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219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8219B1 KR100568219B1 KR1020040078378A KR20040078378A KR100568219B1 KR 100568219 B1 KR100568219 B1 KR 100568219B1 KR 1020040078378 A KR1020040078378 A KR 1020040078378A KR 20040078378 A KR20040078378 A KR 20040078378A KR 100568219 B1 KR100568219 B1 KR 1005682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main body
- bracket
- stand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본체의 피벗(pivot)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pivot structure of a display body.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디스플레이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20)와; 디스플레이본체(10) 및 스탠드(20)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에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는 피벗브래킷(30)과; 피벗브래킷(30)의 수용부(32)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걸림부재(40)와; 디스플레이본체(10)의 배면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본체(10)가 피벗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재(40)와 대응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억제부(5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브래킷(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본체가 피벗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위치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in body 10; A stand 20 supporting the display body 10; A pivot bracket 30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the stand 20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3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atching member 40 that is elastically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32 of the pivot bracket 30; At least one rotational restraint 52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10 and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40 to prevent the display main body 10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in a pivoted st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bracket 50. Accordingly, the positional state can be kept constant unles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display body is pivoted.
디스플레이본체, 스탠드, 피벗브래킷, 걸림부재, 회전억제부Display body, stand, pivot bracket, locking member, rotation restrai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벗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vot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걸림부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locking member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벗팅 과정을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pivot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디스플레이본체 20 : 스탠드 10: display body 20: stand
30 : 피벗브래킷 32 : 수용부 30: pivot bracket 32: receiving portion
40 : 걸림부재 42 : 스프링 40: locking member 42: spring
44 : 지지볼 50 : 본체브래킷 44: support ball 50: body bracket
52 : 회전억제부 52: rotation control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본체의 피벗(pivot)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pivot structure of a display main body.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는 문자나 도형의 형식을 이용하여 데이터(data)를 디스플레이패널 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들을 포괄하여 일컫는 말이다. 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 generic term for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visually display data on a display panel surface by using text or graphic formats.
특히,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와 TV 등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기능성 및 사용성을 고려한 여러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monitors and TVs, and the demand for it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ality and usabi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various needs of consumers.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와;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디스플레이본체 및 스탠드 사이에 마련되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피벗브래킷과;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며, 피벗브래킷의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본체를 스탠드에 대해 약 90도 각도로 피벗팅 가능하게 된다.Conventional display devices include a display body; A stand supporting the display body; A pivot bracket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body and the stand and having guide protrusions formed therein; It is mount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body, and comprises a main body bracket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jection of the pivot bracke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body can be pivo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tan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피벗 기능 사용시 정확한 정지구간이 없이 회전각도를 맞추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조그만 외력에도 각도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without an accurate stop section when the user uses the pivot function, and the deformation of the angle is easy even in a small external force.
또한, 라인 생산시에도 팔레트의 이동 및 정지에 따라 디스플레이본체가 쉽 게 회전됨으로써 외관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the display body is easily rotated as the pallet moves and stops during line produ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본체가 피벗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y rotation of the display body in a pivoted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본체 및 상기 스탠드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벗브래킷과; 상기 피벗브래킷의 수용부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본체가 피벗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억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body;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stand for supporting the display body,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pivot bracket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body and the stand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atching member elastically received in a receiving portion of the pivot bracket; And a main body bracket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ain body and having at least one rotational restrain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member to prevent the display main body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There is a characteristic.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피벗브래킷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브래킷의 회전억제부에 대응 결합되는 지지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spr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ivot bracke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pport ball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pring and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rotation inhibi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bracket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본체(10)와; 디스플레이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스탠드(20)와; 디스플레 이본체(10) 및 스탠드(20)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에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는 피벗브래킷(30)과; 피벗브래킷(30)의 수용부(32)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걸림부재(40)와; 디스플레이본체(10)의 배면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본체(10)가 피벗(pivot)된 상태에서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재(40)와 대응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억제부(5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브래킷(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body (10); A
디스플레이본체(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며, 스탠드(20)는 디스플레이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The display
피벗브래킷(30)은 본체브래킷(50)과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본체(10)를 스탠드(20)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피벗브래킷(30)의 형상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피벗브래킷(30) 및 스탠드(2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본체(10)를 스탠드(20)에 대해 틸트(tilt) 가능하게 하는 틸트브래킷(60)이 마련되어 있다.
피벗브래킷(30)의 수용부(32)는 홈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그 형상은 적용되는 걸림부재(40)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걸림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브래킷(30)의 수용부(32)에 수용되는 스프링(42)과; 스프링(42)의 상부에 안착되어,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브래킷(50)의 회전억제부(52)에 대응 결합되는 지지볼(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스프링(42)은 지지볼(4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걸림부재(40)는 탄성력에 의해 본체브래킷(50)의 회전억제부(52)에 대응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본체브래킷(50)은 디스플레이본체(10)의 배면에 스크류 결합되며, 본체브래킷(50)의 회전억제부(52)는 디스플레이본체(10)가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을 경우 걸림부재(40)와 대응 결합되는 제1회전억제부(52a) 및 디스플레이본체(10)가 피벗되었을 경우 걸림부재(40)와 대응 결합되는 제2회전억제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제1,2회전억제부(52a,52b)는 걸림부재(40)의 지지볼(44)과 대응되도록 반원홈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제1,2회전억제부(52a,52b) 사이에 가이드홈(미도시)을 형성하여 회전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회전억제부(52)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 형성하여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본체(10)를 피벗할 수 있다.The
상기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피벗 과정을 도 4a,4b,4c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pivot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and 4C.
먼저, 디스플레이본체(10)가 정상적인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피벗브래킷(30)의 수용부(32)에 수용되어 있는 걸림부재(40)가 본체브래킷(50)의 제1회전억제부(52a)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디스플레이본체(10)가 임의 회전되지 않는다. 이 때, 걸림부재(40) 및 제1회전억제부(52a)의 결합상태는 걸림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First, when the display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디스플레이본체(10)를 피벗시키면 도 4b에서와 같이 본체브래킷(50)의 제1회전억제부(52a) 및 걸림부재(40)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걸림부재(40)가 본체브래킷(50)의 판면에 지지된다. 이 때, 걸림부재(4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state, when the
그리고 디스플레이본체(10)의 피벗동작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걸림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브래킷(50)의 제2회전억제부(52b)가 걸림부재(40)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디스플레이본체(10)가 임의 회전되지 않는다.When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displa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본체의 피벗동작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정지구간에서의 위치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tate in the stop section can be kept constant unles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display body.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unctionality and us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378A KR100568219B1 (en) | 2004-10-01 | 2004-10-01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378A KR100568219B1 (en) | 2004-10-01 | 2004-10-01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68219B1 true KR100568219B1 (en) | 2006-04-05 |
Family
ID=3718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83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8219B1 (en) | 2004-10-01 | 2004-10-01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821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1055B1 (en) * | 2010-10-21 | 2017-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529A (en) * | 1998-06-01 | 2000-01-15 | 추호석 | Sheave operating system for braking sway using controlling hydraulic cylinder |
-
2004
- 2004-10-01 KR KR1020040078378A patent/KR10056821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529A (en) * | 1998-06-01 | 2000-01-15 | 추호석 | Sheave operating system for braking sway using controlling hydraulic cylind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등록실용공보 제191805호, 2000.5.29)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1055B1 (en) * | 2010-10-21 | 2017-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97765B2 (en) | Angle adjustable device and electronic display unit using the same | |
JP4148972B2 (en) | Turntable and display device | |
US7568261B2 (en) |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US7237755B2 (en) | Display apparatus | |
AU2014241668B2 (en) |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 |
US8950725B2 (en) | Frame stand for a display panel | |
US7798460B2 (en) |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 |
KR100568181B1 (en) | Display device | |
US7787795B2 (en) | Angle adjust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070217134A1 (en) | Display apparatus | |
US8641301B2 (en) | Camera angle adjustment | |
US20140043738A1 (en) | Display device | |
JP3859009B2 (en) | LCD TV stand and display stand | |
EP2557776B1 (en) | Display device | |
JP2007164118A (en) | Display and automatic stabilizing device for the same | |
US20070138369A1 (en) | Support apparatus | |
US20050269479A1 (en) | Bracket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0568219B1 (en) | Display device | |
JP2014041309A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2005208080A (en) | Display supporting device | |
JP4379456B2 (en) | Display screen support mechanism | |
KR200231314Y1 (en) | monitor | |
KR200175685Y1 (en) | Flat display apparatus having three moving point | |
CN108612988B (en) |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 frame thereof | |
US20100019108A1 (en) | Holding apparatus and pivot structur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