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3877B1 -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 Google Patents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877B1
KR100573877B1 KR20030039091A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KR 100573877 B1 KR100573877 B1 KR 100573877B1 KR 20030039091 A KR20030039091 A KR 20030039091A KR 20030039091 A KR20030039091 A KR 20030039091A KR 100573877 B1 KR100573877 B1 KR 10057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stopper
guider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39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8191A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2003003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877B1/en
Priority to PCT/KR2004/001443 priority patent/WO2004110890A1/en
Publication of KR2004010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87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8Spring-load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마개를 열면 개방된 표시가 겉으로 드러나고 또한 출구를 통해 한번 내용물을 빼내면 다시 다른 내용물을 넣거나 교체할 수 없도록 한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loading of contents of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which an open mark is exposed when the bottle cap is opened, and once the contents are removed through the outlet, other contents cannot be inserted or replaced again.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용기 주둥이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시로드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를 가동시키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와 가동판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와, 상기 가동판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용기 마개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록킹플레이트가 연동하여 용기내 내용물의 유출과 재투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도록 할수 있으며, 상품 출하전 봉입단계에서 간단하게 마개를 장착하여 정품 상품의 식별력을 제고시키며, 내용물의 재투입을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봉쇄하여 유사 보조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having an inner diameter of a stopper so as to be engag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container spout and move along a thread of the container spout, and protruding downwardly of the stopper. A push rod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a guider moun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spout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and guide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and is mounted to receive a contraction elastic force about the guider. A movable plate for moving the display unit through a variable position while being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position, an elastic member placed between the guider and the movable plate to impart a compressive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plate,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It is movable and has a directional elastic member and expands and stop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lastic for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n state of the operation guide space provided in the guider to guide the unfolding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the locking plate is interlocked to control the leakage and re-injection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as the container stopper opens and closes, so that once the stopper is opened, the open state can be displayed. It can not be put back into the container, and it is easy to install the stopper in the encapsulation stage before shipping to enhance the identification of genuine goods, and to block the re-injection of contents through a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to solve the distribution problem of similar accessories. have.

용기,병,표시기,스토퍼,록킹장치Container, Bottle, Indicator, Stopper, Locking Device

Description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Device of material holding in check a receptacle extra}Device of material holding in check a receptacle ext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ontainer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container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ain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마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unit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ontain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용기 11:주둥이       10: container 11: spout

12:나사산 20:마개       12: screw 20: stopper

22:푸쉬로드 30.30a:가이더       22: Push Rod 30.30a: Guider

31:가이드홈 32:이동공간       31: Guide groove 32: Moving space

35:작동안내공간 36:돌출부       35: operation guide space 36: protrusion

40:통로 41:볼       40: Path 41: Ball

42:출구 43:1차측출구       42: exit 43: primary side exit

44:가이드홈 50:가동판
52.53:가이드트랙 60.61:탄성부재
70:표시부 71:슬라이드레일
80:밀폐부재
44: guide groove 50: movable plate
52.53: Guide track 60.61: Elastic member
70: display part 71: sliding rail
80: Airtight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마개를 열면 개방된 표시가 겉으로 드러나고 또한 출구를 통해 한번 내용물을 빼내면 다시 다른 내용물을 넣거나 교체할 수 없도록 한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loading of contents of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which an open mark is exposed when the bottle cap is opened, and once the contents are removed through the outlet, other contents cannot be inserted or replaced again. will be.

액체 등의 내용물을 넣어 판매용 상품으로 포장하는 용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보편적으로 유리,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그 용기속에 내용물을 넣고 병마개로 봉인하여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개를 개봉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꺼내는 용기로는 술을 담는 유리로된 술병,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병, 음식료품을 담는 음식료병, 금속 및 비금속 소재를 사용한 캔 류 등이 있으며, 이들중 유리를 소재로 하는 병종류의 용기는 병과 병마개로 이루어지고, 캔 종류의 용기는 캔 본체와 클립 또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re are many types of containers for putting liquids and the like into packages for sale. Generally, a container is formed using materials such as glass, resin, and metal, and the contents are put into the container and sealed with a bottle cap to be sold as a product. Typical containers for opening the cap and taking out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include glass bottles containing alcohol, cosmetic bottles containing cosmetics, food bottles containing food and beverages, and cans using metal and non-metallic materials. The bottle type container made of a material consists of a bottle and a bottle cap, and the can type container consists of a can body and a clip or a lid.

유리종류의 병용기는 다른 어떤 소재보다 내용물의 변질이나 변색이 적으 므로 음식료용, 각종 화학제품용 포장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화학적 안정성이 큰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같은 병종류의 용기는 병용기 본체와 병마개로 되어 있으며, 병마개의 개폡아식에 따라 오프너를 사용하여 병마개를 제거하는 것에서부터 병의 주둥이 외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병마개의 내면에는 병 주둥이의 나사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를 형성시켜 병마개를 돌려서 병용기 본체로부터 탈거시켜 병주둥이를 개방하도록 된 것 등이 있다.        Glass bottle is less widely used than other materials, so it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with high chemical stability suitable for use in food and beverages and various chemical packaging.This type of bottle is a bottle and a bottle cap.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bottle cap, remove the bottle cap using the opener, and form the scre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le spout, and form the corresponding scre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le cap to engage the screw of the bottle spout to rotate the bottle cap. And a bottle spout to open from the container body.

한편, 이같은 유리병 용기를 포함하여 내용물 유출을 방지하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마개를 사용하는 모든 용기는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꺼내면 용기는 폐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용기보다는 용기 속에 담는 내용물의 상품성이 더 큰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l the containers using the stopp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contents and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such a glass bottle container, the container is to be discarded when the lid is opened and the contents are taken out. That is, the merchandis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greater than the container.

그러나, 용기속에 담는 내용물의 상품가치가 높은 경우 용기를 폐기하지 않고 한번 내용물을 유출시켜 폐기 대상이 되어야 하는 용기가 다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예를들면, 프리미엄급 양주 등은 비교적 고가의 상품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유통과정에서 원액이 아닌 다른 저급 알콜을 새로 출고된 상품인 것처럼 다쓴 유리용기에 담아 유통시키는 사례가 나타났다.        However, when the product value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high, there are often cases in which the container that is to be disposed of again is used again without being discarded. For example, premium-class liquor has relatively high commodity value. In the distribution process, low-alcohol, other than the original liquid, is newly shipped as if it is a new product.

이러한 정품이 아닌 모조품 유통의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제조원측에서는 마개를 한번 열면 개방된 표시가 드러나 다시 유리병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들거나 또는 마개에 제조원측에서만 넣을수 있는 특수한 모양이나 표기를 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정품상품인지의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여 적용하여 왔다.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of non-genuine counterfeit distribution in advance, the manufacturer side opens the stopper to reveal the open marking so that the glass bottle cannot be used again, or the stopper has a special shape or marking that can be put only on the manufacturer's side.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make it easi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a genuine product.

그러나, 현재 까지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과는 얻지 못했다. 즉, 병과 마개는 구조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같은 개방조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역으로 유사 모조품을 병에 넣을수 없도록 하는 완벽한 대안을 기술이 개발되지 못했기 때문에,마개를 열고 정품이 아닌 다른 유사 모조품을 병에 넣어서 정품인 것처럼 위조할 수 있는 여지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However, to date, no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other words, since the bottle and the stopper are structurally openable, the technology has not been developed to provide a perfect alternative to maintain such an open condition and prevent the counterfeit from being bottled. There was still room for counterfeiting in the bottle.

특히, 마개에 개봉상태를 알수 있는 특수 기호나 문자 등의 표시를 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정품 여부를 가리도록 하는 방법은 전자의 방법에 비해 더 모사품의 유통을 허용하는 결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품 여부를 수요자가 사전에 상품에 표시된 특수한 표시나 기호 등의 식별방법 등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정품여부를 가릴수 있는 것이므로 수요자가 이러한 판독에 필요한 사전정보에 대한 인지가 불충분하면 그대로 정품이 아닌 유사품의 유통이 허용되는 실정이다.        In particular, the method of displaying a special sign or a letter indicating the opening state on the cap to allow the consumer to hide the genuine product was found to allow the distribution of replicas more than the former method. Since the consumer can only know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genuine, only if the consumer knows how to identify the special markings and symbols on the product in advance. It is allow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2002년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0084138호 및 2003년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0010386호로 제시되었다.        Techniques for solving this problem have been presented by the applicant in the 2002 Patent Application No. 0084138 and 2003 Patent Application No. 0010386.

상기 특허출원 2002-0084138호의 기술은,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을 갖는 마개와,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하여 한번 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가 확실하게 표시되는 동시에 내용물을 다시 병속으로 넣을 수 없게 하였다.         The technique of the patent application 2002-0084138 is a stopper having a reverse threaded ro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engaging the screw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le spout and the reverse thread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crew and a large pitch therein, and the reverse A rod-shaped nut that is formed with a screw that engages the screw rod and moves up and down only in the screw direction and is not rotated,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nut to open the cap so that the nut is pushed to the bottom to catch a portion of the bottle spout. It is composed of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protruding open state, and once the stopper is opened, the open state is surely displayed and the contents cannot be put back into the bottle.

또 다른 특허출원 2003-0010386호의 기술은, 병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의 중앙 하부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 상기 마개의 나사와 반대방향이고 피치가 마개의 나사 피치 보다 큰 역나사가 형성된 역나사봉과, 상기 역나사봉이 맞물리는 나사가 형성되고 나사방향으로만 상하 이동되고 회전되지 않는 봉 형상의 너트와, 상기 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개를 열게되면 너트에 밀려 하부로 이동하여 일부분이 병 주둥이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열린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병 주둥이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너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로 구성된 병마개에 있어서,        The technique of another patent application 2003-0010386 has a stopp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a screw which engages a screw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a bottle spout, and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stopper and opposite to the screw of the stopper on the inner side and has a pitch stopper. A reverse thread rod having a reverse thread having a larger thread pitch than the screw pitch, a rod-shaped nut which is formed with an interlocking thread of the reverse thread rod, and which is only moved up and down in the screw direction, and which is not rotated; And a display means for moving to the lower part by being pushed down by the nut to display the open state by being protruded to catch the bottle spout, and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ut so that the nut is not rotated by being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bottle spout. In the bottle cap consisting of,

상기 가이드에는 상하를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되, 그 일정 높이에 수직단면이 하트 모양으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걸림부에 상기 공기통로 보다는 크기가 큰 볼을 설치 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을 내부로 투입할 수 없도록 하였다.        The gu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passage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art in a vertical cross-s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installing a larger ball than the air passage in the engaging portion, It is not possible to introduce foreign matters from inside.

그러나, 병 마개를 돌려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내용물을 다시 병속으로 넣을 수 없게 할 목적으로 제시된 상기 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 신뢰성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that the bottle cap is opened by opening the bottle cap and not allowing the contents to be put back into the bottle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and do not sufficiently guarantee operation reliability.

또 다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0196228호에 소개된 기술은, 병을 바로 세울을 때 밸브부재가 유입구멍 및 하부 가이드공을 폐쇄함으로서 외부에서 위조된 내용물이나 이물질 투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한 것이나, 병에 장착 하는 뚜껑부 전체를 병으로부터 쉽게 분리할수 있어 위조방지 장치로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technology introduced in another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6228 is that the valve member closes the inlet hole and the lower guide hole when the bottle is erected so that external forged contents or foreign substances cannot be introduced. The entire lid portion mounted on the bottl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ttle, so there was a problem as a forgery prevent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which can display an open state once the stopper is open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게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which, once opened, stops the contents from being put back into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높은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having a relatively simple manufacturing and high operation reli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용기 주둥이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와,         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having an internal diameter of a screw thread so as to be engag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spout and move along a thread of the container spout,

상기 마개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와,         A push rod protrud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topp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stopper;

상기 푸쉬로드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와,         A guider moun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spout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and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상기 가이더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쉬로드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를 가동시키는 가동판과,        A movable plate mounted to receive a contractive elastic force about the guider and moving the display unit through a variable position while being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push rod;

상기 가동판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와 가동판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와,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guider and the movable plate to impart a compressive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plate;                         

상기 가동판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which move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and includes an outer directional elastic member and expands according to the elastic force action direction to display an opening state of a stopper;

상기 표시부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guide space provided in the guider to guide the unfolding of the display unit.

이렇게 용기 마개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가동판을 연동하여 용기내 내용물의 유출과 재투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도록 할수 있으며, 상품 출하전 봉입단계에서 간단하게 마개를 장착하여 정품 상품의 식별력을 제고시키며, 내용물의 재투입을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봉쇄하여 유사 보조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된다.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iner stopper, the movable plate can be linked to control the outflow and re-injection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so that once the stopper is opened, the open state can be displayed. It can not be put in a container, and it is easy to install a stopper in the encapsulation stage before shipment to enhance the identification of genuine products, and to block the re-injection of contents through a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to solve the distribution problem of similar accessories. do.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마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unit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container, Figure 3 is a stopp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unit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container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en state.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용기(10)와, 용기 주둥이(1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21)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20)와, 마개(2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20)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22)와, 푸쉬로드(22)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11)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30)(30a)와, 상기 가이더(30)(30a)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쉬로드(22)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70)를 가동시키는 가동판(50)과, 상기 가동판(50)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30)(30a)와 가동판(50)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60)와, 상기 가동판(50)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61)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20)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상기 표시부(70)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30)(30a)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hreads 12 of the container spout 11 in engagement with FIGS. 1 to 3 and the container 10 and the thread 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spout 11. A stopper 20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thread 21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push rod 22, a push rod 22 protruding downwardly of the stopper 20, and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topper 20; The guider 30 and 30a moun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spout 11 and the guider 30 and 30a to receive the contracted elastic force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22 and guide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A movable plate 50 which is mounted to move the display unit 70 through a variable position while being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push rod 22, and a guider 30 to impart a compressive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plate 50. ) Movement and interlocking with the elastic member 60 placed between the 30a and the movable plate 50 And a display unit 70 having an outer directional elastic member 61 to expand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force action direction to indicate an opening state of the stopper 20, and the guider to guide the unfolding of the display unit 70. 30) (30a)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provided.

또한, 마개(20)로부터 돌출되는 푸쉬로드(22)는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별개로 구성하여 조립하여 마개(20)의 회전에 따라 푸쉬로드(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sh rod 22 protruding from the stopper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opper 20 and the push rod 22, by assembling the stopper 20 and the push rod 22 separate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opper 20, the push rod 22 may be configured to move.

또한, 용기의 주둥이(11) 내벽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더(30)(30a)는, 상부측 가이더(30)와 하부측 가이더(30a)로 구성할 수 있으며, 푸쉬로드(2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1)과, 가동판(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공간(32)과, 이동공간(32)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판(50)과의 조합을 위한 가이드트랙(33)으로 이루어지며,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면과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한 밀폐부재(80)를 외표면에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rs 30 and 30a moun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may be constituted by an upper guider 30 and a lower guider 30a, for guiding the push rod 22. As a guide track 33 for the combination of the guide groove 31, the moving space 3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50, and the movable plate 50 moving along the moving space 32; It is mad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80 on the outer surface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또한, 하부측 가이더(30a)는, 용기(10)내 내용물을 밖으로 유출시키고 차단하기 위한 볼(41)이 내장된 통로(40)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40)는 상부측이 높고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출구(42)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wer side guider 30a has a passage 40 in which a ball 41 is embedded for leaking out and block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10, and the passage 40 has a high upper side and a lower side. It is formed by an inclined outlet 42 which is gradually lowered.

또한, 가동판(50)은, 가이더(3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33)에 대응되도록 표면위에 형성된 가이드트랙(52)과, 이 가이드트랙(52)의 상대측에 형성되어 표시부(7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양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트랙(53)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movable plate 5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track 52 formed on the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track 33 formed on the guider 30, and the display unit 70 is moved. It consists of another guide track 53 formed in both directions symmetric to guide the.

또한, 표시부(70)는, 가동판(50)의 이동에 따라 가이더(30)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밖으로 팽창되어 펼쳐질수 있도록 탄성부재(61)에 의해 가이더(30)의 하부에 마련된 돌출부(36)를 중심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과 턱결합으로 걸려있다. 그리고,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에 안내되는 슬라이드레일(71)을 표면상에 구비하고, 그 끝단은 병주둥이(11)의 하단부 내벽면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구배면(72)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0 is positioned below the guider 30 by the elastic member 61 so that the display unit 70 may expand and expand out along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of the guider 30 as the movable plate 50 moves. It is supported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36 provided, and is hung by the guide tracks 53 of the movable plate 50. Then, the slide rails 71 guided to the guide tracks 53 of the movable plate 50 are provided on the surface, and the ends thereof have a gradient surface 72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ttle spout 11. It is provided.

여기서, 미설명부호 45는 하부측 가이더(30a)에 형성된 경사출구 이며, 51은 다.          Here, reference numeral 45 is an inclined outlet formed in the lower guider (30a), 51 is.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용기(10)의 주둥이(11)에 장착되어 한번 푸쉬로드(22)가 장착된 마개(20)를 장착하여 돌려 끼우면 마개(20)를 열고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지만 다른 내용물의 재투입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In the container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is mounted on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once mounted by turning the stopper 20, the push rod 22 is mounted When fitted, the stopper 20 can be opened and the contents can be spilled, but reinsertion of other contents is not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를 용기의 주둥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전에 용기의 주둥이(11) 사이즈를 고려하여 가이더(30)(30a)의 외경 사이즈가 맞추어져 있으며, 가이더(30)(30a)의 내부로는 가동판(50)과 표시부(70)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며, 가이더(30)(30a)에 내장형으로 설치된 가동판(50)은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0)에 의해 접선면에 해당하는 가이드트랙(33)(52)을 통해 서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가동판(50)의 하부측으로는 표시부(70)가 위치하고 있는데, 표시부(70)의 상부면은 가동판(50)측의 가이드트랙(53)과 슬라이드레일(71)을 통해 접촉되어 있으며, 표시부(70)의 하부는 가이더(30a)가 받쳐주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가이더(30a)의 통로(40)에 내장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볼(41)은 무게 중력에 의해 내용물 1차측 출구(43)를 막고 있다.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re-insertion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pout of the container, and the outer diameter sizes of the guiders 30 and 30a ar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out 11 size of the container. The movable plate 50 and the display unit 70 are assembled inside the guiders 30 and 30a, and the movable plate 50 installed in the guiders 30 and 30a as a built-in type includes a compressed coil spring. The same elastic members 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guide tracks 33 and 52 corresponding to the tang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0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plate 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70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track 53 on the movable plate 50 side through the slide rail 71.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70 is supported by the guider 30a. In addition, the ball 41 mounted in the passage 40 of the guider 30a in a built-in manner blocks the contents primary outlet 43 by weight gravity.

한편, 가이더(30a) 내부에 가동판(50) 및 표시부(70)를 구비하는 유닛을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을 따라 장착하면, 전체 유닛중 가이더(30)의 외벽이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과 닿아 용기(10)의 주둥이(11)에 장착된다. 이때, 가이더(30)(30a)는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으로부터 빠지지지 않도록 별도의 이탈방지용 보조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nit provided with the movable plate 50 and the display part 70 in the guider 30a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the outer wall of the guider 30 of all the units will become a container ( 10 is mounted on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In this case, the guiders 30 and 30a may additionally install an additional detachment preventing apparatus so as not to fall ou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예들들면,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에 일정한 쐐기형 홈을 가공하고 가이더(30)의 외부에는 주둥이(1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그 홈을 따라 장착될수 있는 리브를 부설하는 구조, 또는 가이더(30)(30a)를 조립할 때 주둥이(11)에 장착이 완료되면 주둥이 속의 용기 내부에서 펼쳐지는 걸림장치를 부설하는 구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a structure for processing a certain wedge-shaped groove in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and laying ribs that can be mounted along the groov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pout 11 on the outside of the guider 30, Alternatively, when assembling the guider 30, 30a when the mounting is completed in the spout 11 may be a structure for laying the catching device to be expanded inside the container in the spout.

조립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먼저 가이더(30)(30a)의 내부에 가동판(50)과 표시부(70)를 설치하고 가이더(30)(30a)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하부측 가이더(30)(30a)의 고정방법은 구체적인 예로서 나타내지는 않앗으나 상하부측 가이더(30)(30a)가 맞닿는 접선면을 중심으로 해당 부분을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제 부품들 즉, 가동판 및 표시부 등을 설치하고 가이더(30)(30a)의 접선면을 본딩 형합 하는 방법, 또는 제 부품을 설치한 뒤 기계적인 결합 등으로 형합 시킬수 있다. 이렇게 가이더 유닛의 조립이 끝나면 가이더 유닛을 병주둥이에 장착함과 동시에 상부측에서 마개(20)를 함께 돌려서 조립한다.         An example of the assembly method may be as follows. First, the movable plate 50 and the display unit 70 are installed inside the guiders 30 and 30a and are fixed so that the guiders 30 and 30a are not separated. Although the fixing method of the upper and lower side guiders 30 and 30a is not shown as a specific example, the parts can be screwed around the tangential surface where the upper and lower side guiders 30 and 30a contact, For example, a movable plate, a display unit,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to bond the tangential surfaces of the guiders 30 and 30a to each other, or may be formed by mechanical coupling after installing the first component. When the assembly of the guider unit is completed, the guider unit is mounted on the bottle spout and at the same time, it is assembled by turning the stopper 20 together at the upper side.

보조장치를 부가하지 않고 가이더(30)(30a)를 용기(10)의 주둥이(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은 주둥이(11)의 내벽과 닿는 가이더(30)(30a)의 면을 마찰력이 큰 소재를 써서 주둥이(11)의 내벽으로부터 가이더(30)(30a)가 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예를들면, 가이더(30)(30a)의 외표면을 마찰력이 크고 압축이 가능한 고탄성 압축소재로 처리하여 주둥이(11)에 고 압축으로 조립하는 경우 마찰력만으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다.         Another way to prevent the guider (30) (30a) from falling out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without adding an auxiliary device is to friction the face of the guider (30) (30a)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This large material is used to prevent the guiders 30 and 30a from falling out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For example,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r (30) (30a) is treated with a highly elastic compressive material capable of high friction and compressible and assembled to the spout (11) with high compression, the guider (30) (30a) by the friction force alone to the spout ( 11) can be combined so as not to fall out.

또 다른 방법은 주둥이(11)의 선단 부분에 내부로 향하는 라운드형 팁을 형성하고 가이더(30)(30a)가 어느정도 수축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조립단계에서 고 압축으로 조립하여 한번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 끼워 넣으면 인위적으로 가이더(30)(30a)를 탈거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Another method is to form a rounded tip to the inside of the tip portion of the spout 11 and to assemble with high compression in the assembling step using a material that can be contracted to some extent, the guider 30 ) Is inserted into the spout 11 so that the guiders 30 and 30a cannot be removed artificially.

이와 같이 가이더(30)(30a)를 용기(10)의 주둥이(11)에 조립 하는 경우 가이더(30)(30a)를 공구나 다른 탈거장치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빼낼수 없도록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가이더(30)(30a)를 용기의 주둥이(11)에 장착한다. 본 발 명에 따른 가이더(30)(30a)는 이러한 다양한 탈거방지를 위한 다양한 장치를 부가하거나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로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 결합할 때 이러한 탈거방지를 위한 표면처리나 소재선택 등을 통해 고압축으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 장착한 경우로서, 인위적으로 가이더(30)(30a)를 주둥이(11)에서 빼낼수 없도록 조합할수 있다.          In this way, when assembling the guider 30, 30a to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by selecting a suitable method so as not to artificially pull out the guider 30, 30a using a tool or another stripping device, The guiders 30 and 30a are attached to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The guider (30) (3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suitable for adding or applying a variety of devices for preventing such various stripping, it is prevented when the guider 30, 30a is coupled to the spout (11) When the guiders 30 and 30a are mounted on the spout 11 by high compression through surface treatment or material selection, the guiders 30 and 30a can not be artificially removed from the spout 11. have.

마개(20)에는 푸쉬로드(22)가 돌설되어 마개(20)를 주둥이(11)의 외벽 나사산(12)을 따라 돌려 끼우면 마개(20) 전체가 나사산(12)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는데, 이때 푸쉬로드(22)는 가이더(30)(30a)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을 따라 내려가면서, 가동판(50)의 표면을 눌러 가압한다. 이때 푸쉬로드(22)는 마개(20)의 이동과 동시에 가동판(50)을 가압하게 된다.        Push rod 22 protrudes into stopper 20 so that stopper 20 can be screwed along outer wall thread 12 of spout 11 so that the stopper 20 as a whole descends along thread 12. The push rod 22 presses and presses th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50 while descending along the guide groove 31 formed in the guiders 30 and 30a. At this time, the push rod 22 presses the movable plate 50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stopper 20.

도 2는 마개(20)를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결합을 완료한 상태이다. 마개(20)의 푸쉬로드(22)는 가이더(30)(30a)의 가이드홈(31)을 따라 밑으로 내려간 상태이며, 마개(20)는 주둥이(11)의 나사산(12)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내용물을 담고 마개(20)로 주둥이(11)를 닫아 밀봉한 최종 단계로서, 표시부(70)는 가이더(30)(30a)의 작동안내공간(35)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2 is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20 has completed the coupling along the thread 12 of the spout 11. The push rod 22 of the stopper 20 is lowered along the guide groove 31 of the guider 30, 30a, and the stopper 20 is engaged with the thread 12 of the spout 11. to be. This state is a final step in which the spout 11 is closed and sealed with the stopper 20, and the display unit 70 is located inside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of the guiders 30 and 30a.

마개(20)를 주둥이(11)에 돌려 끼우는 과정에서 푸쉬로드(22)의 가압력이 형성되고, 이 가압력에 따라 가동판(50)의 이동현상이 나타나며, 가동판(50)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부(70)의 위치도 변동되지만 도 2와 같이 마개(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표시부(70)는 가이더(30)(30a)의 작동안내공간(35)에 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stopper 20 into the spout 11,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rod 22 is formed, the moving phenomenon of the movable plate 50 appears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and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50 continuously.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70 is also changed, but the display unit 70 maintains a fixed state in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of the guider 30, 30a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20 is coupled as shown in FIG. 2.

즉, 마개(20)를 돌리면 마개(20)는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면서 이와 동시에 푸쉬로드(22)는 가이더(30)(30a)의 가이드홈(31)을 따라 내려가면서 선단부를 통해 가동판(50)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That is, when the stopper 20 is turned, the stopper 20 moves downward along the thread 12 of the spout 11 and at the same time, the push rod 22 opens the guide groove 31 of the guider 30, 30a. While pressing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50 is pressed through the tip portion.

가동판(50)의 상부면에 작용되는 푸쉬로드(22)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판(50)은 가압력 작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더(30)(30a)와 가동판(50)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재(60)를 인장시킨다.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rod 22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50, the movable plate 50 is moved between the guiders 30, 30a and the movable plate 50 while moving in the pressing force acting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60 is tensioned.

탄성부재(60)의 인장에 따라 가동판(50)은 하부로 내려가면서 가이드트랙(33)(52)으로 닿아 있던 접선면이 이격되면서 이와 동시에 표시부(70)를 하부로 이동시켜 작동안내공간(35)과 일치되도록 정위치를 유지시킨다. 표시부(70)의 초기 위치는 가이더(30)(30a)의 내벽이지만 가동판(50)의 이동으로 이동에 따라 작동안내공간(35)과 일치하게 된다.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60, the movable plate 50 is lowered to the bottom while the tangential surface touched by the guide tracks 33 and 52 are spaced a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unit 70 is moved downward to operate the operation guide space ( Maintain the correc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35). Although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70 is the inner wall of the guiders 30 and 30a, the display unit 70 coincides with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as the movable plate 50 moves.

도 3과 같이 마개(20)를 돌려 빼내면 표시부(70)는 탄성부재(61)의 탄성력 작용에 의해 가이더(30)(30a)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외곽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주둥이(11)의 굴절부(13)에 걸려서 정착된다. 이 작동은 초기에 가동판(50)의 하부측 가이드트랙(53)에 표시부(70)가 걸린 상태이지만, 마개(20) 개방에 따른 푸쉬로드(22)의 가압력 해제에 의해 가동판(50)이 상부로 올라가고 이로인해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으로부터 표시부(70)의 턱 분리 현상이 나타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펼쳐지는 것이다.        When the stopper 20 is removed by turning the stopper 20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part 70 is unfolded in the outer direction along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of the guiders 30 and 30a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1. The refraction part 13 of (11) is caught and fixed. This operation is initially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70 is caught in the lower guide track 53 of the movable plate 50, but the movable plate 50 is released by the release of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rod 22 due to the opening of the stopper 20. As a result, the jaw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display unit 70 appears from the guide tracks 53 of the movable plate 50, and thus spreads along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표시부(70)는 구배면(72)이 있기 때문에 이 구배면(72)을 통해 주둥이(11)의 굴절부(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며, 가동판(50)측의 가이드트랙(53)을 따라 슬라이드레일(71)을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이동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표시부(70)의 이동은 가동판(5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53)의 끝단 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작동한다.       Since the display portion 70 has a gradient surface 72, the display portion 70 can be slid easily along the refractive portion 13 of the spout 11 through the gradient surface 72, and the guide track 53 on the movable plate 50 side is provided. Since it is coupled through the slide rail 71 along the slide movement is possible when the elastic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70 is fixed by the end projection of the guide track 53 formed on the movable plate 50 Works.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내용물을 용기(10) 담고 상품으로 출고하기 전 마개(20)를 닫는 밀봉 단계에서 가이더(30)의 유닛을 주둥이(11)에 장착하고 마개(20)를 닫으면 가동판(70)이 하부로 내려간 상태가 되고, 이후 마개(20)를 열면 표시부(70)가 외곽방향으로 확장되어 그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마개(20)의 개봉 상태를 표시하여 쉽게 개봉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가이더(30)(30a)의 탈거는 물론 특정 부분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다시 넣을 수 없도록 한다.        Content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spout 11 of the unit of the guider 30 in the sealing step of closing the stopper 20 before containing the container 10, the product as a product. If the stopper 20 is closed and the stopper 20 is closed, the movable plate 70 is lowered. Then, when the stopper 20 is opened, the display part 70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remains in that state. It is possible to visually indicate the unopened state by displaying the unopened state, as well as removing the guider (30) (30a) to remove the specific portion so that the contents can not be put back.

한편, 용기에 내용물을 채우고 재투입 방지장치 유닛을 주둥이에 설치한 후 마개(20)를 돌려 개봉하면 마개(20)는 주둥이(11)측 나사산(12)을 따라 개봉되면서 열리는데, 이때 푸쉬로드(22)도 마개(20)의 이동에 따라 윗 방향으로 상승하여 가동판(50)에 대한 가압력은 소멸되지만 가동판(50)은 탄성부재(60)의 탄성력으로 상승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filling the container with the re-insertion prevention unit installed in the spout and opening the stopper 20 by opening the stopper 20 is opened while opening along the screw thread (12) side of the spout (11), the push rod ( 22 also rises upward with the movement of the stopper 20 so that the pressing force on the movable plate 50 is extinguished, but the movable plate 50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가동판(50)은 마개(20)를 닫아 밀봉하는 과정에서 정착된 탄성부재(60)를 신장 시킨 위치에 정착되지만 마개(20)를 열면 상승되면서 표시부(70)를 가이더(30)(30a)의 밖으로 펼쳐주는데, 표시부(70)의 일단이 주둥이(11)의 굴절부(13)에 걸려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61)의 복원력이 작용되어도 그대로 정 위치에 있게 되어 외부에서 이 상태를 쉽게 식별이 가능하다.         The movable plate 50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elastic member 60 fixed in the process of closing and closing the stopper 20 is extended, but when the stopper 20 is opened, the movable plate 50 moves up the display unit 70 to the guider 30 (30a). When one end of the display portion 70 is caught by the refracting portion 13 of the spout 11, the elastic member 61 remains in the correct position even when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1 is applied. It is possible.

마개(20)를 열어 내용물을 유출시키려면 용기(10)를 기울여서 유출시킨다. 이는 통상적으로 용기(10)내 내용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것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용기를 기울일 때 1차측 출구(43)가 닫히고 열리도록 되어 있다. 이는 출구(42)를 통한 내용물의 재투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To open the stopper 20 to drain the contents, tilt the container 10 to drain. This is typically the same as for spill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primary outlet 43 is closed and opened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This is to prevent re-entry of the contents through the outlet 42.

용기를 기울이면 볼(41)이 통로(40)의 가이드홈(44)을 따라 자유이동 한다. 즉, 기울어짐 각도에 따라 가이드홈(44)내에서 볼(41)의 위치는 변화된다.       When the container is tilted, the ball 41 moves freely along the guide groove 44 of the passage 4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ball 41 in the guide groove 44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용기를 세워놓은 상태이면, 볼(41)의 무게로 인해 통로(40)의 1차측 출구(43)를 볼(41)이 폐쇄한 상태이지만, 내용물을 유출시키기 위해 적절한 각도로 기울이면 볼(41)이 가이드홈(44)을 따라 구름운동 하여 기울러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막고 있던 1차측 출구(43)이 열린다. 이렇게 구멍이 열리면 출구(42)를 통한 내용물의 유출이 가능해진다. 즉, 출구(42)를 통해 유출되는 내용물은 가이더(30)와 가동판(50) 사이 이동공간(32)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가이더(30)(30a)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을 통해 배출된다. 내용물을 유출시려면 반드시 마개(20)를 열어야 하므로 푸쉬로드(22)는 마개(20)를 여는 과정에서 가이드홈(31)에서 빠져나가 이탈되기 때문에 푸쉬로드(22)에 의한 가이드홈(31)의 막힘은 발생되지 않는다. 내용물을 유출시키고 다시 용기를 바로 세우면 볼(41)이 자중으로 내려가 1차측 통로(43)를 폐쇄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출구(42)를 따라 들어오는 다른 어떠한 내용물의 유입도 차단된다.        If the container is upright, the ball 41 is closed by the weight of the ball 41 to close the primary outlet 43 of the passage 40, but the ball 41 is inclined at an appropriate angle to allow the contents to flow out. The first exit 43, which was blocked by moving in a tilting direction by rolling movement along the guide groove 44, is opened. When the hole is opened in this way,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2. That is, the contents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 42 move along the moving space 32 between the guider 30 and the movable plate 50 and finally through the guide groove 31 formed in the guider 30, 30a. Discharged. Since the stopper 20 must be opened in order to drain the contents, the push rod 22 is pulled out of the guide groove 31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stopper 20, and thus is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31 by the push rod 22. Blockage does not occur.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the container is upright again, the ball 41 descends to its own weight to close the primary passage 43, and in this state, any inflow of other contents along the outlet 42 is block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마개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가동판이 연동하여 용기내 내용물의 유출과 재투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 마개를 열면 개방된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한번 마개를 개방하면 내용물을 다시 용기에 넣을 수 없도록 할수 있으며, 상품 출하전 봉입단계에서 간단하게 마개를 장착하여 정품 상품의 식별력을 제고시키며, 내용물의 재투입을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봉쇄하여 유사 보조품의 유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vable plate to interlock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iner cap to control the leakage and re-injection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so that once the cap is opened, an open state can b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put back into the container.In the pre-sealing encapsulation stage, the cap is simply installed to enhance the identification of genuine products, and the re-injection of the contents is blocked through a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to prevent distribution of similar accessori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olved.

Claims (11)

용기 주둥이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맞물리는 나사가 내면에 형성된 마개의 회전에 따라 용기 개봉 상태를 표시하고 내용물의 재투입을 방지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A device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ents in a container in which a screw engaged with a screw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container spout indicates the opening stat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 stopp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prevents reloading of the contents. 상기 용기 주둥이(11)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2)에 맞물려 용기 주둥이(11)의 나사산(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산(21)을 내경상으로 갖는 마개(20)와, A stopper 20 having an internal diameter of a screw thread 21 so as to be engaged with a screw thread 12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spout 11 and move along the screw thread 12 of the container spout 11; 상기 마개(2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개(20)의 이동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푸쉬로드(22)와, A push rod 22 protruding in a lower direction of the stopper 20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stopper 20; 상기 푸쉬로드(22)의 작동을 안내하고 내용물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 주둥이(11)의 내벽을 따라 장착된 가이더(30)(30a)와, Guiders 30 and 30a moun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spout 11 for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22 and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contents; 상기 가이더(30)(30a)를 중심으로 수축 탄성력을 받도록 장착되어 푸쉬로드(22)의 작동위치에 따라 인장 수축되면서 위치 가변을 통해 표시부(70)를 가동시키는 가동판(50)과,  A movable plate 50 mounted to receive the contractive elastic force around the guiders 30 and 30a to move the display unit 70 through a variable position while being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push rod 22; 상기 가동판(50)에 대하여 압축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이더(30)(30a)와 가동판(50)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60)와,An elastic member 60 disposed between the guiders 30 and 30a and the movable plate 50 to impart a compressive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plate 50, 상기 가동판(50)의 이동과 연동하여 움직이고 외곽 방향성 탄성부재(61)를 구비하여 그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팽창하여 마개(20)의 개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0)와, A display unit 70 which moves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50 and includes an outer directional elastic member 61 to expand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force action direction to display an opening state of the stopper 20; 상기 표시부(70)의 펼쳐짐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더(30)(30a)에 마련된 작동안내공간(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Preventing re-insertion of contents in a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on guide space (35) provided in the guider (30) (30a) to guide the unfolding of the display unit (7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20)로부터 돌출되는 푸쉬로드(22)는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push rod (22) protruding from the stopper (20) is a stopper device (20) and re-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rod (22).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개(20)와 푸쉬로드(22)를 별개로 구성하여 조립하여 마개(20)의 회전에 따라 푸쉬로드(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장지장치.        The stopper device and re-insertion device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20) and the push rod (22) separately configured to assemble to move the push rod (2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topper (2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더(30)(30a)는 상부측 가이더(30)와 하부측 가이더(30a)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guider (30) (30a) is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he upper guider (30) and the lower guider (30a) configured to prevent re-insertion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기의 주둥이(11) 내벽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더(30)(30a)는, 푸쉬로드(2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31)과,        The guiders 30 and 30a mount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may include a guide groove 31 for guiding the push rod 22. 상기 가동판(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공간(32)과,        A moving space 3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50; 상기 이동공간(32)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판(50)과의 조합을 위한 가이드트랙(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ng re-insertion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uide track (33) for combination with the movable plate (50) moving along the moving space (32).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가이더(30)(30a)는 용기(10)의 주둥이(11) 내벽면과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한 밀폐부재(80)를 외표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guider (30) (30a) is a re-injection preventing device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80)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pout (11) of the container (10).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가이더(30a)는, 용기(10)내 내용물을 밖으로 유출시키고 차단하기 위한 볼(41)이 내장된 통로(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guider (30a) is a device for preventing re-insertion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ssage (40) with a ball (41) is built in for the flow out and blocking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10).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통로(40)는 상부측이 높고 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출구(4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passage 40 is a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sloped outlet 42 which is lowered toward the low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동판(50)은, 가이더(30)에 형성된 가이드트랙(33)에 대응되도록 표 면위에 형성된 가이드트랙(52)과,        The movable plate 50, the guide track 52 formed on the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track 33 formed on the guider 30, 상기 가이드트랙(52)의 상대측에 형성되어 표시부(7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양방향 대칭으로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트랙(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ng re-insertion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track 52 and formed with two guide tracks 53 formed in both directions symmetricall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7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70)는, 가동판(50)의 이동에 따라 가이더(30a)의 작동안내공간(35)을 따라 밖으로 팽창되어 펼쳐질수 있도록 탄성부재(61)에 의해 가이더(30)의 하부에 마련된 돌출부(36)를 중심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과 턱결합으로 걸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display unit 7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r 30 by the elastic member 61 so that the display unit 70 can be expanded and expanded out along the operation guide space 35 of the guider 30a as the movable plate 50 moves. It is supported around the projection 36, and the re-insertion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hanging with the guide track 53 of the movable plate (5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9, 상기 표시부(70)는, 가동판(50)의 가이드트랙(53)에 안내되는 슬라이드레일(71)을 표면상에 구비하고, 그 끝단은 가이더(30a)의 내벽면과의 마찰면을 적게 하기 위한 구배면(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내용물 재투입 방지장치.        The display unit 70 has a slide rail 71 guided on the guide track 53 of the movable plate 50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end thereof has a friction surface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r 30a. Preventing re-insertion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adient surface (72) for.
KR20030039091A 2003-06-17 2003-06-17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en) 2003-06-17 2003-06-17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PCT/KR2004/001443 WO2004110890A1 (en) 2003-06-17 2004-06-17 Device for preventing contents from being input again in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9091A KR100573877B1 (en) 2003-06-17 2003-06-17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91A KR20040108191A (en) 2004-12-23
KR100573877B1 true KR100573877B1 (en) 2006-04-26

Family

ID=3355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90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877B1 (en) 2003-06-17 2003-06-17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3877B1 (en)
WO (1) WO200411089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8901A (en) * 2012-05-22 2012-09-12 褚万青 Anti-counterfeiting package having random inner structure and commodity anti-counterfei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1062U (en) * 1979-02-21 1980-08-27
US4523687A (en) * 1984-10-29 1985-06-18 John Hullihen Non-refillable pourer
FR2655955B1 (en) * 1989-12-20 1992-04-10 Alfax Ab VALVE FOR NON-REFILLABLE PRESSURE GAS BOTTLES AND PACKAGING EQUIPPED WITH SUCH A VALVE.
KR100884650B1 (en) * 2002-12-26 2009-02-20 정현수 Bottle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10890A1 (en) 2004-12-23
KR20040108191A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155B2 (en) Single unit dispensing cap
US4271974A (en) Bottle with prealigned closure
RU2406670C1 (en) Lock for container
CN1232771A (en) Lids for beverage containers
US10562681B2 (en) Dispensing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KR100573877B1 (en) Device re-input prevention device in the container
KR20110075546A (en) Drop anti-counterfeit stopper assembly
WO2009047626A2 (en) Anti-adulteration closure device for bottles
KR100830089B1 (en) Container cap
KR100884650B1 (en) Bottle cap
KR101616292B1 (en) a liquid storage bottle
JPWO2021171722A5 (en)
KR20030096162A (en) Bottle cap having separate contents storage space
KR200417215Y1 (en) Convenient container for opening and closing
US10106302B1 (en) Beverage container pouring cap
KR100679612B1 (en) Container with anti-counterfeiting discharge protrusions
KR200393813Y1 (en) Container having protrusion for drain for prevent contents from forgery
KR102245542B1 (en) Cosmetic container
KR200488752Y1 (en) A cap for discharging fixed quantity from liquid container
KR20140011233A (en) 1 piece closure with storage cup
KR102124992B1 (en) Cosmetic container
RU47333U1 (en) BOTTLE CLOTHING DEVICE
KR20100054964A (en) Bottle cap
KR100493135B1 (en) A Barrel
KR100577729B1 (en) Anti-counterfeiting safety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