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2754B1 -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754B1
KR100572754B1 KR1020040011714A KR20040011714A KR100572754B1 KR 100572754 B1 KR100572754 B1 KR 100572754B1 KR 1020040011714 A KR1020040011714 A KR 1020040011714A KR 20040011714 A KR20040011714 A KR 20040011714A KR 100572754 B1 KR100572754 B1 KR 10057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wire
outer sh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113A (ko
Inventor
박용길
Original Assignee
(주)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한 filed Critical (주)무한
Priority to KR102004001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7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7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와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재로 형성된 단열재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에 파이프와 전선을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속공급되는 단열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파이프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관삽입부와; 상기 단열재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전선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전선삽입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최소의 인력으로도 단열재의 내부에 전선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가 하락하고, 작업속도 또한 더욱 빨라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pipe and electric wire inserting apparatus of a pipe using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삽입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선삽입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전선삽입부의 사시도,
도 3b는 3a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피접착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가열히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가열히터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직선화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도.
도 8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삽입부
11 : 홈확장가이드 12 : 받침롤러
13 : 지지가이드
20 : 전선삽입부
21 : 전선공급롤러
211 : 전선이송롤러 212 : 오목면
213 : 기어
22 : 전선가이드관
30 : 외피접착부
31 : 겹침롤러
311 : 하부롤러 312 : 상부롤러
32 : 외피이송가이드 33 : 외피접착관
34 : 가열노즐 35 : 제1냉각노즐
36 : 냉각수제거노즐 37 : 제2냉각노즐
38 : 가열히터
40 : 파이프직선화부
41 : 롤러 42 : 기어
100 : 단열재 101 : 홈
200a, 200b : 파이프
300 : 전선
400 : 외피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와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10)와 실외기(120)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는 배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발포수지로 된 단열재(131)에 홈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각각의 홈에 고압관 및 저압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파이프(133)와, 전선 및 통신케이블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선(134)이 삽입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 전선 및 통신케이블이 삽입 수용된 단열재(131)의 외주면은 테이프(132)로 감싼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배관은 상기 고압관 삽입홈 및 저압관 삽입홈과 전선 삽입홈 및 통신케이블 삽입홈을 단열재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는 작업과, 상기 고압관 삽입홈 및 저압관 삽입홈과 전선 삽입홈 및 통신케이블 삽입홈에 고압관 및 저압관과 전선 및 통신케이블을 강제 압입시키는 작업,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과 전선 및 통신케이블이 삽입 수용된 단열재의 외주면을 테이핑 하는 작업 등이 모두 각각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와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와 전선이 삽입된 단열재의 외측에 외피를 덧씌우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 하면서 지속적으로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의 외측에 외피를 덧씌우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된 외피가 급속이 냉각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피가 단열재의 외측에 더욱 원활히 감싸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피접착관의 내측에 외피가 녹아 붙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피에 남아 있는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의 내부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작업이 더욱 원활히 진행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재로 형성된 단열재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에 파이프와 전선을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속공급되는 단열재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파이프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관삽입부와; 상기 단열재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전선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전선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와 전선이 삽입된 상기 단열재의 외측에 테이프 형태의 외피가 씌움되면서 접착되는 외피접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삽입부는, 상기 단열재와 상기 파이프가 소정각도 이격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홈)을 확장하는 홈확장가이드와; 상기 홈확장가이드의 후방으로 상기 파이프가 상기 홈의 내측으로 끼움되면서 단열재와 파이프가 동일 직선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단열재의 진행각도를 변경하는 받침롤러와; 상기 단열재의 공급방향이 일정하도록 단열재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외피접착부는, 단열재와 외피가 동시에 공급되어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의 사이에서 단열재와 외피가 겹쳐지도록 구성된 겹침롤러와; 상기 외피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단열재 측으로 오무리는 외피이송가이드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외피가 동시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피가 상기 단열재를 감싸도록 하고, 내측 상부에 고온의 가스를 분사하여 상기 외피의 양측 모서리를 녹여 접착시키는 가열노즐이 구비된 외피접착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피접착관의 후방에 상기 가열노즐에 의해 가열된 외피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냉각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피의 이송 경로상에 구비되어 외피를 가열하는 가열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피접착관의 외측면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외피접착관을 냉각시키는 제2냉각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노즐의 후방측에 고압가스를 분사하여 상기 외피에 남은 냉각수를 제거하는 냉각수제거노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삽입부의 전방측에 상기 파이프가 파이프의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직선으로 곧게 펴면서 이송하는 파이프직선화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단열재(100)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101)의 내측으로 파이프(200a)(200b)를 삽입하는 관삽입부(10)와, 홈의 내측으로 전선(300)을 삽입하는 전선삽입부(20)와,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이 삽입된 단열재(100)를 외피(400)로 감싸고 고정하는 외피접착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관삽입부(10)는 단열재(1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101)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고 저압관과 고압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파이프(200a)(200b)를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장치로서, 합성수지의 발포소재로 형성된 단열재(100)의 홈(101)을 벌린 후에 파이프(200a)(200b)가 삽입되도록 하여 파이프(200a)(200b)의 외측면을 단열재(100)가 감싸도록 하고, 각각의 파이프(200a)(200b)들을 각각의 홈(101)에 삽입되도록 하여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함으로서, 공기조화기가 최고의 작동 성능과 작동효율을 가질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삽입부(20)는 단열재(1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101)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전선(300)을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장치로서, 단열재(100)의 내측으로 전선(300)이 완전히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설치 작업이 더욱 간편해지고, 설치 후의 미관도 더욱 좋아지도록 한다.
상기 외피접착부(30)는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이 삽입된 단열재(100)의 외측에 단열 및 난연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외피(400)를 덧씌우고 접착하는 것으로서, 외피(400)가 덧씌워짐에 따라 홈(101)의 개방면을 통해 파이프(200a)(200b)의 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이 단열재(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측면은 난연재로 형성하여 건물의 화재 발생시에 단열재(100)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100)는 공급되는 과정에서 미리 가열히터(38)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여 더욱 큰 소성을 갖도록 함으로서, 단열재(100)의 외측에 외피(400)를 덧씌우고 접착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삽입부(10)의 전방에는 별도의 롤에 감긴 금속재의 파이프(200a)(200b)가 풀려나와 공급됨에 따라 파이프(200a)(200b)가 더욱 용이하게 단열재(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200a)(200b)를 직선으로 곧게 펴 주는 별도의 파이프직선화부(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삽입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술한 관삽입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홈(101)이 가공된 단열재(100)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파이프(200a)(200b)를 삽입하여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홈확장가이드(11)와 받침롤러(12)로 구성되어 단열재(100)와 파이프(200a)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라 지속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홈확장가이드(11)는 선단이 좁고 후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이송되는 단열재(100)의 홈(101)이 좁은 선단에 삽입되면서 단열재(100)가 후방으로 밀려감에 따라 홈확장가이드(11)에 의해 홈(101)이 넓어지면서 파이프(200a)가 홈에 삽입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단열재(100)와 소정 각도 이격되어 공급되는 파이프(200a)가 받침롤러(12)에서 서로 만나게 하여 파이프(200a)가 홈(10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서 단열재(100)와 파이프(200a)가 일체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다수의 파이프(200a)(200b)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구조와 동일 하게 구비되되 배치 방향만 상이한 다수의 홈확장가이드와 받침롤러를 구비하여 배관재(100)의 다른 홈(10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파이프(200a)(200b)를 서로간의 간섭 없이 단열재(100)에 각각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단열재(100)의 이송방향을 일정하게 하는 별도의 지지가이드(13)를 구비하여 파이프(200a)(200b)의 삽입 과정에서 단열재(100)의 비틀어짐에 의해 발생되는 파이프(200a)(200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선삽입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전선삽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로서, 상술한 전선삽입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00)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전선(300)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전선공급롤러(21)와, 전선공급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전선(300)을 유도하고 단열재(100)의 홈(101)을 벌려 홈(101)의 내측으로 전선(300)을 삽입하도록 하는 전선가이드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공급롤러(21)는 모터(M)에 의해 맞물려 구동하는 한 쌍의 전선이송롤러(211)로 구성되고, 전선이송롤러(211)의 외주면 중앙부에 전선(300)과 접촉되면서 전선(300)을 밀어내는 오목면(212)을 형성하여 상기 오목면(212)에 전선(300)이 끼움된 상태에서 전선이송롤러(211)가 회전함에 따라 전선(300)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선이송롤러(211)는 기어(213)에 의해 맞물려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전선(300)이 더욱 강한 힘으로 전방으로 밀려 가도록 하고, 모터(M)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전선(300)의 공급 속도가 단열재(100)의 이송 속 도와 동일하도록 함으로서, 단열재(100)의 내측으로 전선(300)이 원활히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전선가이드관(22)은 전후방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선이송롤러(211)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전선이송롤러(211)를 통해 공급되는 전선(300)이 전선가이드관(2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타단은 단열재(100)의 외측 홈(101)에 삽입되도록 하여 전선(300)을 홈(101)의 내부로 유도함으로서, 단열재(100)의 이송 속도와 전선(300)의 공급속도가 동일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홈(101)의 내측으로 전선(300)이 삽입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배관의 제조시에 전원선과 신호선이 각각 분리되어 다수의 전선(300)이 단열재(100)의 각각의 홈(101)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전선공급러(21)와 전선가이드관(22)을 구비하여 동시에 여러 가닥의 전선(300)이 단열재(100)의 홈(10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피접착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단열재(100)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각각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이 삽입된 후에는 별도의 외피(400)를 덧씌우고 접착하여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이 단열재(100)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파이프(200a)(200b)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배관이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외피접착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외피 공급롤(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 형태의 외피(400)를 유도하고 외피(400)와 단열재(100)를 한 지점에서 만나게 하여 단열재(100) 측으로 외피(400)가 오무려지도록 하는 한 쌍의 겹침롤러(31)와, 공급되는 외피(400)가 단열재(100) 측으로 더욱 가까이 오무려지도록 하면서 외피(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외피이송가이드(32)와, 외피이송가이드(32)의 후방으로 상기 단열재(100)와 외피(400)가 동시에 삽입되어 단열재(100)의 외측으로 외피(400)를 덧씌우도록 하는 외피접착관(33)과, 상기 외피접착관(33)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단열재(100)를 감싼 외피(400)의 양측 모서리를 접착하는 가열노즐(34)로 구성된다.
상기 겹침롤러(31)는 외피(400)의 폭과 대응되는 오목면을 형성한 하부롤러(311)와, 단열재(10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오목면이 형성된 상부롤러(312)가 한 쌍을 이루며 구비되고, 측면에서 공급되는 단열재(100)와 하부에서 공급되는 외피(400)가 겹침롤러(31)에서 만나면서 외피(400)가 단열재(100) 측으로 오무려지도록 하여 외피(400)가 용이하게 단열재(100)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외피이송가이드(32)는 단열재(100)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외피(400)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일정량 오무려지도록 하여 외피(4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외피(400)가 단열재(100)를 더욱 원활히 감싸도록 한다.
상기 외피접착관(33)은 오무려진 외피(400)와 상부에서 공급되는 단열재(100)가 동시에 전방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외피(400)가 외피접착관(33)의 내벽을 따라 오무려지면서 양측 모서리가 한 곳으로 모이게 하여 단열재(100)를 완전히 감싸게 한다.
이후, 가열노즐(34)에 의해 분사되는 고온의 가스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외 피(400)의 양측 모서리를 가열하여 융착되도록 함으로서, 외피(400)는 단열재(100)를 감싸면서 완전히 고정되게 되며, 외피(400)의 내부로 습기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피(400)가 융착된 후에는 냉각수가 분사되는 제1냉각노즐(35)을 통과하도록 하여 융착된 부위를 급속냉각시킴으로서, 가열된 외피(400)가 다른 곳에 접촉되어 변형되거나 불량의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냉각노즐(35)에 의해 외피(400)에 남아있는 냉각수는 외피(400)가 통과되는 링 형상의 냉각수제거노즐(36) 통과하도록 하여 냉각수제거노즐(36)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냉각수가 외피(400)에서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외피접착관(33)은 금속재로 형성하고, 외피접착관(33)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2냉각노즐(37)을 구비하여, 외피(400)의 접착 과정에서 가열노즐(34)에 의해 녹아 있는 외피(400)가 외피접착관(33)의 내측면에 눌러붙지 않도록 함으로서, 배관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가열히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가열히터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요부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히터(38)는, 외피접착부(30)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외피(400)를 분사노즐(381)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가스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상기 외피접착부(30)로 공급되는 외피(400)의 변형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고고, 외피첩착부(30)에서 외피(400)가 단열재(100)를 감싸는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피(400)가 단열재(100)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는 것이 더욱 용 이하게 이루어져, 배관의 제조과정에서 외피(400)가 어긋나게 덧씌워지는 등의 불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직선화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직선화부(40)는 운송의 편리함을 위해 롤 형태로 공급되고, 동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형성된 파이프(200a)(200b)가 롤에서 풀려나와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파이프(200a)(200b)의 휘어짐을 바로잡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직선화부(40)는, 별도의 모터(M) 등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41)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41)는 파이프(200a)의 직경과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롤러(41)의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 파이프(200a)가 롤러(41)의 회전에 의해 전진하면서 다수의 롤러(41)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파이프(200a)의 휘어짐 등이 바로잡아져 직선으로 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41)는 별도의 기어(42)에 맞물려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파이프(200a)가 직선상으로 펴지면서 더욱 간단히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직선화부(40)는 배관의 제조에 소요되는 파이프(200a)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가 다이의 상하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관삽입부(10)로 파이프(200a)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200a)를 삽입하는 작업이 더욱 원활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200a)의 휘어짐에 따른 단열재와 파이프(200a)의 이격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삽입부와 전선삽입부를 구비하여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와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최소의 인력으로도 단열재의 내부에 전선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가 하락하고, 작업속도 또한 더욱 빨라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접착부를 구비하여 파이프와 전선이 삽입된 단열재의 외측에 외피를 덧씌우도록 함으로서, 단열재에 삽입된 파이프와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열 손실을 차단하면서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링과, 확장가이드와, 삽입롤러의 간단한 구성으로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 하면서 지속적으로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관삽입부의 유지 및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공급롤러와, 외피지지롤러와, 외피접착관에 의해 단열재의 외측에 외피를 덧씌우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외피를 접착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인력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더욱 균일하고 깨끗한 접착면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제품의 불량이 최소화되고,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을 구비하여 가열된 외피가 급속하게 냉각되도록 함으로서, 외피가 접착된 배관이 작업자의 손이나 다른 부분과의 접촉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배관을 포장하고 이송하는 후처리과정도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를 미리 가열하는 외피가열히터를 구비하여 외피가 단열재의 외측에 더욱 원활히 감싸지도록 함으로서, 외피를 단열재에 감싸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이 더욱 감소될 뿐만 아니라, 그 과정 또한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접착관을 냉각시키는 제2냉각노즐을 구비하여 외피접착관의 내측에 외피가 녹아 붙지 않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불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도 더욱 미려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가스를 분사하는 냉각수제거노즐을 구비하여 외피에 남아 있는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포장 및 운송이 더욱 간편해지며, 남아있는 냉각수에 의한 제품의 오염 또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를 직선으로 곧게 펴는 롤러부를 구비하여 단열재의 내부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작업이 더욱 원활히 진행되도록 함으로서, 단열재의 홈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과정이 더욱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더욱 균일하게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선재로 형성된 단열재(1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101)에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을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속공급되는 단열재(100)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파이프(200a)(200b)가 상기 홈(101)에 삽입되는 관삽입부(10)와;
    상기 단열재(100)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공급되는 전선(300)이 상기 홈(101)에 삽입되는 전선삽입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a)(200b)와 전선(300)이 삽입된 상기 단열재(100)의 외측에 테이프 형태의 외피(400)가 씌움되면서 접착되는 외피접착부(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삽입부(10)는, 상기 단열재(100)와 상기 파이프(200a)(200b)가 소정각도 이격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200a)(200b)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홈(101)을 확장하는 홈확장가이드(11)와;
    상기 홈확장가이드(11)의 후방으로 상기 파이프(200a)(200b)가 상기 홈(101)의 내측으로 끼움되면서 단열재(100)와 파이프(200a)(200b)가 동일 직선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단열재(100)의 진행각도를 변경하는 받침롤러(12)와;
    상기 단열재(100)의 공급방향이 일정하도록 단열재(100)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접착부(30)는, 단열재(100)와 외피(400)가 동시에 공급되어 하부롤러(311)와 상부롤러(312)의 사이에서 단열재(100)와 외피(400)가 겹쳐지도록 구성된 겹침롤러(31)와;
    상기 외피(400)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단열재(100) 측으로 오무리는 외피이송가이드(32)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100)와 상기 외피(400)가 동시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피(400)가 상기 단열재(100)를 감싸도록 하고, 내측 상부에 고온의 가스를 분사하여 상기 외피(400)의 양측 모서리를 녹여 접착시키는 가열노즐(34)이 구비된 외피접착관(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접착관(33)의 후방에 상기 가열노즐(34)에 의해 가열된 외피(40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냉각노즐(3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400)의 이송 경로상에 구비되어 외피(400)를 가열하는 가열히터(3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접착관(33)의 외측면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상기 외피접착관(33)을 냉각시키는 제2냉각노즐(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노즐(35)의 후방측에 고압가스를 분사하여 상기 외피(400)에 남은 냉각수를 제거하는 냉각수제거노즐(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삽입부(10)의 전방측에 상기 파이프(200a)(200b)가 파이프(200a)(200b)의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41)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직선으로 곧게 펴면서 이송하는 파이프직선화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KR1020040011714A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57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14A KR100572754B1 (ko)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714A KR100572754B1 (ko)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113A KR20050083113A (ko) 2005-08-25
KR100572754B1 true KR100572754B1 (ko) 2006-04-24

Family

ID=3726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714A Expired - Lifetime KR100572754B1 (ko) 2004-02-21 2004-02-21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66B1 (ko) 2007-08-16 2008-01-04 김기복 에어컨 배관용 호스의 제조장치
KR101442802B1 (ko) 2014-08-21 2014-09-24 주식회사 다산 에어컨용 배관 구성물의 제조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9980A (en) * 1944-06-01 1945-11-27 Hulson Company Locomotive exhaust nozzle
US2497011A (en) * 1946-04-23 1950-02-07 Sperry Corp Electrical system
US2651725A (en) * 1951-03-24 1953-09-08 Mcfarland Alice Margaret X-ray cassette holder and clamping device
US4279470A (en) * 1977-05-04 1981-07-21 Industrie Pirelli Societa Per Azioni Optical cable elements
JPS57115504A (en) * 1980-12-04 1982-07-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cable and its manufacture
KR900002966A (ko) * 1988-08-15 1990-03-23 프랑크 엠. 사죠백 중심타이어 팽창시스템
KR910006735A (ko) * 1989-09-29 1991-04-29 아오이 죠이치 디지탈 집적회로에 있어서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
KR200330230Y1 (ko) * 2003-07-16 2003-10-17 원충희 에어컨용 일체형 보온커버
KR20040071486A (ko) * 2003-02-06 2004-08-12 박용길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9980A (en) * 1944-06-01 1945-11-27 Hulson Company Locomotive exhaust nozzle
US2497011A (en) * 1946-04-23 1950-02-07 Sperry Corp Electrical system
US2651725A (en) * 1951-03-24 1953-09-08 Mcfarland Alice Margaret X-ray cassette holder and clamping device
US4279470A (en) * 1977-05-04 1981-07-21 Industrie Pirelli Societa Per Azioni Optical cable elements
JPS57115504A (en) * 1980-12-04 1982-07-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fiber cable and its manufacture
KR900002966A (ko) * 1988-08-15 1990-03-23 프랑크 엠. 사죠백 중심타이어 팽창시스템
KR910006735A (ko) * 1989-09-29 1991-04-29 아오이 죠이치 디지탈 집적회로에 있어서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
KR20040071486A (ko) * 2003-02-06 2004-08-12 박용길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30230Y1 (ko) * 2003-07-16 2003-10-17 원충희 에어컨용 일체형 보온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66B1 (ko) 2007-08-16 2008-01-04 김기복 에어컨 배관용 호스의 제조장치
KR101442802B1 (ko) 2014-08-21 2014-09-24 주식회사 다산 에어컨용 배관 구성물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113A (ko)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24660B1 (hu) Csavarvonalban tekercselt habosított műanyag termék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KR100572754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파이프 및 전선 삽입장치
KR100910308B1 (ko)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168713B1 (ko) 다중관체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15093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장치
CN118280658B (zh) 一种多芯电缆分线与并线的制作设备及制作方法
KR100749300B1 (ko) 다중관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674B1 (ko) 케이블이 내장된 가요 전선관의 제조장치 및 그 가요 전선관
ES2281451T3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conductos aislados.
KR100937453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장치
KR200208280Y1 (ko) 내압호스 성형장치
KR100545736B1 (ko) 공기조화기용 배관재의 pvc 주름관 덧씌움 장치
KR102833857B1 (ko)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200042682A (ko) 다수의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발포층을 갖는 광케이블 보호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8751A (ko) 연속 진공 몰드 성형을 통한 냉난방 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제조장치 및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냉난방 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KR100906295B1 (ko) 에어컨 배관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08225B1 (ko) 냉난방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제조장치 및 방법
US20120216395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tube for the hydraulic connection and wiring of solar panels
KR100379894B1 (ko) 광케이블 피복 압출용 외장 형성 장치
KR102310426B1 (ko) 케이블이 내장된 가요 전선관의 제조장치 및 그 가요 전선관
JP2008025735A (ja) 温水式床暖房用導管材及びこの製法
KR102114943B1 (ko) 통신선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 보호관
KR101821337B1 (ko) 복합 배관재 조립방법
FI8256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laminerade isolationskablar.
KR20090073059A (ko) 에어컨 배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8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