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745B1 - Stopper device on cargo screen - Google Patents
Stopper device on cargo scre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8745B1 KR100568745B1 KR1020040031036A KR20040031036A KR100568745B1 KR 100568745 B1 KR100568745 B1 KR 100568745B1 KR 1020040031036 A KR1020040031036 A KR 1020040031036A KR 20040031036 A KR20040031036 A KR 20040031036A KR 100568745 B1 KR100568745 B1 KR 1005687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stopper
- main body
- open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방향으로 속이빈 형태에서 일측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지되어 스크린(3)을 권취 및 인출되게 하는 와인딩수단(2)과; 상기 와인딩수단(2)에 권취된 상태에서 자유단부가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해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는 러기지 룸 내부 가림용 스크린(3)과; 상기 스크린(3)의 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스크린(3)을 당겼다 올렸다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4)와; 상기 스크린(3)이 본체(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6)로 구성된 카고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6)를 하부에는 본체(1)의 개구부(11) 저단부에 걸려지는 경사형 걸림돌부(6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플레이트(4)에 고정되는 고정편(62)이 구비되는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플레이트(4)의 저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리벳(8)을 통해 고정 설치하여, 와인딩수단을 통해 스크린을 원 위치시키는 작동을 수행할시 비록 스크린의 일부가 처지더라도 스토퍼가 어디에도 걸리지 않고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져 걸림으로 인해 소음 방지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제품 자체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제품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device of a cargo screen, and in particular, the main body (1)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ning 11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hollow 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nding means (2), which is hel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 for winding and withdrawing the screen (3); A screen for screening inside the luggage room (3) in which the free end is installed in a form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 of the main body (1) while being wound by the winding means (2); A plate 4 fixedly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screen 3 to allow the user to hold and pull the screen 3 up and down by hand; In a cargo screen device composed of a stopper 6 which prevents the screen 3 from being ful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 the stopper 6 is placed at the bottom end of the opening 11 of the main body 1. The inclined engaging portion 61 is provided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xing piece 62 fixed to the plate 4 at the top to form a rivet (8)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plate (4) Fixed installation through the winding means,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of repositioning the screen through the winding means, even if a portion of the screen sag even if the stopper is not caught any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ody stopper when driving the car without using a noise prevention p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joints due to the up and down flow of oil, and to greatly reduce the production cost, weight and size of the product itself, and to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product operation. It would be a help.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카고 스크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rgo screen.
도 2는 종래 카고 스크린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argo screen.
도 3은 본 발명 스크린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본체 2 : 와인딩수단1
3 : 스크린 4 : 플레이트3: screen 4: plate
6 : 스토퍼 8 : 리벳6: stopper 8: rivet
11 : 개구부 61 : 경사형 걸림돌부11: opening 61: inclined obstruction protrusion
62 : 고정편62: fixed piece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RV 자동 차에 있어 러기지 룸(Luggage Room)내의 화물을 가리기 위해 설치되는 카고 스크린이 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스크린 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형상을 변경시켜 작동시 스크린이 처지더라도 원 위치로 원할히 자리 잡을 수 있고, 소음 방지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device of a cargo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V vehicle, a stopper shape installed at the end of a screen so that a cargo screen, which is installed to cover cargo in a luggage room, is no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settle to the original position even if the screen sag during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joint by the up and down flow of the stopper when driving the car without using the noise prevention pad, and the production cost, weight and The inven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size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tself.
일반적으로 RV 자동차의 러기지 룸에는 룸내에 탑재되는 화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카고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he luggage room of an RV vehicle is equipped with a cargo screen to prevent the cargo in the room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종래 카고 스크린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속이빈 형태에서 일측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된 구성을 갖고 러기지 룸의 상방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1)와; 내부에는 도시 생략된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 권취 및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지되어 스크린(3)을 권취 및 인출되게 하는 와인딩수단(2)과; 상기 와인딩수단(2)에 권취된 상태에서 자유단부 일부가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해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만큼 당겨졌다가 감겨졌다 하는 내부 가림용 스크린(3)과; 상기 스크린(3)의 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스크린을 당겼다 올렸다 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스크린(3)이 본체(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플레이트(4)와; 상기 본체(1)의 개구부(11) 하측부에 소정 거리를 두고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플레이트(4)가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스토퍼(6)와; 상기 스토퍼(6)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 플레이트(4)와 스토퍼(6)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음을 방지하는 패드(7)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이 설명 부호 8은 리벳임.1 and 2, the conventional cargo scree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 the figure, 8 is a rivet.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은 플레이트(4)가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스토퍼(6)가 본체(1)의 개구부(11) 하측부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린(3)을 펼쳐 사용한 후 원상 복귀시키기 위해 스크린을 약간 빼었다 놓았을시 플레이트(4)와 함께 스크린의 자유단부측에 고정 설치된 홀더(5)의 "A"부분이 패드(7)가 설치된 스토퍼(6)의 단턱부 즉, "B"부분에 걸려 스크린(3) 자체가 본체(1)내의 와인딩수단(2)에 의해 완전히 권취되지 않고 그 일부와 함께 플레이트(4)가 스토퍼(6)의 하방부측으로 처지게 되어 스토퍼(6) 자체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the
또한, 주행중 플레이트(4)가 스토퍼(6)의 상면에서 상하로 떨리게 되므로 이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6)의 외측에 패드(7)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량 및 부품 수가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원가가 대폭 상승하게 됨을 물론 제품의 신뢰도 자체가 떨어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드의 사용을 배제하고 플레이트 자체에 스토퍼를 고정 설치하여 스크린의 원 위치 작동시 비록 스크린이 처지더라도 원 위치로 원할히 귄취되어 스토퍼가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져 걸려지는 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고, 소음 방지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eliminating the use of the pad and fixed to the stopper on the plate itself, even when the screen is sagging even when the screen sag smoothly in the home position stopper It can be placed in the shape of being hung i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i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joint by the up and down flow of the stopper when driving the car without using the noise prevention pad, which greatly reduces the production cost, weight and size of the product itself.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screen stopper device that can greatly improve product reliabilit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속이빈 형태에서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축지되어 스크린을 권취 및 인출되게 하는 와인딩수단과; 상기 와인딩수단에 권취된 상태에서 자유단부가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는 러기지 룸 내부 가림용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스크린을 당겼다 올렸다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린이 본체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카고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하부에는 경사형 걸림돌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편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저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in one side in the hollow 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nding means, which is hel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o wind and draw the screen; A screen for screening the interior of the luggage room, the free end of which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free end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wound by the winding means; A plate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screen to allow the user to hold and lift the screen by hand; A cargo screen device comprising a stopper to prevent the screen from being ful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wherein the stopper is formed to be bent to protrude downward from an inclined engaging protrus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piec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form a fixed portion at a bottom of the plate. This can be achieved by a fixed installation at a distance.
따라서, 와인딩수단을 통해 스크린을 원 위치시키는 작동을 수행할시 비록 스크린의 일부가 처지더라도 스토퍼가 어디에도 걸리지 않고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져 걸리게 되고, 소음 방지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of repositioning the screen through the winding means, even if a part of the screen sag, the stopper is not caught anywhere but is caught i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the up and down flow of the stopper when the vehicle is driven without using the noise prevention p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joints by means of the production cost, weight and size of the product itself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s well a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 reli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 스크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3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속이빈 형태에서 일측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축지되어 스크린(3)을 권취 및 인출되게 하는 와인딩수단(2)과; 상기 와인딩수단(2)에 권취된 상태에서 자유단부가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해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는 러기지 룸 내부 가림용 스크린(3)과; 상기 스크린(3)의 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스크린(3)을 당겼다 올렸다 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4)와; 상기 스크린(3)이 본체(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6)로 구성된 카고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this, the
상기 스토퍼(6)를 하부에는 본체(1)의 개구부(11) 저단부에 걸려지는 경사형 걸림돌부(61)가 하부로 돌출되어 절곡 형성되고 상부에는 플레이트(4)에 고정되는 고정편(62)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4)의 저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리벳(8)을 통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기술 구성은 러기지 룸 내부 가림용 스크린(3)이 개구부(11)를 통해 본체(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6)의 형상과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스크린(3)의 권취시 일부가 처지더라도 어디에 걸리지 않고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해 와인딩수단(2)으로 원할히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음 방지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 물론 제품 자체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hap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즉, 상기 스토퍼(6)를 성형할시 그 하부에는 본체(1)의 개구부(11) 저단부에 걸려지는 경사형 걸림돌부(61)를 구비시키고, 상부에는 플레이트(4)에 고정하기 위한 판체형 고정편(62)을 형성시켜 종래와 같이 본체(1)의 개구부(11) 저부측에 고정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스크린(3)을 당겼다 올렸다 할 수 있도록 스크린(3)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4)의 저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리벳(8)을 통해 고정 설치하였다.That is, when forming the
따라서, 통상시에는 상기 플레이트(4)의 일부와 함께 스토퍼(6)의 일부가 본체(1)의 개구부(11)에 꽉 끼워져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6) 및 플레이트(4)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어 그로 인한 이음 발생이 전혀 일어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하던 홀더와 패드를 배제하고 스토퍼(6) 자체의 크기를 적게 함과 동시에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 자체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the holder and pad used in the prior art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한편, 스크린(3)를 권취시킬시 비록 스크린 자체가 처진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스토퍼(6)가 다른 구성품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와인딩수단(2)에 스크린(3)이 원할히 권취됨은 물론 스토퍼(6)가 본체(1)의 개구부(11)에 원할히 끼워져 걸리게 되어 제품의 구동에 따른 신뢰도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wind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 자체에 경사형 걸림돌부와 판체형 고정편을 구비시켜 스크린의 단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저부에 리벳을 통해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와인딩수단을 통해 스크린을 원 위치시키는 작동을 수행할시 비록 스크린의 일부가 처지더라도 스토퍼가 어디에도 걸리지 않고 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져 걸리게 되어 소음 방지용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의 주행시 스토퍼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생산원가와 중량 및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제품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itself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locking portion and a plate-shaped fixing piece to fix the screen to the bottom of the plat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creen by means of rivets. When the positioning operation is performed, even if a part of the screen sags, the stopper is not caught anywhere but is caught in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joint due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topper while driving the vehicle without using a noise prevention pad. Of course, the production cost, weight and size of the product itself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also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such a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1036A KR100568745B1 (en) | 2004-05-03 | 2004-05-03 | Stopper device on cargo scre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1036A KR100568745B1 (en) | 2004-05-03 | 2004-05-03 | Stopper device on cargo scre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5776A KR20050105776A (en) | 2005-11-08 |
KR100568745B1 true KR100568745B1 (en) | 2006-04-07 |
Family
ID=3728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1036A KR100568745B1 (en) | 2004-05-03 | 2004-05-03 | Stopper device on cargo scre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874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518B1 (en) | 2008-10-14 | 2010-03-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go screen for vehicle |
KR200458095Y1 (en) | 2009-08-12 | 2012-01-18 | 한일이화주식회사 | Cargo Screen Device for Car |
KR101327199B1 (en) | 2012-04-27 | 2013-11-11 | 한일이화주식회사 | Cargo screen for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379B1 (en) * | 2005-10-06 | 2007-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argo screen device |
KR102462540B1 (en) * | 2021-03-31 | 2022-11-16 | (주)아이원 | Roll screen advertising device using sunlight |
-
2004
- 2004-05-03 KR KR1020040031036A patent/KR10056874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518B1 (en) | 2008-10-14 | 2010-03-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go screen for vehicle |
KR200458095Y1 (en) | 2009-08-12 | 2012-01-18 | 한일이화주식회사 | Cargo Screen Device for Car |
KR101327199B1 (en) | 2012-04-27 | 2013-11-11 | 한일이화주식회사 | Cargo screen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5776A (en) | 2005-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4372B1 (en) | Curtain hook apparatus for vehicle | |
KR100568745B1 (en) | Stopper device on cargo screen | |
JP5189328B2 (en) | Inspection cover mounting structure in sliding door device | |
JP2007261549A (en) | Vehicular rear door | |
JP2010098800A (en) | Protector for electrical equipment, and its attaching structure | |
JP2007001348A (en) | Temporary fixing structure for information apparatus | |
KR102227736B1 (en) | Sliding guide device of a doors and windows | |
KR101946709B1 (en) | Parapet of two-stage in have hanging banner | |
JP2010139160A (en) | Fixing fitting | |
JP2012001885A (en) | Blind assembly for roof of vehicle | |
JPH08226277A (en) | Window glass regulator | |
JP7651037B2 (en) | Handle parts | |
JP4593595B2 (en) | Suspension lower swing device | |
JP4028946B2 (en) | Lifting wire mounting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shoji | |
JP3764736B2 (en) | How to ha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 |
JP4223493B2 (en) | Anti-sway mechanism | |
KR100452429B1 (en) | Reinforcing bracket for Preventing droop of head lining | |
JPS624160Y2 (en) | ||
KR200198878Y1 (en) | Detachable structure of car seat | |
KR20010056106A (en) | Door curtain | |
JP4539339B2 (en) | Sliding door upper guide structure | |
KR100559053B1 (en) | Mold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car door | |
JP4157794B2 (en) |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for jumping door | |
JP2006298200A (en) | Side sill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 |
JPS5925825Y2 (en) | elevator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