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4617B1 - 승용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617B1
KR100574617B1 KR1020050005082A KR20050005082A KR100574617B1 KR 100574617 B1 KR100574617 B1 KR 100574617B1 KR 1020050005082 A KR1020050005082 A KR 1020050005082A KR 20050005082 A KR20050005082 A KR 20050005082A KR 100574617 B1 KR100574617 B1 KR 10057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ransplanter
passenger
automatic
travel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태용
감병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1/00Carrying forward or transferring entries from one page to another, e.g. for book-keeping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을 포함하는 주행 본체부(100)와, 이 주행 본체부(100)와 요동 가능상태로 연결된 이앙 작업기부(200)와, 이들 주행 본체부(100)와 이앙 작업기부(200)를 포함한 이앙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조향핸들(251, 252) 상에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을 구비하거나, 또는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251-2, 252-2)을 함께 구비하는 한편, 갑판 상에는 HST 변속페달(180)을 구비함으로써,
주행 변속을 포함한 모든 조작이 조향핸들 상의 버튼과 갑판 상의 페달을 통하여, 또는 조향핸들 상의 버튼만을 통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승용이앙기, 이앙 작업기부 제어

Description

승용이앙기{Saddle rice transplanter}
도 1 은 일반적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일반적 구조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승강레버 조작 경로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구성하는 조향핸들의 평면도,
도 5(b)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구성하는 조향핸들의 평면도,
도 6(a) 내지 6(c)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 이앙 작업기부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 전체적 제어체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주행 본체부 20, 200 : 이앙 작업기부
16 : 승강레버 17 : 요동레버
150 :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160 :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
180 : HST 변속페달 251, 252 : 조향핸들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 형태의 조작 수단을 배제함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구조의 승용이앙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낸 도 1 에 따르면, 승용이앙기(1)는 엔진(11), 운전석(12), 전륜(13), 후륜(14),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15), 계기판 및 패널(panel) 등을 포함하는 주행 본체부(10)와, 모 탑재대(21) 및 플로트(float)(22) 등을 포함하는 이앙 작업기부(20)로 크게 구분되며, 이들 두 부분은 상호 요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앙 작업이 이루어지는 물논은, 상기 전륜(13) 및 후륜(14)이 그 위를 굴러가게 되는 견고한 논 바닥면으로서의 경반과, 플로트(22)가 그 표면에 닿은 상태로 끌려가게 되는 침수 연질 토양으로 구성된다.
즉, 주행 본체부(10)를 움직이는 상기 전륜(13) 및 후륜(14)은 울퉁불퉁한 경반 위를 요동하며 나아가는 반면, 이앙 작업기부(20)를 구성하는 상기 플로트(22)는 침수 연질 토양, 즉 물 속 진흙의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면서 비교적 큰 요동 없이 나아간다.
이앙 작업 진행 중에 있어서는 상기 이앙 작업기부(20)의 하단에 배치된 이식기(23)가 상기 모 탑재대(21)로부터 매번 일정량의 모를 집어내어 상기 진흙 속 에 적정 깊이로 옮겨심는 동작을 계속하게 되며, 이 동작은 바로 기계에 의한 이앙 작업의 기본이다.
그런데, 전륜(13) 및 후륜(14)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 본체부(10) 전체가 울퉁불퉁한 경반 위를 요동하며 나아가는 동안 모 탑재대(21) 및 이식기(23)를 포함하는 상기 이앙 작업기부(20)는 주행 본체부(10)의 요동과 무관하게 시종 일정한 깊이로 모를 심어 나가야 한다.
한편, 이앙 작업기부(20)로 하여금 주행 본체부(10)의 요동과 무관하게 일정 깊이의 이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 본체부(10)상의 운전석(12) 부근에는 통상의 이앙 작업기부 승강레버(16)(이하, "승강레버"라 함)에 더하여 자동이앙 제어용 요동레버(17)(이하, "요동레버"라 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레버(16)는 운전석(12) 측방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요동레버(17)는 조향핸들(handle) 바로 하방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레버(16)는 통상의 수동식 레버로서,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도 2 상의 승강레버 조작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앙 작업기부의 "상승", "하강" 등 각각의 멈춤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승강레버 조작경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하나는 도면상의 "자동"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이때 상기 이앙 작업기부의 상승 또는 하강은 후술하는 바의 자동제어장치에 의한 통제를 받게 되며, 다른 하나는 조작경로상의 "상승" 위치로부터 "이앙작업"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부분, 말하자면, 수동 조작에 의한 통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요동레버(17)는 다접점 레버의 일종으로서, 승강레버(16)가 상기 "자동" 위치에 놓여 있는 경우에만 그 기능을 발휘한다.
즉, 승강레버(16)가 "자동" 위치로 놓여진 상태하에서, 작업자가 요동레버(17)를 상하방향으로 눌러주면 그 누르는 순서대로 이앙 작업기부(20)의 하강, 이앙클러치 연결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바쁜 이앙작업 도중 이앙 작업기부(20)의 승, 하강은 물론 이앙클러치의 단속을 위하여 일일이 승강레버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승강레버(16) 및 요동레버(17)에는 후륜펜더(19)상의 상한 리미트(limit) 스위치(switch) 및 플로트(22)상의 플로트센서(sensor) 등과 같이 각각의 센서류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센서는 그 측정 내지 감지 결과를 상기 운전석 하방의 중앙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준다.
한편, 상기 요동레버(17)는 이앙 작업기부(20)의 상승 및 하강과 이앙클러치의 연결 및 끊음을 제어하는 기능 이외에도, 선긋기 마커(marker) (24)의 펼침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요동레버(17)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주면 좌, 우측 선긋기 마커(24) 가운데 어느 한쪽이 펼쳐진다.
예를 들면, 상기 요동레버(17)를 전방으로 밀면 좌측 선긋기 마커가 펼쳐지는 반면, 후방으로 당기면 우측 선긋기 마커가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펼침 과정과는 반대로, 이들 좌, 우측 선긋기 마커는 상기 이앙 작업 기부 상승 시 링크 작동에 의하여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승용이앙기(1)에 있어 운전석(12) 주위의 레버 배치상황을 좀 더 살펴보면, 운전석 좌측 전방으로는 HST 변속레버(18)라는 또 하나의 레버가 배치되는데, 이 레버는 트랜스밋션 케이스(transmission case) 내부의 유압식 무단변속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승용이앙기(1) 자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처럼, 종래 승용이앙기(1)의 운전석(12) 주위에는 3 개의 레버(16, 17, 18)가 배치되며, 작업자는 이앙작업 도중 이들 다수의 레버를 때로는 번갈아 가며, 또 때로는 동시에 조작해야 했다.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상기와 같은 종래구조의 승용이앙기(1)는 레버 조작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자동제어장치 채택에도 불구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요동레버(17)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여 좌, 우측 선긋기 마커(24)를 펼치도록 되어 있는데, 숙련이 덜 된 작업자의 경우 요동레버 조작상의 "전후"와 상기 선긋기 마커 작동상의 "좌우" 사이에 혼란을 일으켜 잘못 조작하는 경우도 많았다.
운전석 주위에 다수의 조작 레버가 배치됨으로 인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을 HST 변속레버 상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승강 레버 및 요동 레버를 삭제한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5790호)
그러나, 출원인에 의한 상기 특허출원의 승용이앙기에 따르더라도, 울퉁불퉁한 경반 사정 때문에 특히 조향에 신경을 쓰면서 상기 HST 변속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떠한 형태의 조작 레버도 갖지 않는 보다 합리적 제어 체계를 갖춤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승용이앙기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변속을 포함한 모든 조작이 조향핸들 상의 버튼과 갑판 상의 페달을 통하여, 또는 조향핸들 상의 버튼만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향핸들 상에 합체함으로써 달성된다.
조향핸들 상에 다수의 조작 레버 기능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실시예로 구분되는데, 그 하나는 조향핸들 상에 이앙 작업기부 승강 제어 기능만이 부가된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조향핸들 상에 이앙 작업기부 승강 제어 기능과 선긋기 마커 펼침 제어 기능이 함께 부가된 경우이다.
즉,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는, 상기 조향핸들 상에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을 구비하는 한편,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과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를 운전석 주위의 적정 위치에 배치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는, 상기 조향핸들 상에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을 함께 구비하는 한편,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운전석 주위 적정 위치에 배치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 또는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배치하는 적정 위치로서는 운전석 전방의 패널이 바람직하겠으나, 작업자의 손 또는 발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범위 내의 다른 위치, 또는 버튼 이외의 다른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은 페달 형태로 하여 오른쪽 갑판 상의 브레이크 페달 옆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두 가지 실시예 중 어느 경우에 따르더라도, 이앙 작업기부 제어를 조향핸들 상의 버튼으로 수행하는 한편, HST 변속페달 조작을 갑판 상의 페달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앙 작업 중 어떠한 형태의 레버 조작도 불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작업자는,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제어모드를 결정하고 나면, 조향핸들 잡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버튼을 누르거나 페달을 밟아주기만 하면 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자동" 또는 "수동"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작업자의 실수 또는 기계고장 등으로 인하여 버튼 작동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상기 이앙 작업기부의 승, 하강을 자동 정지시키는 일종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 이앙기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 3 과, 그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용 이앙기의 평면도인 도 4 에 따르면, 운전석(120) 주위에 어떠한 형태의 조작 레버도 없는 반면, 조향핸들(251) 상에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이 구비되며, 운전석 전방의 패널 상에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160)과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왼쪽 갑판 상에는 변속페달(180)이 배치됨으로써, 주행 속도의 가, 감속은 물론 전, 후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있어 조향핸들(251)의 평면도인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향핸들(251)의 우측단부에는 "상" 및 "하"로 표시된 두 개의 단위 버튼(a, b)으로 구성된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이 배치되어 있다.
단위 버튼(a)은 이앙 작업기부를 상승시키는 반면, 단위 버튼(b)은 이앙 작업기부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조향핸들을 조작하여 방향을 잡아 나가면서,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는 이앙 작업기부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한 줄의 이앙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선긋기 마커를 접어 넣을 필요가 있을 경우, 오른쪽 손으로 조향핸들을 잡은 상태 그대로, 왼쪽 손으로는 그 좌측 전방의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160)을 조작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향핸들 상에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이 함께 구비된 특징이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있어 조향핸들의 평면도인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향핸들(252)의 우측단부에는 역시 "상" 및 "하"로 표시된 두 개의 단위 버튼(a, b)으로 구성된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2-1)이 배치되는 한편, 당해 조향핸들(252)의 좌측단부에는 "좌" 및 "우"로 표시된 두 개의 단위 버튼(c, d)으로 구성된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252-2)이 배치되어 있다.
단위 버튼(c)은 좌측 선긋기 마커를 펼쳐지도록 하는 반면, 단위 버튼(d)은 우측 선긋기 마커를 펼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조향핸들을 조작하여 방향을 잡아 나가면서,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는 이앙 작업기부의 승강을 제어, 왼쪽 엄지손가락으로는 선긋기 마커의 펼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실시예의 경우, 작업자는, 조향핸들로부터 손을 뗄 필요조차 없이, 마치 게임기의 조이스틱(joy-stick) 다루듯이, 시종 경쾌한 기분으로 이앙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향핸들 상에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만을 배치한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는, 버튼 조작 상의 혼선은 없을지 모르나, 게임기의 조이스틱 다루듯이 경쾌한 기분을 느끼도록 하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경우 보다 작업 편의성은 떨어지는 불합리한 면이 있다.
참고로, 상기 제 2 실시예의 경우, 조향핸들(252)의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2-1)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252-2)의 최초 위치가 서로 뒤바뀜으로 인한 문제, 즉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2-1)이 조향핸들 좌측단으로, 선긋기마커 제어용 버튼(252-2)이 조향핸들 우측단으로 이동함으로 인한 버튼 조작 실수를 염려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곧은 줄을 따라가며 모를 심는 이앙 작업의 특성 상 그러한 경우를 가정 내지 고려할 필요는 없다.
이처럼, 본 발명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는, 조향핸들(251, 252) 상에다 이앙 작업기부 제어 기능을 부가, 또는 이와 함께 선긋기 마커 제어 기능을 부가하는 동시에, 레버 형태의 조작 수단을 모두 삭제함에 따라, 작업자는 조향핸들에만 신경을 쓰면 되므로, 바쁜 가운데 여러 가지 레버를 동시에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던 종래에 비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운전석 전방의 패널 상에 배치된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50)는 후술하는 바의 자동 또는 수동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작업자는 이앙 작업을 시작함에 있어 우선 이를 조작함으로써 작업의 제어 모드를 먼저 선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상기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 252-1) 또는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252-2)처럼 작업 중 비교적 자주 조작할 필요는 없으므로, 조향핸들(251, 252) 상의 버튼 군으로부터 분리 배치하더라도 작업상의 불편은 없다.
도시한 바와는 달리,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70) 또한 조향핸들(251, 252) 상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에 있어 상기 HST 변속페달은, 그 지지축이 링크(link) 구조를 통하여 HST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도 3 상의 HST 변속페달(180)의 전반부(F)를 밟으면 전진 가속, 후반부(R)를 밟으면 후방 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페달 및 링크 기구에 의한 변속 구조는 당 업계를 비롯하여 관련 산업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로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링크 구조 채택이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 상에서는 이를 특정의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5790호에서와 동일한 구조의 주행변속 감지수단을 채택하고자 하면, 당해 특허출원에 있어 첨부도면(도 5) 상의 변속레버를 삭제하는 대신, 주행변속 감지수단으로서의 가변 저항기 등 나머지 부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변속페달(180)의 지지축 부위와 링크로 연결하면 된다.
도 6(a) 내지 6(c)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 그 이앙 작업기부에 대한 제어 로직(logic)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flowchart)이다.
상기 도 6(a) 내지 도 6(c) 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5790호의 내용과 동일하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제어로직 전체를 설명하고자 여기서 인용한다.
상기 제어로직은 통상 계기판 또는 운전석 하방에 장착되는 자동제어장치 내부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해의 편의를 돕고자, 플로우챠트 상의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이 의미하 는 바를 우선 설명한다.
"상승 스위치"는 상기 조향핸들(251, 252) 상의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 252-1)을 구성하는 두 개의 단위 버튼(a, b) 중 단위 버튼(a)에 연결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이앙 작업기부는 상승하게 된다. (이하, 상기 단위 버튼(a)의 조작을 "상승 스위치"의 접속으로 표현함)
"하강 스위치"는 상기 조향핸들(251, 252) 상의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 252-1) 중 단위 버튼(b)에 연결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이앙 작업기부는 하강하게 된다. (이하, 상기 단위 버튼(b)의 조작을 "하강 스위치"의 접속으로 표현함)
"플로트센서"는 이앙 작업기부 하단의 상기 플로트에 인접 배치된 센서로서, 플로트가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플로트센서로부터의 신호값이 설정값에 이르렀다는 것은 플로트를 포함한 이앙 작업기부가 지면에 닿았음을 나타낸다.
"상한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주행 본체부 후방의 후륜팬더에 인접 배치된 스위치로서, 상기 이앙 작업기부의 상한위치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 스위치가 접속되었다고 하는 것은 이앙 작업기부가 상한위치까지 상승했음을 나타낸다.
"HST페달센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HST 변속페달 하단부에 구비된 주행변속 감지수단으로서, 승용이앙기 자체의 주행변속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앙 작업기부의 승강 제어와 관련하여서는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 여부를 상 기 자동제어장치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각각의 플로우챠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는 하강제어 로직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이앙 작업기부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플로우챠트 상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ON"?」 단계는 상기 이앙 작업기부 제어모드 상의 "자동" 또는 "수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예"인 경우는 상기 이앙 작업기부에 대한 제어모드가 "자동"인 반면, "아니오"인 경우는 그 제어모드가 "수동"이다.
플로우챠트 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하강" 스위치를 누르면, 이앙 작업기부는 하강 솔레노이드(solenoid)로의 통전과 함께 상기 플로트센서가 설정값에 이를 때까지(물 속 진흙 표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상기 "하강" 스위치를 일정시간(플로우챠트 상에서는 "5초"로 예시했음) 이상 누르면, 이앙 작업기부가 단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하강 동작과 함께 이앙클러치가 연결되는 결과, 이앙 작업기부가 지면에 닿음과 동시에 바로 이앙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상의 특징 중 하나로서, 작업자의 신속한 작업개시 의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실현시켜 주는 바람직한 제어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 또는 기계고장 등으로 인하여 "하강" 스위치가 일정시간(플로우챠트 상에서는 "5초"로 예시했음) 이상 접속되면, 상기 자동제어장치는 하강 솔레노이드로의 통전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더 이상의 이앙 작업기부 하강을 정지시킨다.
플로우챠트 상으로 오른쪽에 나타낸 수동제어모드의 경우, 직업자가 "하강" 스위치를 놓을 때까지 상기 이앙 작업기부는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 수동제어모드에 있어서는, 이앙 작업기부가 물 속 진흙 표면과 접촉했음에도 불구하고 하강 솔레노이드가 계속 작동하게 되더라도 승용이앙기의 파손을 초래하지는 않는 점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자동제어모드 하에서와 같이 하강 솔레노이드로의 통전 상태를 강제 해제하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자동제어모드 하에서와 같이, "하강" 스위치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 이상 접속될 경우 하강 솔레노이드로의 통전 상태를 강제 해제시키는 형태의 제어 로직이라도 무방하다.
도 6(b) 는 상승제어 로직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이앙 작업기부의 상승 동작을 제어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플로우챠트 상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ON"?」 단계가 갖는 의미는 상기 도 7(a) 의 하강제어 로직에서와 같다.
플로우챠트 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상승" 스위치를 조작하면, 이앙 작업기부는 상승 솔레노이드로의 통전과 함께 후륜팬더 상의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속될 때까지 상승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이앙 작업기부를 상승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이앙클러치를 끊음으로써 이앙 작업기부로의 동력전달을 완전 차단시킨다.
그에 따라, 일종의 표시기로서의 기능을 갖는 이앙클러치 램프(lamp)가 점등됨은 물론이다.
상기 하강제어 로직의 경우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 또는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승" 스위치가 일정시간(플로우챠트 상에서는 "5초"로 예시했음) 이상 접속되면, 상기 자동제어장치는 상승 솔레노이드로의 통전 상태를 강제 해제함으로써 더 이상의 이앙 작업기부 상승을 정지시킨다.
플로우챠트 상으로 왼쪽에 나타낸 수동제어모드의 경우 역시 상기 자동제어모드의 경우와 같은데, 이는 제어모드의 자동, 수동 여부에 관계없이 이앙 작업기부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한 심각한 승용이앙기 파손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승제어 로직에 있어 자동제어모드와 수동제어모드 사이의 차이점은, 상기 이앙 작업기부의 상승한계를 자동제어모드의 경우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인식하는 반면, 수동제어모드의 경우 이를 작업자의 판단에 맡긴다는 점이다.
도 6(c) 는 후진 상승제어 로직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주행 본체부 후진시의 이앙 작업기부 상승 동작을 제어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플로우챠트 상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ON"?」 단계가 갖는 의미는 상기 도 6(a) 및 6(b) 의 상승제어 및 하강제어 로직에서와 같다.
플로우챠트 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HST 변속페달을 후진위치로 밟으면, 경보음이 울림과 동시에, 이앙 작업기부는 상승 솔레노이드로의 통전과 함께 후륜팬더상의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속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즉, 주행 본체부의 후진으로 인하여 이앙 작업기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HST 변속페달이 후진위치로 됨과 동시에 이앙 작업기부 전체를 상승시킨다.
그러나, 승용이앙기를 후진시키면서 상기 플로트로써 물 속 진흙 표면을 고르는 등의 특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등도 있으므로, 그러한 때를 대비하여,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수동"으로 접속된 상태, 즉 수동제어모드 하에서는 주행 본체부 후진시에도 경보음 출력 및 이앙 작업기부 상승이 일어나지 않도록 했다.
다시 말하자면, 적어도 수동제어모드 하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상황별로 이앙장치부 상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전체적 제어체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의 자동제어장치, 즉 중앙제어장치(300)를 중심으로 그 입력 측에는 자동/수동 선택스위치(301), 상한 리미트 스위치(302), HST페달센서(303) 및 플로트감지센서(304)가 배치되는 한편, 그 출력 측에는 이앙클러치 릴레이(350), 마커 릴레이(좌, 우)(351) 및 상승/하강 솔레노이드(352)가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301)의 경우, 일련번호 붙임에 있어 구성요소간의 관련성을 감안하여 "301"을 붙였을 뿐, 앞서 언급한 바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70)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본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의 구조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 및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과 상기 자동제어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무선화 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향핸들 상에 합체함으로써 조작레버를 삭제한 구조인 한의 사소한 구조변경 등은 마땅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향핸들 상에 합체함으로써, 주행 변속을 포함한 모든 조작이 조향핸들 상의 버튼과 갑판 상의 페달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매우 합리적인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형태의 조작 레버도 없이 단지 조향핸들 상의 버튼과 갑판 상의 페달 조작만으로 전체적 이앙 작업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작업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과 선긋기 마커용 버튼을 조향핸들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치한 상기 제 2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의 경우, 이앙 작업기부 제어 수준을 한 차원 높이는 의미가 있음은 물론, 상당한 수고를 요하는 이앙 작업의 성격을 변모시키는 또 다른 큰 의미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엔진을 포함하는 주행 본체부(100)와, 이 주행 본체부(100)와 요동 가능상태로 연결된 이앙 작업기부(200)와, 이들 주행 본체부(100)와 이앙 작업기부(200)를 포함한 이앙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조향핸들(251) 상에는,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앙 작업기부(200)의 승강을 제어하는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2. 엔진을 포함하는 주행 본체부(100)와, 이 주행 본체부(100)와 요동 가능상태로 연결된 이앙 작업기부(200)와, 이들 주행 본체부(100)와 이앙 작업기부(200)를 포함한 이앙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조향핸들(252) 상에는,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앙 작업기부(200)의 승강을 제어하는 이앙 작업기부 제어용 버튼(252-1)과, 역시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긋기 마커의 펼침을 제어하는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252-2)을 함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100)를 구성하며 운전석(120) 전방에 배치된 패널 상에는,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 또는 수동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100)을 구성하는 갑판 상에는, 트랜스밋션 케이스 내 무단변속 장치부에 연결되어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HST 변속페달(1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본체부(100)을 구성하며 운전석(120) 전방에 배치된 패널 상에는,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긋기 마커의 펼침을 제어하는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1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KR1020050005082A 2005-01-19 2005-01-19 승용이앙기 KR10057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82A KR100574617B1 (ko) 2005-01-19 2005-01-19 승용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82A KR100574617B1 (ko) 2005-01-19 2005-01-19 승용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617B1 true KR100574617B1 (ko) 2006-04-27

Family

ID=3718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082A KR100574617B1 (ko) 2005-01-19 2005-01-19 승용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058A (zh) * 2013-03-09 2013-05-29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带有自动差速锁定功能的插秧机液压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058A (zh) * 2013-03-09 2013-05-29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带有自动差速锁定功能的插秧机液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234B1 (ko) 승용 이앙기
JP3792586B2 (ja) 車両の変速操作装置
KR20170136624A (ko)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JP5003311B2 (ja) 作業車両
JP2004159620A (ja) 農用トラクタ
JP5285511B2 (ja) 作業車
KR100574617B1 (ko) 승용이앙기
KR100652485B1 (ko) 승용이앙기
US5116187A (en) Automatic speed changing apparatus for wheel loader
CN112135746A (zh) 作业车辆
JP2673806B2 (ja) ホイールローダの自動変速装置
JP5167000B2 (ja) 作業車
JP2010019401A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4824353B2 (ja) 作業車両
JP2008193998A (ja) 移植機
JP5701677B2 (ja) 田植機
JP2010076614A (ja) 作業車両
JP3737243B2 (ja) 作業車
JP7109326B2 (ja) 農用作業車両
JP4866260B2 (ja) 移植機
JP5236425B2 (ja) 移植機
JP2007111008A (ja) コンバイン
JP4140613B2 (ja) 作業車両
JPH1194073A (ja)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H08331943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