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070B1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4070B1 KR100574070B1 KR1020040064711A KR20040064711A KR100574070B1 KR 100574070 B1 KR100574070 B1 KR 100574070B1 KR 1020040064711 A KR1020040064711 A KR 1020040064711A KR 20040064711 A KR20040064711 A KR 20040064711A KR 100574070 B1 KR100574070 B1 KR 100574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needle
- retaining
- needle hub
- wal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4)
-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연결시키는 배럴 둘레 벽(22)을 구비하는 배럴(2)로서, 상기 배럴 둘레 벽(22)은 전방 소구경 벽 부분(228),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 배럴 내측 벽면(221) 및 배럴 외측 벽면(222)을 가지며, 상기 전방 소구경 벽 부분(228)과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에 각각 인접하고,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 통로(21)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21)는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연통되며,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은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에 대향되는, 배럴(2)과,첨단부(52)에서 종결하는 전방부(51)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전방부(51)에 대향된 후방 결합 단부(53)를 구비한 바늘형 캐뉼라(5)와,상기 축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 전방 유지부(31)와 후방 쉘부(32)를 구비하는 바늘 허브(3)로서, 상기 후방 쉘부(32)는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로부터 상기 통로(2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와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에 각각 인접하게 되는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배럴 둘레 벽(22)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상기 전방 유지부(31)는,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형 캐뉼라(5)가 사용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형 캐뉼라(5)가 회수 위치에 있도록 상기 바늘형 캐뉼라(5)의 상기 후방 결합 단부(53)를 유지시키며, 상기 전방부(51)는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 대기 상태가 되고 또 상기 회수 위치에서 상기 통로(21) 내로 후퇴하며, 상기 후방 쉘부(32)는 상기 축을 둘러싸 상기 바늘형 캐뉼라(5)와 유체 연통된 역류 챔버(36)를 규정하는, 바늘 허브(3)와,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럴(2)에 대한 상기 바늘 허브(3)의 축 방향 운동을 구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해제 가능 보유 부재로서,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2)의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하는 보유 구멍(231)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쉘부(32)의 운동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과 상기 후방 쉘부(32)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도록 상기 보유 구멍(231) 내에 결합 가능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결합용 페그(33)를 구비하는 해제 가능 보유 부재와,상기 바늘 허브(3)의 후방 위치로의 축 방향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부 조작이 가능한 액추에이터(34)와,슬리브 부분(411)과 첨단 부분(413)을 구비하는 카테터 허브(41)로서, 상기 슬리브 부분(411)은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전방 유지부(31)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축을 따라 덕트(412)를 규정하며, 상기 첨단 부분(413)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슬리브 부분(411)에 대향되고 관통 구멍(414)을 규정하며, 상기 관통 구멍(414)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덕트(412)와 연통되고, 상기 관통 구멍(414)을 통과해 상기 전방부(51)가 연장되는, 카테터 허브(41)와,기단부(431)와 말단부(432)를 갖는 관형 카테터(43)로서, 상기 기단부(431)는 상기 관통 구멍(414) 내로 삽입되어, 상기 덕트(412)와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말단부(432)는, 상기 바늘형 캐뉼라(5)가 사용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첨단부(52)가 상기 말단부(432)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기 바늘형 캐뉼라(5)의 상기 전방부(51)를 둘러싸 수용하기 위해, 상기 첨단 부분(413)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축을 따라 상기 기단부(431)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카테터(43)를 포함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바늘 허브(3)는 중간부(38)를 더 구비하며, 상기 중간부(38)는 상기 바늘형 캐뉼라(5)를 상기 역류 챔버(36)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전방 유지부(31)와 상기 후방 쉘부(32)를 상호 연결시키며, 또 자신을 통해 혈액 유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바늘 허브(3)는, 상기 역류 챔버(36)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후방 쉘부(32)와 결합하는 통기성 부재(37)를 더 구비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통기성 부재(37)는 다공성 필터 재료로 형성된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은 길다란 안내로(23)를 가지며,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는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하고, 상기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 보유 단부(232)에서 종결하며,상기 결합용 페그(33)는, 상기 후방 쉘부(32) 상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이동 단부(shifted end)에서 종결하고, 또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까지 활주할 때 상기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까지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라 활주 가능하며,상기 액추에이터(34)는,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상기 이동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에 대해 활주 가능한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길다란 안내로(23)는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가지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은 상기 보유 구멍(231) 바로 뒤와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 바로 앞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하나를 통과하도록 강제되고 나면, 상기 보유 구멍(231)과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스냅 끼워맞춤을 통해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운동이 구속되며, 이로써 상기 바늘 허브(3)가 전방 및 후방 위치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배치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은, 상기 길다란 안내로(23)의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로부터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까지 연장된 분할부(split)(27)를 더 갖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보유 구멍(231)은, 길이 방향에 대한 횡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또 상기 길다란 안내로(23)에 대해 각각 가깝고 먼 결합용 기단(231a)과 보유용 말단(231b)을 가짐으로써,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후방 쉘부(32)의 전방 위치에서의 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상기 보유용 말단(231b) 내에 결합되고,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른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활주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결합용 페그(33)를 상기 보유용 말단(231b)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기단(231a)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34)가 작동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후방 쉘부(32)와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방 위치를 향해 상기 바늘 허브(3)를 편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편향 부재(7)를 더 포함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의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과 상기 후방 쉘부(32)는 각각 환형 쇼울더(227)와 플랜지(323)를 가지며, 상기 환형 쇼울더(227)와 상기 플랜지(323)는 그 사이에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하도록 서로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고, 상기 편향 부재(7)는 코일 스프링(7)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7)은, 상기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 허브(3)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7)이 압축되도록 상기 환형 쇼울더(227)와 상기 플랜지(323)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단을 포함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후방 쉘부(32)와,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의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은 각각 환형 플랜지(39)와 에지(220)를 가지며, 상기 환형 플랜지(39)와 상기 에지(220)는 그 사이에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하도록 서로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고, 상기 편향 부재(7)는 코일 스프링(7)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7)은, 상기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 허브(3)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7)이 인장되도록 상기 환형 플랜지(39)와 상기 에지(220)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단을 포함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액추에이터는, 받침점(63)에서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방아쇠 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방아쇠 부재(6)는 무게단(61)과 동력단(62)을 구비하며, 상기 무게단(61)은 상기 결합용 페그(33)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단(62)은 상기 받침점(63)을 기준으로 상기 무게단(6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데, 이것을 작동시키면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로(2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며,상기 바늘 허브(3)를 후방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후방 쉘부(32)와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 사이에 배치된 편향 부재(7)를 더 포함하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전방 유지부(31)는 상기 소구경 벽 부분(22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통로(21) 내에 수납되며, 상기 카테터 허브(41)의 상기 슬리브 부분(411)은 상기 소구경 벽 부분(228)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전방 유지부(31)와 상기 후방 쉘부(32)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바늘 허브(3)는 상호 결합부(3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호 결합부(35)는, 상기 후방 쉘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따라 상기 후방 쉘부(3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축 방향 경로(351)와 슬리브 부분(30)을 규정하고, 상기 축 방향 경로(351)는 상기 바늘 허브(3)를 통과해 연장되어 상기 역류 챔버(36)와 연통되고, 상기 슬리브 부분(30)은, 상기 전방 유지부(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전방 유지부(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배럴(2)의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로부터 상기 상호 결합부(35) 상에 끼워져 상기 바늘형 캐뉼라(5)를 상기 역류 챔버(36)와 유체 연통시키고,상기 슬리브 부분(411)은 상기 전방 유지부(31)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4711A KR100574070B1 (ko) | 2004-08-17 | 2004-08-17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4711A KR100574070B1 (ko) | 2004-08-17 | 2004-08-17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6311A KR20060016311A (ko) | 2006-02-22 |
KR100574070B1 true KR100574070B1 (ko) | 2006-04-27 |
Family
ID=3712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4711A KR100574070B1 (ko) | 2004-08-17 | 2004-08-17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407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9653A (ko) * | 2018-02-19 | 2019-08-28 | 주식회사 사라야코리아 |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2270B1 (ko) * | 2017-09-12 | 2020-08-07 | 이현우 | 안전 혈관 카테터 조립체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07431A (en) * | 1989-07-11 | 1995-04-18 | Med-Design Inc. |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
US5817058A (en) * | 1996-12-23 | 1998-10-06 | Shaw; Thomas J. | Retractable catheter introducer structure |
US5989220A (en) * | 1998-05-26 | 1999-11-23 |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 Self-retracting IV catheter introducer |
US20040106903A1 (en) * | 2002-12-02 | 2004-06-03 | Ming-Jeng Shue |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
KR20050004982A (ko) * | 2003-07-01 | 2005-01-13 | 밍 쳉 슈이 | 일회용 주사기 |
-
2004
- 2004-08-17 KR KR1020040064711A patent/KR1005740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07431A (en) * | 1989-07-11 | 1995-04-18 | Med-Design Inc. |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
US5817058A (en) * | 1996-12-23 | 1998-10-06 | Shaw; Thomas J. | Retractable catheter introducer structure |
US5989220A (en) * | 1998-05-26 | 1999-11-23 |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 Self-retracting IV catheter introducer |
US20040106903A1 (en) * | 2002-12-02 | 2004-06-03 | Ming-Jeng Shue |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
KR20050004982A (ko) * | 2003-07-01 | 2005-01-13 | 밍 쳉 슈이 | 일회용 주사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9653A (ko) * | 2018-02-19 | 2019-08-28 | 주식회사 사라야코리아 |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
KR102067956B1 (ko) * | 2018-02-19 | 2020-01-20 | (주)사라야코리아 |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6311A (ko) | 2006-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44935B2 (en) | 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 |
US20230330387A1 (en) | Retractable needle catheter insertion device | |
EP1875940B1 (en) | 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 |
US8048031B2 (en) | IV catheter introducer | |
AU2002250406B2 (en) |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 |
CA2495571C (en) | Iv catheter introducer with retractable needle | |
JP3729736B2 (ja) | 自己引込型カテーテルイントロデューサ | |
AU2002250406A1 (en) |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 |
KR100574070B1 (ko)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
JP2021519631A (ja) | 引込み可能な針と、横方向にオフセットされた付勢要素と、針引込みキャビティとを有するivカテーテル | |
US20080234635A1 (en) | Disposable syringe guarded in a preuse position (II) | |
JP3882926B2 (ja) | 引込み式医療用採血装置 | |
JP4359604B2 (ja) | 引込み式医療用採血装置 | |
JP4359605B2 (ja) | 引込み式医療用採血装置 | |
EP1829480A2 (en) | Cannula retractable medical collection device | |
JP2009136397A (ja) | 静脈内カテーテル挿入装置 | |
EP2039383A1 (en) | Disposable syringe guarded in a preuse position | |
ZA200501535B (en) | IV catheter introducer with retractable needle | |
AU2003204251A1 (en) | Disposable syri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