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0395B1 -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95B1
KR100570395B1 KR1020030100024A KR20030100024A KR100570395B1 KR 100570395 B1 KR100570395 B1 KR 100570395B1 KR 1020030100024 A KR1020030100024 A KR 1020030100024A KR 20030100024 A KR20030100024 A KR 20030100024A KR 100570395 B1 KR100570395 B1 KR 10057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op cover
cowl top
mounting structure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0463A (ko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는, 상기 카울탑 커버는 윈드실드글래스를 향하는 쪽에 글래스의 연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글래스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 지점으로부터는 결합부가 하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는 그 상하면으로 상기 글래스를 파지하는 형상의 스토퍼와 탄성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글래스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고, 원가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Description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Cowl top cover mounting structure}
도 1a는 선행기술의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A'"을 도시한 다른 선행기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의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 구조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와 윈드실드글래스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로 선행기술에 있어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서, 카울탑커버(C')는 그 후방(도면의 우측)이 윈드실드글래스(G)에 결합하고, 전방(도면의 좌측)이 웨더스트립과 클립을 개재하여 후드리어패널(B)과 결합하고, 하면은 카울언더패널(U')에 체결되어, 윈드실드글래스와 후드리어패널간의 연결부 상부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카울탑커버(C')와 글래스(G)간의 연결 구조(A')를 살펴보면, 상기 카울탑커버(C')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된 걸림턱(10')이 글래스(G)의 하면을 지지하고, 카울탑커버(C')의 하단과 글래스(G)사이의 갭에 웨더스트립(w')이 위치하여 글래스와 커버와의 틈새를 막고 수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의 경우는 걸림턱(10')의 형상이 차체의 전면평면에서 보아 "T"자 방향으로 밖에 될 수 없어, 힘을 방향(F)으로 가하면, 걸림턱(10')이 글래스에서 쉽게 이탈되며, 글래스(G)상부의 고정 구조를 위하여 별도의 웨더스트립(w')을 사용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 글래스(G)의 상하에 맞물리는 카울탑커버 부분의 길이를 충분히 해야 하므로, 카울탑커버(C')의 크기를 크게 해야 한다는 점 역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도 1b는 다른 선행기술로서의 카울탑커버(C')와 글래스(G)와의 연결 구조(A')를 도시하고 있다. 카울탑커버(C')의 후단은 글래스(G)와 맞닿아 이를 가압하고, 그 앞부분은 클립(20')에 의하여 카울언더패널(U')과 체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의 경우는 클립(20')과 카울언더패널(U')의 결합부 사이의 틈새로 인하여 수밀성이 떨어지며, 클립의 노출로 미관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와 윈드실드글래스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는, 상기 카울탑 커버가 윈드실드글래스를 향하는 쪽에 글래스의 연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글래스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 지점으로부터는 결합부가 하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는 그 상하면으로 상기 글래스를 파지하는 형상의 스토퍼와 탄성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가 상부날개부, 하부날개부, 좌측날개부 및 우측날개부로 이루어지는 비대칭형의 대략 열십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카울탑 커버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좌측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로 탄성 결합되고, 상기 글래스의 전단은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우측날개부 사이에 파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도 1a와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카울탑커버와 윈드실드글래스가 면하는 부분의 구조를 개선한 점에 있다.
먼저, 카울탑 커버(C)는 차체의 전방(도면의 우측)인 글래스(G)쪽에 상기 글래스(G)의 연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지지부(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1)의 하단으로부터는 연장부(2)가 글래스(G)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전방 단부(3)는 글래스(G)의 전방 상부면으로 다 소 굴곡하여 접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C)의 전방 단부(3)는 글래스(G)와의 간격을 없애도록 글래스(G)에 밀접하여 수밀하게 장착되므로, 선행기술에서의 웨더스트립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상기 연장부(2)의 대략 중간 지점으로부터는 결합부(20)가 하향 수직하여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삼각 내지 돌기 형상의 걸림부(22)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스토퍼(10)와 탄성 결합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토퍼(10)구조를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스토퍼(10)는 비대칭의 대략 열십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날개부(12), 하부날개부(16), 좌측날개부(18) 및 우측날개부(14)로 구성된다. 상부날개부(12)의 상부는 좌우로 분기되어 연장된 각각의 지지부(122,124)를 형성하고, 하부날개부(16)의 하단 우측은 절취되어 카울 하부패널(U)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좌측날개부(18)는 대략 그 중앙 부근에서 상부로 기립하여 꺾인 형상을 하고 있다. 상부날개부(12)와 좌측날개부(18)사이의 공간(120)으로는 상기 결합부(20)가 삽입되어 커울탑커버(C)가 스토퍼와 체결된다. 또, 지지부(124)의 하면과 우측날개부(14)의 상면은 글래스(G)를 긴밀히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설정된다. (200)은 본 발명의 스토퍼(10)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삽입되는 철물구조물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결합부(20)의 전후가 상부날개부(12)와 좌측날개부(18)의 양면에 긴밀히 접한 상태에서 걸림부(22)에 의하여 카울탑커버(C)와 스토퍼(10)가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10) 의 체결은 공간(120)내로 결합부(2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압입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부날개부(12)의 상면 전체는 연장부(2)를 지지하여 카울탑커버 자세를 안정시키고 있다. 또, 지지부(124)의 하면과 우측날개부(14)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서는 글래스(G)가 긴밀히 파지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토퍼(10)는 카울 하부패널(U)의 개구를 통하여 하부날개부(16)가 관통 삽입됨과 동시에, 그 좌측날개부(18)의 좌측면이 카울하부패널(U)의 경사부(100)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차체쪽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서는, 카울탑커버(C)의 전방단부(3)에 의하여 글래스(G)의 상면이 수밀하게 밀폐됨과 동시에 글래스(G)가 스토퍼(10)에 의해 상하면 모두에서 지지를 받으면서 체결되므로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의 체결력과 강성이 증대된다. 또, 스토퍼가 카울언더패널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도 1a에서 방향(F)으로 힘이 가해져도 스토퍼와 카울탑 커버가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토퍼의 형상과 크기, 카울 언더패널의 지지 구조등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는 카울탑 커버와 윈드실드글래스와의 결합력과 강성을 증대시키며,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우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는 윈드실드글래스를 향하는 쪽에 글래스의 연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글래스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 지점으로부터는 결합부가 하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는 그 상하면으로 상기 글래스를 파지하는 형상의 스토퍼와 탄성 결합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부날개부, 하부날개부, 좌측날개부 및 우측날개부로 이루어지는 비대칭형의 대략 열십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카울탑 커버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좌측날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로 탄성 결합되고, 상기 글래스의 전단은 상기 상부날개부와 상기 우측날개부 사이에 파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2. 삭제
KR1020030100024A 2003-12-30 2003-12-30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7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24A KR100570395B1 (ko) 2003-12-30 2003-12-30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24A KR100570395B1 (ko) 2003-12-30 2003-12-30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463A KR20050070463A (ko) 2005-07-07
KR100570395B1 true KR100570395B1 (ko) 2006-04-11

Family

ID=3726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0395B1 (ko) 2003-12-30 2003-12-30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99B1 (ko) * 2007-12-14 2009-0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카울 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499B1 (ko) * 2007-12-14 2009-0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카울 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463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395B1 (ko) 카울탑 커버 마운팅 구조
JP4291201B2 (ja) 化粧体の端部取付板
JP2000142474A (ja) 自動車のカウルトップカバー構造
JPH027085Y2 (ko)
JP2005067372A (ja) ク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3213804B2 (ja) オーバフェンダ部材へのモールディング装着構造
CN218805629U (zh) A柱饰条安装结构和车辆
JP3985524B2 (ja) 車両外板の被覆部材
JPH0645384Y2 (ja) 車輌用ウエストモールの取付構造
JP3452663B2 (ja) マッドガード
KR200141376Y1 (ko) 자동차 앞유리 고정용 클립설치구조
JPH04183652A (ja) 車両ドア下端部のモール取付構造
KR970006808Y1 (ko) 자동차용 스테인레스 글라스 몰딩
KR100262219B1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장착구조
KR100320964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용 클립
KR100516740B1 (ko) 자동차의 카울 탑 커버 장착 구조
JP2000168461A (ja) 外装部品取付け用クリップ
KR100270426B1 (ko) 승합차의 사이드 윈도 고정구조
JP2000052893A (ja) 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のクランプ固定構造
JPH09109927A (ja) ルーフサイド部の排水溝構造
KR200141567Y1 (ko) 자동차의 패키지 트래이 장착용 클립
JP2000085467A (ja) ドアミラーの仮止め構造
JP2005335642A (ja) デフレクタのシール構造
KR20090020808A (ko) 차량의 범퍼 마운팅구조
KR20060040937A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마운팅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