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277B1 - 복합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9277B1 KR100569277B1 KR1020050136353A KR20050136353A KR100569277B1 KR 100569277 B1 KR100569277 B1 KR 100569277B1 KR 1020050136353 A KR1020050136353 A KR 1020050136353A KR 20050136353 A KR20050136353 A KR 20050136353A KR 100569277 B1 KR100569277 B1 KR 1005692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temperature
- heat exchanger
- expansion
- he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mpress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2—Increasing the heating capacity of a reversible cycle during cold outdoo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냉난방 장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를 통과하고 팽창된 저온의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가열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서 가온 된 팽창된 냉매와 상기 압축기에서 인출되어 상기 실내기를 통과하며 열교환이 된 고압 냉매를 열교환하게 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 배관에 연결된 분배관과, 상기 실외기의 냉매 입구에 그 일단이 연결된 확관부와, 상기 분배관과 상기 확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모세관집합을 포함하는 난방 장치이다.
여기서, 모세관집합은 2개 이상의 모세관을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1모세관의 타단과 상기 확관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2모세관에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그 타단과 상기 확관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3모세관에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그 타단을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 인입부에 연결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인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가지고 있어서, 이 온도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냉 난방 장치를 냉방기로 또는 난방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냉매의 흐름을 변경하여 주기 위한 사방변(180)이 도면과 같이 냉매 배관과 연결되어 있다. 이 사방변(180)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면 되는데, 전기 제어신호(150)에 따라 냉방 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1관로(181)로 인입되는 압축기(110)의 고온 고압 기체를 실외기(190)로 보내기 위하여 제2관로(182)로 통하도록 하고, 실내기(120)로부터 오는 냉매를 제4관로(184)로 받아서 압축기로 보내기 위하여 제3관로(183)로와 연결한다.
이때 외기의 온도가 영하 5도 정도까지는 종래의 난방기와 거의 같은 과정으로 동작이 되지만 외기 온도가 영하 10도 영하 15도 영하 20도 정도로 내려가게 되면 순환되는 냉매 전부가 실외기를 통과하게 되면 압축기에 제대로 작동이 안되거나 고장이 날 염려가 있으므로 배관(133)의 냉매 온도를 검출하여 실외기로 가는 냉매의 양을 조절한다. 예로서, 외기온도가 -10℃ 정도 일 때는 제5모세관과 제5모세관 솔레노이드밸브(152)를 차단하고 나머지 솔레노이드밸브(153, 154)는 모두 열어 주고, 외기온도가 -15℃ 정도 일 때는제2,제5모세관의 솔레노이드밸브(152,153)를 차단하고 솔레노이드밸브(154)를 열어주고, 외기온도가 -20℃ 정도 일 때는 솔레노이드밸브(152, 153)를 열어주고 솔레노이드밸브(154)를 차단하여 실외 온도에 따라 실외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여 압축기에 인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한다.
다시 설명하면,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고온냉매를 사방변(180)을 이용하여 실내기(120)에서 실내의 공기를 높여주는 난방의 열교환 된 고온저압냉매(응축 냉매)는 열교환기(130)에서 약25 ℃로 되는데, 배관(133)의 저압 냉매와 열교환 된 후 팽창부(140)에서 모세관으로 5 분배되고, 그 중 체크밸브(141) 라인은 차단되고 나머지 4분배되며, 3개의 모세관은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대기의 온도에따라 실외기에 들어가는 냉매의 양을 3단계로 조절하여 준다. 즉 대기온도 -10℃, -15℃,-20℃일 때 조정하여 준다. 솔레노이드밸브 통과 후 모세관으로 팽창되어 2 분배되어있는 확관부(146)에서 혼합된다. 제2모세관(147),제3모세관(143),제4모세관(144),제5모세관(148)은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실외기 온도 -10℃에서 제5모세관(148)을 차단하고 -15℃에서는 제5모세관(148)과 제2모세관(147)을 차단하며, 솔레노이드밸브(154)는 -20℃에서 차단되어 제3모세관(143),제4모세관(144)도 차단되며, 제5모세관(148)과 제2모세관(147)은다시 열어주어 실외기에서 대기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열 교환이 적정 수준으로 알맞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준다. 솔레노이드밸브(152,153,154)는 온도 센서(151)에 의하여 실외기에서 열교환 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한다. 예로서 외기온도가 -10℃ 정도 일 때는 솔레노이드밸브(152)를 차단하고 나머지 솔레노이드밸브(153, 154)는 모두 열어 주고, 외기온도가 -15℃ 정도 일 때는 솔레노이드밸브(152,153)를 차단하고 솔레노이드밸브(154)를 열어주고, 외기온도가 -20℃ 정도 일 때는 솔레노이드밸브(152, 153)를 열어주고 솔레노이드밸브(154)를 차단하여, 실외 온도에 따라서 배관(133)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제어기(150)에 의하여 자동조절하여 압축기에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적정하게 하여 준다. 여기서 실외기를 바이패스하는 냉매의 바이패스 통로(143)를 통과하는 냉매는 열교환기에 인입되는 냉매와 혼합되면서 그 냉매를 냉각시켜서 열교환기서 가열된 후의 냉매 온도가 압축기의 입력에 적정한 온도와 압력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위의 실외기에서 팽창되어 열 교환이 된 냉매는 저밀도 냉매로서 허냉매에 가깝고, 허냉매는 압축기의 손상이 발생되며 압축기의 토출 냉매 온도는 고온이지만 냉매의 밀도가 적어 난방 열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실외기에서 열교환 된 냉매에 제3모세관(143)으로 팽창된 밀도 높은 냉매를 바이패스 시켜서 열교환기(130)의 인입부(132)에서 혼합시켜 냉매의 밀도를 높여주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한번 더 시켜서 밀도 높은 냉매(-12℃ 에서 -18℃)정도의 냉매를 압축기에 보내서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로 토출시켜 실외기에서 많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팽창부의 제1모세관(145) 제2모세관(147) 제4모세관(144) 제5모세관(148)의 냉매는 실외기에서 작은 열교환을 이루므로 실외기에 착상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 2, 3, 4, 5 모세관은 배관(133)에서 검출하는 냉매의 온도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로, 대기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실외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매의 양을 조절하여 냉방과 난방 모드 모두에서 압축기가 최고의 효율로 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실외기가 착상이 되는 경우에는 잠시 동안 시스템을 역회전시켜서 실외기에 고온의 압축 냉매가 잠시 흐르게 하면 된다. 영하 15도 내지 20도 정도 되는 겨울 날씨에 본 난방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대략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냉매가 압축기 출구에서는 압력 14기압 온도 100도 (섭씨, 이하 같다) 정도 되고, 실내기 출구에서는 25-30 도 정도, 실외기 출구에서는 영하 21도 정도가 되고 열교환기(130)에서 열교환후 압축기에 흡입되기 전의 냉매 온도는 영하 15도 정도 되도록 한다.
Claims (8)
-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켜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를 통과하고 팽창된 저온의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 시켜 냉매를 가열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서 가온 된 팽창된 냉매와 상기 압축기에서 인출되어 상기 실내기를 통과하며 열교환이 된 고압 냉매를 열교환 하게 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가,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 배관에 연결된 분배관과,상기 실외기의 냉매 입구에 그 일단이 연결된 확관부와,상기 분배관과 상기 확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모세관집합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난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모세관집합은 2개 이상의 모세관을 포함하고,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1모세관의 타단과 상기 확관부를 연결하고,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2모세관에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그 타단과 상기 확관부를 연결하고,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3모세관에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그 타단을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 인입부에 연결하고,상기 열교환기 또는 압축기에 인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가지고 있어서, 이 온도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제3모세관의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확관부에 연결하는 제4모세관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열교환기는 냉매를 가온하거나 냉각시키는 열매체를 흐르게 하는 통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장치.
-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출하는 압축기와, 실내에 설치되며 냉방 시는 유입되는 저온의 팽창된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켜 실내공기를 냉각하고 난방시는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켜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기와, 냉방 시는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열교환시켜 대기중에 열을 방출시키고 난방시는 유입되는 팽창된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가열하는 실외기와, 상기 압축기에 인입되는 냉매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인출되는 냉매를 서로 열교환하게 하거나 다른 가열수단 또는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냉매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외기로 흐르는 실외기 입구에 설치되는 팽창부와,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하고,상기 제1팽창부는,상기 실외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로 흐르는 흐름만 허용하는 체크밸브와,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 배관에 연결된 분배관과,상기 실외기의 냉매 입구에 그 일단이 연결된 확관부와,상기 분배관과 상기 확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모세관집합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 냉난방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모세관집합은 2개 이상의 모세관을 포함하고,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1모세관은 상기 분배관과 상기 확관부를 연결하고,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2모세관은 상기 분배관에서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확관부에 연결되고,상기 모세관집합 중 제3모세관에 상기 분배관에서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 인입부에 연결되고,상기 열교환기에 인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가지고 있어서, 이 온도센서가 검출한 온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들의 냉매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냉난방 장치.
-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 시켜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고압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를 통과하고 팽창된 저온의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 시켜 냉매를 가열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상기 실외기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압축기에 인입되기 전에 합류하게 하는 실외기를 바이패스하는 냉매 바이패스 통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냉난방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실외기에서 통과한 냉매와 상기 실내기를 통과한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열교환기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 출구와 상기 실외기를 통과하고 상기 열교환기로 인입하는 냉매 통로 사이를 열결하는 모세관과 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6353A KR100569277B1 (ko) | 2005-12-31 | 2005-12-31 | 복합 냉난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6353A KR100569277B1 (ko) | 2005-12-31 | 2005-12-31 | 복합 냉난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69277B1 true KR100569277B1 (ko) | 2006-04-07 |
Family
ID=371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6353A KR100569277B1 (ko) | 2005-12-31 | 2005-12-31 | 복합 냉난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927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1352B1 (ko) | 2006-03-29 | 2006-10-04 | 신문균 | 복합 냉난방 장치 |
WO2008029987A1 (en) * | 2006-09-06 | 2008-03-13 | Metachem Inc. | Home automation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68569B1 (en) | 2001-03-17 | 2003-12-30 | Keum Su Jin | Heat pump apparatus |
KR20040038567A (ko) * | 2002-11-01 | 2004-05-08 | 류옥란 | 히트펌프 시스템 |
KR20040038569A (ko) * | 2002-11-01 | 2004-05-08 | 류옥란 | 히트펌프 시스템 |
KR20050010412A (ko) * | 2003-07-21 | 2005-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050034848A (ko) * | 2003-10-10 | 2005-04-15 | 신봉재 | 히트펌프 |
-
2005
- 2005-12-31 KR KR1020050136353A patent/KR1005692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68569B1 (en) | 2001-03-17 | 2003-12-30 | Keum Su Jin | Heat pump apparatus |
KR20040038567A (ko) * | 2002-11-01 | 2004-05-08 | 류옥란 | 히트펌프 시스템 |
KR20040038569A (ko) * | 2002-11-01 | 2004-05-08 | 류옥란 | 히트펌프 시스템 |
KR20050010412A (ko) * | 2003-07-21 | 2005-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050034848A (ko) * | 2003-10-10 | 2005-04-15 | 신봉재 | 히트펌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1352B1 (ko) | 2006-03-29 | 2006-10-04 | 신문균 | 복합 냉난방 장치 |
WO2008029987A1 (en) * | 2006-09-06 | 2008-03-13 | Metachem Inc. | Home automa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85409B2 (ja) | 空気調和装置 | |
CN102466374B (zh) | 热泵式热水供给装置 | |
US11629891B2 (en) | Heat pump system | |
EP2489965A1 (en) | Air-conditioning hot-water supply system | |
JP2005299935A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1737365B1 (ko) | 공기조화기 | |
JP2023503192A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1624529B1 (ko) |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 |
KR20020073963A (ko) | 히트 펌프 장치 | |
JP2006284035A (ja) |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100788477B1 (ko) | 열교환기가 구비된 히트펌프형 공조시스템 | |
US20130061622A1 (en) |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 |
EP2375187B1 (en) | Heat pump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heat pump apparatus | |
KR102291575B1 (ko) |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0333814B1 (ko) | 냉난방 겸용 분리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상 방법 | |
KR101532781B1 (ko) | 공기조화시스템 | |
KR100569277B1 (ko) | 복합 냉난방 장치 | |
KR101990392B1 (ko) | 시설원예용 연속난방 공기조화 시스템 | |
KR100744504B1 (ko) | 냉난방 시스템 | |
KR100963433B1 (ko) | 히트 펌프 시스템 | |
JP2004309116A (ja) | 再生複合冷・暖房システム | |
EP3623724A1 (en) | Heat pump with pre-heating / pre-cooling of heat / cold source | |
KR100591323B1 (ko) |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 |
KR100215038B1 (ko) | 멀티에어컨용 실내기의 연결구조 | |
CN222688323U (zh) | 一种空调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