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9300B1 -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300B1
KR100569300B1 KR1020040013128A KR20040013128A KR100569300B1 KR 100569300 B1 KR100569300 B1 KR 100569300B1 KR 1020040013128 A KR1020040013128 A KR 1020040013128A KR 20040013128 A KR20040013128 A KR 20040013128A KR 100569300 B1 KR100569300 B1 KR 100569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ail
moving
case
bearing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364A (ko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04001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3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3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기구 내의 수납용기를 전후 수평이동으로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은 고정레일에 곡면을 형성하고, 이 곡면을 따라 제1베어링케이스의 좌,우볼베어링이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제1 및 제 2이동레일의 전후 수평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므로써, 수납기구의 수납용기를 그 길이의 두 배 이상으로 인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레일(1)은 수평면(110)과, 상기 수평면(110)과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곡면(121)을 갖는 수직부(120)와, 상기 수직부(120)와 연장형성되며 수납가구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30)를 가지는 고정레일(100)과; 상기 고정레일(100)의 수평면(110) 및 곡면(121)을 따라 이동되는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을 갖는 제1베어링 케이스(200)와;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200)의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의 바깥족에 맞닿아 이동되는 제1이동레일(300)과; 상기 제1 이동레일(300)의 외측면에 맞닿음하며, 좌,우면과 상면에 니들베어링(202)이 설치되는 제2베어링케이스(400)와: 상기 제2베어링케이스(400)의 니들베어링(202)의 바같쪽에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5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slide rail}
도 1은 종래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의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고정레일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도
도 5b는 본 발명 제1베어링 케이스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도
도 5c는 본 발명 제2이동레일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슬라이더 100 : 고정레일
110 : 수평면 120 : 수직부
121 : 곡면 130 : 고정부
200 : 제1베어링케이스 201 : 볼베어링
202 : 니들베어링 210, 320 : 짧은 경사부
220,330 : 긴경사부 300 : 제1이동레일
400 : 제2베어링케이스 500 : 제2이동레일
본 발명은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기구 내의 수납용기를 전후 수평이동으로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수납기구 내의 수납용기를 인출할 때 고정레일과 이동밀대 사이의 접촉 마찰을 극소화하기 위해 롤러를 도입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주로 상, 하부 표면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마찰에 대해서는 완충 장치가 없어서 수납용기를 전후로 수평이동 시 내부에 담은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한 측 방향으로 일그러지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롤러 및 이동밀대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레일에 일(一)자 또는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형상의 접속대는 박막의 금속에 불과하여, 수납용기 안의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휘거나 구부러져 그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등록 제10-0367370호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를 등록받아 현재 양산하고 있다.
즉, 상기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의 구성을 도 1을 첨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돌출 성형된 환상(環狀) 접속대(1a)를 구비한 고정레일(1)과, 상기 고정레일(1)을 그 내부로 삽입하도록 형성된 롤러가이드(10)와, 상기 고정레일(1) 및 롤러가이드(10)를 그 내부로 삽입하도록 형성된 이동밀대(2)로 이루어진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10)의 상판(11,21), 하판(13,23) 및 좌우측판(25)에 형성된 복수의 상 관통공(12,22), 하 관통공(14,24) 및 좌우관통공(15,26)과, 상기 상 관통공(12,22) 및 하 관통공(14,24)에 상 롤러(A,D), 하 롤러(B,E) 및 좌우롤러(C,F)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더레일은 고정레일(1)의 환상 접속대(10)와 이동밀대(2)의 내부 사이에서 상하, 좌우로 롤러가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이동밀대(2)의 전후 수평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예를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밀대(2)의 외부에 이중 롤러가이드(20)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이중 롤러가이드(20)의 상판(21)과 하판(23)의 전, 후부로 복수의 상 관통공(22) 및 하 관통공(24)을 각각 형성하여 이에 상 롤러(D) 및 하 롤러(E)를 설치하고, 좌우 측판(25)의 전, 후부로는 복수의 좌우 관통공(26)을 형성하여 이에 좌우 롤러(F)를 설치시킨다. 또한, 그 외부에 이중 이동밀대(3)를 삽입 설치하여 이동밀대(2)와 그 외부의 이중 이동밀대(3)와의 내부 사이에 이중 롤러가이드(20)의 상하, 좌우로 롤러가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이중 이동밀대의 전후 수평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므로써, 수납기구의 수납용기를 그 길이의 두 배 이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레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레일(1)을 중심으로 좌,우가 일정한 대칭형상을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매우 정밀을 요구하며, 또한 상기 상하, 좌우롤러를 다르게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개발시간 길고 또이에 따른 조립공정이 복잡하며 단가도 비교적 높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납기구 내의 수납용기를 전후 수평이동으로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좌,우 흔들림이 없으며, 간단한 구조로 조립공정의 단축 및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돌출 성형된 환상(環狀) 접속대를 구비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을 그 내부로 삽입하도록 형성된 롤러가이드와, 상기 고정레일 및 롤러가이드를 그 내부로 삽입하도록 형성된 이동밀대로 이루어진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은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과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곡면을 갖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연장형성되며 수납가구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레일의 수평 면 및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볼베어링 및 니들베어링을 갖는 제1베어링 케이스와;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의 볼베어링 및 니들베어링의 바깥족에 맞닿아 이동되는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레일의 외측면에 맞닿음하며, 좌,우면과 상면에 니들베어링이 설치되는 제2베어링케이스와: 상기 제2베어링케이스의 니들베어링의 바같쪽에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는 상단에 니들베어링이 간격을 두고 여러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상단의 양측에는 짧은 경사부와 긴경사부가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볼베어링이 간격을 두고 여러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들 내에서 서로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부호들로 기재되어 있는 점을 가급적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라이더레일(1)은 편의상 한 쪽 부분만 설명하였으며, 실질적으로 수납가구 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 슬라이더레일(1)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면(110)과, 상기 수평면(110)과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곡면(121)을 갖는 수직부(120)와, 상기 수직부(120)와 연장형성되며 수납가구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30)를 가지는 고정레일(100)과; 상기 고정레일(100)의 수평면(110) 및 곡면(121)을 따라 이동되는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을 갖는 제1베어링 케이스(200)와;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200)의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의 바깥족에 맞닿아 이동되는 제1이동레일(300)과; 상기 제1 이동레일(300)의 외측면에 맞닿음하며, 좌,우면과 상면에 니들베어링(202)이 설치되는 제2베어링케이스(400)와: 상기 제2베어링케이스(400)의 니들베어링(202)의 바같쪽에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500)으로 됨에 기술적구성 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슬라이더레일(1)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레일(100)은 수평면(1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면(110)의 일측이 절곡되어 반원형상의 곡면(121)이 형성되며, 이 곡면(121)에 수직부(120)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20)의 하부에 수납가구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레일(100)의 수평면(110) 및 곡면(121)을 따라 이동되는 제1베어링 케이스(2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에 니들베어링(202)이 간격을 두고 여러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상단 수평면의 양측에는 짧은 경사부(210)와 긴경사부(220)가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10)(220)에는 볼베어링(201)이 간격을 두고 여러개 설치된다.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200)의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의 바깥족에 맞닿아 이동되는 제1이동레일(30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2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예를들면, 제1이동레일(300)은 상기 제1베어링 케이스(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니들베어링(202)에 맞닿는 수평면(310)과, 상기 수평면(310)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케이스(200)의 양측에 설치된 짧은 경사부(210)와 긴경사부(220)의 볼베어링(201)에 맞닿음하는 짧은 경사부(320)와 긴경사부(3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레일(200)의 외측면에 맞닿음되도록 설치되는 제2베어링 케이스(400)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면과 상면에 니들베어링(20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2베어링케이스(400)의 니들베어링(202)의 바같쪽에는 제 2이동레일(4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이동레일(500)은 제2베어링케이스(40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슬라이더레일(1)은 도 4에 도시된 제 1및 제 2베어링 케이스(200)(400)의 미끄럼 동작에 의해 전, 후로 작동되는 제 1 및 제2이동레일(300)(500)을 갖는 고정레일(100)의 고정부(130)를 수납가구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2이동레일(500) 상에 서랍 등을 설치한다.
다음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서랍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 넣게 되면,
제2이동레일(500)이 제2베어링케이스(400)의 미끄럼 동작에 의해 앞으로 진출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이동레일(300)이 제1베어링케이스(200)의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이 도움을 받아 진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200)의 볼베어링(201) 및 니들베어링(202)은 고정레일(100)의 수평면(110)과 곡면(121)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200)의 좌,우볼베어링(201)에 의해 좌,우로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제1 및 제 2이동레일의 전후 수평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므로써, 수납기구의 수납용기를 그 길이의 두 배 이상으로 인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앞에 설명된 내용만으로도 본 명세서에 제공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의 설명이 결코 제한적 의도가 아니며, 다양한 변형과 변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사상과 영역이내에서 균등한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연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슬라이더레일은 고정레일에 곡면을 형성하고, 이 곡면을 따라 제1베어링케이스의 좌,우볼베어링이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제1 및 제 2이동레일의 전후 수평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므로써, 수납기구의 수납용기를 그 길이의 두 배 이상으로 인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돌출 성형된 환상(環狀) 접속대를 구비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을 그 내부로 삽입하도록 형성된 롤러가이드와, 상기 고정레일 및 롤러가이드를 그 내부로 삽입하도록 형성된 이동밀대로 이루어진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은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과 연장형성되며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곡면을 갖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연장형성되며 수납가구의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레일의 수평면 및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볼베어링 및 니들베어링을 갖는 제1베어링 케이스와;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의 볼베어링 및 니들베어링의 바깥족에 맞닿아 이동되는 제1이동레일과;
    상기 제1 이동레일의 외측면에 맞닿음하며, 좌,우면과 상면에 니들베어링이 설치되는 제2베어링케이스와:
    상기 제2베어링케이스의 니들베어링의 바같쪽에 설치되는 제2이동레일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케이스는 상단에 니들베어링이 간격을 두고 여러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상단의 양측에는 짧은 경사부와 긴경사부가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볼베어링이 간격을 두고 여러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KR1020040013128A 2004-02-26 2004-02-26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Expired - Lifetime KR100569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128A KR100569300B1 (ko) 2004-02-26 2004-02-26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128A KR100569300B1 (ko) 2004-02-26 2004-02-26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364A KR20050087364A (ko) 2005-08-31
KR100569300B1 true KR100569300B1 (ko) 2006-04-10

Family

ID=3727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128A Expired - Lifetime KR100569300B1 (ko) 2004-02-26 2004-02-26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3520A (zh) * 2010-06-21 2011-12-21 李绍汉 抽屉导轨结构
KR102496370B1 (ko) 2016-03-07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일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364A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43043Y (zh) 一种抽屉前后推拉用的导轨结构
JPH02114909A (ja) 引出し用案内レール構体
US5580174A (en) Drawer slide assembly
KR100569300B1 (ko)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US20220330696A1 (en) Pullout guide
JP2000501303A (ja) 引出し等のための底面装着引出案内装置
CN204483536U (zh) 滑动导轨系统
CA1134424A (en) Pull-out guide for drawers
KR101275562B1 (ko) 냉장고용 레일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05087365A (ja) 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
KR102101378B1 (ko) 리프팅 창호의 슬라이딩 보조장치
KR100367370B1 (ko)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US11969089B2 (en) Slide rail assembly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CN212185810U (zh) 一种高身拉篮用连动式三层滑轨
JPS5941717Y2 (ja) 抽出しのスライドレ−ル
KR100419665B1 (ko) 수납기구용 인출 슬라이더
KR200148039Y1 (ko) 서랍용 인출슬라이더
CN114754543B (zh) 抽屉门体及冰箱
KR101024082B1 (ko) 슬라이딩 장치
US4749243A (en) Drawer with improved pull-out rail, drawer frame and rail slide
CN205186013U (zh) 汽车副仪表板滑移门结构、汽车副仪表板及汽车
CN219845673U (zh) 一种金属抽屉
CN211953413U (zh) 冰箱
JPH04213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8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