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들에 연결되며, 상기 론 트랜시버의 출력단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에 연결된 제3 및 제4 캐패시터들;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합성부에 입출력되는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다이오드 그룹;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과 상기 전원 변환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다이오드 그룹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에 연결된 2개의 라인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복수개의 다이오드들; 및
    상기 2개의 라인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다이오드들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제2 복수개의 다이오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다이오드들을 상호 연결하는 노드들과 상기 제2 복수개의 다이오드들을 상호 연결하는 노드들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에 연결된 2개의 라인들 중 하나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의 절반값을 갖는 제1 인덕터; 및
    상기 2개의 라인들 중 다른 하나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의 절반값을 갖는 제2 인덕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용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장치.
KR1020030062181A 2003-09-05 2003-09-05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57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81A KR100575543B1 (ko) 2003-09-05 2003-09-05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81A KR100575543B1 (ko) 2003-09-05 2003-09-05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934A KR20050024934A (ko) 2005-03-11
KR100575543B1 true KR100575543B1 (ko) 2006-05-03

Family

ID=3723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181A Expired - Lifetime KR100575543B1 (ko) 2003-09-05 2003-09-05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30B1 (ko) * 2010-04-26 2010-09-28 (주)써니콘트롤스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통합 자동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934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468A (en) Power feed for Ethernet telephones via Ethernet link
CN104065253B (zh) 电力变换装置、驱动装置及驱动方法
CN101421765B (zh) 双向直流隔离传输通道
CN110460449B (zh) 中继器及供电方法
CN108233991A (zh) 一种基于rs485的直流载波通讯系统
US75364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function using unique port in wireless terminal
US9887738B2 (en) Electrical system adapted to transfer data and power between devices on a network
US7200176B1 (en) Transformerless ethernet controller
KR100575543B1 (ko) 론 토크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 및 전원 공급용 론 토크프로토콜 통신 장치
CN208477322U (zh) Poe网络接口扩展电路、中继器及网络监控系统
CN107862851B (zh) Mbus总线发送信号转换电路及其转换方法
CN111092661A (zh) 一种光电隔离双向中继器电路及防水中继器
CN104020532A (zh) 一种usb口的串行通信光纤转换装置
JP2004112812A (ja) 光通信用媒体変換器の電力供給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KR101349889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원 송수신 회로장치
CN104079285A (zh) 信号线受电电路、信号线供电电路与信号线供电系统
CN218473019U (zh) 储能电源及储能电源供电系统
CN112527726B (zh) 一种利用变压器实现多路信号复用的电路
CN112202572B (zh) 一种poe电源传输装置、poe交换机和poe系统
CN217607826U (zh) 一种以太网接口电路
CN2187857Y (zh) 两线制串行电流环通讯总线
US11690154B2 (en) Network addressable lighting device architecture
CN220457412U (zh) 抗干扰通信电路、逆变电源及充电系统
CN1504971A (zh) 电器总线控制方法及其产品
EP2741428A1 (en) Network access device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30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