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703B1 - Manual Seeder - Google Patents
Manual See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1703B1 KR100571703B1 KR1020040097187A KR20040097187A KR100571703B1 KR 100571703 B1 KR100571703 B1 KR 100571703B1 KR 1020040097187 A KR1020040097187 A KR 1020040097187A KR 20040097187 A KR20040097187 A KR 20040097187A KR 100571703 B1 KR100571703 B1 KR 1005717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eed
- manual
- hole
- see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자신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있도록 하고,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적합한 파종공간을 토양에 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 직접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동 온/오프 버튼에 해당되는 수단을 구비한 수동식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자신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의 높이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된 자세에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적합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토양에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농사에 문외한인 사람도 파종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손을 필요로 하는 작업(종자를 하나씩 아래로 떨어뜨리는 작업, 작동 온/오프 버튼에 해당되는 관통홀개폐관을 조작하여 종자의 이동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작업 등)이 모두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properly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according to his height, so that even inexperienced workers can easily form a seeding space suitable for the seed to be sown in the soil, with the hand holding the handle by the worker It relates to a manual planter having a means corresponding to an actuating on / off button configured to be directly and easily ope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so configured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ange the height of the handle according to his height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seeding work in a more stable posture, the seed to be sown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It is designed so that the seeding space of depth suitable for the soil can be easily formed in the soil so that even people who are not in farming can carry out the seeding work accurately, and the work requiring the hand of the worker (dropping seeds one by one down) The operation, opening or closing the movement path of seeds by manipulating the through-hole opening and closing pip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n / off button, etc.) can be performed by one hand of the operator. It is effective to carry out sowing work.
수동식 파종기, 고정파이프, 조절파이프, 삽날, 리미트판, 깔때기, 노즐Manual Seeder, Fixed Pipe, Control Pipe, Blade, Limit Plate, Funnel, Nozz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nual plan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ual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동식 파종기의 하부측 분해 사시도,3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nual planter shown in FIG. 2,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동식 파종기의 상부측 단면도,4 is a top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ual planter shown in FIG.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동식 파종기의 상부측 분해 단면도,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manual planter shown in FIG.
도 6은 삽날이 파종공간을 만드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de makes a seeding spa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종자 102: 토양100: seed 102: soil
104: 파종공간 112: 종자저장통104: seeding space 112: seed storage container
112a: 종자배출관 114: 고정파이프112a: seed discharge pipe 114: fixed pipe
116: 조절파이프 118: 삽날116: adjusting pipe 118: blade
118c: 슬릿 120: 종자이송관118c: slit 120: seed feed pipe
122: 리미트판 124: 고정구122: limit plate 124: fixture
126: 몸체 128: 깔때기126: body 128: funnel
130: 손잡이 132: 관통홀개폐관130: handle 132: through hole opening and closing pipe
134: 노즐 136: 돌기134: nozzle 136: projection
138: 나사 140: 너트138: screw 140: nut
본 발명은 수동식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높이 가변이 가능하고,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적합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토양에 쉽게 형성시키며, 작업자의 손을 필요로 하는 모든 작업이 한 손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수동식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planter,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handle can be changed, the seeding space of a depth suitable for the seed to be sown easily formed in the soil, all the work that requires the operator's hand is one hand It relates to a manual planter to be made.
일반적으로 콩, 옥수수, 팥, 메밀, 참깨, 좁쌀, 파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적당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형성하고, 파종공간에 적정 개수의 씨앗(종자)을 뿌린 후 토양을 덮어 파종공간을 메워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파종 작업은 통상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그런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sowing of crops such as soybean, corn, red beans, buckwheat, sesame, millet, green onion, etc. forms a seeding space of a suitable depth on the surface of the soil, and after sow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seeds (seeds) in the seeding space, covering the soil The process is to fill the seeding space. This sowing is usually done by hand using agricultural equipment such as hoe, and so far, most farms have used such methods.
그러나,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이용한 파종 작업은 작업자가 구부려 앉은 자세에서 이동하면서 골을 판 후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씨앗을 뿌리고 다시 흙을 덮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작업자의 무릎 관절과 허리에 무리가 가해져서 장시간 작업이 어렵고, 작업 능률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However, seeding work using farming equipment such as Homi must repeat the process of seeding and covering soil again while bending the bones while moving in a sitting posture, and bending the back. It was difficult to work for a long time due to excessive force,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work efficiency was low.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농촌 인력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여 보다 쉽고 간단하게 파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파종기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346866호 "수동식 파종기"(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manual seeding machine which enables the worker to carry out the seeding work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nd can perform the seeding work more easily and simply in consideration of the aging trend of rural personnel.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46866 "Manual See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art) is disclosed.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저장통(12), 파이프(14) 및 삽날(16), 손잡이(18b)와 깔때기(18c)가 형성된 몸체(18), 2개의 타원형 개구(20a, 20b)가 형성된 노즐(20), 슬라이딩판(26)을 포함한 관통홀개폐부 등을 구비하여, ①작업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18b)를 감싸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이용해 노즐(20)의 개구들(20a, 20b)을 각각 하나씩 막은 다음 다른 손으로 슬라이딩판(26)을 눌러 슬라이딩판(26)의 개구(26a)가 관통홀(18a)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관통홀(18a)이 개방되도록 하고, ②관통홀(18a)이 개방되어 종자저장통(12) 내부의 종자가 종자배출관(12a)과 관통홀(18a)과 노즐(20)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노즐(20)의 하단 개구들(20a, 20b)을 막고 있는 작업자의 엄지손가락과 검지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면 삽날(16)을 토양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깊이 만큼 삽입한 다음 삽날(16)의 끝을 토양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파이프(14)와 삽날(16)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삽날(16)의 내부곡면(16b) 전면에 파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③그 후 작업자는 노즐(20)의 개구들(20a, 20b)을 막고 있던 엄지손가락과 검지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만들어 엄지손가락과 검지 사이에 한 개의 종자가 들어오도록 한 다음 손가락 감각에 의해 한 개의 종자가 들어온 것이 확인되면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비틀어 해당 종자를 깔때기(18c) 내부로 떨어뜨려 깔때기(18c) 내부로 떨어진 종자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파이프(14)의 내부면과 삽날(16)의 내부곡면(16b)을 따라 차례대로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토양에 형성된 파종공간에 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파종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었다.The manual seed dri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는 파이프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 보다 키가 크거나 작은 작업자의 경우 자신의 키에 비해 손잡이의 위치가 너무 낮거나 높아 사용에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었고, 파종공간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작업자는 파종작업에서 비교적 정확도가 요구되는 파종공간의 깊이 조절을 자신의 감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정확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anual plan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ifficul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ipe, so in the case of a worker who is taller or smaller than the average person,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too low or too high compared to his / her height, so it may be inconvenient to use. Since there was no means to adjust the depth of the seeding space, the operator had to rely on his or her sense to adjust the depth of the seeding space, which requires relatively accuracy in the seeding work.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아울러,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는 작동 온/오프 버튼에 해당되는 관통홀개폐부의 구조적인 특성상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 관통홀개폐부의 슬라이딩판을 조작하기가 어려워 슬라이딩판의 조작은 다른 손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이에 작업자는 토양 위를 걸으면서 파종작업을 수행하다가도 슬라이딩판의 조작이 필요한 시점에서는 일일이 걸음을 멈추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anual plan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sliding plate of the through-hole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plate with the other han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hrough-hole opening and clos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n / off button. Should be performed, the worker ha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because the worker must stop walking every time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plate even while performing the seeding work while walking on the so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자신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있도록 하고,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적합한 파종공간을 토양에 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 직접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 성된 작동 온/오프 버튼에 해당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식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perato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appropriately to his height, and even inexperienced workers easily form a seeding space suitable for the seed to be sown in the soil It provides a manual planter so that the operator can carry out the seeding work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by providing the mea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n / off button,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directly by the hand held by the handle. Its purpose is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는 바닥면에 종자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된 종자저장통과; 상기 종자저장통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호 조립된 고정파이프 및 조절파이프와; 상기 조절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삽날과; 상기 종자배출관과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어 토양의 파종공간에 투입되는 종자 개수의 수동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파종개수수동조절수단과; 상기 삽날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날의 슬릿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종자이송관과; 상기 토양에 대한 상기 삽날의 삽입 깊이가 한정되도록 상기 종자이송관의 전면 하단에 상기 삽날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 리미트판과; 상기 종자이송관이 상기 슬릿에 대하여 직선이동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종개수수동조절수단은 상기 종자배출관과 연통되는 제 1 관통홀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좁은 구멍측 하단이 삽입 고정된 깔때기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동 조작에 따라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구가 상기 제 1 관통홀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개폐관과; 상기 관통홀개폐관의 개구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 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타원형 개구가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형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nual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ed storage tu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ed discharge pipe on the bottom surface; A fixed pipe and a control pipe which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seed storage container and are mutually assembled to adjust the length; A blad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ipe and having a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 seeding manual manual adjusting means mounted between the seed discharge pipe and an upper end of the fixed pipe to enable manual adjustment of the number of seeds introduced into the seeding space of the soil; A seed feed pipe installed to move linearly along a slit of the blade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blade; A limit plate install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blade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seed transfer pipe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blade to the soil; The seed conveying pipe includes fixing means for fixing a position in which the seed feed pipe is linearly moved with respect to the slit; The seeding manual manual adjusting means includes a body having a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ed discharge pip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funnel in which a lower end of a narrow hol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A handl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first through hole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handle to rotate the han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a manual operation, and selectively open the first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 through hole opening and closing pip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hole; An upper end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through-hole opening and closing pipe, and two oval openings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handle are configured to include a pipe-shaped nozzle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동식 파종기의 하부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동식 파종기의 상부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동식 파종기의 상부측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삽날이 파종공간을 만드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 깔때기(128)와 노즐(134)은 단면으로 표시하지 않았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ual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nual planter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top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ual planter shown in Figure 2, 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manual seed drill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lade makes a seeding space. 4 and 5,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는 종자(100)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바닥면에 종자배출관(112a)이 일체로 형성된 종자저장통(112)과; 종자저장통(112)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호 조립된 고정파이프(114) 및 조절파이프(116)와; 조절파이프(116)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동 조작에 따라 토양(102)에 파종공간(104)을 형성하는 볼록한 외부곡면(118a)과 조절파이프(116)의 내부면과 연결된 오목한 내부곡면(118b)이 구비되며, 중심부에 길이방향의 슬릿(118c)이 형성된 삽날(118)과; 종자배출관(112a)과 고정파이프(114)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어 파종공간(104)에 투입되는 종자 개수의 수동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파종개수수동조절수단과; 삽날(118)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삽날(118)의 슬릿(118c)을 따라 직선이동 가 능하게 설치되어 조절파이프(116)의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종자를 파종공간(104)측으로 연속하여 슬라이딩시키는 종자이송관(120)과; 토양(102)에 대한 삽날(118)의 삽입 깊이(d)가 한정되도록 종자이송관(120)의 전면 하단에 삽날(118)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 부채꼴 형상의 리미트판(122)과; 종자이송관(120)이 슬릿(118c)에 대하여 직선이동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anua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for storing the
상기 종자저장통(112)에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종자투입구(미도시)와, 종자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112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자배출관(112a)의 하단에는 수나사(1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자저장통(112)은 작업자가 내부에 저장된 종자(100)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투명창(미도시)과 눈금(미도시)이 외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는 견고성을 위해 스테인레스강이나 강화알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파이프(114)는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114a)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114a)에는 다수개의 절결부(1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파이프(116)는 고정파이프(114)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단부가 고정파이프(114)의 하단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절파이프(116)의 하단 외주면에는 수나사(11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의 연결부분에는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 구(12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124)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절파이프(116)의 상단부가 내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상단 내주면에 고정파이프(114)의 수나사(114a)와 체결 가능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암나사(1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파이프(116)의 상단부가 고정구(124)의 내부를 관통한 후 고정파이프(114)의 하단을 통해 고정파이프(11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124)의 암나사(124a)와 고정파이프(114)의 수나사(114a)가 상호 체결되면 고정구(124)의 암나사(124a)의 경사에 의해 고정파이프(114)의 수나사(114a)가 절결부(114b)를 중심으로 오므라들어 조절파이프(116)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그 결과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는 서로에 대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된다. 작업자는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를 이용해 수동식 파종기의 전체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손잡이(130)의 높이를 자신의 키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작업자는 보다 안정된 자세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삽날(118)의 상단에는 조절파이프(116)의 수나사(116a)와 체결 가능한 암나사(118d)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상기 파종개수수동조절수단은 종자저장통(112)의 종자배출관(112a)과 연통되는 제 1 관통홀(126a)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제 2 관통홀(126)이 형성되며, 'C'자형 단면을 가진 몸체(126)와; 몸체(126)의 내측면에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몸체(126)의 제 2 관통홀(126b)에 좁은 구멍측 하단이 삽입 고정된 깔때기(128)와; 몸체(126)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130)와; 몸체(126)의 상부와 손잡이(130) 사이 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동 조작에 따라 손잡이(130)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제 1 관통홀(126a)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구(132a)가 제 1 관통홀(126a)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개폐관(132)과; 관통홀개폐관(132)의 개구(132a)에 상단이 결합되고, 손잡이(13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타원형 개구(134a, 134b)가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형 노즐(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eding manual manual adjusting means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상기 몸체(126)의 제 1 관통홀(126a) 상단 내주면에는 종자배출관(112a)의 하단 수나사(112c)와 체결 가능한 수나사(126c)가 형성됨으로써 종자저장통(112)은 몸체(126)에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The seed reservoir (112) is screwed to the body (126) by forming a male thread (126c) that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male thread (112c) of the seed discharge pipe (112a)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126a) of the body (126). Fixedly coupled by.
상기 손잡이(130)의 일단 내부에는 암나사(130a)가 형성되고, 몸체(126)의 상부에는 손잡이(130)의 암나사(130a)와 체결 가능한 수나사(126d)가 형성됨으로써 손잡이(130)는 몸체(126)에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130)와 몸체(126)가 나사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은 수동식 파종기의 제조시 손잡이(130)와 몸체(126)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홀개폐관(132)을 보다 쉽게 몸체(126)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A
상기 관통홀개폐관(132)의 개구(132a)에 내주면에는 암나사(132b)가 형성되고, 노즐(134)의 상단 외주면에는 관통홀개폐관(132)의 암나사(132b)와 체결 가능한 수나사(134c)가 형성됨으로써 노즐(134)은 관통홀개폐관(132)에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노즐(134)은 나사 결합으로 인해 착·탈이 용이하므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노즐(134)을 여러개 구비하면 종자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노즐(134)을 관통홀개폐관(132)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파종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
상기 고정수단은 종자이송관(12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릿(118c)에 삽입된 돌기(136)와, 돌기(136)에 설치된 나사(138)와, 나사(138)와 체결 가능한 너트(140)로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of the
상기와 같이 종자저장통(112), 고정파이프(114), 조절파이프(116), 삽날(118), 종자이송관(120)과 리미트판(122), 몸체(126), 깔때기(128), 손잡이(130) 및 관통홀개폐관(132)을 조립식으로 형성하면 수동식 파종기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식 파종기의 사용 방법 및 그 작용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use method and the operation of the manual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6 as follows.
먼저, 작업자는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안정된 자세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이에 손잡이(130)를 위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고정구(124)를 회전시켜 고정구(124)와 고정파이프(114)간의 나사 체결을 완전히 푼 다음 조절파이프(116)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 조절파이프(116)를 고정파이프(114)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시키거나 고정파이프(114)의 내부로부터 꺼내어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의 전체 길이를 자신의 키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하고, 이 후 고정구(124)를 고정파이프(114)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고정구(124)의 암나사(124a)와 고정파이프(114)의 수나사(114a)를 다시 체결시켜 고정파이프(114)와 조절파이프(116)를 서로에 대해 단단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손잡이(130)가 적당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operator adjusts the overall length of the fixed
상기에서 손잡이(130)의 높이 조절이 끝나면 작업자는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의 종류에 따라 삽날(118)에 대한 종자이송관(120)과 리미트판(12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삽날(118)의 하단에서 리미트판(122)의 하부면까지 거리는 추후 토양(102)에 형성될 파종공간(104)의 깊이(d)에 해당되므로 작업자는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적합한 파종깊이 정보를 미리 입수한 다음 삽날(118)의 하단에서 리미트판(122) 하부면까지의 거리가 입수한 깊이가 되도록 종자이송관(120)과 리미트판(122)을 삽날(118)의 슬릿(118c) 상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나사(138)와 체결된 너트(140)를 푼 다음 종자이송관(120)과 리미트판(122)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 종자이송관(120)과 리미트판(122)을 삽날(118)의 슬릿(118c)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고, 이 후 다시 너트(140)와 나사(138)를 체결시켜 종자이송관(120)과 리미트판(122)이 삽날(118)의 슬릿(118c) 상 해당 위치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리미트판(122)을 적절한 높이에 위치시킨다.Whe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상기에서 리미트판(122)의 높이 조절이 끝나면 작업자는 관통홀개폐관(132)의 개구(132a)가 몸체(126)의 제 1 관통홀(126) 하단과 겹쳐지지 않도록 관통홀개폐관(132)을 회전시켜 제 1 관통홀(126)의 하단이 관통홀개폐관(132)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 다음 종자저장통(112)의 뚜껑(112b)을 열고 개방된 종자투입구(미도시)를 통해 종자저장통(112)의 내부에 원하는 종자를 채워 넣는다.Whe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그 후, 작업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130)를 감싸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노즐(134)의 개구들(134a, 134b)에 각각 하나씩 위치시켜 엄지손가락과 검지가 개구들(134a, 134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한 다음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각각 해당 개구(134a, 134b)를 통해 노즐(134)의 내부로 밀어 넣어 엄지손가락과 검지가 노즐(134)의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노즐(134)의 개구(134a, 134b)를 막고 있는 엄지손가락과 검지로 노즐(134)에 힘을 가해 관통홀개폐관(132)의 개구(132a)가 몸체(126)의 제 1 관통홀(126a) 하단과 일치하여 제 1 관통홀(126a)의 하단이 개방될 때까지 관통홀개폐관(132)을 회전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작동 온/오프 버튼에 해당되는 관통홀개폐관(132)이 구조적인 특성상 손잡이(130)를 잡은 손으로 직접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토양(102) 위를 걸으면서 파종작업을 수행하다가 관통홀개폐관(132)의 조작이 요구되면 걸음을 멈출 필요 없이 손쉽게 관통홀개폐관(132)을 조작할 수 있다.Afterwards, the worker places the thumb and index finger at the
상기에서 몸체(126)의 제 1 관통홀(126a)이 개방되면 종자저장통(112)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종자(100)가 정해진 경로(종자배출관(112a) → 제 1 관통홀(126a) → 관통홀개폐관(132)의 개구(132a) → 노즐(134)의 내부)를 통해 이동되어 결국 노즐(134)의 개구들(134a, 134b)을 통해 노즐(134)의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어있던 작업자의 엄지손가락과 검지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first through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판(122)의 하부면이 토양(102)의 표면에 닿을 때까지 삽날(118)을 토양(10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밀어 넣어 삽입한 다음 삽날(118)의 끝을 토양(10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동식 파종기를 전체적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여 삽날(118)의 내부곡면(118b) 전면에 종자(100)에 적합한 깊이(d)의 파종공간(104)이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above state, the operator pushes the
그 후, 작업자는 노즐(134)의 개구들(134a, 134b)을 통해 노즐(134)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어 있던 엄지손가락과 검지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만들어 엄지손가락과 검지 사이에 한 개의 종자(100)가 들어오도록 하고, 손가락 감각에 의해 한 개의 종자(100)가 들어온 것이 확인되면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비틀어 해당 종자(100)를 깔때기(128) 내부로 떨어뜨린다.The operator then creates an appropriate space between the thumb and forefinger that have been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side the
상기에서 깔때기(128) 내부로 떨어진 종자(100)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고정파이프(114) 및 조절파이프(116)의 내부면과 삽날(118)의 내부에 설치된 종자이송관(120)의 내부면을 따라 차례대로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토양(102)에 형성된 파종공간(104)에 정확하게 떨어지게 된다.The
그 후, 작업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비틀어 종자(100)를 하나씩 깔때기(128) 내부로 밀어내는 동작을 반복하여 하나의 파종공간(104)에 자신이 원하는 개수의 종자(100)를 떨어뜨린 다음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발로 종자(100)가 투입된 파종공간(104)에 흙을 덮은 후 밟아 마무리를 한다.After that, the worker twists the thumb and index finger and repeats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one embodiment, bu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자신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의 높이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된 자세에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파종하고자 하는 종자에 적합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토양에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농사에 문외한인 사람도 파종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의 손을 필요로 하는 작업(종자를 하나씩 아래로 떨어뜨리는 작업, 작동 온/오프 버튼에 해당되는 관통홀개폐관을 조작하여 종자의 이동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작업 등)이 모두 작업자의 한 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ange the height of the handle according to his height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seeding work in a more stable posture, sowing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Since it is configured to easily form the seeding space in the soil suitable for the seeds to be sown, it is possible for people outside of farming to carry out the sowing work accurately, and the work that requires the hand of the worker Operating the through hole closing pip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n / off button to open or close the seed path, etc.) can be performed by one hand. It is effective to carry out the seeding work more conveniently.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7187A KR100571703B1 (en) | 2004-11-22 | 2004-11-22 | Manual See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7187A KR100571703B1 (en) | 2004-11-22 | 2004-11-22 | Manual See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71703B1 true KR100571703B1 (en) | 2006-04-18 |
Family
ID=3718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71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1703B1 (en) | 2004-11-22 | 2004-11-22 | Manual See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170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49179A3 (en) * | 2010-05-28 | 2012-01-12 | Park Jong Oh | Seed planting tool |
CN103385052A (en) * | 2013-07-12 | 2013-11-13 | 刘怡婷 | Hand-operated sowing and fertilizing machine |
KR101605462B1 (en) * | 2014-04-16 | 2016-03-22 | 최영식 | Seeding Shovel |
CN106612662A (en) * | 2016-10-13 | 2017-05-10 | 上海理工大学 | Soil loosening and sowing integrated agricultural shovel |
-
2004
- 2004-11-22 KR KR1020040097187A patent/KR1005717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49179A3 (en) * | 2010-05-28 | 2012-01-12 | Park Jong Oh | Seed planting tool |
CN103385052A (en) * | 2013-07-12 | 2013-11-13 | 刘怡婷 | Hand-operated sowing and fertilizing machine |
KR101605462B1 (en) * | 2014-04-16 | 2016-03-22 | 최영식 | Seeding Shovel |
CN106612662A (en) * | 2016-10-13 | 2017-05-10 | 上海理工大学 | Soil loosening and sowing integrated agricultural shovel |
CN106612662B (en) * | 2016-10-13 | 2019-01-01 | 上海理工大学 | One kind, which is loosened the soil, sows integrated agricultural shov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09801B2 (en) | Hand seed planter with soil-removing feature | |
KR101373211B1 (en) | Sowing machine | |
US4084726A (en) | Seed dispenser | |
KR100794259B1 (en) | planter | |
US6662736B1 (en) | Seed planter | |
KR100571703B1 (en) | Manual Seeder | |
JP4855543B1 (en) | Hand type seeder | |
US4218981A (en) | Seed planter | |
US7143703B2 (en) | Combination seed planter and garden tool | |
KR102291280B1 (en) | Sowing machine for raising seedlings plate | |
RU166485U1 (en) | HAND SEEDER | |
US6289828B1 (en) | Tilling and seeding device | |
US5438940A (en) | Manual pla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plants | |
US10897843B1 (en) | Apparatus for planting seeds | |
CN208258372U (en) | A kind of device of the artificial simple light sowing of Chinese cabbage | |
KR200346866Y1 (en) | A hand-operated seeding apparatus | |
KR20060133925A (en) | planter | |
KR20150119679A (en) | Seeding Shovel | |
KR200346863Y1 (en) | Seeding machine | |
NO318531B1 (en) | Device for dosing granulated material, special artificial fertilizer | |
KR200360825Y1 (en) | A sowing machine for a small seed | |
JP2004283035A (en) | Seeder | |
KR20180054280A (en) | planter | |
KR200404966Y1 (en) | planter | |
GB2390287A (en) | Pla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