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521B1 - Clothes dryer - Google Patents
Clothes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8521B1 KR100568521B1 KR1020040044311A KR20040044311A KR100568521B1 KR 100568521 B1 KR100568521 B1 KR 100568521B1 KR 1020040044311 A KR1020040044311 A KR 1020040044311A KR 20040044311 A KR20040044311 A KR 20040044311A KR 100568521 B1 KR100568521 B1 KR 1005685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inlet
- drying
- rotating drum
- support plate
- clothes dr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위한 메인공기유입구와,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 감지를 위해 메인공기유입구의 반대편 하측에 마련되는 건조센서와, 메인공기유입구가 마련된 면에 마련되되 메인공기유입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lothes dryer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dry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disclosed clothes dryer includes a rotating drum for receiving a drying object, a main air inlet for inflow of air into the rotating drum, a drying senso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air inlet for detecting a dry state of the drying object, and a main body. The air inlet is provided on the surface provided is to include a secondary air inlet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air inle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회전드럼과 전방 및 후방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drum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plate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공기배출구 및 건조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outlet and the drying sensor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메인공기유입구와 제1 및 제2보조공기 유입구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ain air inlet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inlet of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외부케이스, 12: 도어,10: outer case, 12: door,
20: 회전드럼, 21: 리프터,20: rotating drum, 21: lifter,
22: 전방지지판, 22b: 공기배출구,22: front support plate, 22b: air outlet,
23: 후방지지판, 30: 구동장치,23: rear support plate, 30: drive unit,
40: 흡입유로, 44: 메인공기유입구,40: suction flow path, 44: main air inlet,
45: 제1보조공기유입구, 46: 제2보조공기유입구,45: first auxiliary air inlet, 46: second auxiliary air inlet,
50: 배기유로, 60: 송풍장치,50: exhaust flow path, 60: blower,
70: 건조센서.70: drying senso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의 접촉이 원활하여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dryer for allowing a dry object to be smoothly contacted with a drying sensor so as to accurately detect a dry state.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젖은 건조대상물이 수용된 회전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회전드럼의 내부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clothes dryer is a device that allows the drying object inside the rotating drum to be dried by the hot wind by allowing hot air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rotating drum while rotating the rotating drum containing the wet drying object at a low speed.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그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회전하는 회전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장치와, 회전드럼으로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회전드럼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한다. 또 회전드럼이 회전할 때 건조대상물을 끌어올려 상승시켰다가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드럼의 내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한다.The clothes dryer includes a rotating drum rotatably installed to accommodate a drying object therein,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rotating drum, a blower for blowing hot air into the rotating rotating drum, and air to the rotating drum. And a suction flow passage for guiding the inflow and an exhaust flow passag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outward from the rotating drum. The rotary dru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fters which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drum to raise and lower the object to be dried when the drum is rotated.
이 의류건조기의 동작은 회전드럼 내부로 젖은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후 가동시키면, 구동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송풍장치의 동작에 의해 회전드럼 내부로 열풍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은 회전드럼 내부의 리프터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In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after the wet drying object is put into the rotating drum and operated, the rotating drum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and hot air is supplied into the rotating drum by the blower. Therefore,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 rotating drum is dried by the air passing therein while repeating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falling by the lifter in the rotating drum.
또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건조센서를 포함한다. 건조센서는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통상 회전드럼의 전방 또는 후방 하측에 배치되며, 건조대상물과의 접촉을 통해 건조대상물의 습기를 감지함으로써 건조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센서의 감지를 통해 건조기의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의 접촉이 원활해야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drying sensor for detecting the dry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drying sensor is usually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lower side of the rotating drum to facilitate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in the rotating drum, and detects the degree of drying by sensing moisture of the drying object through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And the operation of the dryer is carried out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drying sensor. Therefore, such a clothes dryer can accurately detect the dry state only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drying object and the drying sensor is smooth.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의류건조기는 회전드럼 내에 건조대상물을 소량 투입한 상태에서 건조를 수행할 경우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의 접촉기회가 그 만큼 적어질 뿐 아니라, 리프터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건조대상물이 양이 많을 때보다 빨리 낙하하여 건조센서 쪽으로 안내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건조정도를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심할 경우에는 소량의 건조대상물이 회전드럼 내에 젖은 상태로 존재함에도 건조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기기가 건조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이 종료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othes dryer, when the drying is performed in a small amount of the drying object in the rotating drum, the contact chance between the drying object and the drying sensor is reduced by that amount, and the amount of the drying object that rises and falls by the lifter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degree of dry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be guided toward the drying sensor to fall faster than this many times. In severe cases, even when a small amount of the dry object exists in a wet state in the rotating drum, the drying sensor does not detect this, and thus, the device is determined to be dr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may be termina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하여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투입하여 건조를 수행하더라도 건조센서가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contact of the drying object and the drying sensor so that the drying sensor can accurately detect the dry state even if a small amount of the drying object to perform the drying. To provide a clothes dry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을 수 용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위한 메인공기유입구와, 상기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 감지를 위해 상기 메인공기유입구의 반대편 하측에 마련되는 건조센서와, 상기 메인공기유입구가 마련된 면에 마련되되 상기 메인공기유입구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rotating drum for receiving a drying object, the main air inlet for inflow of air into the rotating drum, and the main air for detecting the dry state of the drying object And a dry senso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and an auxiliary air inlet provided on a surface on which the main air inlet is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air inl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드럼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및 후방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공기유입구 및 상기 보조공기유입구가 상기 후방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센서가 상기 전방지지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ront and rear support plates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openings of the rotating drum, wherein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re formed on the rear support plate, and the drying sensor is the fro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메인공기유입구는 상기 후방지지판 상측 중앙으로부터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air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osition bias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drum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rear support plate.
또한 상기 보조공기유입구는 상기 메인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반대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나 상기 메인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air inlet may be provided at at least one of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air inle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um or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air inlet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dru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one.
또한 상기 보조공기유입구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승된 상기 건조대상물의 낙하시작지점과 근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보조공기유입구와, 상기 건조대상물의 낙하종료지점과 근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보조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air inle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auxiliary air inlet provid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start point of the drop of the drying object rais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um, and the position close to the end point of the drop of the drying objec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auxiliary air inl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공기유입구와 상기 보조공기유입구 쪽으로 공기유 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후방지지판 쪽에 설치되는 급기안내덕트와, 상기 전방지지판의 하측에 마련되는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전방지지판 쪽에 설치되는 배기안내덕트와, 상기 배기안내덕트 쪽에 설치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supply duct provided on the rear support plate to guide the air inlet toward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n air discharge port provided below the front support plate, an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It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guide duct installed on the front support plate side to guide, and a blower device installed on the exhaust guide duct s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기안내덕트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급기안내덕트 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provided in the air supply duct so as to heat air supplied into the rotary drum through the air supply du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device for rotating the rotating dru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공기유입구의 크기가 상기 메인공기유입구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auxiliary air inlet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ain air inlet.
또한 상기 건조센서는 상기 건조대상물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건조대상물의 습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ying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ensing the moisture of the drying object through contact with the drying objec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상자형상으로 된 외부케이스(10), 외부케이스(10)의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20),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또 이 의류건조기는 회전드럼(20)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급기유로(40)와 배기유로(50) 및 송풍장치(60)를 포함한다.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회전드럼(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면에 건조대상물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는 복수의 리프터(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는 이러한 회전드럼(20)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드럼(20)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를 덮도록 외부케이스(10)의 전면부 내측과 후면부 내측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이 설치된다. 이때 회전드럼(20)은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으로부터 회전드럼(20)의 전면개방부와 후면개방부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돌출하는 전방지지턱(24)과 후방지지턱(25)을 통해 지지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지지턱(24,25)과 회전드럼(20)의 전면 및 후면개방부 사이에는 회전드럼(20)의 회전 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등으로 된 마찰감소부재(26)가 개재된다. 전방지지판(22)과 후방지지판(23)의 하부에는 회전드럼(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27)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회전드럼(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것이다.Rotating
외부케이스(10)의 전면(11)과 전방지지판(22)에는 회전드럼(20)의 내부로 건조대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개구들(11a,22a)이 형성되고, 외부케이스(10)의 전면(11)에는 이러한 개구들(11a,22a)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가 설치된다.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0)는 외부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동력을 회전드럼(20)에 전달하는 것으로 풀리(32) 및 회전벨트(33)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벨트(33)는 회전드럼(20)의 외면과 구동모터(31)의 축(34)에 결합된 풀리(3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이는 구동모터(31)가 회전할 때 회전드럼(20)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회전드럼(2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급기유로(40)는 회전드럼(20) 하부의 외부케이스(10)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급기안내덕트(41)와, 후방지지판(23)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공기유입구(44)와 하부 급기안내덕트(41)를 연결하며 후방지지판(23)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급기안내덕트(42)를 통해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급기안내덕트(41) 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3)가 설치된다.The
회전드럼(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50)는 전방지지판(22) 하부의 공기배출구(22a)와 회전드럼(20)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6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배기안내덕트(51)와, 송풍장치(60)의 출구와 외부케이스(10)의 후면부 외측이 연통하도록 외부케이스(10)의 하측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후방 배기안내덕트(52)를 통해 구성된다. An
송풍장치(60)는 회전드럼(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1)의 축(34, 풀리 반대편으로 연장된 축)에 설치된 송풍팬(61)과, 송풍팬(61)의 주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전방 및 후방 배기안내덕트(51,52)와 각각 연결되는 입구(62a)와 출구(미도시)가 형성된 송풍케이스(62)를 포함한다.The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감지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건조센서(70)를 구비한다. 이 건조센서(7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0) 내부의 건조대상물과의 접촉을 통해 건조상태를 감지하기 용이하 도록 공기배출구(22b)가 마련된 전방지지판(22)의 하측에 설치된다. 또한 이 건조센서(7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고 회전드럼(2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71,72)으로 이루어지며, 건조대상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전방지지판(22)에 설치되는 공지의 전극센서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rying
이러한 건조센서(70)는 두 전극(71,72)에 걸쳐서 건조대상물이 접촉될 경우 건조대상물의 습기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두 전극(71,72)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의 젖은 상태를 감지하고, 건조대상물이 건조됨에 따라 두 전극(71,72)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는 현상을 통해 건조상태를 감지한다. 따라서 의류건조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건조센서(7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건조상태를 판단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drying
또한 후방지지판(23)에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20) 내부로 열풍을 공급기 위한 메인공기유입구(44) 뿐만 아니라, 회전드럼(2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센서(70) 쪽으로 이동시켜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70)의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및 제2보조공기유입구(45,46)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지지판(23)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급기안내덕트(42)는 메인공기유입구(44) 뿐 아니라 두 보조공기유입구(45,46)를 통해서도 회전드럼(2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기유로부(42a,42b)를 구비한다. 이때 두 보조공기유입구(45,46)는 메인공기유입구(44)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메인공기유입구(44)는 다수의 통공을 갖춘 스 크린을 통해 가려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또 메인공기유입구(4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지지판(23)의 상측 중앙으로부터 회전드럼(2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보조공기유입구(45)는 메인공기유입구(44)로부터 회전드럼(20)의 회전반대반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부의 위치에 마련되고, 제2보조공기유입구(46)는 메인공기유입구(44)로부터 회전드럼(2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하부의 위치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드럼(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메인공기유입구(44)가 1~2시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1보조공기유입구(45)가 건조대상물의 낙하시작지점과 근접하는 11시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보조공기유입구(46)가 건조대상물의 낙하종료지점과 근접하는 5시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구성은 건조대상물의 낙하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제1보조공기유입구(45)를 통하여 회전드럼(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건조대상물을 전방의 건조센서(70) 쪽으로 1차 밀어주고, 건조대상물의 낙하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제2보조공기유입구(46)를 통하여 회전드럼(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건조대상물을 건조센서(70) 쪽으로 재차 밀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70)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하여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lothes dryer is such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이는 회전드럼(20) 내부에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건조를 수행할 경우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70)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것으로, 메인공기유입구(4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뿐만 아니라 두 보조공기유입구(45,46)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작용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센서(70) 쪽으로 이동시켜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drying object and the drying
여기서 본 실시 예는 보조공기유입구가 후방지지판(2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쪽에만 보조공기유입구를 마련하더라도 건조대상물을 건조센서(70) 쪽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종래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건조상태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air inlet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메인공기유입구를 통하여 회전드럼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뿐 아니라 두 보조공기유입구를 통하여 회전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센서 쪽으로 밀어주어 건조대상물과 건조센서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하기 때문에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투입하여 건조를 수행하더라도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tating drum through the main air inlet but als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tating drum through the two auxiliary air inlets to dry the object inside the rotating drum.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drying object and the drying sensor is smoothly pushed toward the drying sensor, even if a small amount of the drying object is added to the drying sensor, the drying state of the drying object can be accurately detect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4311A KR100568521B1 (en) | 2004-06-16 | 2004-06-16 | Clothes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4311A KR100568521B1 (en) | 2004-06-16 | 2004-06-16 | Clothes dr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257A KR20050119257A (en) | 2005-12-21 |
KR100568521B1 true KR100568521B1 (en) | 2006-04-07 |
Family
ID=3729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4311A KR100568521B1 (en) | 2004-06-16 | 2004-06-16 | Clothes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852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801B1 (en) | 2006-07-27 | 2007-08-2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Dryer with heater intake pipe |
WO2015084007A1 (en) * | 2013-12-02 | 2015-06-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ing dryer |
WO2022050757A1 (en) * | 2020-09-04 | 2022-03-10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56322A1 (en) * | 2006-04-27 | 2007-11-08 |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Dryer having heater-installed suction duct |
KR100762329B1 (en) * | 2006-12-20 | 2007-10-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Dryer with heater intake pipe |
KR100795049B1 (en) * | 2006-12-20 | 2008-01-1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Dryer with intake filter |
KR100795050B1 (en) * | 2006-12-20 | 2008-01-1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Condensation Dryer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KR100762331B1 (en) * | 2006-12-20 | 2007-10-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Dryer with nozzle type intake pipe |
KR100762330B1 (en) * | 2006-12-20 | 2007-10-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Heater built-in intake pipe and dryer having same |
KR100762333B1 (en) * | 2006-12-20 | 2007-10-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Air circulation device, dryer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0762332B1 (en) * | 2006-12-20 | 2007-10-0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Filter washing device and dryer having same |
CN113622132A (en) * | 2020-05-06 | 2021-11-09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66897U (en) | 1981-04-15 | 1982-10-21 | ||
KR20030005543A (en) * | 2001-07-09 | 2003-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suction port for dryer |
KR20030049277A (en) * | 2001-12-14 | 2003-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othes dryer |
KR100499525B1 (en) | 2002-12-05 | 2005-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vice for detecting dryne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dryer |
KR20050095434A (en) * | 2004-03-26 | 2005-09-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dryer |
-
2004
- 2004-06-16 KR KR1020040044311A patent/KR10056852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66897U (en) | 1981-04-15 | 1982-10-21 | ||
KR20030005543A (en) * | 2001-07-09 | 2003-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suction port for dryer |
KR20030049277A (en) * | 2001-12-14 | 2003-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othes dryer |
KR100499525B1 (en) | 2002-12-05 | 2005-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vice for detecting dryne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dryer |
KR20050095434A (en) * | 2004-03-26 | 2005-09-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ing dry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801B1 (en) | 2006-07-27 | 2007-08-2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Dryer with heater intake pipe |
WO2015084007A1 (en) * | 2013-12-02 | 2015-06-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ing dryer |
WO2022050757A1 (en) * | 2020-09-04 | 2022-03-10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US12152335B2 (en) | 2020-09-04 | 2024-11-26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257A (en) | 2005-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8521B1 (en) | Clothes dryer | |
CN104018326B (en) |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 |
KR20150063816A (en) | Clothing Dryer | |
KR20050095434A (en) | Clothing dryer | |
EP2446081B1 (en) | Horizontal drum tumble dryer with optimised air flow | |
KR200464726Y1 (en) | Clothes dryer | |
KR101139246B1 (en) | Clothes Drying Machine | |
KR101059814B1 (en) | Clothes dryer | |
KR100599039B1 (en) | Clothes dryer | |
KR20060089072A (en) | Washer / Laundry | |
KR100570529B1 (en) | Clothes dryer | |
KR100446763B1 (en) | Apparatus for heating clothes in clothes dryer | |
KR100669182B1 (en) | Intake and exhaust circulation of the dryer | |
KR20210151758A (en) | Clothing Dryer | |
KR100879768B1 (en) | Drying quantity measuring device, dryer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62333B1 (en) | Air circulation device, dryer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137317B1 (en) | clothes dryer having movement separator | |
KR100610664B1 (en) | Clothes dryer | |
JP3790439B2 (en) | Equipment with drying function | |
KR100531835B1 (en) | Clothes dryer with spiral baffle | |
KR100480718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dryer | |
KR100651865B1 (en) | Clothes dryer | |
KR101176119B1 (en) | Drye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JP7503259B2 (en) | Dryer | |
KR20060039307A (en) | Clothes dr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