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7567B1 -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67B1
KR100567567B1 KR1020037008464A KR20037008464A KR100567567B1 KR 100567567 B1 KR100567567 B1 KR 100567567B1 KR 1020037008464 A KR1020037008464 A KR 1020037008464A KR 20037008464 A KR20037008464 A KR 20037008464A KR 100567567 B1 KR100567567 B1 KR 10056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hield
main pipe
leg
shield
sid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751A (ko
Inventor
오츠보마모루
다나카쥰
야마구치마사아키
다카다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6Leg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 앞부분에 부착되어서, 시트상의 승무원의 다리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레그 실드의 구조로서, 차체 프레임(F)에 그 메인 파이프(2)의 옆쪽을 커버하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를 고정하고, 이것에 레그 실드(Ls)를 부착하고, 레그 실드(Ls)는 앞벽부분(20a)과 뒷벽부분(20b)으로 횡단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그 실드 본체(20)의 개방 안쪽면에 인너 실드(21)를 고정하여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레그 실드에 입체감을 가지게 하여 의장적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강성을 높이고, 더욱 레그 실드의 도장을 쉽게 하고, 게다가 레그 실드의 차체 프레임에의 부착상태의 외관상의 겉모양도 좋게 한다.
또한, 레그 실드(Ls)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서 떼어낸 상태에서 자동이륜차를 사용할 경우에도, 그 외관상의 겉모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LEG SHIELD STRUCTURE OF MOTORBIKE}
본 발명은,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의 앞부분 양쪽에 부착되어서, 시트상의 자리에 앉는 승무원의 다리부분을 커버하도록 한 레그 실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쿠터형 등의 자동이륜차에서는, 주행중에 승무원의 다리부분에 비(雨)나 바람이 직접 맞는 것을 막기 위하여, 차체 프레임의 앞부분 양쪽에, 승무원의 다리부분을 커버하는 레그 실드를 부착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10-16851호의 공보 참조).
그런데, 종래의 레그 실드는, 합성수지판, 금속판 등의 판부재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소기(所期)의 강도를 유지시키고, 또 차체 프레임의 부착부분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등, 그 기능상의 요구에 따라, 레그 실드 자체가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오히려 외관상(外觀上)의 형상(形狀)에 제약을 받게 되어, 의장적인 미관(美觀)을 구비한 외관의 형상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기울이지 않는 실정(實情)이므로, 외관상 소망(所望)하는 형상으로 설계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복잡한 형상인 것은 도장(塗裝)하기 어려우며, 특히, 레그 실드의 승무원과 대면(對面)하는 뒷면(상기 공지의 것에서는, V자 형상으로 깊게 들어가 있음)에 그 경향이 크게 되어, 비용이 비싸게 되고, 더욱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다른 문제도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자동이륜차는, 지역이나 계절 등에 따라 레그 실드를 떼어내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 종래의 자동이륜차에서는, 레그 실드의 차체에의 설치와 떼어내기가 번거롭고, 또, 레그 실드를 떼어냈을 때에, 자동이륜차의 차체에 틈이 생겨, 그 틈으로 내부가 보이게 되어, 외관상의 겉모양을 나쁘게 한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레그 실드를 복잡한 형상으로 하지 않더라도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외관상 소망하는 형상, 특히 입체적인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전체로서 의장적 효과를 높이고, 또 도장하기 쉽게 하고, 게다가, 레그 실드의 붙이고 떼기가 용이하여, 그 레그 실드를 떼어냈을 경우에, 외관상의 겉모양을 손상하지 않도록 한, 신규한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차체 프레임의 앞부분 양쪽에 부착되어서 시트상의 자리에 앉는 승무원의 다리부분을 커버하는 레그 실드의 구조로서, 레그 실드는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앞벽부분과, 이 앞벽부분의 뒷부분에서 내측으로 절곡(折曲)해서 차체 프레임을 향하여 승무원의 다리부분이 대면(對面)하도록 연장하는 뒷벽부분을 적어도 가지고 내측면을 개방한 레그 실드 본체와 이 레그 실드 본체의 개방 내측면에 고착되는 별체의 인너 실드)에 의해 중공(中空)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그 실드는 차체 프레임의 메인 파이프의 옆쪽을 커버하는 메인 파이프(main pipe) 사이드 커버(side cover)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함과 동시에, 레그 실드 본체와 인너 실드 및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는 서로 연결되었으며,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레그 실드를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소기의 강성(剛性)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입체감을 나타내어서 외관상의 겉모양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도장이 용이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승무원과 대면하는 뒷벽부분은 승무원쪽에서 보아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레그 실드를 입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승무원의 다리부분의 자유스러운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고, 외관상의 경쾌감을 나타낼 수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그 실드를 조립한 다음에, 그 메인 파이프의 옆면에 대면하는 내측이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레그 실드의 차체 프레임에의 부착하기가 용이해지고, 그 부착부분이 외부에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외관상의 겉모양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그 실드의 상부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는 동시에, 그 레그 실드 상(上)가장자리부분은 프론트 톱 커버(front top cover)의 끝가장자리부분에 맞닿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레그 실드 상(上)가장자리부분과 프론트 톱 커버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서, 외관상의 겉모양이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특징에 의하면, 프론트 톱 커버의 좌우 양쪽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에 끼워넣어 지지되고, 또한, 그 앞면은 헤드 파이프에 고정되고, 바스켓의 부착용 지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프론트 톱 커버는 좌우의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그 폭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위치 규제할 수 있고, 또한, 바스켓의 부착용 지주에 의해 지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지지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그 부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톱 커버의 양쪽 내면에는 리브편(rib片)이 일체로 돌출되고, 이 리브편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 앞가장자리부분과 서로 겹쳐 있어, 상기 레그 실드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프론트 톱 커버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의 틈으로, 그것들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레그 실드를 떼에 내고, 그 자동이륜차를 사용할 경우에도 외관상의 겉모양이 좋다.
도 1∼1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 레그 실드 구조를 구비한 자동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레그 실드를 포함하는 앞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 레그 실드, 톱 커버 및 언더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
도 8은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 9A, 9B 및 9C는 레그 실드의 측면도, 전면도 및 표면도,
도 10A 및 10B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의 측면도 및 전면도,
도 11A 및 11B는 인너 실드의 측면도 및 전면도,
도 12A, 12B 및 12C는 언더 커버의 측면도, 전면도 및 표면도,
도 13∼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3은 레그 실드를 부착했을 경우의 자동이륜차의 앞부분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14-14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5는 레그 실드를 떼어냈을 경우의 자동이륜차의 앞부분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17-17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18-18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19 화살방향의 확대 부분도,
도 20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 톱 커버, 및 언더 커버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관한 레그 실드 구조를 소형의 자동이륜차에 실시했을 경우의 일실시예이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 하」 「좌, 우」 및 「전, 후」는 자동이륜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우선, 도 1∼1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 및 도 7, 8에 있어서, 자동이륜차의 골격(骨格)이 되는 차체 프레임(F)은 앞부분 프레임(Ff)과 뒷부분 프레임(Fr)을 일체로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앞부분 프레임(Ff)은 헤드 파이프(1)와, 거기에서 후방으로 하향(下向)되게 일체로 연장되는 메인 파이프(2)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파이프(1)에는 통상과 같이, 하단에 전륜(前輪)(Wf)을 축걸침한 프론트 포크(3)가 조향(操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프론트 포크(3)의 상단에는 조향핸들(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파이프(1)의 하단 및 이 메인 파이프(1)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5)의 하단에는 엔진 유닛(Eu)이 매달아 지지되어 있다.
상기 뒷부분 프레임(Fr)은 리어 파이프(10)와, 그 상방의 두갈래 형상의 시트 레일(seat rail)(11)로 구성되어 있다. 리어 파이프(10)는 그 전단(前端)이 앞부분 프레임(Ff)의 후단(後端)에 일체로 연결된 후에 상승시키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시트 레일(11)은 리어 파이프(10)의 상방을 후방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시트 레일(11) 앞부분은 크로스(cross) 파이프(12)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그 후단은 테일(tail) 프레임(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트 레일(11)상에는 승무원이 앉는 시트(S)를 기복(起伏)이 가능하게 탑재(搭載)된다.
상기 엔진 유닛(Eu)의 뒷부분에는 스윙 암(swing arm)(15)이 상하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축받이 되고, 이 스윙 암(15)의 후단에는 후륜(Wr)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 되었으며, 스윙 암(15)과 후륜(後輪)(Wr)과의 사이에는 리어 쿠션(14)이 연결되어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레그 실드(Ls)의 구조 및 그 차체 프레임(F)에의 부착구조를 도 1∼4 및 도 9A∼9C, 11A,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우 한쌍의 레그 실드(Ls)는 차체 프레임(F)의 앞부분 좌우에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를 통하여 대칭적으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좌우의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후에 상세히 기술함)는 차체 프레임(F)의 앞부분 양옆쪽을 커버하도록 각각 그 전후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뒷쪽의 상하부분이 연결볼트(31)에 의해 차체 프레임(F)의 옆쪽에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브래킷(30)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참조).
좌우 한쌍의 레그 실드(Ls)는 같은 구조이므로, 이하에 그 한쪽, 즉 왼쪽의 레그 실드(Ls)의 구조를 도 1∼4 및 6∼11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 레그 실드(Ls)는 경질(硬質)의 합성수지제이며, 레그 실드 본체(20)와, 이것에 일체로 고정되는 인너 실드(21)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고, 횡단면이 삼각형의 중공(中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그 실드(LS)의 주체부분을 구성하는 레그 실드 본체(20)는 차체 프레임(F)에 대하여, 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앞벽부분(20a)과, 이 앞벽부분(20a)의 뒷부분에서 내측으로 대략 45°로 절곡(折曲)해서 차체 프레임(F)을 향하여, 승무원의 다리부분(Le)에 대면하도록 연장하는 뒷벽부분(20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그 실드 본체(20)의 횡단면 형상은 그 선단쪽이 차체 프레임(F)의 바깥쪽을 향하고, 또한, 개방쪽이 차체 프레임(F)을 향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레그 실드 본체(20)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서 점차 선단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차체 프레임(F)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후퇴하고 있다. 또한, 레그 실드 본체(20)의 뒷벽부분(20b)의 가까운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부착 보스(20c)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것들의 부착 보스(20c)는, 차체 프레임(F)을 향하여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것들의 단부는 후술하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비스(b)로서 고정된다(도 3, 4 참조). 또한, 레그 실드 본체(20)의 앞벽부분(20a)의 앞끝(前端) 가까이의 내면에도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2부착 보스(20d)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들의 제2부착 보스(20d)는 차체 프레임(F)을 향하여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상기 제1부착 보스(20c)보다도 짧다}, 이것들의 제2부착 보스(20d)의 단부는 후술하는 인너 실드(21){레그 실드(Ls)의 일부를 구성}에 비스(b)로서 고정된다 (도 3, 4 참조).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그 실드 본체(20)의 앞벽부분(20a)은 외측을 향하여 볼록의 매끈한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며, 또한, 그 뒷벽부분(20b)의 승무원의 다리부분(Le)에 대면하는 내면은 전방을 향하여 오목한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무원의 다리부분(Le)의 자유스러운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뒷벽부분(20b)의 자유단(自由端) 가장자리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외측면에 약간 틈이 존재하여 대면하고 있다.
상기 레그 실드 본체(20)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되어서, 레그 실드(Ls)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너 실드(21)는, 레그 실드(Ls)와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제이며, 도 3, 6 및 11A,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그 실드 본체(20)의 개방 전반부를 커버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너 실드(21)는 그 앞가장자리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앞부분 부착구멍(21a)이 열지어 설치되고, 또한, 그 뒷가장자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뒷부분 부착구멍(21b)이 열지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너 실드(21)는 앞부분 부착구멍(21a)을 비스(b)에 의해 상기 제2부착 보스(20d)에 나사 맞춤하므로서, 레그 실드 본체(20)의 개방 내측면의 전반부(前半部)에 고정된다. 또한, 인너 실드(21)의 뒷가장자리부분은, 뒷부분 부착구멍(21b)을 가지고, 비스(b)에 의해, 후술의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그 실드 본체(20)에 인너 실드(21)를 고정되게 첫 조립된 레그 실드(Ls)는, 차체 프레임(F)의 메인 파이프(2)에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를 통해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레그 실드(Ls)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형성되어서, 특히 이것을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소기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입체감을 상기시켜서 외관상의 겉모양을 높이고, 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이륜차는, 이 레그 실드(Ls)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裝着)해서 사용되는 외에, 이 레그 실드(Ls)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도 2, 3 및 10A,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는, 차체 프레임(F)의 메인 파이프(2)의 옆쪽을 커버하도록, 차체 프레임(F)의 옆쪽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그 앞가장자리부는 상기 인너 실드(21)의 뒷가장자리부분에 따르도록, 그 앞부분에서 뒷부분을 향하여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면에 형성되어서, 거기에 복수의 부착 보스(22a)가 열지어 설치되고, 이것들의 부착 보스(22a)에, 비스(b)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인너 실드(21)의 뒷가장자리부분이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된다.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중간부에는 부착구멍(22b)이 상하에 간격을 두고 천설(穿設)되었으며, 이것들의 부착구멍(22b)을 비스(b)에 의해 제1부착 보스(20c)에 고정되었으므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레그 실드 본체(20)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상(上)가장자리부분은 볼록한 곡면(曲面)으로 형성되어, 거기에 프론트 톱 커버(23)가 고정되고, 또,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뒷가장자리는 메인 파이프(2) 상면에 잇따라 오목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뒷가장자리에 메인 파이프 톱 커버(2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프론트 톱 커버(23) 및 메인 파이프 톱 커버(2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종래의 공지된 것과 바뀌지 아니하였으므 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뒷가장자리부분의 상부 및 후단부에는 차체 프레임(F)에의 부착구멍(22c)이 천설되고, 이들 부착구멍(22c)에 의하여 비스(b)로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F)의 메인 파이프(2)의 측면의 브래킷(30)에 고정된다. 또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언더 커버(25)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22d, 22e)이 천설된다.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하(下)가장자리부분에는 언더 커버(25)가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이 언더 커버(25)는 엔진 유닛(Eu)의 앞부분을 커버하도록 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부착해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레그 실드(Ls) 및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2A, 12B 및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더 커버(25)는, 뒷면이 개방(開放)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쪽 외측면(25a)은 그 앞부분에서 뒷부분을 향하여 차체 프레임(F)에 대하여 점차 끝쪽이 퍼진 형상으로 넓게 열려 있고, 그것들의 외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언더 커버(25)는 그 상가장자리의 부착편(25b, 25c)을 개재하여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하단의 부착구멍(22d, 22e)에 비스(b)로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 2 참조).
또한, 도 1, 2에 있어서, E는 엔진 유닛(Eu)의 엔진 본체, AC는 에어 크리너, CB는 카뷰레터이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13∼20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이들 도면중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제2실시예는, 차체 프레임(F)으로부터 레그 실드(Ls)를 떼어내어도 자동이륜차 자체의 외관상의 겉모양을 갖출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레그 실드(Ls)를 떼어낸 상태에서 프론트 톱 커버(23)와 메인 파이프 톱 커버(22)의 틈으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더욱이 헤드 파이프의 전방에 설치되는 바스켓(37)의 부착용 스테이(36)에 프론트 톱 커버(23)가 지지된다.
도 14,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톱 커버(23)의 좌, 우 양쪽의 끝가장자리부분(23a)의 이면(裏面)에는, 후방을 향하여 리브편(23b)이 일체로 연장되고, 그 끝가장자리부분(23a)과 리브편(23b)으로 후방을 개방(開放)하는 횡단면 V자 형상의 공극부(空隙部)(d)가 형성되어, 이들 공극부(d)에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앞가장자리부분(22f)이 삽입되고, 그 앞가장자리부분(22f)은 상기 리브편(23b)과 전후방향으로 겹쳐 있으며, 또 그 앞모서리부분(22f)은 프론트 톱 커버(22)의 끝모서리부분(23a)과도 겹쳐져 있다. 따라서, 도 15,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그 실드(Ls)를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도, 프론트 톱 커버(23)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틈으로부터 그것들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이륜차는 레그 실드(Ls)를 떼어낸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외관상의 겉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실드(Ls)를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부착했을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레그 실드(Ls) 상(上)가장자리 근방에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한 제3부착 보스(20e)가, 비스(b)로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레그 실드(Ls)의 상가장자리부분(e)은 프론트 톱 커버(23)의 끝가장자리부분(23a)의 뒷면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레그 실드(Ls)는 전방에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실드(Ls)의 상가장자리부분(e)과 프론트 톱 커버(23)의 끝가장자리부분(23a)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일이 없어 외관상 겉모양이 좋다.
도 17,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브래킷(35) 전단면에는 T자 형상의 스테이(36)가 고정되었으며, 이 스테이(36)에 프론트 톱 커버(23)의 전방에 위치하는 바스켓(37)이 그 프론트 톱 커버(23)를 끼워서 고정되게 지지된다. 즉, 바스켓(37)의 배면(10)에 일체로 설치한 복수의 보스부(37a)에 삽통(揷通)한 부착나사(38)는 프론트 톱 커버(23)를 관통하여, 상기 스테이(23)에 나사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톱 커버(23)는 바스켓(37)의 부착 스테이(36)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그 부착구조가 간소화 됨과 동시에 그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상부 좌우 양쪽에는 뒤집어 꺾은 부분(22g)이 각각 형성되었으며, 각 뒤접어 꺾은 부분(22g)에는 끼워넣는 구멍(22h)이 천설되고, 좌우의 끼워넣는 구멍(22h)에는, 프론트 톱 커버(23)의 상부 내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끼워넣는 편(23c)이 끼워넣어져서, 이것에 의해 프론트 톱 커버(23)의 상부 양쪽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끼워넣는 구멍(22h)에 끼워넣어 지지된다. 따라서, 프론트 톱 커버(23)의 좌우 양쪽은 좌우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끼워넣는 구멍(22h)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그 폭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위치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뒤집어 꺾은 부분(22g)은, 프론트 톱 커버(23)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으며, 이 뒤집어 꺾은 부분(22g)과, 프론트 톱 커버(23)의 끝가장자리부분(23a)과는 옆쪽에서 보아 서로 겹쳐져 있으므로, 레그 실드(Ls)를 떼어내어도 그들간(間)의 틈을 통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그 실드를 레그 실드 본체와 인너 실드로 구성하였지만, 이것을 레그 실드 본체만으로 구성해도 좋고, 그 경우는, 레그 실드 본체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그 실드 본체는 그 앞벽부분과 뒷벽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그것들을 별체로 형성해도 좋고,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너 실드의 앞뒤부분은, 레그 실드 본체 및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에 비스로 체결하고 있지만, 그것들의 한쪽을 클로(claw)와 맞물림 구멍을 맞물림으로 하고, 다른쪽을 비스로 체결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레그 실드는 중공(中空)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그 중공내부를 물건을 넣어두는 곳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 그 출입구는 외부에서 보기 어려운 곳, 예를 들면 그 뒷벽부분에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7)

  1. 차체 프레임(F)의 앞부분 양쪽에 부착되어서 시트(S)상의 자리에 앉는 승무원의 다리부분을 커버하는 레그 실드의 구조에 있어서,
    레그 실드(Ls)는 차체 프레임(F)에 대하여, 그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앞벽부분(20a)과, 이 앞벽부분(20a)의 뒷부분에서 내측으로 절곡해서 차체 프레임(F)을 향하여 승무원의 다리부분에 대면하도록 뻗는 뒷벽부분(20b)을 적어도 가지고 내측면을 개방한 레그 실드 본체(20)와 이 레그 실드 본체(20)의 개방 내측면에 고착되는 인너 실드(21)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그 실드(Ls)는, 차체 프레임(F)의 메인 파이프(2)의 옆쪽을 커버하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함과 동시에 레그 실드 본체(20)와 인너 실드(21) 및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 본체(20)의 승무원과 대면하는 뒷벽부분(20b)은, 승무원쪽에서 보아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Ls)를 첫 조립한 다음, 그 메인 파이프(2)의 측면에 대면하는 내측이,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실드(Ls)의 상부는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상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그 레그 실드(Ls)의 상가장자리부분(e)은 프론트 톱 커버(23)의 끝가장자리부분(23a)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톱 커버(23)의 좌우 양쪽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에 끼워넣어서 지지되고, 또, 그 앞면은 헤드 파이프(1)에 고정되는 바스켓(37)의 부착용 스테이(36)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톱 커버(23)의 양쪽 내면에는, 리브편(23b)이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그 리브편(23b)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앞가장자리부분(22f)과 서로 겹쳐져 있어, 상기 레그 실드(Ls)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프론트 톱 커버(23)와 메인 파이프 사이드 커버(22)의 틈으로부터, 그것들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KR1020037008464A 2001-01-09 2001-10-01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67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1321 2001-01-09
JP2001001321 2001-01-09
PCT/JP2001/008636 WO2002055368A1 (fr) 2001-01-09 2001-10-01 Structure de protection de jambe de moto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751A KR20030066751A (ko) 2003-08-09
KR100567567B1 true KR100567567B1 (ko) 2006-04-05

Family

ID=1886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4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7567B1 (ko) 2001-01-09 2001-10-01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3585907B2 (ko)
KR (1) KR100567567B1 (ko)
CN (1) CN1291883C (ko)
BR (1) BR0116720B1 (ko)
GR (1) GR1004680B (ko)
MY (1) MY135163A (ko)
TW (1) TW568852B (ko)
WO (1) WO2002055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7038C (zh) * 2004-09-14 2008-12-31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前面板与遮膝罩的结合装置
JP5118523B2 (ja) * 2007-05-30 2013-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レッグシールド構造
JP2011079337A (ja) * 2008-01-18 2011-04-21 Yamaha Motor Co Ltd 車体カバーおよび鞍乗型車両
KR101005277B1 (ko) * 2008-07-08 2011-01-04 조기영 홀더에 착탈 가능한 obu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484A (en) * 1989-04-06 1990-10-23 Buell Motor Company, Inc. Motorcycle fairing
JP2920932B2 (ja) * 1989-04-19 1999-07-19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のフロントカバー装置
JP3175219B2 (ja) * 1991-08-21 2001-06-11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ーの車体前部構造
JP3084851B2 (ja) * 1991-11-22 2000-09-04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のフロントカバー
JP3451388B2 (ja) * 1996-07-05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1004680B (en) 2004-09-27
CN1291883C (zh) 2006-12-27
WO2002055368A1 (fr) 2002-07-18
JP3585907B2 (ja) 2004-11-10
BR0116720B1 (pt) 2010-06-01
JPWO2002055368A1 (ja) 2004-05-13
TW568852B (en) 2004-01-01
GR20010100608A (el) 2002-11-13
KR20030066751A (ko) 2003-08-09
BR0116720A (pt) 2003-12-23
MY135163A (en) 2008-02-29
CN1556762A (zh)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3503C (en) Vehicle rear grip structure
US7007998B2 (en) Motorcycle
EP2289738B1 (en) Motorcycle tail light device
JP2008195241A (ja) カウリング付き車両
JP4527015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カバー取付構造
JP5953096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JP5460526B2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JP4092134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フロントウインカ取付け構造
JP5658882B2 (ja) 自動二輪車の後部構造
KR100567567B1 (ko)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구조
JP484855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外装構造
JP5852502B2 (ja) 鞍乗り型車両
WO2018134737A1 (en) Side cover assembly for a motorcycle
JP2007030526A (ja) 自動二輪車
JP3838015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6773715B2 (ja) 鞍乗り型車両
KR100572120B1 (ko) 자동이륜차의 레그 실드 및 언더 커버의 구조
JP4839025B2 (ja) 自動二輪車
ITTO970403A1 (it) Struttura di fissaggio di copertura posteriore per uno scooter
JP3743442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4129998B2 (ja) 自動二輪車のメーター配線構造
JP2007001494A (ja) 自動二輪車のタンクカバー取付構造
JPH07137677A (ja) 自動二輪車のサイドカバー
JPH03136986A (ja) 自動2輪車のラジエタ装置
JPH07106710B2 (ja)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カ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