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3140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140B1
KR100573140B1 KR1020040026203A KR20040026203A KR100573140B1 KR 100573140 B1 KR100573140 B1 KR 100573140B1 KR 1020040026203 A KR1020040026203 A KR 1020040026203A KR 20040026203 A KR20040026203 A KR 20040026203A KR 100573140 B1 KR100573140 B1 KR 10057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stain discharge
connecting terminal
light emitting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965A (ko
Inventor
권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140B1/ko
Priority to US11/101,404 priority patent/US7602123B2/en
Priority to CNB200510071692XA priority patent/CN100555523C/zh
Publication of KR2005010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1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징 공정 중에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의 온도차이가 급격하게 커지지 않고, 따라서 표시영역과 주변영역 간의 열팽창량의 차이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기판;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발광셀들; 일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셀들에 걸쳐서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후방유전체층;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X전극과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전방유전체층; 상기 발광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발광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 중의 일부는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고, 다른 유지방전전극쌍들은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에이징 시에 X전극과 Y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영역을 도시하는 부분절개 분리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면기판 15: 후방패널
15a: 상측연결부 15b: 하측연결부
16: 전방패널 16a: 좌측연결부
16b: 우측연결부 17a: 제1경계선
17b: 제2경계선 17c: 주변영역
17d: 표시영역 20: 후방유전체층
40: 전면기판 50: 전방유전체층
73: 어드레스전극 80: 격벽
81: 발광셀 82: 형광체층
Xn (X1, X2, ..., X(m-1), Xm): X전극
Yn (Y1, Y2, ..., Y(m-1), Ym): Y전극
Zn (Z1, Z2, ..., Z(m-1), Zm): 유지방전전극쌍
Xne (X1e, X2e, ..., X(m-1)e, X(m)e): X전극의 연결단자
Yne (Y1e, Y2e, ..., Y(m-1)e, Y(m)e): Y전극의 연결단자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방패널(6)과 후방패널(5)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은 가상의 제1경계선(7a)에 의 하여 한정되는 영역에서 서로 겹쳐진다. 상기 제1경계선의 내측에는 가상의 제2경계선(7b)이 있는데, 이 제2경계선은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7d)과 그 주변의 주변영역(7c)을 구분한다. 상기 표시영역(7d) 내에는 발광셀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발광셀들 각각은 각 발광셀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도시되지 않음)과 Y전극 간의 어드레스방전에 의하여 발광여부가 정해지고, 어드레스방전이 행해진 발광셀들은 X전극과 Y전극 간의 유지방전에 따라서 발광한다.
한편 새로이 제작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정의 에이징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에이징 공정이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든 발광셀들을 소정 시간 동안 발광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에이징 공정에 의하여 발광셀들의 발광특성이 안정화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MgO 막이 활성화되고, 방전가스의 방전특성이 안정화되며, 형광체층에 포함된 불순물이 형광체층으로부터 제거되는 등의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 에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패널의 좌측연결부(6a)에 배치된 모든 Y전극의 연결단자(1)들이 좌측 도전성메쉬(3a)에 의하여 덮이고, 상기 좌측 도전성메쉬는 탄성부재(4a)를 구비한 가압부재(4)에 의하여 Y전극의 연결단자(1)들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전방패널의 우측연결부(6b)에 배치된 모든 X전극의 연결단자(2)들은 우측 도전성메쉬(3b)에 의하여 덮이고, 상기 우측 도전성메쉬는 탄성부재(4a)를 구비한 가압부재(4)에 의하여 X전극의 연결단자(2)들에 대해 가압된다. 이로써 상기 모든 Y전극의 연결단자(1)들은 좌측 도전성메쉬(3a)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든 X전극의 연결단자(2)들도 우측 도전성메쉬(3b)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측 도전성메쉬(3a)와 우측 도전성메쉬(3b)에 각각 도 2 에 도시된 VY 와 VX를 인가하면, 모든 발광셀들의 X전극과 Y전극 간에 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에이징 공정이 진행된다. 도 2 에 도시된 V는 전압을, T는 시간을, Vg 에이징 공정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든 발광셀들에 대하여 동시에 에이징 공정이 실행되면,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 때문에 상기 표시영역(7d)의 온도가 상승된다. 발광셀들이 배치되지 않은 주변영역(7c)의 온도는 상승하지 않고, 또한 표시영역(7d)의 열이 신속하게 주변영역(7c)으로 전달되지는 않는바, 상기 표시영역(7d)과 주변영역(7c) 간에는 온도차이가 있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이가 급격하게 크게 되면,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의 열팽창량 차이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휘도를 높이기 위하여 방전가스에 포함된 Xe의 함량을 높이는 추세인데, 상기 Xe 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전술된 문제점이 심화된다는 점에서, 이 문제점의 해결이 강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에이징 공정 중에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의 온도차이가 급격하게 커지지 않고, 따라서 표시영역과 주변영역 간의 열팽창량의 차이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기판;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발광셀들;
일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셀들에 걸쳐서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후방유전체층;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X전극과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전방유전체층;
상기 발광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발광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 중의 일부는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고, 다른 유지방전전극쌍들은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제1군을 이루고,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과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제2군을 이루며, 상기 제1군과 제2군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X전극의 긴 연결단자는 X전극의 짧은 연결단자보다 5mm 내지 20mm 길고, 상기 Y전극의 긴 연결단자는 Y전극의 짧은 연결단자보다 5mm 내지 20mm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배면기판과 후방유전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후방유전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은 전면기판과 전방유전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유전체층은 보호막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방패널(16)과 후방패널(15)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은 가상의 제1경계선(17a)에 의하여 한정되는 영역에서 서로 겹쳐진다. 상기 제1경계선의 내측에는 가상의 제2경계선(17b)이 있는데, 이 제2경계선은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17d)과 그 주변의 주변영역(17c)을 구분한다.
상기 제1경계선의 외측에 배치된 상측연결부(15a) 및/또는 하측연결부(15b)에는 후술되는 어드레스전극의 연결단자들이 배치되고, 좌측연결부(16a)에는 Y전극 의 연결단자들(Yne: Y1e,..., Yme)이 배치되며, 우측연결부(16b)에는 X전극의 연결단자들(Xne: X1e,..., Xme)이 배치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 X전극, 및 Y전극의 연결단자들은 연결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상기 Y전극의 연결단자들(Yne: Y1e,..., Y me)과 X전극의 연결단자들(Xne: X1e,..., Xme)의 수는 도 3 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에는 상기 표시영역(17d)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패널(16)의 표시영역에는 투명한 전면기판(40), 상기 전면기판의 후방(보다 상세하게는 전면기판의 배면(41))에 배치되고 일 열의 발광셀(81)들에 걸쳐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X전극(Xn)과 Y전극(Yn)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Zn )들, 및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전방유전체층(50)이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전방유전체층을 덮고 있는 보호막(60)이 더 배치된다.
상기 후방패널(15)의 표시영역에는 상기 전면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기판(10), 상기 배면기판의 전방(보다 상세하게는 배면기판의 전면(11))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된 어드레스전극(73)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후방유전체층(20),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유전체층 상)에 형성되어 발광셀(81)들을 구획하는 격벽(80), 및 상기 발광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82)이 배치된다. 상기 발광셀(81) 내에는 방전가스 가 충전되어 있다.
하나의 유지방전전극쌍(Zn: Z1, Z2, Z3, ..., Z(m-2) , Z(m-1), 및 Zm 중의 하나)을 이루는 하나의 X전극 (Xn: X1, X2, X3, ..., X(m-2) , X(m-1), Xm 중의 하나)과 하나의 Y전극(Yn: Y1, Y2, Y3, ..., Y(m-2), Y(m-1) , Ym 중의 하나)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X전극의 연결단자(Xne: X1e, X2e, X 3e, ..., X(m-2)e, X(m-1)e, Xme)와 Y전극의 연결단자(Yne: Y1e, Y2e , Y3e, ..., Y(m-2)e, Y(m-1)e, Yme) 간의 관계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전면기판(40)과 배면기판(10)은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전면기판은 광투과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드레스전극(73)들은 통상적으로 전기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Al 등으로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73)은 Y전극(Yn)과 함께 어드레스방전에 이용된다. 상기 어드레스방전은 발광될 발광셀(81)을 선택하기 위한 방전으로서, 어드레스방전이 이루어진 발광셀(81)에서 후술되는 유지방전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73)들은 후방유전체층(20)에 의하여 덮이는데, 후방유전체층(20)은 어드레스방전시 하전 입자가 어드레스전극(73)에 충돌하여 어드레스전극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방유전체층(20)은 하전 입자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있다.
상기 전면기판(40)과 배면기판(10) 사이에는 발광셀(81)들을 구획하는 격벽(80)이 형성된다. 격벽(80)은 전면기판(40)과 배면기판(10) 사이에 방전공간을 확보하고, 인접한 발광셀(81)들 간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며, 형광체층(82)의 표면적을 넓게 한다. 상기 격벽(80)은 Pb, B, Si, Al, 및 O 등과 같은 원소를 포함하는 유리성분으로 형성되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서 ZrO2, TiO2, 및 Al2 O3 와 같은 필러(filler)와 Cr, Cu, Co, Fe, TiO2 와 같은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 에는 격벽(80)이 후방유전체층(20) 상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격벽(80)과 후방유전체층(20) 사이에 형광체층(82)에서 방출된 빛을 전면기판 쪽으로 반사하는 반사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격벽(80)은 도 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자형상을 가지지만, 격벽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광체층(82)은 발광셀(81) 내에 배치된다. 도 4 에는 형광체층(82)이 격벽의 측면(80a)과 후방유전체층의 전면(20a)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형광체층의 구체적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광체층(82)은 유지방전에 의하여 방전가스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형광체를 포함한다. 적색발광 형광체로서는 Y(V,P)O4:Eu 등이 있고, 녹색발광 형광체로서는 Zn2SiO4:Mn, YBO3:Tb 등이 있으며, 청색발광 형광체로서는 BAM:Eu 등이 있다.
상기 유지방전전극쌍(Zn)들은 일열의 발광셀(81)들에 걸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73)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유지방전전극쌍(Zn)은 하나의 X전극(Xn)과 하나의 Y전극(Yn)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전기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Ag 등으로 형성된다.
X전극(Xn)과 Y전극(Yn) 각각은 서로를 향해 돌출된 도전성의 투명전극(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은 X전극(Xn)과 Y전극(Yn) 간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도 X전극(Xn)과 Y전극(Yn) 간의 유지방전이 쉽게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투명전극(70)은 형광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면기판(40) 쪽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등이 있다.
상기 유지방전전극쌍(Zn)들은 전방유전체층(50)에 의하여 덮인다. 상기 전방유전체층(50)은, 유지방전시 인접한 X전극(Xn)과 Y전극(Yn)이 직접 통전되는 것과 하전 입자가 X전극(Xn)과 Y전극(Yn)에 충돌함으로써 이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투과율이 높은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있다.
상기 전방유전체층은 보호막(60)에 의하여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막(60)은 유지방전시 하전 입자가 전방유전체층(50)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방전시 2차전자를 많이 방출하는 재료, 예를 들어 MgO 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발광셀(81)의 내부에는 방전가스가 충전된다. 이 방전가스는 예를 들 어 Xe이 5% 내지 10% 포함된 Ne-Xe 혼합가스인데, 필요에 따라서 Ne의 적어도 일부가 He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어드레스전극(73)과 Y전극(Yn) 간에 어드레스전압(Va)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유지방전이 일어날 발광셀(81)이 선택된다. 유지방전이 일어날 발광셀(81)이 선택된다는 것은, 전방유전체층(50)(전방유전체층(50)이 보호막(60)에 의하여 덮인 경우에는, 보호막(60)) 중 X전극(Xn)과 Y전극(Yn)에 인접한 영역에 유지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벽전하가 축적된다는 의미이다. 어드레스방전이 종료되면 Y전극(Yn)에 인접한 영역에 양이온이 축적되고 X전극(Xn)에 인접한 영역에 전자가 축적된다.
어드레스방전 후, 상기 선택된 발광셀의 Y전극(Yn)과 X전극(Xn) 사이에 유지방전전압(Vs)이 인가되면, Y전극(Yn)에 인접한 영역에 쌓여 있던 양이온들과 X전극(Xn)에 인접한 영역에 축적되어 있던 전자들이 충돌하여 유지방전을 일으킨다. 유지방전이 진행됨에 따라서 Y전극(Yn)과 X전극(Xn) 간에는 유지방전전압(Vs)이 교대로 인가된다.
상기 유지방전에 의하여 상기 방전가스의 에너지준위가 상승되는데, 방전가스의 상승된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방전가스로부터 자외선이 방출된다. 이 자 외선은 발광셀(81)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82)에 포함된 형광체의 에너지 준위를 상승시키는데, 형광체의 상승된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선이 방출된다. 각 발광셀(81)들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선에 의하여 표시영역(17d)에 화상이 구현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방전전극쌍(Zn)들 중의 일부는 짧은 연결단자(X1e, X3e, X5e, X7e, X9e, ..., X(m-6)e , X(m-4)e, X(m-2)e, 또는 Xme)를 갖는 X전극과, 긴 연결단자(Y1e, Y3e, Y5e, Y7e, ..., Y(m-6)e, Y (m-4)e, Y(m-2)e, 또는 Yme)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고, 다른 유지방전전극쌍들은 긴 연결단자(X2e, X4e, X6e, X 8e, ..., X(m-7)e, X(m-5)e, X(m-3)e, 또는 X(m-1)e)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Y2e , Y4e, Y6e, Y8e, ..., Y(m-7)e, Y(m-5)e, Y(m-3)e, 또는 Y(m-1)e)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다. 도 5 에는 일 Y전극의 연결단자(예를 들어 Y1e)와 이에 대응하는 일 X전극의 연결단자(X1e)가 동일한 선 상에 배치된 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들이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라는 것은 도 4 로부터 알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Y전극(Yn)은 Y전극들(Y1, Y 2, ..., Y(m-1), 및 Ym) 중의 일 Y전극이고, X전극(Xn)은 그 Y전극과 함께 일 유지방전전극쌍(Zn)을 이루는 X전극이다.
X전극의 긴 연결단자(X2e, X4e, X6e, X8e, ..., X(m-7)e , X(m-5)e, X(m-3)e, 또는 X(m- 1)e)는 X전극의 짧은 연결단자(X1e, X3e, X5e, X7e, X 9e, ..., X(m-6)e, X(m-4)e, X(m-2)e, 또는 Xme)보다 긴 연결단자이고, Y전극의 긴 연결단자(Y1e, Y3e, Y 5e, Y7e, ..., Y(m-6)e, Y(m-4)e, Y(m-2)e, 또는 Yme)는 Y전극의 짧은 연결단자(Y2e , Y4e, Y6e, Y8e, ..., Y(m-7)e, Y(m-5)e, Y(m-3)e, 또는 Y(m-1)e)보다 긴 연결단자이다. 즉 특정한 X전극의 연결단자의 길고 짧음의 비교대상은 인접한 다른 X전극의 연결단자이고, 특정한 Y전극의 연결단자의 길고 짧음의 비교대상은 인접한 다른 Y전극의 연결단자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에 도시된 제1좌측 도전성 메쉬(31)를 Y전극의 긴 연결단자들(Y1e, Y3e, Y5e, Y7e, ..., Y(m-6)e, Y(m-4)e, Y (m-2)e, 및 Yme)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1우측 도전성 메쉬(33)를 X전극의 모든 연결단자들(X1e, X2e, ..., X(m-1)e, 및 Xme)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좌측 도전성 메쉬(31)와 제1우측 도전성 메쉬(33)에 도 2 에 도시된 전기파형(VY)과 전기파형(VX)을 각각 인가하면, 긴 연결단자들(Y1e, Y3e, Y5e, Y7e, ..., Y(m-6)e, Y (m-4)e, Y(m-2)e, 또는 Yme)을 구비한 Y전극들과 그에 대응하는 X전극들 간에만 유지방전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긴 연결단자들(Y1e, Y3e, Y5e, Y7e, ..., Y(m-6)e, Y(m-4)e, Y (m-2)e, 또는 Yme)을 구비한 Y전극들이 배치된 발광셀들만 에이징된다. 상기 도 2 에 도시된 전기파형들(VY, VX)의 주파수는 예를 들 어 대략 30kHz이고, 에이징 전압(Vg)는 250V 내지 350V 이며, 상기 주파수의 듀티비는 40% 내지 70%이다.
이와는 반대로, 제2좌측 도전성 메쉬(32)를 Y전극의 모든 연결단자들(Y1e, Y2e, ..., Y(m-1)e, 및 Yme)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우측 도전성 메쉬(34)를 X전극의 긴 연결단자들(X2e, X4e, X6e, X8e, ..., X(m-7)e , X(m-5)e, X(m-3)e, 및 X(m-1)e)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좌측 도전성 메쉬(32)와 제2우측 도전성 메쉬(34)에 도 2 에 도시된 전기파형(VY)과 전기파형(VX)을 각각 인가하면, 긴 연결단자들(X2e, X4e, X6e, X8e, ..., X(m-7)e, X (m-5)e, X(m-3)e, 또는 X(m-1)e)을 구비한 X전극들과 그에 대응하는 Y전극들 간에만 유지방전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긴 연결단자들(X2e, X4e, X6e, X8e, ..., X(m-7)e, X(m-5)e, X(m-3)e, 또는 X(m-1)e)을 구비한 X전극들이 배치된 발광셀들만 에이징된다.
상기와 같이 일부 발광셀들과 다른 발광셀들을 교대로 에이징시킴으로써, 표시영역(17d)에서 발생되는 열의 양이 반감되며, 따라서 표시영역(17d)과 주변영역(17c) 간에 온도차이가 현저히 발생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로 인하여, 표시영역(17d)과 주변영역(17c) 간의 열팽창량의 현저한 차이로 인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X전극의 긴 연결단자(X2e, X4e, X6e, X8e, ..., X (m-7)e, X(m-5)e, X(m-3)e, 또는 X(m-1)e)는 X전극의 짧은 연결단자(X1e, X3e, X5e, X 7e, X9e, ..., X(m-6)e, X(m-4)e, X(m- 2)e, 또는 Xme)보다 5mm 내지 20mm 길고, 상기 Y전극의 긴 연결단자(Y1e, Y 3e, Y5e, Y7e, ..., Y(m-6)e, Y(m-4)e, Y(m-2)e, 또는 Yme )는 Y전극의 짧은 연결단자(Y2e, Y4e, Y6e, Y8e, ..., Y(m-7)e, Y(m-5)e, Y(m-3)e, 또는 Y(m-1)e )보다 5mm 내지 20mm 길다. 즉 도 5 에 도시된 간격(C)가 5mm 내지 20mm 이다.
상기 도전성 메쉬들(31, 34)의 폭(w1)은 상기 연결단자들과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적어도 2mm 는 되어야 하는바, 도전성 메쉬의 위치설정 오차를 고려하면, 상기 간격(C)은 5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간격(C)을 지나치게 크게 하면, 좌측연결부(16a)와 우측연결부(16b)의 폭(w2)이 지나치게 커져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치수를 크게 해야 하므로, 상기 간격(C)은 20mm 이하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이 교대로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을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제1군을 이루고,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제2군을 이루되, 상기 제1군과 제2군 은 교대로 배치된다는 점이다.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짧은 연결단자(예를 들어 X1e, X2e)를 갖는 X전극과 긴 연결단자(예를 들어 Y1e, Y2e)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Z 1, Z2)이 제1군을 이루고, 긴 연결단자(예를 들어 X3e, X4e)를 갖는 X전극과 짧은 연결단자(예를 들어 Y3e, Y4e)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Z3 , Z4)이 제2군을 이룬다. 그에 후속하는 유지방전전극쌍들(예를 들어 Z5, Z6, Z7, Z 8)은 전술된 유지방전전극쌍들(Z1, Z2, Z3, Z4)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이 교대로 배치되지는 않았으나, 제1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유지방전전극쌍들이 하나의 군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셋 이상의 유지방전전극쌍들이 하나의 군을 이룰 수도 있다. 다만, 10개 이상의 유지방전전극쌍이 하나의 군을 이루는 것은, 표시영역(17d) 내에서의 열적 불균형(국지적인 온도상승)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7 을 참조하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가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짧은 연결단자(X1e, X4e, X5e , X7e, ..., X(m-5)e, X(m-3)e, X(m-1)e, 또는 Xme)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Y1e, Y4e, Y5e, Y7e, ..., Y(m-5)e, Y(m-3)e, Y(m-1)e, 또는 Yme )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Z1, Z4, Z5, Z7, ..., Z(m-5) , Z(m-3), Z(m-1), 및 Zm)과 다른 유지방전전극쌍들(Z2, Z3, Z6, Z8, ..., Z(m-7), Z (m-6), Z(m-4), 및 Z(m-2))의 배치가 일정하게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유지방전전극쌍들은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고, 다른 유지방전전극쌍들은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과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다.
다만 그러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반드시 반복적인 형태로 반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도 7 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Z1, Z4, Z5 , Z7, ..., Z(m-5), Z(m-3), Z(m-1), 및 Zm)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Z2, Z3, Z6, Z8, ..., Z (m-7), Z(m-6), Z(m-4), 및 Z(m-2))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에이징 공정 중에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의 온도차이가 급격하게 커지지 않고, 따라서 표시영역과 주변영역 간의 열팽창량의 차이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투명한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기판;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된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발광셀들;
    일 방향으로 배열된 발광셀들에 걸쳐서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후방유전체층;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X전극과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을 덮고 있는 전방유전체층;
    상기 발광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발광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 어서,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 중의 일부는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고,
    다른 유지방전전극쌍들은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 및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은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과 긴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제1군을 이루고, 긴 연결단자를 갖는 X전극과 짧은 연결단자를 갖는 Y전극을 구비한 유지방전전극쌍들이 제2군을 이루며, 상기 제1군과 제2군은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전극의 긴 연결단자는 X전극의 짧은 연결단자보다 5mm 내지 20mm 길고, 상기 Y전극의 긴 연결단자는 Y전극의 짧은 연결단자보다 5mm 내지 20mm 긴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배면기판과 후방유전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후방유전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방전전극쌍들은 전면기판과 전방유전체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유전체층은 보호막에 의하여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26203A 2004-04-16 2004-04-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03A KR100573140B1 (ko) 2004-04-16 2004-04-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11/101,404 US7602123B2 (en) 2004-04-16 2005-04-08 Plasma display panel
CNB200510071692XA CN100555523C (zh) 2004-04-16 2005-04-16 等离子体显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03A KR100573140B1 (ko) 2004-04-16 2004-04-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65A KR20050100965A (ko) 2005-10-20
KR100573140B1 true KR100573140B1 (ko) 2006-04-24

Family

ID=3509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2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3140B1 (ko) 2004-04-16 2004-04-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02123B2 (ko)
KR (1) KR100573140B1 (ko)
CN (1) CN1005555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71B1 (ko) * 2007-09-06 2009-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전극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537A (en) * 1973-02-27 1976-01-06 Nippon Electric Company Limited Matrix electrode gas discharge display panel having terminals spaced wider than electrodes
JP2917279B2 (ja) 1988-11-30 1999-07-12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JP3259253B2 (ja)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US6097357A (en)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EP1231590A3 (en) 1991-12-20 2003-08-06 Fujitsu Limi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EP0554172B1 (en)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163563B2 (ja)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845183B2 (ja) 1995-10-20 1999-01-13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JPH09251841A (ja) 1996-03-15 1997-09-22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273577A (ja) * 1996-04-05 1997-10-21 Shinko Electric Co Ltd 永久磁石型無励磁作動形ブレーキの励磁方法
JPH10321145A (ja) * 1997-03-19 1998-12-04 Sony Corp 表示装置
JP3626342B2 (ja) * 1997-12-19 2005-03-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429586B1 (en) * 1998-02-13 2002-08-06 Hitachi, Ltd. Gas discharge display panel and gas discharge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des formed by laser processing
JP3424587B2 (ja)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030685B2 (ja) 1999-07-30 2008-01-0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25888A (ja) 2000-03-09 2001-11-22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1218B1 (ko) * 2003-07-15 2006-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속 부재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JP2005316037A (ja) * 2004-04-28 2005-11-10 Hitachi Ltd 表示装置
KR101057121B1 (ko) * 2004-09-03 2011-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패드 구조
KR100717782B1 (ko) * 2005-04-06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026937A (ja) * 2005-07-19 2007-02-01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そのエージング方法及び製造方法
WO2007013528A1 (ja) * 2005-07-26 2007-02-01 Tohoku Pioneer Corporation 表示装置、表示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869104B1 (ko) * 2006-11-20 2008-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2123B2 (en) 2009-10-13
US20050231115A1 (en) 2005-10-20
CN1684218A (zh) 2005-10-19
CN100555523C (zh) 2009-10-28
KR20050100965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1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0075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57B1 (ko) 전극 단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JP2006237004A (ja) 電極端子部の連結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372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18B1 (ko) 전극 단자부 연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5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910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19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265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11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94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4650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5509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145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