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0505B1 -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505B1
KR100570505B1 KR1019997004330A KR19997004330A KR100570505B1 KR 100570505 B1 KR100570505 B1 KR 100570505B1 KR 1019997004330 A KR1019997004330 A KR 1019997004330A KR 19997004330 A KR19997004330 A KR 19997004330A KR 100570505 B1 KR100570505 B1 KR 10057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e
skin
zinc oxide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997A (ko
Inventor
야마구치겐지
야기에이이치로
하타오마사토
이와이이치로
나가누마마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0006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5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티올화합물과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이다.
티올화합물과 산화아연을 배합함으로써 티올화합물을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 티올화합물, 산화아연

Description

피부외용제{DERMATOLOGIC PREPARATION}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티올 화합물을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티올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빛, 열 및 산소에 대해 상당히 불안정하므로 티올화합물을 배합한 피부외용제는 빛, 열 또는 산소에 의해 용이하게 산화되어 약효를 잃게 되는 결점이 있어, 서늘한 곳, 차광 또는 기밀, 밀봉 보존이 필요하며 그 이용형태에 있어서 상당한 제한이 있었다.
또 티올화합물 원체는 일반적으로 불쾌한 냄새를 동반하고 또 수용액에 녹임으로써 유황 유래의 상당한 악취가 발생하여 피부외용제에의 배합량에 대해서도 제한이 동반되었다.
이 때문에 티올화합물을 피부외용제 속에 배합할 경우에는 고가의 차광용기, 산소투과성이 낮은 용기, 밀봉성이 높은 용기 또는 용사(用事)조정과 같은 형태로 티올화합물의 분해를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해도 분해를 방지 못하고 불쾌한 냄새가 발생할 경우에는 배합량을 낮춰야 하는 등의 제약이 따랐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의 관점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티올화합 물을 산화아연과 함께 피부외용제 속에 배합하면 빛, 열, 산화 등에 의한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하게 티올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티올화합물을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즉, 본 발명은 티올화합물과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티올화합물이 글루타티온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티올화합물이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산화아연의 평균입경이 0.2㎛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티올화합물의 함유량이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0.001∼20.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산화아연의 함유량이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0.01∼50.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티올화합물은 예를 들어 글루타티온, 아세틸화글루타티온, 글루타티온염산염, 인산염, 황산염, 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염산시스테인, 황산시스테인, 인산시스테인 등의 시스테인함유 아미노산 유도체, 메르캅토아세트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암모늄티오락테이트, 모노에탄올아민티오락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 티올화합물은 피부외용제의 사용용도에 의해 적당히 선택되어 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티올화합물은 환원작용을 갖기 때문에 항산화제로서 사용되는데 사용성, 안전성, 유효성의 점에서 아미노산 계의 화합물인 글루타티온 및 그 유도체 또는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가 바람직하며 특히 글루타티온, N-아세틸시스테인이 가장 바람직하다.
티올화합물의 배합량은 피부외용제의 사용용도에 의해 달라지는데, 통상,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0.001∼20.0중량%의 범위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는 0.1중량% 이상, 나아가 1중량% 이상의 높은 배합량일 경우에 본 발명이 의의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화아연은 티올화합물의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아연화, 미립자산화아연, 초미립자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아연은 분말, 특히 미세분말이 바람직하다. 분말의 미세도는 작으면 작을수록 티올화합물의 안정화 효과도 높아진다. 사용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001∼0.2㎛,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005∼0.1㎛의 산화아연이 며, 시판품으로서는 초미립자산화아연 FINEX75, FINEX50, FINEX25 (사카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을 소수화 처리한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수화처리제로서는 미리스트산처리, 미리스트산아연처리, 미리스트산알루미늄처리, 팔미트산처리, 텍스트린팔미트산처리, 팔미트산아연처리, 팔미트산알루미늄처리, 스테아르산처리, 덱스트린스테아르산처리, 스테아르산아연처리, 스테아르산알루미늄처리, 실리콘처리 등이 있다.
산화아연의 배합량으로서는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0.01∼50.0중량%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20중량%이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또 5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기제의 안정성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필수성분에 더해서 항산화제를 배합하면 티올화합물의 안정화가 증대된다. 배합 가능한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BHT (dibutylhydroxytoluene), BHA(butylhydroxyanisol), 갈산 에스테르, NDGA (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BHT, BHA가 바람직하다.
항산화제의 피부외용제에 대한 배합량은 티올화합물 및 산화아연의 배합량에 의하는데, 통상,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0.001∼10.0중량%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티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중에 산화아연을 같이 배합함에 따라 티올화합물 유래의 불쾌한 냄새를 방지하여 안정하게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빛, 열, 산소 등에 의한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차광용기, 산소투과성이 낮은 용기, 밀봉성이 높은 용기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티올화합물을 목적에 따르는 배합량으로 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중에는 상기 티올화합물 이외의 약효성분, 예를 들어 보습제, 미백제, 소염제, 활성화제, 혈행촉진제, 항지루제(抗脂漏劑), 식물추출액, 각종 비타민 등 기타 통상 피부외용제에 배합 가능한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란 외피에 적용되는 화장료, 의약품, 의약품외품 등을 의미하며, 그 제형은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乳化)계, 분말계, 유액계, 겔계, 연고계, 에어졸계, 수-유 2층계, 수-유-분말 3층계 등 폭넓은 제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화장품이면 세안료, 화장수, 유액, 크림, 젤, 에센스(미용액), 팩·마스크 등의 제품형태이며, 상기의 다양한 제형에 의해 이용 가능하다. 또 메이크업 화장품이라면 파운데이션 등의 제품형태에 널리 이용가능하다. 또한 의약품 또는 의약품외품이라면 각종 연고제 등의 제품 형태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제형 및 제품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상기의 소망하는 제형 및 제품형태에 따라서 상기 필수성분에 더해 통상 피부외용제에 이용되는 공지의 기제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여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동백기름, 달맞이꽃기름, 터틀유, 마카데미아넛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기름, 난황유, 참기름, 퍼시크유, 밀배아유, 사잔카유, 피마자유, 아미인유, 홍화기름, 면실유, 들기름, 콩기름,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기름, 지나오동나무유, 일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등의 액체유지;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체유지; 밀랍, 캉델라랍, 면랍, 카우나우바랍, 베이베리랍, 백랍, 고래랍, 몬탄랍, 쌀겨랍, 라놀린, 케이폭랍, 아세트산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랍,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라놀린, 호호바랍, 경질라놀린, 셀락랍,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의 납류;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렌,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의 유분 등의 탄화수소유;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베헤닌)산, 올레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톨루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의 고급지방산;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직쇄알코올,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티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카놀, 이소스테아릴알코올옥틸도데카놀 등의 분기쇄 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 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젖산세틸, 젖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 에스테르, 아티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트리에틸 등의 합성에스테르유;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3차원 그물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수지, 실리콘고무 등의 실리콘류; 비누용소지,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비누,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K 등의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POE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산,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릿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릿드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아미드술폰염산, POE 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 스테아릴에테르인산 등의 인산 에스테르염,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염, 리니어드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드데실벤젠술폰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N-라우로일글루탐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탐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탐산염, 경화야자유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황산에스테르염, 로드유 등의 황산화유,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 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지방산에스테르술폰산염, 2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알킬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의 아니온계 계면활성제; 염산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산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 (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알킬피리디늄염,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POE 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유도체, 아밀알콜지방산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카티온계 계면활성제;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 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의 이미다졸린계 양성계면활성제,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도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의 양성계면활성제;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솔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의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경화피마자유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POE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POE 솔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 POE-솔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솔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솔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솔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POE 지방산에스테르류, POE 라우릴에테르, POE 올레일에테르, POE 스테아릴에테르, POE 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콜레스탄올에테르 등의 POE 알킬에테르 류, POE 옥틸페닐에테르, POE 노닐페닐에테르, POE 디노닐페닐에테르 등의 POE 알킬페닐에테르류, 블루로닉 등의 플루아로닉형류, POE·POP 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 모노부틸에테르, POE·POP 수첨라놀린, POE·POP 글리세린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 POE·테트라 POP 에틸렌디아민축합물류, POE 피마자유, POE 경화피마자유, POE 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피마자유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탐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말레산 등의 POE 피마자유경화피마자유유도체, POE 솔비트밀랍 등의 POE 밀랍·라놀린유도체,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 POE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아민, POE 지방산아미드,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POE 노닐페닐포름알데히드축합물,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의 친수성 비이온계면활성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에데트산나트륨염, EDTA 등의 금속이온봉쇄제;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트고무, 갈락탄, 고아고무, 캬롭고무, 카라야고무, 카라기난, 펙틴, 칸텐, 퀸스시트(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엑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틸리틴산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고무,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블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등의 천연 수용성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 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CMC), 결정셀룰로스, 셀룰로스분말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등의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르보폴), 알킬변성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2000, 4000, 600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계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공중합계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카티온폴리머 등의 합성 수용성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AlMg(비고무), 라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규산 등의 무기 수용성 고분자;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우카스트빈고무, 구아고무, 타마린트고무,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스, 크산탄고무,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의 증점제; 견운모(셀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모, 퍼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 (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금속비누(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의 무기분말, 폴리아미드수지분말(나일론분말), 폴리에틸렌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분말, 폴리스티렌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수지분말, 벤조구아나민수지분말, 폴리4플루오르화에틸렌분말, 셀룰로스분말 등의 유기분말 등의 분말성분;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안료, 산화철(벤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저차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청색계안료, 산화티탄코텟드마이크, 산화티탄코텟드옥시염화비스무스, 산화티탄코텟트탈크, 착색산화티탄코텟드마이크, 옥시염화비스무스, 어린박 등의 펄안료, 알루미늄파우더, 카파파우더 등의 금속분말안료,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6호, 적색228호, 적색405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황색205호, 황색401호 및 청색404호 등의 유기안료,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적색227호, 적색230호, 적색401호, 적색505호, 등색205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녹색3호, 청색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색소 등 티탄옐로, 카사민, 홍화적 등의 색제 등; 향료, 물, 알코올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구체적인 처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에 대해서는 다른 제한이 없는 한 중량%를 나타낸다.
「티올화합물 안정화시험」
글루타티온의 냄새 안정화에 대해 각종 금속의 염 및 산화물의 분말을 배합하여 냄새를 평가하였다. 이하의 처방의 분말혼합 수용액을 50℃로 2개월 방치하고, 냄새의 변화를 전문패널 3명이 관능평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판정기준」
◎: 전혀 불쾌한 냄새가 안난다.
○: 거의 불쾌한 냄새가 안난다.
△: 약간 불쾌한 냄새가 난다.
×: 불쾌한 냄새가 난다.
「분말혼합 수용액처방」
이온교환수 98.0중량%
글루타티온 1.0
각종 금속분말(표 1 기재) 1.0






각종 금속분말 평가결과
컨트롤 (이온교환수 99%와 글루타티온 1%) ×
산화알루미늄 ×
황산알루미늄 ×
염화마그네슘 ×
황산마그네슘 ×
질산마그네슘 ×
황산 제1철 ×
산화티탄 ×
알루미나처리산화티탄 ×
황산아연 ×
탄산아연 ×
아연화 (평균입경: 1㎛)
초미립자산화아연 (평균입경: 0.1㎛)
팔미트산덱스트린처리미립자산화아연 (평균입경: 0.1㎛)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글루타티온에 산화아연을 가한 분말혼합수용액은 불쾌한 냄새가 없고 안정적이었다. 또 평균입경이 0.1㎛인 미립자산화아연을 배합한 경우는 특히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글루타티온에 산화아연을 가하면 불쾌한 냄새가 없고 안정적인 피부 외용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하기의 「표 2」, 「표 3」및 「표 4」에 기재된 처방에 의해 유액을 제조하여 상기와 동일한 효과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각 표에 나타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유동파라핀 30.0 30.0 30.0 30.0 30.0 30.0 30.0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5.0 5.0 5.0 5.0 5.0 5.0
2-에틸헥산산세틸 5.0 5.0 5.0 5.0 5.0 5.0 5.0
호호바유 5.0 5.0 5.0 5.0 5.0 5.0 5.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알킬렌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1.0 1.0
미립자산화아연 (평균입경 0.02㎛) 5.0 5.0 5.0 5.0 5.0 5.0
유기변성벤토나이트 1.5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EDTA.3Na.2H2O 0.5 0.5 0.5 0.5 0.5 0.5
아세트산토코페롤 1.0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0.5 0.5 0.5 0.5 0.5 0.5
글루타티온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냄새평가 ×
실시예 비교예
7 8 9 10 11 12 2
유동파라핀 30.0 30.0 30.0 30.0 30.0 30.0 30.0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5.0 5.0 5.0 5.0 5.0 5.0
2-에틸헥산산세틸 5.0 5.0 5.0 5.0 5.0 5.0 5.0
호호바유 5.0 5.0 5.0 5.0 5.0 5.0 5.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알킬렌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1.0 1.0
미립자산화아연 (평균입경 0.04㎛) 5.0 5.0 5.0 5.0 5.0 5.0
유기변성벤토나이트 1.5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EDTA.3Na.2H2O 0.5 0.5 0.5 0.5 0.5 0.5
아세트산토코페롤 1.0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0.5 0.5 0.5 0.5 0.5 0.5
N-아세틸시스테인 1.0 1.0 1.0 1.0 1.0 1.0 1.0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냄새평가 ×




실시예 비교예
13 14 15 16 17 18 3
유동파라핀 30.0 30.0 30.0 30.0 30.0 30.0 30.0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5.0 5.0 5.0 5.0 5.0 5.0
2-에틸헥산산세틸 5.0 5.0 5.0 5.0 5.0 5.0 5.0
호호바유 5.0 5.0 5.0 5.0 5.0 5.0 5.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알키렌변성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 1.0 1.0 1.0 1.0 1.0 1.0
미립자산화아연 (평균입경 0.04㎛) 5.0 5.0 5.0 5.0 5.0 5.0
유기변성벤토나이트 1.5 1.5 1.5 1.5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EDTA.3Na.2H2O 0.5 0.5 0.5 0.5 0.5 0.5
아세트산토코페롤 1.0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0.5 0.5 0.5 0.5 0.5 0.5
글루타티온 5.0 5.0 5.0 5.0
N-아세틸시스테인 5.0 5.0 5.0
항산화제① 1.0 1.0 1.0
항산화제② 1.0 1.0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냄새평가 ×
항산화제①: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항산화제②: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표 2」, 「표 3」및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산화아연을 배합한 실시예의 피부외용제는 불쾌한 냄새가 적고 지극히 안정적이었다. 또 항산화제를 배합했을 경우는 티올화합물을 고농도로 배합했을 경우라도 뛰어난 안정화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낸다. 어떤 실시예도 처방 중의 티올화합물의 안정성은 50℃, 2개월에 걸쳐서 안정적이며 불쾌한 냄새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어떤 제형에 있어서도 충분히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9: 분말함유젤」
이하에 나타내는 처방젤을 수상을 교반용해시켜서 그 속에 알코올상을 첨가 하여 교반하여 조제하였다.
성분 배합량 중량%
A. 수상
정제수 잔여
폴리에틸렌글리콜40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틸리틴산디칼륨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가성칼리 0.2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0.1
글루타티온 0.5
미립자산화아연(평균입경 0.04㎛) 0.5
B. 알코올상
에탄올 10.0
POE(25)옥틸도데실에테르 0.5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0.05
아세트산토코페롤 0.1
메틸파라벤 0.1
향료 적량
「실시예 20: 유액」
이하에 나타내는 처방의 유액을 유상성분을 수상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하여 조제하였다.
성분 배합량 중량%
A. 유상
스테아르산 2.0
세타놀 1.0
와세린 2.0
유동파라핀 9.0
2-에틸헥산산세틸 1.0
호호바유 1.0
스쿠알란 2.0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스리톨 3.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0
달맞이꽃기름 0.5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5
POE(10)모노올레에이트 0.1
스테아르산처리미립자산화아연 5.0
(평균입경 0.02㎛)
부틸파라벤 0.2
향료 적량
B. 수상
프로필렌글리콜 5.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부틴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N-아세틸시스테인 3.0
아연화 5.0
정제수 잔여
「실시예 21: 크림」
이하에 나타내는 처방의 크림을 유성성분을 수상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하여 조제하였다.
성분 배합량 중량%
A. 유상
스테아르산 2.0
스테아릴알코올 7.0
환원라놀린 2.0
올리브유 1.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3.0
옥틸도데카놀 5.0
POE(25)세틸에테르 3.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0.5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0.5
팔미트산덱스트린처리산화아연 5.0
(평균입경 0.04㎛)
프로필파라벤 0.3
향료 적량
B. 수상
1,3-부틸렌글리콜 6.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글리세린 4.0
트라넥삼산 2.0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0.1
판토텐산 0.1
글루타티온 2.0
정제수 잔여
「실시예 22: 이층형 화장수」
이하에 나타내는 처방의 이층형 화장수를 수상을 교반분산하여 이 중에 알콜 상을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성분 배합량 중량%
A. 수상
정제수 잔여
프로필렌글리콜 4.0
알란토인 0.2
식염 0.1
벤토나이트 1.0
탈크 0.5
셀룰로스분말 0.5
실리카 1.0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0.1
글루타티온 0.5
미립자산화아연 1.0
(평균입경 0.02㎛)
B. 알코올상
에탄올 15.0
메틸파라벤 0.1
멘톨 0.05
POE(6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0.5
아세트산토코페롤 0.01
향료 적량
「실시예 23: 필오프형 팩」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필오프형 팩을 수상을 교반용해하여 이 중에 알코올상을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성분
A. 성분 배합량 중량%
정제수 잔여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5.0
폴리비닐알코올 13.0
프라센타엑스 0.3
N-아세틸시스테인 0.5
아연화 1.0
미립자산화아연 1.0
(평균입경 0.1㎛)
B. 알코올상
에탄올 7.0
POE(20)올레일알코올에테르 1.0
메틸파라벤 0.2
미리스트산처리미립자산화아연 1.0
향료 적량
「실시예 24: 햇빛차단크림」
이하에 나타내는 처방의 햇빛차단크림을 유성성분을 수상성분에 첨가하면서 유화기로 유화하여 조제하였다.
성분 배합량 중량%
A. 유상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메틸폴릭산 5.0
POE글리세롤트리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1.5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38) 0.5
실리콘레진 5.0
비타민E아세테이트 0.05
메틸파라벤 0.5
알루미나처리산화티탄 5.0
실리콘처리산화아연 5.0
(평균입경 0.02㎛, 실리콘처리는 특공평 1-54381호 공보기재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향료 적량
B. 수상
1,3-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5.0
EDTA·3Na-2H2O 0.5
글루타티온 1.0
정제수 잔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티올화합물의 경과일수에 의한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고 경일적(經日的)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피부외용제가 제공된다.

Claims (6)

  1. 티올화합물 및 0.005∼0.1㎛의 평균입경을 갖는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로서, 상기 산화아연은 그 표면이 미리스트산처리, 미리스트산아연처리, 미리스트산알루미늄처리, 팔미트산처리, 텍스트린팔미트산처리, 팔미트산아연처리, 팔미트산알루미늄처리, 스테아르산처리, 덱스트린스테아르산처리, 스테아르산아연처리 및 스테아르산알루미늄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수화처리제로 소수화처리되고, 상기 티올화합물의 함유량은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1.0∼20.0중량%이며, 상기 산화아연의 함유량은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해 5.0∼5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화합물이 글루타티온, 아세틸화 글루타티온, 글루타티온 염산염, 글루타티온 인산염 및 글루타티온 황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올화합물이 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 황산시스테인 및 인산시스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19997004330A 1997-09-26 1998-09-22 피부외용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570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950797 1997-09-26
JP97-279507 1997-09-26
PCT/JP1998/004274 WO1999016411A1 (fr) 1997-09-26 1998-09-22 Preparation a usage dermatolog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997A KR20000068997A (ko) 2000-11-25
KR100570505B1 true KR100570505B1 (ko) 2006-04-12

Family

ID=1761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3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0505B1 (ko) 1997-09-26 1998-09-22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69114B1 (ko)
EP (1) EP0976381A4 (ko)
KR (1) KR100570505B1 (ko)
CN (1) CN1110298C (ko)
AU (1) AU742369B2 (ko)
TW (1) TW448054B (ko)
WO (1) WO1999016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4341A1 (fr) * 1999-01-28 2000-08-03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s destinees a un usage externe
JP2001019621A (ja) * 1999-07-06 2001-01-23 Mitsubishi Pencil Co Ltd 非水系液体化粧料
US20020054895A1 (en) 1999-07-23 2002-05-09 Alwyn Company, Inc. Allantoin-containing skin cream
US6673826B2 (en) 1999-07-23 2004-01-06 Alwyn Company,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US6864274B2 (en) * 1999-07-23 2005-03-08 Alwyn Company, Inc. Allantoin-containing skin cream
US20020055531A1 (en) * 1999-07-23 2002-05-09 Elliott Farber Method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WO2003053369A1 (en) * 2001-12-19 2003-07-03 Alwyn Company, Inc. Allantoin-containing preparations for administration as gels and aerosols
KR100812841B1 (ko) * 2002-02-19 2008-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리 및 발 미용 조성물
ATE460918T1 (de) * 2002-05-10 2010-04-15 Maria Klewinghaus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als pharmazeutische oder kosmetische formulierung zur äusserlichen anwendung
KR101086368B1 (ko) * 2002-11-18 2011-11-23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팩 화장료
US20070009472A1 (en) * 2005-07-06 2007-01-11 Niebauer Michael F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non-binding thickener with a metal ion
JP5393114B2 (ja) * 2007-11-22 2014-0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乳化組成物
US20140135372A1 (en) 2010-02-02 2014-05-15 Elliott Farb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using allantoin
CN109276474B (zh) * 2018-09-30 2020-11-03 江南大学 一种纳米氧化锌/阳离子多糖杂化纳米颗粒的制备方法
US20210369648A1 (en) * 2018-10-06 2021-12-02 Biotheravision Llc Cysteamine zinc complex and method of using a cysteamine zinc complex
CN114828871A (zh) * 2019-12-18 2022-07-29 株式会社资生堂 谷胱甘肽混合组合物
CN114392201B (zh) * 2021-12-27 2023-08-25 广州丸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膜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538A1 (en) * 1989-08-18 1991-03-07 John Morris Co., Inc. Odor-masked and stabilized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tissue, skin conditions, and promoting wound healing
WO1993004669A1 (en) * 1991-08-30 1993-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n-acetyl-l-cysteine and derivatives for regulating skin wrinkles and/or skin atroph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2423B2 (ko) * 1973-10-25 1977-10-24
JPH0273009A (ja) * 1988-09-09 1990-03-13 Takahisa Higuchi ケラチン質物質及び皮膚上に適用する、脱臭効果を持つ組成物
FR2651125B1 (fr) * 1989-08-23 1992-10-02 Roussel Uclaf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de type "pates a l'eau".
SG46679A1 (en) * 1992-03-13 1998-02-20 Otsuka Pharma Co Ltd Method of treating infectious diseases method of preserving cosmetic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nd cosmetics
GB9322007D0 (en) * 1993-10-26 1993-12-15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JP3568613B2 (ja) * 1995-02-28 2004-09-22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保温・抗菌・防臭・消臭性付与コーティング剤と加工繊維
US5691380A (en) * 1995-06-29 1997-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n-acetylcyste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uman skin therewith
US5733535A (en) * 1995-10-25 1998-03-31 The Procter & Gamble Co.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acetylcysteine and odor masking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538A1 (en) * 1989-08-18 1991-03-07 John Morris Co., Inc. Odor-masked and stabilized composi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tissue, skin conditions, and promoting wound healing
WO1993004669A1 (en) * 1991-08-30 1993-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n-acetyl-l-cysteine and derivatives for regulating skin wrinkles and/or skin atro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1132A (zh) 2000-01-12
TW448054B (en) 2001-08-01
EP0976381A1 (en) 2000-02-02
CN1110298C (zh) 2003-06-04
WO1999016411A1 (fr) 1999-04-08
AU9096598A (en) 1999-04-23
EP0976381A4 (en) 2001-09-26
KR20000068997A (ko) 2000-11-25
AU742369B2 (en) 2002-01-03
US6169114B1 (en) 2001-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505B1 (ko) 피부외용제
JP571801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AU2319400A (en) Compositions for external use
JP2000219607A (ja) 外用組成物
JP2003026546A (ja) 育毛剤組成物
JP2014047158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530052B2 (ja) 皮膚洗浄料
KR102757341B1 (ko) α겔 형성용 조성물 및 α겔 조성물
JP4073389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CN110868990B (zh) 彩妆化妆品
JPH11279046A (ja) 皮膚外用剤
JP3539534B2 (ja) 皮膚外用剤
JP2005097218A (ja) ファンデーション
JP2001270815A (ja) 外用組成物
JP2009091253A (ja) 紫外線防護用の皮膚外用剤
JP3520149B2 (ja) 肌荒れ改善用皮膚外用剤
JPH10236919A (ja) 水中油型固型化粧料
JP2003192532A (ja) O/w型乳化組成物
JPH08259424A (ja) 油中水型乳化製剤
JPH09249545A (ja) 皮膚外用剤
JPH11158025A (ja) 皮膚外用剤
JP7713294B2 (ja) 油中水乳化組成物
JP3966974B2 (ja) 皮膚外用剤
JPH08208434A (ja) 固型水系化粧料
JP2004059490A (ja) 複合粉末及びこれを含有する非水系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308

Appeal identifier: 2006101000656

Request date: 20060125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9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0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