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815B1 - Sliding door opener structure of vehicle - Google Patents
Sliding door opener structur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3815B1 KR100573815B1 KR1020040011060A KR20040011060A KR100573815B1 KR 100573815 B1 KR100573815 B1 KR 100573815B1 KR 1020040011060 A KR1020040011060 A KR 1020040011060A KR 20040011060 A KR20040011060 A KR 20040011060A KR 100573815 B1 KR100573815 B1 KR 1005738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vehicle
- sliding door
- child lock
- la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량 슬라이딩 도어 설정 상태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도어 스위치 조작시 액츄에이터에 의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있어서,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에 연결되어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락 감지 센서(20),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도어 손잡이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 상기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도어 락 감지 센서(20) 및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기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동작하는 액츄에이터(100)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the actuator when the door switch operation of th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liding door setting state of the driver,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 child lock detection sensor 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latch and connected to the child lock setting lever 1 to detect a child lock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sliding door and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to one side of the door latch A door lock sensor 20 installed to detect a door lock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sliding door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nd each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latch and install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vehicle sliding door Door handle op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handle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30) ), A control unit 50 that determines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by us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child lock detection sensor 10, the door lock detection sensor 20, and the door handle manipulation sensor 3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ly. ), An actuator 1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oor latch and operating to open the door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차일드 락 감지 센서 20 : 도어 락 감지 센서10: child lock detection sensor 20: door lock detection sensor
30 :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 50 : 제어부30: door handle operation sensor 50: control unit
100 : 액츄에이터100: actuator
본 발명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설정 상태에 따라 차량의 도어 개폐 조작을 감지하고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by the operation of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door by detect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sliding door of the dri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for a vehicle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승용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이 탑승하게 되는 승합차는 승차 및 하차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딩 도어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면에 설치되는데, 근래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는 차량도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Compared to passenger cars, vans,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assengers, generally adopt sliding doors for the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The sliding do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in recent years, vehicles installed on both sides are also on the trend.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조작하면 그 조작력을 링크를 통해 전달되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an example, when the handles provid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liding door of the vehicle are manipulated, the operation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nk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sliding door of the vehicle and thus the door can be opened.
이때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일드 락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일드 락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In this case, a child lock is generally installed to prevent the sliding door of the vehicle from being opened by inadvertent manipulation of a child in the vehicle. Child locks work as follows:
차일드 락 설정 레버(1)를 조작하여 a 위치에 놓이게 하면 래치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 레버(2)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여도 조작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차일드 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일드 락 설정 레버(1)를 aa 위치에 놓이게 하여 도어 손잡이의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hild
차량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우선 탑승자는 도어 락 노브(2)를 조작하여 링크 로드(3)를 bb 에서 b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어 락 노브(2)의 설정에 의해 래치(미도시)와의 연결이 단락되어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조작하여도 조작력이 래치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When it is necessary to fix the vehicle sliding door so as not to open, the occupant first operates the
또한, 개방되어 있는 도어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드 오픈 락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홀드 오픈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that is opened from being closed by itself by itself, it can be set to the hold open lock state. At this time, hold open lock state should be released.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의 여러 고정 상태 설정은 각각의 설정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설정 레버를 이용하게 된다. Various fixed state setting of the sliding door as described above uses a setting lever installed in the door to set each setting state.
이와 같은 레버 설정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고 해제된다. 특정의 목적을 위해서 설정 상태가 해제된 후 목적 달성을 이룬 후, 고정 상태를 재설정하는 것을 잊고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도어의 고정 상태가 설정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setting such a lever, it is set and released by an operator's operation. After achieving the purpose after the setting state is released for a specific purpose, when driving the vehicle forgetting to reset the fixed state, the fixed state of the door is not set,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ident occur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과 같은 도어의 고정 상태가 설정되면 차량의 탑승자가 도어 손잡이의 조작을 감지한 후 액츄에이터에 의해 차량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fixed state of the door is set, such as child lock setting of the vehicle door is set so that the occupant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actuator afte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일실시예의 후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의 블록도로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구조에 있어서,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에 연결되어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락 설정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락 감지 센서(20),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도어 손잡이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 상기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 도어 락 감지 센서(20) 및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기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동작하는 액츄에이터(10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of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at one side of a door latch and connected to a child
상기 액츄에이터(100)는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래치 링크(110)를 동작시켜 차량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서는 차량의 탑승자는 도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를 이용하게 된다.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sliding door, the occupant of the vehicle uses a door handl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door.
이때 차량의 주행 도중 차량의 내측에서 실수로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일드 락을 설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차량의 운전자가 차일드 락 설정 레버(1)를 a 위치에서 aa 위치로 조작하여 차일드 락이 설정되도록 하면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에서 차일드 락 설정 레버(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차일드 락 조작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50)로 입력되도록 하고, 제어부(50)에서는 액츄에이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액츄에이터(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set the child lock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accidentally operating the door handle inside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operates the child
차일드 락 설정 상태에서는 차량의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의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게 되면 도어 래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된다. 그러나 제어부(50)는 차일드 락 조작 신호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손잡이가 조작되는 것으로 판단되어도 제어부(50)에서는 액츄에이터(100)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된다. In the child lock setting state, when the occupant of the vehicle manipulates the inner handle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a signal output from the door
차일드 락 설정 상태에서의 도어의 동작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door in the child lock setting state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차일드 락이 해제되도록 차일드 락 설정 스위치를 aa 위치에서 a 위치로 조작하도록 하여, 차일드 락을 해제하면 차일드 락 감지 센서(10)에서의 신호 출력이 정지된다. 차일드 락의 설정 신호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으므로 이때 도어의 내부 손잡이를 조작하면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는 액츄에이터(100)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 If the child lock setting of the door is not necessary, the driver may operate the child lock setting switch from the aa position to the a position so that the child lock is released.When the child lock is released, the signal output from the child
도어 내측과 외측 손잡이를 조작하여도 차량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량 도어가 폐쇄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판넬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고정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도어 락 감지 센서(20)에서 출력되는 도어 락 설정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된다. In order to prevent the vehicle door from opening even when the door inner and outer handles are operate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vehicle door to be closed. At this time,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operates a door lock switch (not shown) installed in the instrument panel or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vehicle, the door lock setting signal output from the door
도어 락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50)는 차량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 손잡이를 조작하여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도어 손잡이 조작 신호가 출력되어도 액츄에이터(100)가 동작하지 않게 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을 방지한다. The
차량 도어의 개방이 필요하게 되면 도어 락이 해제되도록 도어 고정 스위치를 조작한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 조작에 의해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에서 도어 손잡이 조작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0)는 액츄에이터(100)가 동작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vehicle door needs to be opened, if the door handle manipul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door
차량 도어의 개방과 폐쇄에는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노약자의 경우 차량 도어의 개폐가 불확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탑승자가 차량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 손잡이에 손을 대면 도어 손잡이 조작 센서(30)는 이를 감지하여 손잡이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50)로 입력되도록 한다.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takes a lot of force,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hen the vehicle occupant touches the inner or outer handle of the vehicle door, the door handle operation sensor ( 30 detects this and outputs a handle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output signal is input to the
제어부(50)는 입력된 신호에 의해 차량 도어가 개폐 또는 폐쇄 상태로 설정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 터(100)가 동작되어 차량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The
또한, 도어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많은 화물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차량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판넬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개방 스위치를 조작하면, 도어 개방 신호가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액츄에이터(100)가 래치 링크(110)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차량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common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using the door handle, but when carrying a lot of cargo,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s not easy. In this case, the door installed in the instrument panel or remote controller of the vehicle. When the opening switch is operated, the door opening signal is input to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의 차일드 락 설정, 도어 락 설정과 같은 도어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면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의 도어 조작을 감지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차량의 도어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operation state of the door is set, such as child lock setting and door lock setting of the vehicle door,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oor operation of the vehicle occupan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thereby reducing the It has the effect that door operation becomes easy.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060A KR100573815B1 (en) | 2004-02-19 | 2004-02-19 | Sliding door opener structur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060A KR100573815B1 (en) | 2004-02-19 | 2004-02-19 | Sliding door opener structure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578A KR20050082578A (en) | 2005-08-24 |
KR100573815B1 true KR100573815B1 (en) | 2006-04-26 |
Family
ID=3726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10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815B1 (en) | 2004-02-19 | 2004-02-19 | Sliding door opener structur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38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4391B1 (en) | 2018-06-26 | 2024-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r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2106A (en) * | 1995-10-20 | 1997-04-28 |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 Remote operated child lock device |
KR970039720U (en) * | 1995-12-26 | 1997-07-29 | Child Lock Remote Release Device | |
JPH10140899A (en) * | 1996-11-13 | 1998-05-26 | Tokai Rika Co Ltd | Child lock system |
KR19980051422U (en) * | 1996-12-30 | 1998-10-07 | 박병재 | Door lock switchgear for child protection |
-
2004
- 2004-02-19 KR KR1020040011060A patent/KR1005738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2106A (en) * | 1995-10-20 | 1997-04-28 |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 Remote operated child lock device |
KR970039720U (en) * | 1995-12-26 | 1997-07-29 | Child Lock Remote Release Device | |
JPH10140899A (en) * | 1996-11-13 | 1998-05-26 | Tokai Rika Co Ltd | Child lock system |
KR19980051422U (en) * | 1996-12-30 | 1998-10-07 | 박병재 | Door lock switchgear for child prote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578A (en) | 2005-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88410B1 (en) | Door latch arrangement | |
JP3947278B2 (en) | Vehicle door unlock mechanism | |
US20080217956A1 (en) | Motor Vehicle and Door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 |
JP6716827B2 (en) | Car door latch | |
KR101875630B1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JP2018516325A (en) | How to control a car door latch | |
US6752440B2 (en) | Aperture closure system | |
CN106042858B (en) | Vehicle | |
US7397146B2 (en) | Child lock apparatus | |
JP2008248625A (en) |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 |
KR100573815B1 (en) | Sliding door opener structure of vehicle | |
JP2008144418A (en) | Child lock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 |
JP2017159744A (en) | Door device for vehicle | |
JP2005240309A (en) | Child lock control device | |
JPH04136385A (en) | Door lock structure of car | |
JP2008121196A (en) | Opening-closing device of vehicle door | |
JP2005139671A (en) | Door control unit for vehicle | |
KR100534312B1 (en) | Device for latch/unlatch the door of car | |
JP4747712B2 (en) | Vehicle do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
JP2014076777A (en) | Vehicular door control unit | |
JP4285189B2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20070063324A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2902428B2 (en) | Vehicle anti-theft device | |
KR20030032620A (en) | Safety apparatus of automobil having sliding doors | |
KR200407472Y1 (en) | Vehicle door 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