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4288B1 -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288B1
KR100574288B1 KR1019990058939A KR19990058939A KR100574288B1 KR 100574288 B1 KR100574288 B1 KR 100574288B1 KR 1019990058939 A KR1019990058939 A KR 1019990058939A KR 19990058939 A KR19990058939 A KR 19990058939A KR 100574288 B1 KR100574288 B1 KR 10057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composition
fruit
ba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226A (ko
Inventor
양경선
이성만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2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or hydrogen
    • C08L23/0853Ethene vinyl acetat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및 첨가제로 이루어져 필름을 제조하였을때 통기성(투습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뛰어나 과수봉지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Plastic film resin composition for fruit tree bag}
본 발명은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탄산칼슘 및 첨가제로 이루어져 과수봉지용으로 적용하였을때 투습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봉지는 수인성 세균이나 조류에 의한 피해방지 및 과일표면의 착색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과수봉지의 재질은 주로 종이이다. 그러나 종이가 수분이나 외압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과일표면과 직접 맞닫는 부분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해 과일표면에 상처를 주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종이에 왁스코팅을 하여 수분이나 외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종이표면을 매끄럽게 해 줌으로써 과피의 손상을 막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종이에 왁스코팅을 할 경우 종이가 갖고 있는 기공(통기)을 막게 되어 봉투의 투습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사용후 봉지를 재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제조원가 측면에서도 종이에 왁스코팅을 하게 되면 일 반 종이로 과수봉지를 제조하였을때보다 제조비용이 30∼40% 상승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사용자측의 원가부담도 높다.
과수봉지의 비용상승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일형상의 플라스틱 사출물을 만들어 과수보호용 덮개(봉투)로 적용한 경우가 있었는데 이것은 제조원가 절감 및 조류 피해 방지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었으나, 사출물에 기공이 전혀 없기 때문에 과일표면이 짓무르는 현상과 특히, 배봉지로 적용했을때 동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부직포로 과수봉지를 만들어 사용한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 부직포에 색상을 자유자재로 넣을 수 있어 과피 착색에 대한 우수한 효과와 플라스틱 재질에 따른 조류피해 방지 및 제조원가 절감측면에서도 많은 이점이 있었다. 특히 부직포가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내수성에도 문제가 없어 최근들어 과수봉지를 부직포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부직포가 일정시간 수분을 흡습하는 성질이 있어 비를 동반한 태풍이 불어올때 수분을 흡습한 상태에서 봉지 자중에 의해 과수가 떨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봉지표면에 기공을 쉽게 만들수 있어 과수봉지로 적용하였을때 통기성(투습성)이 우수하며, 봉지표면이 매끄러워 과피의 손상도 막을 수 있고, 봉지에 색상도 자유롭게 넣을 수가 있어 과일착색에도 문제가 없는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20~70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20중량%, 탄산칼슘 20~60중량%,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5~30중량%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20~70중량%가 사용된다. 폴리에틸렌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의 인장강도가 떨어져 봉투제조나 운반, 과수봉지로 사용중에 외압에 의해 쉽게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그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기성 필름 제조를 위해 연신공정시 필름에 기공 발생률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통기성(투습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필름에 인열강도를 높이기 위해 5~20중량%를 사용한다. 사용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사용 효과가 거의 없으며, 그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인열강도는 우수하나 필름표면이 끈적거려 봉지 제조후 과수를 쌀때 개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수지와 상용성이 없어 필름성형후 필름을 연신시켰을때 수지와의 계면이 벌어지면서 필름에 기공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사용함량은 20~60중량%이다. 사용된 탄산칼슘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 제조시 필름에 기공 발생률이 떨어져 통기성(투습성)이 저하되며, 그 함량이 6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름에 기공 발생효과는 우수하나 필름의 인장강도가 떨어져 필름의 연신공정에서 필름이 파열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은 과량의 탄산칼슘이 충 진된 플라스틱 필름을 과수봉지로 적용했을때 필름표면이 거칠어 과피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서, 필름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첨가되는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5~30중량%를 사용하는데,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 효과가 거의 없으며, 그 함량이 30%를 초과할 경우 매끄러움성은 다소 증가하나 첨가한 만큼의 증가효과가 미미해 경제적 측면에서 도움이 되질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제가 함유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는 세균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한 항균제(무기계)를 포함해서 불소계 가공조제, 내부활제, 산화방지제, 제습제 등이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하는 것이다.
실시예 1∼4, 비교예 1∼4
표 1의 수지 조성물은 밤바리믹서에서 수지 온도 220℃를 기준으로 30분간 용융혼합시킨 후 펠렛으로 만들었다. 이것을 일축연신기가 붙어 있는 티다이 압출성형기에서 필름을 성형하였으며 필름에 통기성 부여를 위해 기계방향으로 일축연신시켰다. 필름 성형온도는 다이스 기준으로 265℃이었으며, 필름성형후 연신 공정을 위한 필름의 열처리 온도는 115℃이었다. 또한 필름의 연신비율은 1.7배이었으며, 최종 필름의 두께는 60㎛이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필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통기성(투 습성)과 매끄러움성(마찰계수)을 평가하였다.
통기성 평가
필름의 통기성 평가는 결과적으로 봉지의 투습도를 평가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예에서는 통기을 투습도로 평가하였다. 투습도의 평가는 KS A 1013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투습도에 대한 요구 spec.이 정해진 것이 없어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통기성 필름의 spec.을 목표치로 설정하였다. 그 값은 2,500∼4,000 g/24hr/㎡이다.
매끄러움성 평가
필름표면의 매끄러움의 평가는 ASTM D 1894에 의거하여 연신된 필름의 마찰계수로 평가하였다.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표면이 더 매끄러움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목표치는 0.6 이하이다.
구분 수지 조성(중량%) 평가항목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탄산칼슘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첨가제 투습도 (g/hr/㎡) 마찰계수 비고
실시예 1 35 10 40 15 동일 3560 0.25
실시예 2 20 10 40 30 동일 3410 0.08
실시예 3 45 10 40 5 동일 3660 0.53
실시예 4 35 20 40 5 동일 3270 0.58
비교예 1 50 10 40 0 동일 3730 0.87
비교예 2 20 10 65 5 동일 4460 0.75 연신시 필름 찢어짐
비교예 3 45 30 20 5 동일 1890 0.96 블로킹 발생
비교예 4 75 10 0 15 동일 130 0.18 일반필름
주)
1. 폴리에틸렌 : 삼성종합화학 6200F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 삼성종합화학 E120A
3. 탄산칼슘 : OMYA 1T-AV
4.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 다우코닝 MB50-002
5. 첨가제 : 항균제(0.5phr), 내부활제(0.2phr), 산화방지제(0.3phr), 가공조제(0.1phr), 제습제(0.1phr)
이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과수봉지로 적용했을때, 왁스코팅된 종이봉투 대비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통기성(투습성)의 확보에도 전혀 문제가 없으며, 필름 표면이 매끄러워 과피의 손상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탄산칼슘을 함유한 플라스틱 재질이라 봉투에 색상부여가 자유로워 과피 착색에도 문제가 없다.

Claims (1)

  1. 폴리에틸렌 20∼70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20중량%, 탄산칼슘 20∼60중량% 및 실리콘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5∼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1019990058939A 1999-12-18 1999-12-18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10057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39A KR100574288B1 (ko) 1999-12-18 1999-12-18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39A KR100574288B1 (ko) 1999-12-18 1999-12-18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226A KR20010056226A (ko) 2001-07-04
KR100574288B1 true KR100574288B1 (ko) 2006-04-26

Family

ID=1962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939A KR100574288B1 (ko) 1999-12-18 1999-12-18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2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252A (ja) * 1985-07-12 1987-01-2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272735A (ja) * 1985-09-27 1987-04-03 Toyo Ink Mfg Co Ltd 難燃樹脂組成物
KR870007230A (ko) * 1986-01-20 1987-08-17 노무라 마사오 난연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0170559B1 (ko) * 1995-10-05 1999-03-30 성기웅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KR20010047824A (ko) * 1999-11-23 2001-06-15 유현식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20010046400A (ko) * 1999-11-12 2001-06-15 유현식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252A (ja) * 1985-07-12 1987-01-2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272735A (ja) * 1985-09-27 1987-04-03 Toyo Ink Mfg Co Ltd 難燃樹脂組成物
KR870007230A (ko) * 1986-01-20 1987-08-17 노무라 마사오 난연성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0170559B1 (ko) * 1995-10-05 1999-03-30 성기웅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KR20010046400A (ko) * 1999-11-12 2001-06-15 유현식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성형품
KR20010047824A (ko) * 1999-11-23 2001-06-15 유현식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226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1307B2 (ja) 配向高分子性微孔性フィルム
US5236963A (en) Oriented polymeric microporous films
US9150699B2 (en) Film formed from a blend of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US9321250B2 (en) Selectively permeable protective structure and articles therefrom
USH1955H1 (en) Polyolefin/filler films having increased WVTR and method for making
CN103571012A (zh) 一种防水透气的塑料膜、其制备方法及应用
KR100933026B1 (ko) 농업용 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3016583A1 (de) Film mit einstellbarer Wasserdampfdurchlässigkeit
CN108779279A (zh) 拉伸多孔性膜及其制造方法
JP2005511838A (ja) 通気性フィルム
KR100574288B1 (ko) 과수봉지용 플라스틱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20020061685A (ko) 통기성이 우수한 과수봉지 제조용 합지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JP4014993B2 (ja) ポリエチ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
JP7137942B2 (ja) 透湿性フィルム、包装体および透湿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2549717A (zh) 一种复合布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080213573A1 (en) Pigmented film with improved aesthetic properties
JPH0550522A (ja) 微細多孔性エラストマー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2280101B1 (ko) 내구성이 개선된 방호복
KR20160036157A (ko) 폴리올레핀 컴파운드 조성물을 코팅한 섬유벨트제품의 제조방법
JP3461951B2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2280102B1 (ko) 방호복
JPH0723432B2 (ja) 多孔質フイルム
JP7168333B2 (ja) 透湿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KR100961263B1 (ko) 낙진방지용 필름
KR20000024144A (ko) 통기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