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805B1 - Hinge Assemblies for Kimchi Storage - Google Patents
Hinge Assemblies for Kimchi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7805B1 KR100567805B1 KR1020030062269A KR20030062269A KR100567805B1 KR 100567805 B1 KR100567805 B1 KR 100567805B1 KR 1020030062269 A KR1020030062269 A KR 1020030062269A KR 20030062269 A KR20030062269 A KR 20030062269A KR 100567805 B1 KR100567805 B1 KR 100567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ixing member
- hinge
- hinge assembly
- rot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title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본체 상부에서 도어가 힌지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의 후방 상단면에 하부힌지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힌지수용부와 대응되게 도어 배면에 상부힌지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일측면으로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 회전부재, 탄성부재 및 고정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힌지조립체를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수용부에 고정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힌지수용부에 회전부재가 수용될 때, 각각 수용되는 반대쪽 상대물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 공차를 갖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최대한 고정부재 쪽으로 이동 접촉될 때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단차부가 회전부재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assembly for fastening the door of the kimchi storage,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door can be hinged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of the kimchi storage, the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and Correspondingly, the upper hin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has a hinge assemb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xing member, a rotating member, an elastic member, and a fixed shaf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s can be fitted into one side while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kimchi storage, when the fix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and the rotat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hinge receiving portion, 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learanc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to the opposite counterpart respectively received The stepped portion, which may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member as far as possible, Characterized by rai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힌지조립체 설치 시 힌지조립체의 설치위치 편차를 해소할 수 있어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nge assembly for fastening the door of the kimchi storage to smooth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eliminating the devi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inge assembly when the hinge assembly is installed.
김치저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고정부재, 회전부재, 단차부, 힌지수용부Kimchi storage, door, hinge assembly, fixing member, rotating member, step part, hinge receiving pa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김치저장고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kimchi storage,
도 2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힌지조립체가 김치저장고의 도어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ssemb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 and the body of the kimchi storag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조립체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ssembly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조립체가 조립되어 고정부재와 회전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ssembly shown in Figure 3 is assembled and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in close contact,
도 5 및 6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조립체가 도어와 본체 사이에서 잘못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5 and 6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ssembly shown in Figure 3 is incorrectly assembled between the door and the main bod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가 조립되어 고정부재와 회전부재가 단차부로 인해 소정 간격의 여유 공차를 갖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have a clearance of a predetermined interval due to the stepped por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에서 단차부가 형성된 회전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member having a stepped portion in the hin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가 도어와 본체 사이에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9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 and the main bod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본체 11 : 하부힌지수용부10: main body 11: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12 : 레일 20 : 도어12: rail 20: door
21,21a,21b : 상부힌지수용부 22a,22b : 레일21, 21a, 21b: upper
31 : 고정부재 31b : 슬롯홈31: fixing
31d,31'd :피동부 32,32' : 회전부재31d, 31'd:
32a,32'a : 회동부 32b,32'b : 몸체부32a, 32'a: Rotating
32c,32'c : 슬롯홈 혹은 스토퍼부 32e,32'e : 단차부32c, 32'c: slot groove or
33,33' : 탄성부재 34 : 고정축33,33 ': elastic member 34: fixed shaft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저장고의 본체 상부에서 도어가 힌지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 및 도어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힌지수용부에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힌지조립체가 본체의 일측면을 통해 끼움 삽입되어 각각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수용되도록 설계된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가 설정된 정확한 설치위치에 설치되지 못하고 설치위치 편차로 인해 상대물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가 최대한 고정부재 쪽으로 이동 밀착될 때 소정의 간격(여유 공차)을 가질 수 있는 단차부를 회전부재 상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힌지조립체 설치 시 정확한 설치위치 편차를 해소할 수 있어 도어의 원활 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assembly for fastening the door of the kimchi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in th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hinged at the upper body of the kimchi storage. In the hinge assembly for the door fastening of the kimchi storage is designed so that the hinge assembly is insert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accurately accommodated in each set position, the hinge assembly is not installed in the correct installation position set due to the devi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unterpart, the stepped part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member, which may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free allowanc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member as much as possible.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eliminated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smoothly. It relates to a door hinge assembly for fastening to a Kimchi storage.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는 문을 자주 여닫는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 온도가 심하게 변하기 때문에 김치의 보존 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다.In general, refrigerators used in homes have a short shelf life becau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changes drastically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frequently.
더욱이, 김치의 특성상 알맞은 숙성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온도는 일반 냉장식품보다 저온이므로 일반 냉장고에는 장기간 보존하기가 어려워 김치저장고를 따로 사용한다.Moreo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a proper temperature for maintaining a suitable ripening state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refrigerated foods, so it is difficult to store it in a general refrigerator for a long time, so it is used separately.
즉, 최근 들어 김치를 발효하여 일정기간 숙성하거나 혹은 냉장 보관하는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김치저장고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In other words, recently, Kimchi fermentation has become active and fermentation of kimchi stor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refrigerated storage has become active.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히터와 냉동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맛에 맞춰 신선도가 높은 김치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김치의 숙성 및 장기 보관에 알맞은 온도제어가 가능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The kimchi storage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suitable for ripening and long-term storage of kimchi so that you can enjoy the taste of fresh kimchi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by using a heater and a refrigeration system.
여기서, 종래 상부 개폐식 도어를 갖는 김치저장고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실(300) 및 기계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측벽이 단열재로 발포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저장실(300)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200)와, 상기 본체(100) 및 도어(200)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200)를 본체(100)에 대해 회동 개폐시키는 힌지부(210)를 갖는다.Here, in the case of the kimchi storage having a conventional top opening door, as shown in Figure 1, the
물론, 상기 저장실(300)의 외벽에는 도시되지 않은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파이프로 권선된 증발기가 배치됨과 아울러 외기를 차단하기 위해 단열부재가 배치되게 되고, 상기 저장실(300)의 하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 응축기 등과 같은 냉동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미 도시)이 마련된다.Of course, an evaporator wound with a refrigerant pipe for supplying cold air (not shown) is disposed on an outer wall of the
이에, 상기 압축기에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면 압축된 냉매를 전해 받은 응축기에서 이를 액상으로 응축시킨 후, 팽창밸브나 모세관 등을 통해 증발기로 전달한다.Accordingly, when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ndensed into a liquid phase in the electrolytic condenser, and then transferred to the evaporator through an expansion valve or a capillary tube.
그러면, 상기 증발기에서는 냉매의 증발에 따른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 (300) 내로 냉기를 형성하게 된다.Then, the evaporator forms cold air into the
그런데, 종래 상기 도어(200)가 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저장실(300)을 회동 개폐시키는 타입의 김치저장고를 보면, 상기 도어(200)의 내부가 단열재로 발포됨으로써 도어(200)의 중량이 상당히 많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kimchi storage of the type of the
이처럼 상기 도어(200)의 무게를 무겁게 하는 이유로는,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저장실(300) 내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밀폐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도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weight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 상부 개폐식 도어(200)에 있어서, 도어(200)를 닫을 때, 도어(200)가 자중에 의해 급격히 폐쇄 상태로 닫히면서 김치저장고 전체에 충격을 주게 되거나 도어(200)의 폐쇄 도중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부주의로 급격히 폐쇄되는 도어(200) 밑에 끼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이에 최근에 상기와 같은 힌지부(210)를 통한 도어(200)의 체결구조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타입의 힌지조립체 및 이 힌지조립체를 이용한 설치구조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특허 출원번호 제2003-16149호, 2003.3.14. 출원)된 바 있다.In this regard, the hinge assembly of the new type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hinge assembly have been recently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종래 힌지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새로운 타입으로 선 출원된 힌지조립체 및 이 힌지조립체를 이용한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hinge assembly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hinge assembly is proposed as a new type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hinge as described above.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힌지조립체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조립체(30)는, 원통형의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재 (31)의 양단에 각각 경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고정부재(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32,32')와, 한 쌍의 회전부재(32,32')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회전부재(32,32')의 고정부재(31)에 대한 직선이동에 따라 탄성력을 부여하여 회전부재(32,32')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3,33')와, 상기 탄성부재(33,33'), 회전부재(32,32') 및 고정부재(31)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축(34)을 갖는다.First, referring to the hinge assemb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1)는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축 방향을 따라 고정축(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축공(31a)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하부힌지수용부(11)에 형성된 레일(14)에 끼워져 하부힌지수용부(11) 내에서의 회전이 저지되는 다수개의 슬롯홈(31b)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 고정부재(31)의 양단에는 양단의 수직면에 대해 내측으로 함몰되고 그 형상이 나선 기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피동부(31d,31'd)가 형성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상기 피동부(31d,31'd)는 후술할 회전부재(32,32')의 회동부(32a,32'a)에 각 각 회전 가능하게 경사 맞물림 된다.The driven
상기 고정부재(31)의 양단에 조립되는 회전부재(32,32')는, 상기 고정부재 (31)의 피동부(31d,31'd)에 끼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회동부(32a, 32'a)와, 이 회동부(32a,32'a)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 몸체부(32b, 32'b)로 이루어져 있다.Rotating
상기 회동부(32a,32'a)의 형상은 고정부재(31)의 피동부(31d,31'd)와 거의 유사한 나선 경사면으로 형성된 기어 구조를 갖는다.The rotating
따라서, 상기 회동부(32a,32'a)가 피동부(31d,31'd)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도어(20)의 개방)할 경우, 회동부(32a,32'a)와 피동부(31d,31'd)의 돌출된 부분이 서로 맞닿아 회전부재(32,32')는 고정부재(31)에 대해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2,32')의 몸체부(32b,32'b) 외주면에도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슬롯홈(32c,32'c)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상기 몸체부(32b,32'b)에 형성된 슬롯홈(32c,32'c)은 후술하는 상부힌지수용부(21:21a,21b)의 내면에 형성된 리브 형태의 레일(22a,22b)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회전부재(32,32')는 도어(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2b,32'b)와 회동부(32a,32'a)의 내측에는 각각 고정축(34)이 통과하는 축공(32d,32'd)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상기 한 쌍의 회전부재(32,32') 몸체부(32b,32'b)에는 각각 탄성부재(33, 33')가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여기서, 채용되는 탄성부재(33,33')는 압축스프링으로써 회전부재(32,32')의 회전상태, 즉 도어(20)의 회동상태를 구속하게 된다.Here, the
상기 고정축(34)은, 고정부재(31) 및 회전부재(32,32')의 축공(31a, 32d, 32'd)을 따라 삽입되어 고정부재(31)와 회전부재(32,32')사이의 결합을 지지함과 아울러 탄성부재(33,33')의 유동을 제한한다.The
즉, 상기 고정축(34)은 그 길이가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고 양측에 와셔(35)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에 너트(36)로 고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고정부재(31), 회전부재(32,32') 및 탄성부재(33,33')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힌지조립체(30)를 설치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단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원통형 하부힌지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와 서로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저장실(40)을 개폐하는 도어(20)의 일측에는 복수의 원통형 상부힌지수용부(21: 21a,21b)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o install the
이들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11)는 상기 힌지조립체(30)가 삽입 수용되어 힌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각각 힌지조립체(30)의 고정부재(31) 및 회전부재(32,32')가 설정된 위치에서 수용될 수 있게 축 방향을 따라 그 내부가 비어 있다.Thes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s (21, 11) is that the
이때,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힌지조립체(30)의 고정부 재(31)를 수용하여 도어(20) 개폐 시 고정부재(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리브 형태의 레일(12)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그리고, 상기 상부힌지수용부(21:21a,21b)의 내주면에도 상기 힌지조립체 (30)의 회전부재(32,32')를 수용하여 도어(20) 개폐 시 회전부재(32,32')가 상부힌지수용부(21:21a,21b)와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하면서 좌우 측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32,32')를 고정하는 리브 형태의 레일(22a,22b)이 형성되어 있다.The
특히,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힌지수용부(21) 중 안쪽에 위치하는 상부힌지수용부(21b)에는 상기 레일(22b)의 개수가 바깥쪽에 위치한 상부힌지수용부(21a)에 형성된 레일(22a)의 개수나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에 형성된 레일(12)의 개수에 비해 많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4, the upper
이처럼 상기 레일(22b)의 개수를 더 많이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힌지조립체 (30)가 상기 상부힌지수용부(21a)의 일측면을 통해 끼움 삽입될 때, 상기 힌지조립체(30)의 고정부재(31) 및 회전부재(32,32')가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에 수용된 힌지조립체(30)의 고정부재(31)가 회전부재(32')가 수용된 안쪽의 상부힌지수용부(21b) 쪽으로 더 이상 밀려들어오지 못하도록 스토퍼 기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orming a larger number of the
즉,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의 레일(12) 개수와 상기 고정부재(31)에 형성된 슬롯홈(31b) 개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32,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롯홈(32c,32'c)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상부힌지수용부(21b)에 형성된 레일(22b) 개수에 대응하도록 스토퍼부(32c,32'c; 상기 슬롯홈과 동일한 형태임으 로 도면상에서 슬롯홈과 구분하지 않고 동일부호를 붙이기로 한다)가 형성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고정부재(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롯홈(31b) 개수 보다 회전부재 (32,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롯홈(32c,32'c) 및 스토퍼부(32,32'c)를 합한 개수가 많게 되고, 이에 따라 힌지조립체(30) 설치 시 상기 고정부재(31) 및 회전부재 (32,32')에 형성된 슬롯홈(31b,32c,32'c) 개수와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11)에 형성된 레일(22a,22b,12) 개수의 대응관계에 따라 상호 스토퍼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lot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이처럼 종래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힌지수용부(11)와 도어(20)의 상부힌지수용부(21)사이에 상기 힌지조립체(30)의 고정부재(31) 및 회전부재 (32,32')를 각각 대응되게 끼움 삽입하여 설정된 정확한 설치 위치에 안착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이때, 상기 힌지조립체(30)를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11)에 설치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와 회전부재(32,32')가 서로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그런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 및 회전부재(32)가 하부힌지수용부(11) 및 바깥쪽 상부힌지수용부(21a)에서 상대물에 대해 약 1~2㎜ 정도의 설치위치 편차를 갖고 설치될 우려가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xing
즉, 상기 힌지조립체(30)를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11)에 설치할 때, 바깥쪽 상부힌지수용부(21a)에 위치해야 할 회전부재(32)가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까지 약간 밀려 삽입되면서 회전부재(32)의 슬롯홈(32c)이 하부힌지수용부 (11)의 레일(12)에 끼워지거나(도 5 참조), 상기 고정부재(31)가 바깥쪽 상부힌지수용부(21a) 쪽으로 나와 간섭이 일어나면서 고정부재(31)의 슬롯홈(31b)이 상부힌지수용부(21a)의 레일(22a)에 끼워져(도 6 참조) 도어(20) 자체의 회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That is, when installing the
이처럼 설정된 설치위치에 정확하게 삽입 설치되지 못하고 설치위치 편차에 의한 반대쪽 상대물에 대한 간섭이 일어나게 되는 이유로는,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11)가 사출 성형되는 사출물이다 보니 사출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수축이 일어나 최초 설계된 대로 정확하게 사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고,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11)를 서로 맞물려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 공차로 인한 문제 등 조립 과정에서의 잘못된 조립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The reason why the insertion and installation is not precisely inserted into the set installation position and interference to the opposite counterpart du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deviation occurs is because the upper and low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힌지조립체를 조립 설치할 때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도어 및 본체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일측면으로 힌지조립체가 끼워져 설치될 때, 상기 힌지조립체가 설정된 정확한 설치위치에 설치되지 못하고 설치위치 편차로 인해 상대물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조립체의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여유 공차를 둠으로써, 상기 힌지조립체에 의한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problem when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hinge assembly filed by the applican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door and the body is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hinge assembly is inserted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inge assembly, the hinge assembly is not installed at the correct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of the hinge assembly are prevent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unterpart due to the devi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providing a clearance gap therebetween, to provide a hinge assembly for fastening the door of the kimchi storag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smoothly by the hinge assemb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김치저장고의 본체 상부에서 도어가 힌지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의 후방 상단면에 하부힌지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힌지수용부와 대응되게 도어 배면에 상부힌지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일측면으로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 회전부재, 탄성부재 및 고정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힌지조립체를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수용부에 고정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상부힌지수용부에 회전부재가 수용될 때, 각각 수용되는 반대쪽 상대물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 공차를 갖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최대한 고정부재 쪽으로 이동 접촉될 때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단차부가 회전부재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의 도어 체결용 힌지조립체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door can be hinged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kimchi storage, the upper portion on the back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In the kimchi storage having a hinge assembly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fixing member, a rotating member, an elastic member and a fixed shaft so that the hing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s can be fitted to one side in the stat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x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hinge accommodating part and the rotating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hinge accommodating part, the rotating member moves toward the fixing member as much as possible so as to have a clearanc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opposing counterpart respectively accommodated. Ki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provided on the rotating member that can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door structure of a hinge assembly for fastening the reservoir.
이때, 상기 단차부는 상기 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의 설치위치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3㎜ 이내의 길이로 여유 공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ped portion has a margin of tolerance within the length of 3 mm to eliminate the devi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가 조립되어 고정부재와 회전부재가 단차부로 인해 소정 간격의 여유 공차를 갖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에서 단차부가 형성된 회전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가 도어와 본체 사이에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다.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in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have clearance gap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due to the stepped portion, and FIG. 8 illustrates a rotating member in which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hin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in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hinge assembly is installed between a door and a main body.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김치저장고 및 힌지조립체 등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힌지조립체의 회전부재 상에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kimchi storage and the hinge assemb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except that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of the hinge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면 및 본 발명에 따른 도면을 같이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이기로 한다.Therefo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essary par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the same par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s the prior art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t's paste.
본 발명이 적용되는 김치저장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방된 투입 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저장실(40) 및 기계실(미도시)이 형성된 본체(10)와, 저장실(4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상부 후면에 장착된 힌지조립체(30)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도어(20)를 갖는다.Kimchi stora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ure 4, the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단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원통형 하부힌지수용부(11)를 갖고, 상기 도어(20)의 일측에는 하부힌지수용부(11)와 서로 맞물려 힌지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원통형 상부힌지수용부(21;21a,21b)를 갖는다.And,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2,12)사이에 수용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3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힌지수용부(11)에 일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재(31)의 양단에 각각 경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상부힌지수용부(21;21a,21b)에 수용되어 도어(20) 회전 시 고정부재(31)의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 측으로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32,32')와, 이 한 쌍의 회전부재(32,32')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회 전부재(32,32')가 고정부재(31)에 대해 이동할 때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3,33')와, 상기 탄성부재(33,33'), 회전부재(32,32') 및 고정부재(31)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축(34)을 갖는다.Here,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3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31), 회전부재(32,32'), 탄성부재(33,33') 및 고정축(34) 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음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in the description of the
다만, 본 발명은 상기 힌지조립체(30)를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 (21,11)사이에 설치할 때,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a,11)에 각각 수용된 상기 회부재(32)와 고정부재(31) 사이에 여유 공차를 갖도록 하여 반대쪽 상대물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조립체(30)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음으로,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31)와 회전부재(32,32') 사이를 최대한 밀착시켰을 때, 상기 고정부재(31)의 피동부(31d,31'd)에 삽입되는 상기 회전부재(32,32')의 회동부(32a,32'a) 사이에 소정 간격의 여유 공차가 생길 수 있도록 회전부재(32,32')의 회동부(32a,32'a) 상에 단차부(32e,32'e)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se contact with the driven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32)의 회동부(32a)와 몸체부(32b) 사이에 회동부(32a) 보다 직경이 크고 몸체부(32b) 보다는 직경이 작은 단차부(32e)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이때, 상기 회전부재(32)의 회동부(32a)는 상기 고정부재(31)의 피동부(31d) 에 삽입 가능하지만 상기 단차부(32e)는 고정부재(31)의 피동부(31d) 속으로 삽입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단차부(32e)는 상기 고정부재(31)의 피동부(31d) 보다 직경이 더 크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단차부(32e)는 그 길이가 상기 고정부재(31)와 회전부재(32, 32') 사이에서 3㎜ 이내의 길이로 여유 공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는 종래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와 회전부재(32)가 상기 상부 및 하부힌지수용부(21a,11)에 수용될 때, 오조립 혹은 사출물의 수축에 의한 설치위치 편차가 대략 1~2㎜ 정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단차부(32e)가 상기와 같은 설치위치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여유 공차만을 확보하면 반대편 상대물에 대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가 하부힌지수용부(11)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재(32,32')가 상부힌지수용부(21; 21a,21b)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32,32')가 상기 고정부재(31) 쪽으로 최대한 밀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차부(32e,32'e)로 인해 여유 공차가 생겨 상기 회전부재(32,32')가 하부힌지수용부(11)와 접촉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역시 상기 고정부재(31)가 상기 상부힌지수용부(21;21a,21b)와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반대쪽 상대물에 대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9, the fixing
그리고, 3㎜이내의 여유 공차를 갖는 단차부(32e,32'e)로 인해 전술한 바 있는 오 조립 혹은 사출물의 수축에 의한 1~2㎜정도의 설치위치 편차는 충분히 해소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due to the stepp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힌지조립체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최대한 고정부재 쪽으로 이동 밀착될 때 소정의 간격(여유 공차)을 가질 수 있는 단차부를 회전부재 상에 마련함으로써, 힌지조립체가 본체 및 도어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힌지수용부에 본체의 일측면을 통해 끼움 삽입되어 설치될 때, 정확한 조립 위치에 설치되지 못하고 조립 위치에서 약간의 편차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차부로 인해 회전부재가 하부힌지수용부에 대한 간섭, 혹은 고정부재가 상부힌지수용부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 개폐에 따른 원활한 힌지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inge assembly composed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the step is provided on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rotating member can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free allowance) when the rotating member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hinge assembly is inserted and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main body and the door, the hinge assembly may not be installed at the correct assembly position but is installed with a slight deviation from the assembly position. Due to the step, the rotating memb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 hinge receptacle or the fixing memb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pper hinge receptacle, so that the hinge can be smoothly opened and closed. There is.
즉,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및 도어에 형성되는 상/하부힌지수용부가 사출물로 성형 제작될 때, 사출물의 수축으로 인해 설계된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도 상기 힌지조립체의 단차구조를 통해 상대물에 대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조립 위치 편차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힌지조립체의 설치 시 상대물에 대한 간섭으로 인한 잘못 조립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hing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door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even if the length of the hinge assembly is shorter than the designed length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hinge assembly to interfere with the counterpart Since the deviation of the assembly position can be eliminated so as not to cau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problem that can be incorrectly assembled due to interference to the counterpart when installing the conventional hinge assembly.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2269A KR100567805B1 (en) | 2003-09-05 | 2003-09-05 | Hinge Assemblies for Kimchi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2269A KR100567805B1 (en) | 2003-09-05 | 2003-09-05 | Hinge Assemblies for Kimchi Stor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4987A KR20050024987A (en) | 2005-03-11 |
KR100567805B1 true KR100567805B1 (en) | 2006-04-05 |
Family
ID=3723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22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7805B1 (en) | 2003-09-05 | 2003-09-05 | Hinge Assemblies for Kimchi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780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9415U (en) * | 1996-11-27 | 1998-08-17 | 양재신 | Hood hinge of car |
KR19980062998U (en) * | 1997-04-10 | 1998-11-16 | 배순훈 | Hing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
KR200266486Y1 (en) * | 2001-12-05 | 2002-02-28 | 정진호 | Hinge |
KR20020083257A (en) * | 2001-04-26 | 2002-11-02 | 대우전자주식회사 | Device for door hinge of the kimchi freeger |
-
2003
- 2003-09-05 KR KR1020030062269A patent/KR1005678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9415U (en) * | 1996-11-27 | 1998-08-17 | 양재신 | Hood hinge of car |
KR19980062998U (en) * | 1997-04-10 | 1998-11-16 | 배순훈 | Hing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
KR20020083257A (en) * | 2001-04-26 | 2002-11-02 | 대우전자주식회사 | Device for door hinge of the kimchi freeger |
KR200266486Y1 (en) * | 2001-12-05 | 2002-02-28 | 정진호 | Hin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4987A (en) | 2005-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28596B2 (en) | 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door | |
US7008032B2 (en) |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 |
US7555815B2 (en) | Door hinge arrangement | |
CN112595011A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KR20160062861A (en) | Refrigerator | |
KR20200132608A (en) | Refrigrator | |
KR101504347B1 (en) | Structure of a door hinge of a refrigerator and its assembling method and refrigerator | |
CN214892059U (en) | a refrigerator | |
KR20180013459A (en) | Refrigerator and Basket Assembly | |
KR102516827B1 (en) | Refrigerator | |
KR20190086844A (en) | Refrigerator | |
KR100567805B1 (en) | Hinge Assemblies for Kimchi Storage | |
US11460238B2 (en) | Refrigerator | |
KR102522055B1 (en) | refrigerator | |
KR20130026325A (en) | Refrigerator | |
US20230288129A1 (en) | Refrigerator | |
US12270596B2 (en) | Refrigerator | |
KR100820890B1 (en) | Door step prevention structure of Kimchi storage | |
KR100688943B1 (en) | Storage hinge | |
KR100570299B1 (en) | Hinge Structure of Kimchi Storage | |
CN100523679C (en) | Hinge assembly for door connection of pickle storing box | |
KR100592949B1 (en) | Kimchi Refrigerator | |
KR20020083257A (en) | Device for door hinge of the kimchi freeger | |
KR100217405B1 (en) | Middle hinge of door for refrigerator | |
KR100495508B1 (en) | Coupling Part Structure of Door at Kim-Chi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