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699B1 - Noise reduction device of headphones - Google Patents
Noise reduction device of headpho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2699B1 KR100572699B1 KR1020030099074A KR20030099074A KR100572699B1 KR 100572699 B1 KR100572699 B1 KR 100572699B1 KR 1020030099074 A KR1020030099074 A KR 1020030099074A KR 20030099074 A KR20030099074 A KR 20030099074A KR 100572699 B1 KR100572699 B1 KR 1005726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speaker
- headphone
- reduction device
- out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는, 스피커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폰을 구성함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헤드폰 외부로 발산되는 전방음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방음의 음파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피커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방형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방형 헤드폰을 구성함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헤드폰 외부로 발산되는 후방음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방음의 음파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연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에어 큐션의 형성을 막는 동시에 헤드폰의 외부로 전파되는 스피커 전방음 및/또는 후방음을 효율적으로 감쇄시켜서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스피커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스피커 진동이 너무 민감하게 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저음에서의 부밍현상과 목욕탕 효과 및 외부 소음을 막고,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a headphone for discharging some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of the headphone to the outside,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ound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speaker to the outsid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th extending means for extending the sound wave movement path of the front sound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front sou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while maintaining the air flow int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an open headphone that emits rear sound generated from the rear to the outside. In the configuration of an open headphone that emits rear sound generated from the rear of the speaker to the outside, the headphone is maintained while the air flow is maintaine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rear sound emitted outside And extending means for extending the sound wave movement path of the rear sound,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the air cushion and efficiently attenuating the front and / or rear sound of the speaker propagated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 of the speaker to others, and to prevent the speaker vibration from occurring too sensitively, thereby preventing the booming phenomenon and the bathroom effect and the external noise in the bass, and improving the sound quality.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헤드폰을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dphone.
도 2는 종래의 헤드폰의 후방음 방출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ar sound emission state of a conventional headphon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의 채널별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6 to 8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for each channel of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의 채널별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9 to 12 are partial cutaway plan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for each channel of an emission noise reduction device of a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Figure 14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부분 측단면도이다.15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본 발명은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폰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후방음과 전방음 모두 포함)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of a head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of a headphone for discharging a part of the sound generated from a speaker of a headphone (including both rear and front sounds) to the outsi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폰은 스피커에서 발생한 후방음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스피커를 완전 밀폐시켜서 둘러싸는 인클로져(1)를 갖는 구성이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headphone has a configuration having an
그러나, 이러한 폐쇄형 인클로져(1)를 갖는 헤드폰은, 인클로져(1) 내부에 일종의 에어 큐션이 형성되어 스피커(2) 진동판의 진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진동 방해 현상은 진동판의 미세한 움직임을 어렵게 하여 음질 저하의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However, the headphone having such a closed enclosure (1), a kind of air cushion is formed inside the enclosure (1) to interfere with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2) diaphragm, this vibration disturbance phenomenon is a fine movement of the diaphragm Making it difficult to become the biggest cause of sound quality degradation.
특히, 이러한 폐쇄형 헤드폰의 인클로져(1) 내부 면적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폰의 부피와 무게 및 공간상의 제약에 따라 형성되는 에어 큐션의 면적이 매우 작아서 상대적으로 에어 큐션의 강한 복원력이 형성되어 더욱 심각한 음질 저하를 초래했었다. In particular, the interior area of the enclosure (1) of such a closed headphone has a very small area of the air cushion formed by the volume, weight, and space constraints of the headphone worn on the head, so that a strong resilience of the air cushion is formed, which is more severe. It caused a drop in sound quality.
이러한 종래의 폐쇄형 헤드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헤드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2) 외부로 후방음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관통구(3a)를 형성하는 개방형 인클로져(3)를 갖는 구성이었다.The conventional headphone for impro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losed headphone, as shown in Figure 2, an open enclosure for forming a through hole (3a) on one side so as to emit a rear sound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2) It was a structure which has (3).
따라서, 개방형 인클로져(3)를 갖는 종래의 헤드폰은, 인클로져(3) 내부에 에어 큐션 현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피커(2) 진동판의 진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자유로운 진동으로 인해 진동판의 미세하고 섬세한 진동을 보장함으로써 고음질 재생이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headphone having the
그러나, 이러한 개방형 인클로져(3)를 갖는 종래의 헤드폰은, 상기 관통구(3a)를 통해 스피커(2) 후방음이 헤드폰의 외부로 전파되기 때문에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도 스피커(2) 소리(후방음)가 크게 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dphones having such an
특히, 조용한 곳에서 타인에게 스피커(2)의 소리가 비교적 크게 들리게 됨으로써 혼자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헤드폰의 원래 취지와 부합되지 못하고, 도 2와 같이, 완전 개방된 형태의 개방형 헤드폰은 스피커 진동이 너무 민감하게 잘 일어나서 관성의 법칙에 따라 생기는 저음에서의 부밍현상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음질을 더욱 떨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sound of the
한편, 종래에는 스피커(2) 전방에서 발생하는 전방음을 스피커(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 없었기 때문에, 스피커(2) 전방, 특히 음장을 형성하는 음장형성공간 내부에서 소위 웅웅거리는 목욕탕 효과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since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the front sound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큐션의 형성을 막는 동시에 헤드폰의 외부로 전파되는 스피커 전방음 및/또는 후방음을 효율적으로 감쇄시켜서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스피커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하는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air cushion and at the same time efficiently attenuate the front and / or rear sound of the speaker that is propagated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so that the speaker sound is not heard by anyone other than the user To provide a headphon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that enabl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 진동이 너무 민감하게 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저음에서의 부밍현상과 목욕탕 효과를 막고,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that prevents speaker vibrations from occurring too sensitively, thereby preventing booming and bathing effects in the bass, and improving sound qua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는, 스피커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방형 헤드폰을 구성함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헤드폰 외부로 발산되는 후방음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방음의 음파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연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 headphone to discharge the rear sound generated from the rear of the speaker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the air flow as it is emitted after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And extending means for extending the sound wave movement path of the rear sound so a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ound insulation.
또한, 상기 경로 연장수단은, 상기 후방음의 이동 경로가 절곡되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굴절된 후방음 도음관이 형성되는 굴절식 가이드부재이거나, 상기 후방음의 이동 경로가 소용돌이처럼 퍼져 나가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소용돌이 형태의 후방음 도음관이 형성되는 소용돌이식 가이드부재이거나, 상기 후방음의 이동 경로가 미로처럼 복잡해지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미로 형태의 후방음 도음관이 형성되는 미로식 가이드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음관의 일측에 흡음이 가능한 흡음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ath extending means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speaker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rear sound is bent, the refraction guide memb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raction sound pipe bent, or the rear sound One side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speaker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vortex spreads out, and the other side is a vortex guide member formed with a vortex-shaped rear sound pipe, or the movement path of the rear sound is complicated as a maze. One side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speaker, it may be a maze guide member in which a maze-shaped rear sound pi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ound absorbing member capable of absorbing sound on one side of the sound pip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는, 스피커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헤드폰을 구성함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헤드폰 외부로 발산되는 전방음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방음의 음파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연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로 연장수단은, 상기 전방음의 이동 경로가 안내되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의 전방을 둘러싸는 음장형성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에 외부와 연결되는 전방음 도음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phone to discharge the front sound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speaker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the flow of air as it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And extending means for extending the sound wave movement path of the front soun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front sound, wherein the path extension means includes a sound field in which one side surrounds the front of the speaker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front sound is gu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member is connected to the formation space, the front sound pi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전방음과 후방음을 모두 포함한 소음) 감소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reducing the noise of the headphone (the noise including both the front sound and the rear sou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는, 공기의 유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헤드폰 외부로 발산되는 후방음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방음의 음파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경로 연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경로 연장수단은, 상기 후방음의 이동 경로가 절곡되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2)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굴절된 후방음 도음관(4)이 형성되는 굴절식 가이드부재(5)인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rear sou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while maintaining the air flow intact It comprises a path extending means for extending the sound wave movement path of the rear sound, the path extension means, one side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the
즉, 도 3에 도시된 굴절식 가이드부재(5)는, 종래의 인클로져의 기능을 갖는 동시에 상기 경로 연장수단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크게 내측 가이드판(6) 및 외측 가이드판(7)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at is, the articulated guide member 5 shown in FIG. 3 has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enclosure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function of the path extending means, and is largely provided with the
여기서, 상기 내측 가이드판(6)은, 상기 스피커(2) 후면을 둥글게 둘러싸는 형상이고, 일측에 내측 후방음 배출구(6a)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외측 가이드판(7)은, 상기 내측 가이드판(6)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굴절된 도음관(4)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가이드판(6)을 둥글게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 내측 후방음 배출구(6a)와 되도록 멀리 떨어져서 형성되는 외측 후방음 배출구(7a)가 형성되는 것이다.Here, the
따라서, 상기 스피커(2)에서 발생한 후방음이 상기 내측 가이드판(6)에 형성되는 내측 후방음 배출구(6a)로 1차 배출되고, 배출된 후방음은 상기 내측 가이드판(6)과 외측 가이드판(7)의 사이의 공간, 즉 굴절된 도음관(4)을 통과하면서, 반사나 흡음 등을 통해 음파가 감쇄되어 상기 외측 후방음 배출구(7a)로 최종 배출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ar sound generated by the
여기서, 상기 내측 후방음 배출구(6a)와 외측 후방음 배출구(7a)의 직경은, 스피커(2)의 후면에 에어 큐션이 형성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측 가이드판(6)과 외측 가이드판(7)은 그 이격된 사이 공간이 소정 곡률로 굴절된 후방음 도음관(4)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방음 감쇄를 위해 도음관(4)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그 곡률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ameter of the inner rear sound discharge port (6a) and the outer rear sound discharge port (7a) is preferably minimized within the range that no air cushion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또한, 이러한 상기 내측 후방음 배출구(6a)와 외측 후방음 배출구(7a)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후방음 배출구(6a)를 스피커(2) 상방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 후방음 배출구(7a)를 스피커(2)의 양 측방에 배치하여 이루어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후방음 배출구(6a)를 스피커(2)의 일측방에 배치하고, 상기 외측 후방음 배출구(7a)를 스피커의 타측방에 배치하여 도음관(4)의 길이를 극대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내측 후방음 배출구(6a)와 외측 후방음 배출구(7a)의 위치나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nner rear
한편, 상기 굴절식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굴절식 가이드 부재(8)는, 상기 스피커(2) 전면과 후면의 경계가 되는 내측 격판(9) 및 상기 내측 격판(9)과 스피커(2)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고, 도음관(11)이 점점 좁아지도록 상기 내측 격판(9)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2)로부터 되도록 멀리 떨어져서 형성되는 후방음 배출구(10a)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of the refractive guide member, the
즉, 이러한 도음관(11)은 도음관(11)의 내부 면적이 갈수록 좁아지게 하여 음파의 감쇄를 유도하는 동시에 후방음 배출구(10a)를 스피커(2)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후방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That is, the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의 스피커(2)는 프론트 채널 스피커(2a), 리어 채널 스피커(2b), 이외에도 도시하진 않았지만 센터 채널 스피커 등 다채널 헤드폰의 각 스피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Here, as shown in Figure 5, the
한편, 상기 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일례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음의 이동 경로가 소용돌이처럼 퍼져 나가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2)의 후면(21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소용돌이 형태의 후방음 도음관(12)이 형성되는 소용돌이식 가이드부재(13)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path extending means, as shown in FIGS. 6 to 8, one side surrounds the
즉, 이러한 소용돌이식 가이드부재(13)는, 상기 도음관(12)의 길이를 소용돌 이 형상으로 제작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최대한 극대화하는 것으로서, 스피커(2)의 후면(211)에서 발생한 후방음은, 상기 소용돌이식 가이드부재(13)의 내부를 따라 소용돌이 형태로 절곡되어 유도되면서 최종적으로 후방음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공기의 유통은 자유로우나 후방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스피커 소리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당한 에어 큐션을 형성하여 음의 부밍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air is free and the rear sound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sound of the speaker from being heard by anyone other than the user, and the sound quality is improved by forming an appropriate air cushion to prevent the sound of swelling. To make it possible.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소용돌이식 가이드부재(13)는 다채널 헤드폰의 프론트 채널 스피커(2a) 및 리어 채널 스피커(2b)에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채널 헤드폰의 프론트 채널 스피커(2a)와, 센터 채널 스피커(2c)와, 리어 채널 스피커(2b)에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등 모든 다채널 헤드폰 스피커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 7, the
한편, 상기 경로 연장수단의 다른 일례로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음의 이동 경로가 미로처럼 복잡해지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2)의 후면(21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미로 형태의 후방음 도음관(15)(17)이 형성되는 미로식 가이드부재(16)(18)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path extending means, as shown in FIGS. 9 to 12, one side surrounds the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음관(17)의 일측에 흡음이 가능한 흡음부재(19)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10 to 1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즉, 이러한 미로식 가이드부재(16)(18)는, 상기 도음관(15)(17)의 길이를 미 로 형상으로 제작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것으로서, 스피커에서 발생한 후방음은, 상기 미로식 가이드부재(16)(18)의 내부를 따라 복잡하게 절곡되어 유도되면서 최종적으로 후방음 배출구(16a)(18a)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공기의 유통은 자유로우나 후방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스피커 소리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음부재(19) 등으로 적당한 에어 큐션을 형성하여 음의 부밍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irculation of ai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heard by others other than the user by maximizing the free flow of the back sound or the outside sound, and by forming a suitable air cushion with the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로식 가이드부재(18)는 다채널 헤드폰의 프론트 채널 스피커(2a) 및 리어 채널 스피커(2b)에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채널 헤드폰의 프론트 채널 스피커(2a)와, 센터 채널 스피커(2c)와, 리어 채널 스피커(2b)에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등 모든 다채널 헤드폰 스피커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s illustrated in FIG. 11, such a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는, 스피커(2)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전방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공기의 유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헤드폰 외부로 발산되는 전방음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방음의 음파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는 경로 연장수단의 일종으로, 상기 전방음의 이동 경로가 안내되도록 일측이 상기 스피커(2)의 전방을 둘러싸는 음장형성공간(20)과 연결되고, 타측에 외부와 연결되는 전방음 도음관(21)(22)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3, the headphon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the front sound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이러한 상기 도음관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장형성공간(20)과 연통 되는 전방음 유입구(21a)와, 외부와 연통되는 전방음 배출구(21b)를 서로 연결하는 도음관(21)인 것도 가능하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채널 스피커(2a)와, 센터 채널 스피커(2c)와 리어 채널 스피커(2b)를 구비하는 다채널 헤드폰의 음장형성공간(20)과 연통되는 전방음 유입구(22a)와, 외부 배출구(23a)가 형성되는 인클로져(23) 내부와 연통되는 전방음 배출구(22b)를 서로 연결하는 도음관(22)인 것도 가능하여, 상기 스피커(2) 전방음의 일부가 상기 음장형성공간(20)을 거쳐서 상기 도음관(22)의 전방음 유입구(22a) 및 전방음 배출구(22b)를 통과하고, 다시 상기 인클로져(23) 내부를 지나 최종적으로 상기 외부 배출구(23a)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13, the
따라서, 이러한 도음관(21)(22)을 거치면서 스피커(2)의 전방음이 약화되어 헤드폰의 음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 소음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ront sound of the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후방음을 감소시키는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와 본 발명의 전방음을 감소시키는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의 구조는 서로 개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전방음 및 후방음 모두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모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tructure of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to reduce the rear 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to reduce the front 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separately to each other, but the front and rear sound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ll so that all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f course,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음관의 형상이 반구형이나 소용돌이형이나 미로형이나 직선형 등으로 국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전방음 및/또는 후방음을 안내하는 도음관의 길이를 구부러지고, 길고, 복잡하게 형성하는 등 매우 다 양한 형상의 도음관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도음관에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흡음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onduit is limited to hemispherical, vortex, labyrinth, straight, etc.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onduit guiding the front sound and / or the rear sound is bent, long, and complicat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ound pipe of a variety of shapes, such as to form a differen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sound absorbing member of various types and forms in the sound pipe.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technical spirit there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폰의 배출 소음 감소장치에 의하면, 에어 큐션의 형성을 막는 동시에 헤드폰의 외부로 전파되는 스피커 전방음 및/또는 후방음을 효율적으로 감쇄시켜서 사용자 이외의 타인에게 스피커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스피커 진동이 너무 민감하게 잘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저음에서의 부밍현상과 목욕탕 효과 및 외부 소음을 막고,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haust noise reduction device of the head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reventing the formation of the air cushion, and effectively attenuates the front and / or rear sound of the speaker that propagates to the outside of the headphone, the sound of the speaker to anyone other than the use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heard, and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is prevented from being too sensitive, thereby preventing the booming effect and the bathroom effect and the external noise in the bass, and improving the sound quality.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9074A KR100572699B1 (en) | 2003-12-29 | 2003-12-29 | Noise reduction device of headph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99074A KR100572699B1 (en) | 2003-12-29 | 2003-12-29 | Noise reduction device of headphon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8028A KR20050068028A (en) | 2005-07-05 |
KR100572699B1 true KR100572699B1 (en) | 2006-04-24 |
Family
ID=3725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9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2699B1 (en) | 2003-12-29 | 2003-12-29 | Noise reduction device of headpho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269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368Y1 (en) * | 2017-03-15 | 2017-12-28 |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 Headpho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44110A1 (en) * | 2018-01-24 | 2020-12-02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 Headphone arrangements for generating natural directional pinna cues |
CN112565956B (en) * | 2019-09-25 | 2025-02-14 |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 Headphones |
-
2003
- 2003-12-29 KR KR1020030099074A patent/KR1005726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368Y1 (en) * | 2017-03-15 | 2017-12-28 |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 Headphone |
WO2018169137A1 (en) * | 2017-03-15 | 2018-09-20 |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 Headphon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8028A (en) | 2005-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5713B2 (en) | Mass loaded earbud with vent chamber | |
JP5002787B2 (en) | Speaker device, sound source simulation system, and echo cancellation system | |
US9275628B2 (en) | Tunable frequency acoustic structures | |
US6578660B2 (en) | Speaker enclosure venturi expander | |
JP2021089333A (en) | Sound e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 |
CN205510399U (en) | Sounding device | |
KR100572699B1 (en) | Noise reduction device of headphones | |
CN215581637U (en) | Noise-cancelling devices and noise-cancelling headphones | |
US7708112B2 (en) | Waveguide phase plug | |
JP2000111111A (en) | Hood | |
CN113055777A (en) | Noise reduction device and noise reduction earphone | |
JP2012188904A (en) | Partition | |
JP7636828B1 (en) | Noise cancelling headphones | |
US11805348B2 (en) | Acoustical damping system for headphones | |
JPH0651784A (en) | Hybrid silencer | |
US20210151025A1 (en) | Apparatus for modifying acoustic transmission | |
CN219974728U (en) | Noise reduction device and compressor noise reduction system | |
CN111787472B (en) | Sound-generating structures, audio devices,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s | |
JP2883010B2 (en) | Silencer tower for low frequency noise | |
GB2298758A (en) | Transmission line enclosure | |
JPH0934472A (en) | Silencing device | |
TWM559559U (en) | Closed earphone shell and earphone using the same | |
JPH0583797A (en) | External sound introducing device | |
JPH1066183A (en) | Horn structure for speaker | |
KR20230160542A (en) | Laminated block for sound-absorbing or sound-insula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