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653B1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6653B1 KR100566653B1 KR1020050084314A KR20050084314A KR100566653B1 KR 100566653 B1 KR100566653 B1 KR 100566653B1 KR 1020050084314 A KR1020050084314 A KR 1020050084314A KR 20050084314 A KR20050084314 A KR 20050084314A KR 100566653 B1 KR100566653 B1 KR 100566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sc beam
- plate
- continuous
- psc
- st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437 continuou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상ㆍ하부플랜지(12, 14) 및 복부(16)로 이루어지는 PSC빔(10)과; 상기 PSC빔(10)의 양측단부의 중앙부에 주인장 강선(22)을 고정하도록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된 주인장 정착구(20)와; 상기 PSC빔(10)의 양측면에 일정한 폭과 너비로 돌출 설치되며 각 모서리에 쐐기형상의 돌출부(32)가 형성된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과; 상기 PSC빔(10)의 상부플랜지(12)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PSC빔(10)의 연속화를 위해 설치되면서 표면에 전단연결재(42)가 용접 부착된 연속화 연결강판(40)과; 상기 연속화 연결강판(40)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고장력볼트(52) 체결로 고정 설치된 연속화 연결덮개 강판(50)과; 상기 PSC빔(10)의 하부플랜지(12)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 전단연결재(62)가 용접 부착된 솔플레이트(60)로 구성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 구조에 있어서,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PSC빔(10)의 양단부쪽 양측면에 돌출 설치되되, 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상단부에 연속화를 위하여 상하로 각각 설치되면서 연속화 강선(72) 및 연속화 유지관리용 강선(74)이 고정 설치된 연속화 정착구(76) 및 연속화 유지관리용 정착구(78)와; 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하단부에 설치되면서 중앙부 유지관리용 강선(80)이 고정 설치된 PSC빔(10)의 중앙부 유지관리용 정착구(82)와; 상기 중앙부 유지관리용 정착구(82)의 바로 아래에 고정 설치되면서 2차 인장 강선(84)이 고정 설치된 2차 인장 정착구(86)로 구성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철근콘크리트구조, 강구조, 강합성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 형식으로 구성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PSC빔(10)의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착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그 단면형상이 마름모꼴,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평행사면형, 등각사다리꼴, 등변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며,상기 솔플레이트(60)는 일측의 PSC빔(10)과 타측의 PSC빔(10)의 하부플랜지(14) 배면에 걸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솔플레이트(60)의 아래에 교좌장치(90)가 고정 설치되며,상기 솔플레이트(60)는 일측의 PSC빔(10)과 타측의 PSC빔(10)의 하부플랜지(14) 배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일측의 PSC빔(10)의 솔플레이트(60)와 타측의 PSC빔(10)의 솔플레이트(60)를 서로 연결 고정하도록 솔플레이트 연결강판(64)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솔플레이트 연결강판(64)의 아래에 각각에 교좌장치(90)가 고정 설치되며,상기 솔플레이트(60)는 전체적으로 L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전단연결재(62)가 용접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솔플레이트(60)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수평판(61a)과 상기 수평판(61a)에 직각으로 꺾여 올려짐과 동시에 수평판(61a)의 폭에 비해 확장 형성되는 확장폭을 갖는 수평판(61b)으로 구성되며,상기 솔플레이트 연결강판(64)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판(65)과; 상기 수평판(65)의 중앙이 일정한 폭과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66)와; 상기 돌출부(66)상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한 쌍이 용접 설치되는 수직판(67)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판(65)과 돌출부(66) 및 수직판(67)에 각각 전단연결재(68)가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PSC빔(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근을 조립하는 단계(Ⅰ); 상기 조립된 철근 빔의 양측면에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을 부착하고, 주형의 양단부 소정위치에 주인장 정착구(20)를 설치하면서 주인장 강선(22)을 연결하고, 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상단부에 연속화를 위하여 상하로 연속화 정착구(76)와 연속화 유지관리용 정착구(78)를 설치하면서 연속화 강선(72) 및 연속화 유지관리용 강선(74)을 연결하고, 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하단부에 중앙부 유지관리용 정착구(82)와 2차 인장 정착구(86)를 설치하면서, 상기 중앙부 유지관리용 강선(80)과 2차 인장 강선(84)을 연결하고, PSC빔(10)의 상부플랜지(12)의 일측단부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연속화 연결강판(40)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PSC빔(10)을 제작하고 1차 인장하는 단계(Ⅱ); 상기 제작된 PSC빔(10)을 교각(100) 및 교대(110)에 설치하고 중앙의 교각(100)에서는 인접하여 설치된 PSC빔(10)과 PSC빔(10)의 연결을 위해 상부플랜지(12) 내에 설치된 연속화 연결강판(40)을 연속화 연결덮개 강판(50)과 고장력볼트(52)로 연결하여 연속화 연결부(120)를 설치하는 단계(Ⅲ); 상기 연속화 연결부(120)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서 상기 PSC빔(10)과 PSC빔(10)의 측면에서 서로 접하는 부분은 에폭시를 주입하거나 무수축모르타르를 충전하여 밀착시켜 마감하는 단계(Ⅳ); 상기 PSC빔(10)의 양측면에 부착된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상단부내에 있는 연속화 정착구(76)에 연결된 연속화 강선(72)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PSC빔(10)의 연속화 1차 긴장을 한 후에 PSC빔(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Ⅴ); 상기 슬래브 형성 후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하단부에 있는 2차 인장 정착구(86)에 연결된 2차 인장 강선(84)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PSC빔(10)의 2차 긴장을 하는 단계(Ⅵ); 연속화 유지관리용 정착구(78)에 연결된 연속화 유지관리용 강선(74)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연속화 2차 인장을 하는 단계(Ⅶ)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 방법에 있어서,상기 슬래브 형성후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하단부내에 있는 중앙부 유지관리용 정착구(82)에서는 공용중 야기될 수 있는 주형의 처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중앙부 유지관리용 강선(80)을 삽입 후, 상기 중앙부 유지관리용 강선(80)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PSC빔(10)을 긴장하는 단계를 추가하며,상기 PSC빔(10)은 프리플렉스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스틸플레이트빔, 스틸박스빔, 강재콘크리트 합성빔 중 어느 하나의 구조형식으로 이루어지며,상기 조립된 PSC빔(10)은 상ㆍ하부플랜지(12, 14) 및 복부(16)로 이루어지는 PSC빔(10)과; 상기 PSC빔(10)의 양측단부의 중앙부에 주인장 강선(22)을 고정하도록 다수 개가 고정 설치된 주인장 정착구(20)와; 상기 PSC빔(10)의 양측면에 일정한 폭과 너비로 돌출 설치되며 각 모서리에 쐐기형상의 돌출부(32)가 형성된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과; 상기 PSC빔(10)의 상부플랜지(12) 일측단에 일정한 크기의 단위 PSC빔(10)의 연속화를 위해 설치되면서 표면에 전단연결재(42)가 용접 부착된 연속화 연결강판(40)과; 상기 연속화 연결강판(40)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고장력볼트(52) 체결로 고정 설치된 연속화 연결덮개 강판(50)과; 상기 PSC빔(10)의 하부플랜지(12)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 전단연결재(62)가 용접 부착된 솔플레이트(60)로 구성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PSC빔(10)의 양단부쪽 양측면에 돌출 설치되되, 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상단부에 연속화를 위하여 상하로 각각 설치되면서 연속화 강선(72) 및 연속화 유지관리용 강선(74)이 고정 설치된 연속화 정착구(76) 및 연속화 유지관리용 정착구(78)와; 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의 하단부에 설치되면서 중앙부 유지관리용 강선(80)이 고정 설치된 PSC빔(10)의 중앙부 유지관리용 정착구(82)와; 상기 중앙부 유지관리용 정착구(82)의 바로 아래에 고정 설치되면서 2차 인장 강선(84)이 고정 설치된 2차 인장 정착구(86)로 구성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철근콘크리트구조, 강구조, 강합성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 형식으로 구성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PSC빔(10)의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부착되며,상기 다목적 외부돌출 정착블록(30)은 그 단면형상이 마름모꼴,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평행사면형, 등각사다리꼴, 등변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며,상기 솔플레이트(60)는 일측의 PSC빔(10)과 타측의 PSC빔(10)의 하부플랜지(14) 배면에 걸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솔플레이트(60)의 아래에 교좌장치(90)가 고정 설치되며,상기 솔플레이트(60)는 일측의 PSC빔(10)과 타측의 PSC빔(10)의 하부플랜지(14) 배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일측의 PSC빔(10)의 솔플레이트(60)와 타측의 PSC빔(10)의 솔플레이트(60)를 서로 연결 고정하도록 솔플레이트 연결강판(64)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솔플레이트 연결강판(64)의 아래에 각각에 교좌장치(90)가 고정 설치되며,상기 솔플레이트(60)는 전체적으로 L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전단연결재(62)가 용접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솔플레이트(60)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수평판(61a)과 상기 수평판(61a)에 직각으로 꺾여 올려짐과 동시에 수평판(61a)의 폭에 비해 확장 형성되는 확장폭을 갖는 수평판(61b)으로 구성되며,상기 솔플레이트 연결강판(64)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판(65)과; 상기 수평판(65)의 중앙이 일정한 폭과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66)와; 상기 돌출부(66)상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한 쌍이 용접 설치되는 수직판(67)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판(65)과 돌출부(66) 및 수직판(67)에 각각 전단연결재(68)가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4314A KR100566653B1 (ko) | 2005-09-09 | 2005-09-09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4314A KR100566653B1 (ko) | 2005-09-09 | 2005-09-09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66653B1 true KR100566653B1 (ko) | 2006-03-31 |
Family
ID=3718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4314A Active KR100566653B1 (ko) | 2005-09-09 | 2005-09-09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665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252B1 (ko) * | 2007-06-20 | 2010-01-15 | 주식회사 에스유건설 |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
KR100946739B1 (ko) | 2007-08-28 | 2010-03-11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
KR101131969B1 (ko) * | 2008-03-20 | 2012-03-29 | 함영남 | 피에스씨(psc) i형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교량의다경간 연속화 공법 |
KR101578637B1 (ko) * | 2015-06-02 | 2015-12-17 | 김영주 | 연속 합성거더교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 합성거더교의 시공 방법 |
-
2005
- 2005-09-09 KR KR1020050084314A patent/KR100566653B1/ko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252B1 (ko) * | 2007-06-20 | 2010-01-15 | 주식회사 에스유건설 |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
KR100946739B1 (ko) | 2007-08-28 | 2010-03-11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
KR101131969B1 (ko) * | 2008-03-20 | 2012-03-29 | 함영남 | 피에스씨(psc) i형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교량의다경간 연속화 공법 |
KR101578637B1 (ko) * | 2015-06-02 | 2015-12-17 | 김영주 | 연속 합성거더교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 합성거더교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5048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 |
US5457839A (en) | Bridge deck system | |
KR101860512B1 (ko) | 일체형 거푸집 모듈을 이용한 지상 및 수중 구조물의 단면 증설 보강 공법 | |
KR101934874B1 (ko) |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823448B1 (ko) | 면진성이 향상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연속화 구조 및 그 공법 | |
KR20100025161A (ko) |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0405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
KR100566653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 |
KR100899713B1 (ko) | 프리캐스트 아치-덱을 이용한 강합성 거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549046B1 (ko) | 솔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중간지점부 연속화 방법 | |
KR20010000430A (ko) | 노출된 정착 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 |
KR100665877B1 (ko) | 2차 인장 겸용 연속화 보강강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빔의 상면에서 2차 인장 및 지점부 연속화 방법 | |
US20050210793A1 (en) | Load supporting structure | |
KR100555251B1 (ko) | 다목적 인장이 가능한 측면돌출 정착블록이 정착된 주형과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480471B1 (ko) | 허니컴 거더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연속화연결구조 및 연속화 방법 | |
KR20100023214A (ko) | 다경간 단순교의 바닥판 연속부 | |
KR20100022703A (ko) | Gfrp 소재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 |
KR101765846B1 (ko) | 강합성라멘교, 그 제작 및 시공방법 | |
KR100761732B1 (ko) |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 |
KR100616533B1 (ko) |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 | |
KR100662814B1 (ko) | 중공관이 내장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거더 및 그의연속화 공법 | |
KR100225536B1 (ko) |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278091Y1 (ko) |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 |
JP2003064621A (ja) |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 |
KR102575432B1 (ko) | 부분 강합성 박스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9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20 End annual number: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