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981B1 - Vehicl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by using cup holder - Google Patents
Vehicl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by using cup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8981B1 KR100568981B1 KR1020040037210A KR20040037210A KR100568981B1 KR 100568981 B1 KR100568981 B1 KR 100568981B1 KR 1020040037210 A KR1020040037210 A KR 1020040037210A KR 20040037210 A KR20040037210 A KR 20040037210A KR 100568981 B1 KR100568981 B1 KR 100568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seat
- cup holder
- folding
- c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6—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블폴딩이 가능한 시트에 마련되어 컵홀더의 컵 유무에 따라 시트의 더블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이 잠금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체에 고정되며, 측면에 컵홀더(110)가 마련된 시트(100)와; 상기 잠금장치에 케이블(210)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시트(100)를 더블폴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폴딩제어수단(200)과; 상기 컵홀더(110)에 마련되어 컵(500)의 유무에 따라 소정의 궤적으로 유동하는 컵검출수단(300)과; 상기 폴딩제어수단(200)의 케이블(210) 중단에 마련되어, 컵홀더(110) 내의 컵(500) 유무에 따라 유동하는 상기 컵검출수단(300)에 연동 하여 상기 폴딩제어수단(200)의 케이블(210)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limiting the double folding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cup holder having a cup holder, A seat 100 whose front sid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and a rear side thereof is selectively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a locking device, and a cup holder 110 is provided on a side thereof; A folding control means (200)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through a cable (210)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withdrawal to control the seat (100) in a double folding state; Cup detecting means (300) provided in the cup holder (110) and flowing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500); The cable of the folding control means 200 is provided at the stop of the cable 210 of the folding control means 200 and interlocked with the cup detecting means 300 which flow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500 in the cup holder 110. Consists of a limiting means 400 for selectively limiting the withdrawal (210) to greatly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시트, 컵홀더, 폴딩제어수단, 케이블, 컵검출수단, 지지레버, 링크와이어, 제한수단, 로크블록, 가이드블록, 로크플레이트, 탄성수단, 컵, 더블폴딩Seat, cup holder, folding control means, cable, cup detecting means, support lever, link wire, limiting means, lock block, guide block, lock plate, elastic means, cup, double fold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folding seat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에 대한 더블폴딩 상태를 도시하는 2 shows a double folding state for a double folding seat of a conventional vehicle.
사시도, Perspective,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를 Figure 3 is a seat double folding limit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하는 사시도, Perspective view,
도 4는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에 Figure 4 is a seat double folding limite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도 5는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에 Figure 5 is a seat double folding limit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 컵 거치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Perspective showing the cup upon mount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시트 110 : 컵홀더100: seat 110: cup holder
200 : 폴딩제어수단 210 : 케이블200: folding control means 210: cable
300 : 컵검출수단 310 : 지지레버300: cup detection means 310: support lever
320 : 링크와이어 400 : 제한수단320: link wire 400: limiting means
410 : 로크블록 420 : 가이드블록410: lock block 420: guide block
430 : 로크플레이트 431 : 탄성수단430: lock plate 431: elastic means
500 : 컵500 cup
본 발명은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블폴딩이 가능한 시트에 마련되어 컵홀더의 컵 유무에 따라 시트의 더블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and in particular, is provided in the seat capable of double folding, the device for selectively limiting the double folding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cup holder presence, user convenience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시트의 배열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플랫, 리클라이닝, 더블폴딩 등이 가능한 시트를 적용하여 차량의 기능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is applied to a seat that can be selectively flat, reclining, double folding, etc. to implement a variety of seat arrangements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of the user.
이와 함께, 탑승객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차실 내부의 트림에는 물론 시트에 컵홀더를 다수개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s, a plurality of cup holders are provided on the seat as well as the interior trim of the cabin.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에 대한 더블폴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folding seat of a conventional vehicl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folding state of a double folding seat of a conventional vehicle.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이 잠금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체에 고정되며, 측면에 컵홀더(11)가 마련된 시트(10)와; 상기 잠금장치에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시트(10)를 더블폴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폴딩제어수단(2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ouble folding seat of the conventional vehicle is supported by the front of the vehicl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rear of the vehicle is selectively fixed to the vehicle by a locking device, and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는 일측에 마련된 컵홀더(11)에 컵을 일시적으로 거치 시킬 수 있어 탑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The double folding seat of the conventional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temporarily mounted to the
그리고,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객이 착석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며, 기타 적재물을 적재하고자 하여 시트의 더블폴딩시에는 우선적으로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포개어지도록 리클라이닝 시킨 뒤, 시트(10)에 마련된 폴딩제어수단(20)인 폴딩레버를 당기면 시트(10)의 후측 저면에 마련된 잠금장치가 플로어패널에 고정되어 있던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시트(10)는 더블폴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10)의 전방 저면을 중심으로 시트를 더블폴딩 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passengers are normally seated as shown in FIG. 1, and in order to load other loads, the seat back is first reclined so as to be superimposed with the seat cushions when the seat is folded. When the folding lever, which is the folding control means 20, is pulled, the locking device provided on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는 컵홀더에 컵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시트를 더블폴딩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시트의 더블폴딩시 컵홀더에 거치된 컵에 담겨져 있던 음료가 쏟아지게 되어 차실 내부의 바닥면을 오염시키거나 안전 운행을 저해시키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ouble folding seat of a conventional vehicle can double-fold the seat even when the cup is mounted on the cup holder, the drink contained in the cup mounted on the cup holder is often spilled during double folding of the seat. There was a technical problem that would contamin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or hinder safe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더블폴딩이 가능한 시트의 컵홀더에 컵이 거치된 경우 시트의 더블폴딩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더블폴딩에 의하여 컵홀더 내의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cup is mounted on the cup holder of the double-folding sheet to limit the double folding of the she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in the cup holder from spilled by the double folding of the she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a cup holder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이러한 본 발명은 전방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이 잠금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체에 고정되며, 측면에 컵홀더가 마련된 시트와; 상기 잠금장치에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시트를 더블폴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폴딩제어수단과; 상기 컵홀더에 마련되어 컵의 유무에 따라 소정의 궤적으로 유동하는 컵검출수단과; 상기 폴딩제어수단의 케이블 중단에 마련되어, 컵홀더 내의 컵 유무에 따라 유동하는 상기 컵검출수단에 연동 하여 상기 폴딩제어수단의 케이블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sea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and the rear is selectively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a locking device, the seat is provided with a cup holder on the side; A folding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through a cable and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drawing to control the sheet in a double folding state; Cup detecting means provided in the cup holder and flowing in a predetermined trajector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And a limiting means provided at the cable stop of the folding control means and selectively restricting the cable out of the folding control means in association with the cup detecting means flowing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in the cup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에 대한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에 대한 컵 거치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p mounting time for the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이 잠금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체에 고정되며, 측면에 컵홀더(110)가 마련된 시트(100)와; 상기 잠금장치에 케이블(210)을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출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시트(100)를 더블폴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폴딩제어수단(200)과; 상기 컵홀더(110)에 마련되어 컵(500)의 유무에 따라 소정의 궤적으로 유동하는 컵검출수단(300)과; 상기 폴딩제어수단(200)의 케이블(210) 중단에 마련되어, 컵홀더(110) 내의 컵(500) 유무에 따라 유동하는 상기 컵검출수단(300)에 연동 하여 상기 폴딩제어수단(200)의 케이블(210) 인출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수단(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Th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fron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and the rear is selectively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a locking device, th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110)가 측면에 마련되어 폴딩제어수단(200)인 폴딩레버의 제어에 의하여 더블폴딩이 가능한 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110)의 컵 유무를 검출하는 컵검출수단(300) 및 상기 컵검출수단(300)에 의하여 연동 하여 시트(100)의 더블폴딩을 제한하는 제한수단(4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The seat double folding limit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그리고, 상기 폴딩제어수단(200)인 폴딩레버는 사용자가 잡아 당김에 따라 회동하면서 이에 연결된 케이블(210)을 당기게 되며, 상기 케이블(210)은 시트의 후측 저면에 마련된 잠금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케이블(210)의 인출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가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던 상태에서 해제됨으로써, 시트(100)의 더블폴딩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폴딩제어수단(200)은 기존의 폴딩시트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lding lever, which is the folding control means 200, pulls the
이때, 더블폴딩이 가능한 시트의 일측에 마련된 컵홀더(110)에는 컵(500)의 거치에 따라 거치되는 컵(500)과 접촉하여 컵(500)의 거치 여부를 기계적인 접촉식으로 검출하여 소정의 궤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컵검출수단(300)이 마련된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이 컵홀더(110) 내에 컵(500)을 거치시킴에 따라 컵(500)과 접촉하여 움직이게 되는 컵검출수단(300)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컵검출수단(30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컵홀더(110) 내주연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컵홀더(1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컵(500) 거치시 컵(500)과 접촉하여 회동하는 지지레버(310)와; 상기 지지레버(31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레버(310)의 회동에 따라 인출되는 링크와이어(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즉, 시트(100)의 측부에 마련된 컵홀더(110) 내에 컵을 거치시키게 되면 미도시된 탄성수단에 의하여 수평하게 유지되던 지지레버(3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500)의 외면과 접촉하여 하측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레버(310)에 연결된 링크와이어(320)가 소정 거리 인출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up is mounted in the
반대로, 컵홀더(110)에 거치된 컵(500)을 제거하게 되면 회동하였던 상기 지지레버(310)가 탄성수단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컵(500)의 유무에 따라 컵검출수단(300)의 링크와이어(320)가 인출되는 것을 이용하여 폴딩제어수단(200)의 케이블(210) 인출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한수단(400)을 시트(100)의 측부에 마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4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제어수단(200)의 케이블(210) 중단에 연결되어 상측면에 로크홀이 형성된 로크블록(410)과; 시트(100)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로크블록(410)이 일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블록(420)과; 회동 가능하게 시트(100)에 지지되어, 탄성수단(431)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로크홀로부터 이탈하도록 탄성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컵검출수단(300)의 링크와이어(320)가 연결되어 상기 링크와이어(320)의 인출에 따라 상기 로크블록(410)의 로크홀에 삽입되어 상기 로크블록(410)의 유동을 제한하는 로크플레이트(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즉, 컵홀더(110) 내에 컵(500)이 없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플레이트(430)가 리턴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431)에 의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로크플레이트(430)는 로크블록(410) 및 가이드블록(42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로크블록(410)은 가이드블록(420) 내에서 케이블(210)의 인출에 따라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시트(100)의 더블폴딩시 폴딩제어수단(200)의 제어에 따라 케이블(210)을 통하여 잠금장치를 해제시켜 시트(100)의 더블폴딩이 가능하다.That is, when there is no
반면에, 컵홀더(110) 내에 컵(500)이 거치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플레이트(430)가 컵검출수단(300)의 링크와이어(320)에 의하여 도 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로크플레이트(430)는 로크블록(410)의 로크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로크블록(410)은 가이드블록(420) 내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폴딩제어수단(200)을 당겨도 케이블(210)이 인출되지 않아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없어, 시트(100)의 더블폴딩이 불가능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컵홀더(110) 내에 컵(500)을 거치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검출수단(300)의 지지레버(310)가 거치된 컵(500)과 접촉하여 회동하면서 링크와이어(320)를 소정거리 인출시키며, 이에 따라 로크플레이트(430)가 로크블록(410)의 로크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로크블록(410)의 유동을 제한하게 됨으로써, 시트(100)의 더블폴딩을 제한하게 되며, 반대로, 컵홀더(110) 내에 컵(500)이 없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플레이트(430)가 로크블록(41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됨으로써, 폴딩제어수단(200)을 통하여 시트(100)의 더블폴딩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더블폴딩 시트는 컵홀더(110) 내에 컵(500)이 거치된 경우 제한수단(400)을 통하여 시트(100)의 더블폴딩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컵홀더(110) 내에 음료가 담긴 컵(500)이 거치된 상태로 시트(100)가 더블폴딩 되어 발생하는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double folding seat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imit the double folding of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더블폴딩이 가능한 시트의 컵홀더에 컵이 거치된 경 우 시트의 더블폴딩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더블폴딩에 의하여 컵홀더 내의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limit the double folding of the seat when the cup is mounted on the cup holder of the double-foldable se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in the cup holder from spilled by the double folding of the seat user convenience It is an invention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7210A KR100568981B1 (en) | 2004-05-25 | 2004-05-25 | Vehicl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by using cup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7210A KR100568981B1 (en) | 2004-05-25 | 2004-05-25 | Vehicl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by using cup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2271A KR20050112271A (en) | 2005-11-30 |
KR100568981B1 true KR100568981B1 (en) | 2006-04-07 |
Family
ID=3728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72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8981B1 (en) | 2004-05-25 | 2004-05-25 | Vehicl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by using cup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898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2727B1 (en) * | 2005-12-05 | 2008-02-1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eat double folding limiter |
KR200481302Y1 (en) * | 2013-12-20 | 2016-09-09 | 현대다이모스(주) | Cup holder |
-
2004
- 2004-05-25 KR KR1020040037210A patent/KR1005689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2271A (en) | 2005-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74840B2 (en) |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 |
JPH0427053B2 (en) | ||
US9511689B2 (en) | Seating apparatus for vehicle | |
US9469225B1 (en) | Center armrest inertial lock | |
US7059679B2 (en) | Seat device | |
JP4728524B2 (en) | Vehicle seat with container holding device | |
JP2017171289A5 (en) | ||
US5290090A (en) | Folding seat back with integral child seat | |
KR100568981B1 (en) | Vehicle seat double folding limiter by using cup holder | |
CN111319529B (en) | Infant automobile carrier and carrier body for preventing front and back misuse thereof | |
KR100401663B1 (en) | Folding arm rest for vehicles | |
EP2578449A1 (en) |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seat | |
JP5481802B2 (en) | Vehicle seat | |
KR100461248B1 (en) | Folding arm rest for vehicles | |
JP7367649B2 (en) | vehicle seat | |
KR200369656Y1 (en) | Rear seat cushion titling assembly for an automobile | |
JP2002211296A (en) | Vehicle slide seat | |
JP7373415B2 (en) | vehicle seat | |
JP2007015431A (en) | Structure of slide type console box of vehicle | |
WO2005123468A1 (en) | A seat belt buckle arrangement for use with a vehicle seat | |
JPH09188167A (en) | Folding seat locking device for vehicle | |
KR0166526B1 (en) | Car seat | |
JPS6317706Y2 (en) | ||
JPH07204057A (en) | Folding armrest | |
KR20060055568A (en) | Detachable double folding seat tilting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