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5879B1 -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단자들의 전위들을 균등화하기 위한 전위 균등화 수단을 갖는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 - Google Patents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단자들의 전위들을 균등화하기 위한 전위 균등화 수단을 갖는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879B1
KR100565879B1 KR1019997004574A KR19997004574A KR100565879B1 KR 100565879 B1 KR100565879 B1 KR 100565879B1 KR 1019997004574 A KR1019997004574 A KR 1019997004574A KR 19997004574 A KR19997004574 A KR 19997004574A KR 100565879 B1 KR100565879 B1 KR 10056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ata carrier
circuit
potential
usefu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106A (ko
Inventor
드린저페터
에바울프강
베르저도미니크조세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6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8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urther communication means being a galvanic interface, e.g. hybrid or mixed smart cards having a contact and a non-contact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접촉-결합 모드(contact-bound mode) 및 비접촉 모드(contactless mode)에서 동작될 수 있는 데이터 캐리어(1)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는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여러 회로 부분들을 위한 공급 전압(VDD)을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HF)로부터 얻기 위한 공급 전압 발생 수단(35), 및 이에 더하여 각각의 전송 접촉(17, 19)에 각각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접촉 단자들(17A, 19A)을 동일한 전위(접지)로 될 수 있게 하는 전위 균등화 수단(94)을 갖는다.
균등화 수단, 접촉 단자, 이중 모드 데이터 캐리어, 전송 코일, 접촉-결합 모드

Description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단자들의 전위들을 균등화하기 위한 전위 균등화 수단을 갖는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Dual-mode data carrier and circuit for such a data carrier with potential equalizing means for equalizing the potentials of at least two contact terminals}
본 발명은, 접촉-결합 모드 및 비접촉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데이터 캐리어로서, 이하에 지정된 수단들, 즉 둘 모두 상기 데이터 캐리어의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전송 접촉 및 다른 전송 접촉과, 상기 데이터 캐리어의 외부로부터 유도적으로(inductively)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 캐리어의 비접촉 모드에서 유용한 HF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코일과, 상기 하나의 전송 접촉에 접속된 접촉 단자를 가지고, 상기 다른 전송 접촉에 접속된 다른 접촉 단자를 가지며,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가 인가될 수 있고 인가된 유용한 HF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 캐리어의 회로의 여러 회로 부분들에 대한 공급 전압이 도출될 수 있는 공급 전압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접촉-결합 모드 및 비접촉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로서, 이하에 지정된 수단들, 즉 둘 모두 상기 데이터 캐리어의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전송 접촉들에 접속되도록 적응되는 접촉 단자 및 다른 접촉 단자와, 데이터 캐리어의 외부로부터 유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전송 코일에 접속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회로의 비접촉 모드에서 유용한 HF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코일 단자들과,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가 인가될 수 있고 인가된 유용한 HF 신호로부터 상기 회로의 여러 회로 부분들에 대한 공급 전압이 도출될 수 있는 공급 전압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단락에 정의된 유형의 데이터 캐리어 및 두 번째 단락에 정의된 유형의 회로는 예를 들어, 문헌 WO 96/38814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에 관해, 특히 상기 문헌의 도 4에 도시되고 대응하는 설명에 기재된 공지되어 있는 데이터 캐리어를 참조한다. 이러한 공지된 데이터 캐리어와 만나게 되는 문제점은 데이터 캐리어의 비접촉 모드에서 - 공급 전압 발생 수단의 도움으로 데이터 캐리어의 여러 회로 부분들에 대한 공급 전압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 - 그 발생된 공급 전압에 의해 야기된 전위차(potential difference)가 데이터 캐리어의 비접촉 모드에서 요구되지 않는 두 개의 전송 접촉들 사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위차는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들에서 허용할 수 없는 높은 값에 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예를 들어 사용자 손의 손가락의 반지 또는 동전과 같은 전기전도성 물체가 두 전송 접촉들과 전기전도성 접촉이 되는 경우, 결과적으로 단락 회로가 발생하여 위에 언급된 전위차가 감소하도록 야기하고, 그 결과, 그 발생된 공급 전압은 적어도 매우 강하게 영향을 받게 되며 심지어는 전체적으로 파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간단한 방식과 최소한의 수단의 도움으로, 개선된 데이터 캐리어 및 개선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첫 번째 단락에 정의된 유형의 데이터 캐리어에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회로는 유용한 HF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전위 균등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은 상기 HF 신호의 검출시 2개의 접촉 단자들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위를 인가하고, HF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이한 전위들을 가능케 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데이터 캐리어의 비접촉 모드에서 두 전송 접촉들 간에 어떠한 전위차도 발생할 수 없음이 항상 보증되며, 사실상 단지 접촉-결합 모드에서만 능동적으로 요구되므로, 심지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가 비접촉 모드에서 활성이면서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으로 들어온 경우조차 어떠한 안전성 문제도 발생할 수 없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가 단지 최소의 비용으로 달성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측정법들은 전기전도성 물체가 적어도 두 개의 전송 접촉들과 전기전도성 접촉을 하는 경우에서 조차 어떠한 단락 회로도 구성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비접촉 모드에서의 공급 전압 발생 수단의 도움으로 발생된 공급 전압이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없음을 보장한다.
독립 청구항 1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에서, 이에 더하여 종속 청구항 2항에 정의된 방법들이 취해지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것은 회로의 간단한 구현 측면에서 유리하며, 특히 회로가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될 때 유리하다.
독립 청구항 1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에서, 이에 더하여 종속 청구항 3항에 정의된 방법들을 취해지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것은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전송 접촉들 및 접촉 단자들이 동일한 전위로 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떠한 전위차도 두 전송 접촉들 간에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의 특히 높은 신뢰성에 대해 유리하다는 것이다. 종속 청구항 3항에 정의된 방법이 종속 청구항 2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두 번째 단락에 정의된 유형의 회로는 전위 균등화 수단으로서, 충분히 강력한 유용한 HF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하나의 전송 접촉에 접속되도록 적응된 상기 접촉 단자 및 상기 다른 전송 접촉에 접속되도록 적응된 상기 다른 접촉 단자가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위가 될 수 있고, 공급 전압이 상기 공급 전압 발생 수단에 의해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독립 청구항 1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에 대해 앞서 기재된 이점들에 대응하는 이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대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회로 변형들은 종속 청구항들 5항과 6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변형들이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의 유리한 변형들에 대해 앞서 기재된 이점들에 대응하는 이점들을 산출하며, 이 변형들은 종속 청구항들 2항과 3항에 정의된 종속 청구항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다.
전술한 양상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도 이후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들로부터 예의 방식으로 명백해질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되고 예의 방식으로 제공된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두 가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 및 이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의 관련 부분을 블록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캐리어 및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들 및 정보에 대한 진리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캐리어 및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들 및 정보에 대한 또 다른 진리표.
도 4는 도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 및 이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캐리어 및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들 및 정보에 대한 진리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캐리어(1) 및 그 데이터 캐리어(1)용의 회로(1A)의 일부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이 경우, 데이터 캐리어(1)는 소위 콤비 카드(combi-card)이다. 회로(1A)는 집적 회로이다. 데이터 캐리어(1) 및 그의 회로(1A)는 소위 접촉-결합 모드 및 소위 비접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데이터 캐리어(1), 즉 이의 회로(1A)는 마이크로컴퓨터(2)를 포함하며, 이는 복수의 기능들 및 작업들을 수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2)는 특히 이것이 수신하거나 공급하는 데이터의 처리의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컴퓨터(2)는 공급 전위(VDD 또는 VCC)를 수신하기 위한 전위 단자(3)와, 클록 신호(CLK1 또는 CLK2)를 수신하기 위한 클록 신호 단자(4)와, 모드-설정 정보(KBEI 또는 KLEI)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단자(5)와, 접촉-결합 모드가 활성일 때 유용한 데이터(D-KB)를 직렬로 수신하고 직렬로 공급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포트(6),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비접촉 모드가 활성일 때 유용한 데이터(D-KL)의 병렬 수신 및 병렬 공급의 역할을 하는 제 2 데이터 포트(7)와, 비접촉 모드에서 유용한 데이터(D-KL)뿐만 아니라 접촉-결합 모드에서 유용한 데이터(D-KB)를 공급하고 수신하기 위한 제 3 데이터 포트(8)를 갖는다.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 3 데이터 포트(8)에 접속되는 것은 작업 메모리를 형성하는 RAM(10), 프로그램 메모리를 형성하는 ROM(11), 및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형성하는 EEPROM(12)을 포함하는 메모리 수단(9)이다. 메모리 수단(9)은 공급 전위(VDD 또는 VCC)를 수신하기 위한 전위 단자(13) 및 유용한 데이터(D-KB 또는 D-KL)를 수신하고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포트(14)를 갖는다. 데이터 포트(14)는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 3 데이터 포트(8)에 접속된다.
데이터 캐리어(1)는 기본적으로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접촉-결합 모드에서 캐리어에 의해 수신된 유용한 데이터(D-KB)를 처리하고 이어서 이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9)에 저장하거나, 유용한 데이터(D-KB)를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메모리 수단(9)으로부터 읽어 이 데이터를 데이터 캐리어(1)와 협동하는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더구나, 데이터 캐리어(1)는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에 의해 공급되고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비접촉 모드에서 데이터 캐리어(1)에 유도적으로 전송된 유용한 데이터(D-KL)를 처리하고 이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9)에 저장하거나,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메모리 수단(9)으로부터 유용한 데이터(D-KL)를 읽어 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로 유도적으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캐리어(1)는 본 경우에 전체적으로 8개의 전송 접촉들(16, 17, 18, 19, 20, 21, 22, 23)을 포함하는 접촉 어레이(15)를 갖는다. 본 경우에 이들 8개의 전송 접촉들(16 내지 23)은 도 1에 단지 도식적으로 보인 평탄한 모양의 접촉 패드들로 형성된다. 접촉 패드들로 형성된 전송 접촉들(16 내지 23)은 데이터 캐리어(1)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액세스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것은 이들 전송 접촉들(16 내지 23)이 데이터 캐리어(1)가 이러한 전송/수신 장치로 유도될 때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의 쌍이 되는 접촉(mating contact)과 관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촉 어레이(15)는 데이터 캐리어(1)의 접촉-결합 모드에서 클록 신호(CLK1)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전송 접촉(16)을 갖는다. 접촉 어레이(15)는 접촉-결합 모드에서 제 1 공급 전위(VCC)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전송 접촉(17)을 더 갖는다. 접촉 어레이(15)는 접촉-결합 모드에서 본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전위인 제 2 공급 전위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3 전송 접촉(18)을 더 갖는다. 접촉 어레이(15)는 유용한 데이터(D-KB)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 4 전송 접촉(19)을 더 갖는다. 즉 이 접촉을 통해서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에 의해 공급된 유용한 데이터(D-KB)는 데이터 캐리어(1)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 접촉을 통해서 데이터 캐리어(1)에 의해 공급된 유용한 데이터(D-KB)는 전송/수신 장치에 인가될 수 있다. 접촉 어레이(15)는 리셋 신호(RST)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5 전송 접촉(20)을 더 갖는다. 이러한 리셋 신호의 사용 및 효과는 본 맥락에서 관련이 없으므로 도 1을 참조하여 더 이상 다루지 않는다. 접촉 어레이(15)는 제 6 전송 접촉(21), 제 7 전송 접촉(22) 및 제 8 전송 접촉(23)을 더 갖는다. 이들 3개의 전송 접촉들(21, 22, 23)은 자유로우며, 즉, 본 데이터 캐리어(1)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제 1 전송 접촉(16)은 회로(1A)의 제 1 접촉 단자(16A)에 접속되며, 이 단자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클록 신호선(24)에 접속되며, 이를 통해 클록 신호(CLK1)는 제 1 전송 접촉(16) 및 제 1 접촉 단자(16A)를 통해 공급되어 제어 가능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의 제 1 입력 단자(25)에 인가될 수 있다.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은 공급 전위(VDD 또는 VCC)를 수신하는 전위 단자(99) 및 출력(27)을 갖고 있으며, 이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2)의 클록 신호 단자(4)에 접속되며, 이 출력을 통해서 클록 신호(CLK1) 및 다른 클록 신호(CLK2)가 마이크로컴퓨터(2)에 인가될 수 있다. 제어되기 위해서, 제어 가능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은 제어 입력(68)을 갖고 있고, 이에 모드 설정 정보(KBEI 또는 KLEI)가 인가될 수 있다.
제 2 전송 접촉(17)은 회로(1A)의 제 2 접촉 단자(17A)에 접속되며, 이 단자는 제 1 전기적 도통 전위선(28)에 접속되며, 이를 통해서 제 1 공급 전위(VCC)는 데이터 캐리어(1), 즉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캐리어(1)의 회로(1A)의 여러 회로부에 인가될 수 있다.
제 3 전송 접촉(18)은 회로(1A)의 제 3 접촉 단자(18A)에 접속되며, 이 단자는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29)에 접속되며, 이를 통해서 접지 전위는 데이터 캐리어(1), 즉 도면을 명료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캐리어(1)의 회로(1A)의 여러 회로부에 인가될 수 있다.
제 4 전송 접촉(19)은 회로(1A)의 제 4 접촉 단자(19A)에 접속되며, 이 단자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데이터선(30)에 접속되며, 이를 통해서 제 4 접촉 단자(19A)는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 1 데이터 포트(6)에 접속되며, 그 결과로 데이터 캐리어(1) 즉 회로(1A)가 접촉-결합 모드에서 활성화될 때 유용한 데이터(D-KB)는 상기 데이터선(30)을 통해서 제 4 전송 접촉(19)과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 1 데이터 포트(6)간에 전달될 수 있다.
접촉 어레이(15)의 전송 접촉(16 내지 23)에 관하여, 데이터 캐리어(1) 즉 회로(1A)의 비접촉 모드에서 데이터 캐리어(1)의 회로(1A)에서 발생된 공급 전위(VDD)의 결과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접촉 및 하나의 다른 전송 접촉에 전위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전위는 예를 들면 전송 접촉을 활성화하는 구동기단과 같은 것으로 데이터 캐리어(1) 외부로부터 영향 받을 수 있는 내부의 회로부들을 통해 발생된다. 소정 전위값, 즉 공급 전위(VDD)의 전위값의 d.c. 전위는 또한 제 4 전송 접촉(19)에 나타날 수 있다. 특별한 구성 및 조치가 없다면 데이터 캐리어(1)는 상이한 전위값들이 여러 접촉부에 나타날 수 있어 그 결과로 예를 들면 2개의 전송 접촉(17, 18) 또는 2개의 전송 접촉(19, 28)과 같이 여러 접촉부를 동전이나 어떤 다른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물체로 대면 상이한 전위값의 단락회로로 되는 문제가 있게 되고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는 상기 언급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수단을 구비하였으며, 이를 이하 상세히 기술한다.
데이터 캐리어(1)는 데이터 캐리어(1)에 결합된 전송 코일(31)을 더 갖고 있고, 이 코일은 데이터 캐리어(1) 외부로부터 유도적으로 액세스될 수 있으며 데이터 캐리어(1)의 비접촉 모드에서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로부터 유용한 HF 신호(HF)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용한 HF 신호(HF)는 데이터 캐리어(1)가 이러한 전송/수신 장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데이터 캐리어(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접촉 어레이(15)를 통한 접촉-결합 모드 통신 가능성에 더하여 전송 코일(15)은 유도적 방법에 의해 데이터 캐리어(1)와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 간에 통신 가능성을 또한 제공한다.
데이터 캐리어(1)의 전송 코일(31)은 2개의 코일 단부(32, 33)를 갖는다. 2개의 코일 단부(32, 33)는 데이터 캐리어(1)의 회로(1A)의 2개의 코일 단자(32A, 33A)에 접속되며, 이 코일 단자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처리 수단(34)에 접속된다.
처리 수단(34)은 공급 전압 발생 수단으로서 정류기 수단(35), 전달 수단(36), 클록 신호 재생 수단(clock signal regenerating means; 37), 복조기 수단(38) 및 변조기 수단(39)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언급된 수단(35 내지 39)은 코일 단자(32A, 33A)에 접속되며, 결국 코일 단부(32, 33)를 통해 전송 코일(31)에 접속된다. 처리 수단(34)은 공급 전위(VCC 또는 VDD)가 인가될 수 있는 전위 단자(40)를 갖는다. 전위 단자(40)에 인가되는 공급 전위(VCC 또는 VDD)는 도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단(35 내지 39)에 공급될 수 있다. 전위 단자(40)는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41)에 접속된다.
정류기 수단(35)은 전송 코일(31)로부터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HF)를 정류하는데 사용된다. 정류기 수단(35)이 유용한 HF신호(HF)를 수신할 때 정류기 수단(35)은 공급 전압, 따라서 제 2 공급 전위(VDD)를 발생하며, 이 전위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선(42)을 통해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41)에 인가된다.
전달 수단(36)은 전송 코일(31)에 의해 수신되어 전달 수단(36)에 인가되는 유용한 HF신호(HF)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전달 수단(36)은 이들에 인가된 유용한 HF신호를 또 다른 전기적 도통선(43)에 공급한다.
클록 신호 재생 수단(37)은 클록 신호(CLK2)를 재생하는데 사용되며, 이 클록 신호 재생 수단(37)은 이를, 전송 코일(31)에 의해 수신되고 클록 신호 재생 수단(37)에 인가되는 유용한 HF신호(HF)로부터 얻는다. 클록 신호 재생 수단(37)은 상기 수단에 의해 재생된 클록 신호(CLK2)를 다른 전기적 도통선(44)에 공급하며, 이 선은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의 제 2 입력 단자(45)에 이어져 있어, 재생된 클록 신호(CLK2)는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을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2)의 클록 신호 단자(4)에 인가될 수 있다.
복조기 수단(38)은 전송 코일(31)에 의해 수신되고 이 코일로부터 복조기 수단(38)에 인가되는 유용한 HF신호(HF)를 복조하는데 사용되며 이와 같이 복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복조기 수단(38)은 변조로서 수신된 유용한 HF신호(HF)에 의해 전달된 유용한 데이터(D-KL)를 수신된 유용한 HF신호(HF)로부터 얻을 수 있게 한다. 복조기 수단(38)은 얻은 유용한 데이터(D-KL)를 다른 전기적 도통선(45)에 공급한다.
변조기 수단(39)은 유용한 데이터(D-KL)를 변조하며, 이 데이터는 다른 전기적 도통선(36)을 통해 변조기 수단(39)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들이 변조된 후에는 유도적 전달을 위해 구성된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에 전달되도록 변조기 수단(39)으로부터 전송 코일(31)로 인가될 수 있다. 변조기 수단(39)은 인에이블 신호를 변조기 수단(39)에 인가할 수 있는 다른 전기적 도통선(48)에 접속된 제어 입력(47)을 갖는다.
전기적 도통선(45, 46, 48)은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의 단자(49, 50, 51)에 접속된다.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은 전위 단자(53)를 갖고 있고, 이를 통해 공급 전위(VCC 또는 VDD)는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에 인가될 수 있다.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은 모드 설정 정보(KBEI 또는 KLEI)가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에 인가될 수 있는 제어 입력(54)을 더 갖는다.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은 제 1 양방향 직렬 데이터선(56)을 통해 데이터 처리 수단(58)의 제 1 직렬 데이터 포트(57)에 접속된 직렬 데이터 포트(55)를 더 갖는다.
데이터 처리 수단(58)은 하드웨어 결선된 회로 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데이터 캐리어(1)에 의해 수신된 유용한 데이터(D-KL)는 마이크로컴퓨터(2)에 인가되기 전에 처리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공급된 유용한 데이터(D-KL)는 전송 코일(31)에 의해 전달되기 전에 처리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수단(58)은 전위 단자(59)를 갖고 있고, 이에 공급 전위(VCC 또는 VDD)가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수단(58)은 또한 제 2 직렬 데이터선(61)을 통해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의 직렬 데이터 포트(62)에 접속된 제 2 직렬 데이터 포트(60)를 갖는다.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은 공급 전위(VCC 또는 VDD)가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에 인가될 수 있는 전위 단자(64)를 갖는다.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은 모드 설정 정보(KBEI 또는 KLEI)가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에 인가될 수 있는 제어 입력(65)을 더 갖는다.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은 복수의 분리된 단자를 포함하며 병렬 데이터 버스(67)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 2 데이터 포트(7)에 접속된 병렬 데이터 포트(7)를 더 갖는다. 병렬 데이터 버스(67)는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과 마이크로컴퓨터(2)간에 병렬 형태로 유용한 데이터(D-KL)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은 한편으로는 복조기 수단(38)과 변조기 수단을 분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데이터 처리 수단(58)을 분리하며, 제 2 제어 가능 분리 수단(63)은 한편으로는 데이터 처리 수단(58)을 분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를 분리한다.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 53)은 제어 가능한 분리 수단(52, 63)이 각각 분리 상태와 결합 상태 간에 스위치될 수 있도록 제어 입력(54, 65)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가능 분리 수단(52, 63)이 각각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전송 코일(2)에서 마이크로컴퓨터(2)로 그리고 최종으로 마이크로컴퓨터(2)에서 메모리 수단(9)으로 유용한 데이터(D-KL)의 데이터 전송은 복조기 수단(38), 제 1 분리 수단(52), 데이터 처리 수단(58) 및 제 2 분리 수단(63)을 통해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가능하며, 유용한 데이터(D-KL)의 데이터 전송은 메모리 수단(9)에서 전송 코일(31)로 마이크로컴퓨터(2), 제 2 분리 수단(63), 데이터 처리 수단(58), 제 1 분리 수단(52) 및 변조기 수단(39)을 통해 가능하다.
데이터 캐리어(1), 즉 이의 회로(1A)는 입력 단자(70)가 전기적 도통선(43)에 접속되어 이에 따라 전달 수단(36)과 a.c. 검출 수단(69)간에 전기적 도통 접속을 제공하는 a.c. 검출 수단(69)을 포함한다. a.c. 검출 수단(69)은 공급 전위(VCC 또는 VDD)가 a.c. 검출 수단(69)에 인가될 수 있는 전위 단자(71)를 갖는다. a.c. 검출 수단(69)은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HF)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처리에서 이러한 유용한 HF신호(HF)의 존재를 검출하였을 때 a.c. 검출 수단(69)은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의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에 의해 데이터 캐리어(1) 즉 이의 회로(1A)의 비접촉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a.c. 검출 수단(69)은 제 1 공급 전위(VCC)로 활성화되었을 때와 제 2 공급 전위(VDD)로 활성화되었을 때 수신된 유용한 HF신호(HF)의 존재의 검출을 행함에 유의해야 한다. 즉, 이것은 a.c. 검출 수단은 제 1 공급 전위(VCC)와 제 2 공급 전위(VDD)간을 구별을 할 수 없다는 것, 즉 2개의 공급 전위(VCC, VDD)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 또는 검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조합 검출 수단(73)을 또한 이점을 갖고 포함한다.
본 경우에 조합 검출 수단(73)은 회로(1A)의 제 1 접촉 단자(16A)에, 따라서 전기적 도통선(24)을 통해 데이터 캐리어(1)의 제 1 전송 접촉(16)에 접속된 제 1 클록 신호 검출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전기적 도통선(24)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제 1 입력 단자(74)로 이어진다. 조합 검출 수단(73), 즉 클록 신호 검출 수단을 이루는 이들의 일부분은 제 1 전송 접촉(16) 및 제 1 접촉 단자(16A)를 통해 수신된 클록 신호(CLK1)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검출 처리에서 이러한 클록 신호(CLK1)의 존재를 검출하였을 때, 조합 검출 수단(73)은 접촉-결합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조합 검출 수단(73)은 회로(1A)의 제 2 접촉 단자(17A) 및 제 1 전기적 도통 전위선(28)을 통해 데이터 캐리어(1)의 제 2 전송 접촉(17)에 접속된 공급 전위 검출 수단을 형성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합 검출 수단(73)은 제 1 전기적 도통 전위선(28)을 통해 제 2 접촉 단자(17A) 및 제 2 전송 접촉(17)에 접속된 전위 단자(75)를 갖고 있어 제 1 공급 전위(VCC)는 조합 검출 수단(73)에 인가되어 상기 수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조합 검출 수단(73)은 전위 입력 단자(100)를 갖고 있고, 이것은 식별 또는 검출 입력을 구성하며 전위선(28)에도 접속되어 있어, 제 1 공급 전위(VCC)는 식별 또는 검출 목적의 조합 검출 수단(73)에 인가될 수 있다. 조합 검출 수단(73), 즉 공급 전위 검출 수단을 형성하는 부분은 수신된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검출 처리에서 이러한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를 검출하였을 때 조합 검출 수단(73)은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의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경우, 조합 검출 수단(73)은 검출 처리에서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공급은 클록 신호(CLK1)의 존재 및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를 동시에 검출한 경우에만 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는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76)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의 데이터 캐리어(1)에서 조합 검출 수단(73)은 본 경우 소위 래치에 의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형성된 메모리 수단(77)과 함께 협력한다. 메모리 수단(77)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76)에 접속된 입력(78)을 갖는다. 메모리 수단(77)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제 2 입력 단자(80)에 접속된 출력(79)을 갖는다. 검출 처리 동안 조합 검출 수단(73)에 의해 공급된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는 메모리 수단(77)에 의해 저장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검출 처리 동안, 이전의 검출 처리에서 조합 검출 수단(73)에 의해 공급되어 메모리 수단(77)에 저장된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메모리 수단(77)은 전위 단자(81)를 갖고 있고 이를 통해 제 1 공급 전위(VCC)는 메모리 수단(77)에 인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에서 조합 검출 수단(73)은 더욱이, 이전의 검출 처리에서 공급되어 메모리 수단(77)에 저장된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는 제 2 입력 단자(80)를 통해 조합 검출 수단(73)에 인가될 수 있다. 수신된 클록 신호(CLK1)에서 빠져도 이어서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 및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 처리 동안, 조합 검출 수단(73)은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공급을 유지한다.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논리 수단(82)을 더 포함한다. 논리 수단(82)은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41)으로부터 논리 수단(82)에 공급 전위(VCC 또는 VDD)가 인가될 수 있는 전위 단자(83)를 갖는다. 논리 수단(82)은 제 1 입력 단자(84), 제 2 입력 단자(85), 제 1 출력 단자(86) 및 제 2 출력 단자(87)를 더 갖는다. 논리 수단(82)의 제 1 입력 단자(85)는 다른 전기적 도통선(88)을 통해 a.c. 검출 수단(69)의 출력(72)에 접속되어 있어, 비접촉 모드 활성화 정보(KLAI)가 논리 수단(82)에 인가될 수 있다. 제 2 입력 단자(85)는 다른 전기적 도통선(89)을 통해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어, 접촉-결합 모드 활성화 정보(KBAI)를 논리 수단(82)에 인가할 수 있다.
논리 수단(82)은 단지 비접촉 모드 활성화 정보(KLAI)만이 발생한다면 논리 수단이 상기 활성화 정보에 관련된 접촉-결합 설정 정보(KBEI)를 공급하며, 단지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만이 발생한다면 논리 수단은 상기 활성화 정보에 관련된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를 공급하며, 동시에 두 형태의 활성화 정보(KLAI, KBAI)가 발생한다면 논리 수단은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에 대해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결국 관련된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 및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는 논리 수단(82)의 제 1 출력 단자(86)를 통해 공급된다. 논리 수단(82)의 제 1 출력 단자(86)는 다른 전기적 도통선(90)에 접속되며, 이를 통해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 및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는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여러 가지 회로부에 제어 정보로서 공급될 수 있다.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에 의해서 데이터 캐리어(1)의 접촉-결합 모드가 선택되고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에 의해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비접촉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데이터 캐리어(1)에서 제 2 전송 접촉(17) 및 상기 전송 접촉에 접속되는 회로(1A)의 제 2 접촉 단자(17A)는 이 제 2 전송 접촉(17) 및 제 2 접촉 단자(17A)에 관련된 제어 가능 스위칭 수단(91)에 접속되며, 이 스위칭 수단은 공급 전압 발생 수단, 즉 정류기 수단(35)에 의해 발생된 공급 전압의 결과로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 2 공급 전위(VDD)가 제 2 전송 접촉(17) 및 제 2 접촉 단자(17A)에 인가되는 것을 금지시킬 수 있다. 본 경우에 제어 가능 스위칭 수단(91)은 제 2 전송 접촉(17) 및 제 2 접촉 단자(17A)와 직렬로 배열되어 있고 고 임피던스와 저 임피던스 스위칭 상태 간에 스위치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칭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 가능 스위칭 수단(91)은 다른 전기적 도통선(93)을 통해 논리 수단(82)의 제 2 출력 단자(87)에 접속된 제어 입력(92)을 갖는다.
전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비접촉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는 논리 수단(82)의 제 1 입력 단자(84)를 통해 이 논리 수단(82)에 인가될 수 있다. 접촉-결합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는 제 2 입력 단자(85)를 통해 논리 수단(82)에 인가될 수 있다.
논리 수단(82)은 이들이 스위칭 수단 제어 정보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단지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만이 발생할 때 논리 수단은 스위칭 수단 제어 정보로서 스위칭 수단 개방 정보(SAI)를 공급하며, 단지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만이 발생할 때 논리 수단은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스위칭 수단 폐쇄 정보(SEI)를 스위치 수단 제어 정보로서 공급하며, 두 형태의 활성화 정보(KLAI, KBAI)가 동시에 발생할 때 논리 수단은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에 대해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결국 관련된 스위칭 수단 폐쇄 정보(SEI)를 스위칭 수단 제어 정보로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스위칭 수단 개방 정보(SAI) 및 스위칭 수단 폐쇄 정보(SEI)는 전기적 도통선(93)을 통해 스위칭 수단(91)의 제어 입력(92)에 인가되어, 스위칭 수단 개방 정보(SAI)에 의해 스위칭 수단(91)은 공급 전위(VDD)가 제 2 전송 접촉(17) 및 제 2 접촉 단자(17A)에 인가되는 것을 금지하는 스위칭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스위칭 수단 폐쇄 정보(SEI)에 의해서는 스위칭 수단(91)은 공급 전위(VDD)가 제 2 전송 접촉(17) 및 제 2 접촉 단자(17A)에 인가되는 스위칭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공급 전위(VDD)가 제 2 접촉 단자(17A) 및 제 2 전송 접촉(17)에 인가될 수 있게 하는 스위칭 수단(91)의 스위칭 상태에서, 제 2 전송 접촉(17)으로부터 수신된 제 1 공급 전위(VCC)는 제 1 전기적 도통 전위선(28)을 통해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41)에 인가될 수 있어 그 결과로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41)을 통해 활성화되는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회로부는 제 2 공급 전위(VCC)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 이점을 갖고 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전위 균등화 수단(94)을 더 포함한다. 이들 전위 균등화 수단(94)에 의해서 제 2 전송 접촉(17)과 그 결과로서 접촉 단자(17A), 및 제 4 전송 접촉(19)과 그 결과로서 제 4 접촉 단자(18A)는 거의 동일 전위로, 본 경우에는 제 3 전송 접촉(18) 및 제 3 접촉 단자(18A)에도 또한 나타나는 접지 전위로 되게 할 수 있으며, 충분히 강력한 유용한 HF 신호(HF)가 수신되었을 때, 이로부터 공급 전압과 그 결과로서 제 2 공급 전위(VDD)는 공급 전압 발생 수단(즉 정류기 수단(35))에 의해 도출될 수 있으며, 이것은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가 비접촉 모드에 있을 때 특히 그러하다.
본 경우, 전위 균등화 수단(94)은 근본적으로 2개의 제어 가능 트랜지스터 스위치(95, 96)에 의해 형성되며, 그 각각은 제어 입력(97)을 갖고 있다. 2개의 제어 입력(97, 98) 각각은 전기적 도통선(90)에 접속되고, 이에 논리 수단은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 및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를 공급한다.
도 1의 데이터 캐리어의 변형예(별도로 도시하지 않음)에서, 접촉 어레이(15)의 8개의 모든 접촉부(16 내지 23)는 전부 8개의 제어 가능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위 균등화 수단(94)의 도움으로, 동일 전위로 될 수 있는데, 이것은 또한 접지 전위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제 2 전원 전위(VDD)와 같은 다른 전위도 될 수 있다.
이하, 접촉-결합 모드의 활성화 및 비접촉 모드의 활성화에 관하여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의 2개의 진리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진리표는 조합 검출 수단(73)에 관련된 것이다. 도 3의 진리표는 a.c. 검출 수단(69) 및 논리 수단(82)에 관계된 것이다.
도 2의 진리표의 제 1 열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제 1 입력 단자(74) 상의 클록 신호(CLK1)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이 진리표의 제 2 열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전위 단자(75)의 제 1 공급 전위(VCC)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진리표의 제 3 열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제 2 입력 단자(80)의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이 진리표의 제 4 열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76)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도 3의 진리표의 제 1 열은 a.c. 검출 수단(69)의 입력 단자(70)의 유용한 HF 신호(HF)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진리표의 제 2 열은 a.c. 검출 수단(69)의 출력(72) 및 논리 수단(82)의 제 1 입력 단자(84) 상의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진리표의 제 3 열은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76) 및 논리 수단(82)의 제 2 입력 단자(85) 상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유(1) 또는 무(0)를 나타낸다. 도 3의 진리표의 제 4 열은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0)의 존재 및 논리 수단(82)의 제 1 출력 단자(86) 상의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0)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 진리표의 제 5 열은 논리 수단(82)의 제 2 출력 단자(87) 상의 스위칭수단 개방 정보(SEI=0)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 진리표의 제 6 열은 스위칭 수단(91)의 스위칭 상태를 제공하며, "온"은 저 임피던스 상태이며, "오프"는 고 임피던스 상태이다. 도 3의 진리표의 제 7 열은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모드(MODE)를 명시하며, "비접촉"은 비접촉 모드를 나타내며, "접촉"은 접촉-결합 모드를 나타낸다.
데이터 캐리어(1)의 접촉 어레이(15)나 전송 코일(31) 어느 것도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와 통신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상황에서, 도 2 및 도 3의 2개의 진리표에서 제 1 행을 보면, 클록 신호(CLK1)나 제 1 공급 전위(VCC)나 유용한 HF신호(HF)도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에 나타나지 않는다. 제 1 공급 전위(VCC)가 없는 결과로 조합 검출 수단(73) 및 메모리 수단(77)은 활성화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단은 어떠한 정보도 공급하지 않는다. 유용한 HF신호(HF)도 없기 때문에 정류기 수단(35)은 제 2 공급 전위(VDD)를 공급하지 않으며 그 결과 a.c. 검출 수단(69) 및 논리 수단(62)은 어느 것도 활성화되지 않으며 결국 어떤 정보도 공급하지 않는다.
도 2의 제 2 행에 따라, 접촉 어레이(25)에 의해서 데이터 캐리어(1)는 이어서 데이터 캐리어와 통신 목적으로 제공된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와 통신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클록 신호(CLK1)는 제 1 전송 접촉(16)을 통해 데이터 캐리어(1)에 전달되고, 제 1 공급 전위(VCC)는 제 2 전송 접촉(17)을 통해 전달되며, 접지 전위는 제 3 전송 접촉(18)을 통해 전달되는 것으로 취해진다. 결국, 조합 검출 수단(73)은 클록 신호(CLK1)의 존재(1) 및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1)를 검출하며, 이에 의해서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76)에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가 발생(1)하게 되는데, 이것은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가 있는지(1) 아니면 없는지(0) 여부의 사실과는 무관하다.
도 2의 제 3 행에 따라, 즉 제 2 행에 따라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발생(1) 후에 이어서, 제 1 전송 접촉(16), 결국 데이터 캐리어(1)에 클록 신호(CLK1)의 공급은 접촉-결합 모드에서 올바른 통신의 경우 의도적으로 행해진 때 차단되나, 제 1 공급 전위(VCC)의 공급(1)은 계속되는 것으로 취해진다. 이 상황에서, 조합 검출 수단(73)은 클록 신호(CLK1)의 없음(0)을 검출하나 이 조합 검출 수단은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1) 및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의 존재(1)를 검출하여 그 결과 조합 검출 수단(73)은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전달을 유지한다.
도 2의 제 4 행에 따라, 클록 신호(CLK1)의 유(1) 또는 무(0)를 조합 검출 수단(73)이 검출하였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어서 조합 검출 수단(73)은 제 1 공급 전위(VCC)가 없음(0)을 검출하는 것으로, 즉 제 1 공급 전위(VCC)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취해진다. 이 경우 조합 검출 수단(73)은 이들의 제 2 입력 단자(80) 상의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의 유(1) 또는 무(0)가 검출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공급의 종료(0)를 야기함으로써 응답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제 5 행에 나타낸 상황을 기술한다. 여기서는 조합 검출 수단(73)이 이전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PRIOR-KBAI)의 없음(0)을 검출하는 것으로 취해지는데, 이것은 이전에 접촉-결합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합 검출 수단(73)이 단지 제 1 공급 전위(VCC)의 존재(1)만을 그러나 동시에 클록 신호(CLK1)가 없음(0)을 검출한다면, 이것은 (0)이 아닌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가 조합 검출 수단(73)의 출력(76)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우발적으로 터치한 결과로 제 2 전송 접촉(17)에 나타나는 의사 전압에 의해 접촉-결합 모드가 활성화될 수 없음을 의미하며, 이것은 제 1 공급 전위(VCC)를 인가하는 구실을 하여, 예를 들면 이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비접촉 모드가 접촉-결합 모드의 우발적인 활성화에 의해 차단되지 않음을 보장하기 때문에 특히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동작 설명을 계속한다. 도 3의 제 1 행은 이전에 설명한 데이터 캐리어(1)의 초기 상황을 나타내며, 여기서 데이터 캐리어(1)는 접촉 어레이(15)나 데이터 캐리어(1)의 전송 코일(31) 어느 것도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와 통신하고 있지 않다.
도 3의 제 2 행에 따라, 데이터 캐리어(1)는 데이터 캐리어(1)와 유도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전송/수신 장치의 전송/수신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취해진다. 이 경우 유용한 HF신호(HF)는 전송 코일(31)을 통해 수신된다. 유용한 HF신호(HF)는 정류기 수단(35)에 인가되며, 그 결과 정류기 수단(35)은 공급 전압 및 따라서 제 2 공급 전위(VDD)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유용한 HF신호(HF)는 제 2 공급 전위(VDD)가 아직 형성되고 있는 중에도 신뢰성 있게 유용한 HF신호(HF)의 존재(1)를 검출하도록 된 a.c. 검출 수단(69)의 입력 단자(70)에 또한 인가된다. 유용한 HF신호(HF)의 검출(1)로 a.c. 검출 수단(69)은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를 이들의 출력(72)에 공급하게 되고, 이 정보는 논리 수단(82)의 제 1 입력 단자(84)에 인가된다. 동시에, 논리 수단(82)의 제 2 입력 단자(85) 상의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없음(0)은 클록 신호(CLK1)의 없음(0)과 제 1 공급 전위(VCC)가 없음(0)의 결과로서 검출된다. 논리 수단(82)은 이의 동작 상태에서 이들이 먼저 스위칭 수단 개방 정보(SAI=1)와, 이후에 주어진 시간 간격 후,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0)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스위칭 수단(91)은 전기적 도통선(93) 및 제어 입력(92)을 통해 스위칭 수단 개방 정보(SAI=1)의 도움으로 고 임피던스 스위칭 상태로 설정되며, 이어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전기적 도통선(90)을 통해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0)의 도움으로 비접촉 모드로 설정되고, 이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0)는 전기적 도통선(90)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의 제어 단자(5)로, 제 2 분리 수단(63)의 제어 입력(65)으로,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의 제어 입력(68)으로, 제 1 분리 수단(52)의 제어 입력(54)으로, 그리고 전위 균등화 수단(94)의 트랜지스터 스위치(95, 96)의 2개의 제어 입력(97, 98)으로 전달되는 것이 달성된다. 이러한 식으로, 마이크로컴퓨터(2), 클록 신호 스위칭 수단(26), 2개의 분리 수단(52, 53), 및 전위 균등화 수단(94)은 이들의 동작 상태가 비접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도 3의 제 3 행에 따라, 데이터 캐리어(1)가 전송/수신 장치와 유도적 통신에 진입한 후에, 데이터 캐리어(1)와 전송/수신 장치 간 이러한 통신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취해진다. 이어서, 유용한 HF신호(HF)가 이 상황에서 수신되고, 이의 존재(1)는 a.c. 검출 수단(69)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결과 이들 수단은 이들의 출력(72)으로부터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가 논리 수단(82)의 제 1 입력 단자(84)에 전달(1)되게 한다. 논리 수단(82)이 이들의 제 2 입력 단자(85) 상에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가 없음(9)을 검출하는 한, 논리 수단(82)은 이어서 이들의 제 1 출력 단자(86)에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0) 및 이들의 제 2 출력 단자(87)에 스위칭 수단 개방 정보(SAI=1)를 출력한다. 결국, 스위칭 수단(91)은 이들이 고 임피던스 상태에 머무르게 되고 데이터 캐리어(1)는 비접촉 모드(비접촉)로 설정된다.
도 3의 제 4 행에 따라, 데이터 캐리어(1)는 이의 접촉 어레이(15)에 의해서 적합한 전송/수신 장치와 통신하고, 그 결과 조합 검출 수단(73)은 이들의 출력(76)에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를 생성하고, 결국 논리 수단(82)은 논리 수단(82)의 제 2 입력 단자(85)에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의 존재(1)를 검출하는 것으로 취해진다. 이 상황에서 논리 수단(82)은 논리 수단(82)의 제 1 입력 단자(84)에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의 유(1) 또는 무(0)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 논리 수단(82)은 존재할 수 있는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에 대해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따라서 이들의 제 1 출력 단자(86)에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에 관련된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1)를 출력하며, 이들의 제 2 출력 단자(87)에는 마찬가지로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에 관련된 스위칭 수단 폐쇄 정보(SEI=0)를 출력하는 식으로 응답한다. 이 결과, 스위칭 수단(91)은 이들의 저 임피던스, 턴온된 상태로 설정되며, 이 때 제 1 공급 전위(VCC)는 제 1 전기적 도통 전위선(28)을 통해 제 2 전기적 도통전위선(41) 및 턴온된 스위칭 수단(91)에 인가되며, 이것은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모든 회로부에 전위 공급을 보장하며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접촉-결합 모드(접촉)로 설정된다.
a.c. 검출 수단(69)을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조합 검출 수단(73)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정확하고 실제적으로 상호간섭에 면역이 있는 선택 및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2가지 모드, 즉 접촉-결합 모드나 비접촉 모드의 동작의 활성화에 대해 특히 고신뢰성을 보장한다. 스위칭 수단(91)의 제공으로 비접촉 모드에서 그때 발생된 공급 전위(VDD)는 접촉 어레이(15)의 제 2 전송 접촉(17)에 이를 수 없다는 이점이 또한 있다. 더욱이, 데이터 캐리어(1)에 전위 균등화 수단(94)의 제공으로 제 2 전송 접촉(17) 및 제 4 전송 접촉(19)은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의 비접촉 모드에서 접지 전위에 있고 그러므로 이들 2개의 전송 접촉(17, 19)은 비접촉 모드에서 제 3 전송 접촉(18)와 동일한 전위를 갖는 것이 보장되어, 이에 따라 이들 접촉부간 전위차의 결과로서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의 문제를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1)의 일부 및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데이터 캐리어(1)는 도 1의 데이터 캐리어(1)와 비교하여 약간 간단한 회로(1A)를 갖는다.
조합 검출 수단(73) 대신에, 도 4의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데이터 캐리어(1)에서 수신되어 전기적 도통선(24)을 통해 클록 신호 검출 수단(100)의 입력(101)에 인가되는 클록 신호(CLK1)의 존재만을 검출하도록 된 클록 신호 검출 수단(100)만을 포함한다. 도 4의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어떠한 메모리 수단(77)도 더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클록 신호 검출 수단(100)의 출력(102)에서 얻을 수 있는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는 논리 수단(82)의 제 2 입력 단자(85)에 인가될 수 있을 뿐이다.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와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간 또 다른 차이점은 도 4의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에서 스위칭 수단 대신에 제 1 전기적 도통 전위선(28)과 제 2 전기적 도통 전위선(41)간에 다이오드(103)가 포함된 점이다. 이러한 면에서, 논리 수단(82)은 단지 하나의 출력 단자(86)만을 가지며, 이에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1) 또는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1) 중 하나가 공급되고, 제 2 출력 단자는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1)에 관계된 진리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제 1 행은 도 4의 데이터 캐리어(1)의 초기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제 2 행은 유용한 HF 신호(HF)가 수신될 때의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제 2 행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는 유용한 HF 신호(HF)가 있을 때(1) a.c. 검출 수단(69)에 의해 발생되며(1), 그 결과, 논리 수단(82)은 비접촉 모드 설정 정보(KLEI=0)를 발생하고,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비접촉 모드(비접촉)로 설정된다.
도 5의 제 3 행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클록 신호 검출 수단(99)은 클록 신호(CLK1)가 수신되었을 때 클록 신호(CLK1)의 존재(1)를 검출하는데, 이로 인해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는 클록 신호 검출 수단(100)에서 논리 수단(82)으로 공급된다. 이 결과, 논리 수단(82)은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1)를 발생하여 공급하고, 이것은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가 접촉-결합 모드(접촉)로 설정되게 한다.
도 5의 제 4 행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데이터 캐리어(1)가 유용한 HF 신호(HF) 및 클록 신호(CLK1)를 수신한 경우, a.c. 검출 수단(69)은 (1) 비접촉 활성화 정보(KLAI)를 발생하며 클록 신호 검출 수단(100)은 (1)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를 발생하며, 이들 두 형태 정보 모두 논리 수단(82)에 인가된다. 그러나 본 경우에 논리 수단(82)은 도 1의 데이터 캐리어(1)의 경우와 같이(도 3의 제 4 행 참조)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KBAI)에 우선권을 부여하며, 그 결과 논리 수단(82)은 이 경우에도 이들의 출력(86)에 관련된 접촉-결합 모드 설정 정보(KBEI=1)를 출력하며 이 경우 데이터 캐리어(1) 및 회로(1A)는 접촉-결합 모드(접촉)로 설정된다.
본 발명은 예로서 지금까지 설명한 데이터 캐리어 및 이의 회로의 2가지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캐리어는 단지 하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대안으로 2개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래치 대신에 다른 메모리 형태를 조합 검출 수단과 협동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논리 수단은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에 대해 비접촉 활성화 정보에 우선권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a.c. 검출 수단은 래치와 협동하여 이전의 비접촉 활성화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저장된 비접촉 활성화 정보에 의해, 우선권을 갖는 비접촉 모드가 활성화 될 때 전송 접촉을 통해 의사 신호들(spurious signals)에 의해 비접촉 모드가 중단(disrupt)될 수 없는 것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두 데이터 캐리어에서 a.c. 검출 수단은 유용한 HF신호를 직접 검출하도록 의도되었고 구성되었다. 그러나 대안으로, 예를 들면 재생에 의해 유용한 HF신호로부터 얻은 클록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의도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유용한 HF신호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a.c. 검출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캐리어와 대비하여, 다른 데이터 캐리어는 전송 접촉을 통해 인가된 클록 신호의 존재를 검출할 목적으로만, 그리고 다른 전송 접촉을 통해 인가된 공급 전위의 존재를 검출할 목적으로 의도되어 구성된 조합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이러한 조합 검출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접촉-결합 활성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조합 검출 수단과 협동하는 메모리 수단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지금까지 기술된 데이터 캐리어들에서, 스위칭 수단 및 전위 균등화 수단 모두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에 의해 실현되나, 이들 수단은 대안으로 다이오드 스위치 또는 다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로 실현될 수 있다.

Claims (6)

  1. 접촉-결합 모드 및 비접촉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데이터 캐리어(1)로서, 이하에 지정된 수단들, 즉
    둘 모두 상기 데이터 캐리어(1)의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전송 접촉(17) 및 다른 전송 접촉(19)과,
    상기 데이터 캐리어(1)의 외부로부터 유도적으로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데이터 캐리어(1)의 비접촉 모드에서 유용한 HF 신호(HF)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코일(31)과,
    상기 하나의 전송 접촉(17)에 접속된 접촉 단자(17A)를 가지고, 상기 다른 전송 접촉(19)에 접속된 다른 접촉 단자(19A)를 가지며,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HF)가 인가될 수 있고 인가된 유용한 HF 신호(HF)로부터 상기 데이터 캐리어(1)의 회로(1A)의 여러 회로 부분들에 대한 공급 전압(VDD)이 도출될 수 있는 공급 전압 발생 수단(35)을 포함하는 회로(1A)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캐리어(1)에 있어서:
    상기 회로(1A)는 상기 유용한 HF 신호(HF)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69) 및 전위 균등화 수단(94)을 포함하고,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은 상기 HF 신호(HF)의 검출시 2개의 접촉 단자들(17A, 19A)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위를 인가하고, HF 신호(HF)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이한 전위들을 가능케 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캐리어(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스위치(95, 96)를 포함하고, 그러한 트랜지스터 스위치(95, 96) 각각은 연관된 접촉 단자(17A, 19A)가 주어진 전위가 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캐리어(1).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 접촉(16 내지 23)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접촉 단자들(16A, 17A, 18A, 19A 등)을 갖는 데이터 캐리어(1)에서, 상기 접촉 단자들(16A, 17A, 18A, 19A 등) 모두는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에 의해 동일한 전위(접지 또는 VDD)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캐리어(1).
  4. 접촉-결합 모드 및 비접촉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로서, 이하에 지정된 수단들, 즉
    둘 모두 상기 데이터 캐리어(1)의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전송 접촉들(17, 19)에 접속되도록 적응되는 접촉 단자(17A) 및 다른 접촉 단자(19A)와,
    데이터 캐리어(1)의 외부로부터 유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전송 코일(31)에 접속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회로(1A)의 비접촉 모드에서 유용한 HF 신호(HF)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코일 단자들(32A, 33A)과,
    수신된 유용한 HF 신호(HF)가 인가될 수 있고 인가된 유용한 HF 신호(HF)로부터 상기 회로(1A)의 여러 회로 부분들에 대한 공급 전압(VDD)이 도출될 수 있는 공급 전압 발생 수단(35)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에 있어서,
    상기 회로(1A)는 전위 균등화 수단(94)으로서, 충분히 강력한 유용한 HF 신호(HF)가 수신될 때 상기 하나의 전송 접촉(17)에 접속되도록 적응된 상기 접촉 단자(17A) 및 상기 다른 전송 접촉(19)에 접속되도록 적응된 상기 다른 접촉 단자(19A)가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위(접지)가 될 수 있고, 공급 전압(VDD)이 상기 공급 전압 발생 수단(35)에 의해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스위치(95, 96)를 포함하며, 그러한 트랜지스터 스위치(95, 96) 각각은 연관된 접촉 단자(17A, 19A)가 주어진 전위가 되도록 인에이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
  6.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 접촉(16 내지 23)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접촉 단자들(16A, 17A, 18A, 19A 등)을 갖는 회로(1A)에서, 상기 접촉 단자들(16A, 17A, 18A, 19A 등) 모두는 상기 전위 균등화 수단(94)에 의해 동일한 전위(접지 또는 VDD)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캐리어(1)용 회로(1A).
KR1019997004574A 1997-09-23 1998-09-03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단자들의 전위들을 균등화하기 위한 전위 균등화 수단을 갖는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565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890191.6 1997-09-23
EP97890191 1997-09-23
PCT/IB1998/001377 WO1999016017A1 (en) 1997-09-23 1998-09-03 Dual-mode data carrier and circuit for such a data carrier with potential equalizing means for equalizing the potentials of at least two contact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106A KR20000069106A (ko) 2000-11-25
KR100565879B1 true KR100565879B1 (ko) 2006-03-31

Family

ID=823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5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5879B1 (ko) 1997-09-23 1998-09-03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단자들의 전위들을 균등화하기 위한 전위 균등화 수단을 갖는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45749A (ko)
EP (1) EP0939935B1 (ko)
JP (1) JP4216347B2 (ko)
KR (1) KR100565879B1 (ko)
CN (1) CN1122941C (ko)
AT (1) ATE404939T1 (ko)
DE (1) DE69839872D1 (ko)
WO (1) WO1999016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45539T1 (de) * 1998-03-24 2006-12-15 Toshiba Kk Ic karte mit kontaktbehafteten und kontaktlosen schnittstellen
EP1141879B1 (en) * 1999-10-22 2013-08-07 Nxp B.V. Data carrier with load modulation means and with improved power supply in the process of load modulation
EP1100045A1 (de) * 1999-11-11 2001-05-16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karte mit einer Kontaktschittstelle und einer kontaktlosen Schnittstelle
JP3657178B2 (ja) * 2000-07-10 2005-06-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Icカード
US7000834B2 (en) * 2001-02-21 2006-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address security and privacy issue of the use of RFID systems to track consumer products
CN1302429C (zh) 2001-07-31 2007-02-28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包括接点阵列的数据载体
US7113547B2 (en) * 2001-08-24 2006-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er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JP2003132313A (ja) * 2001-10-24 2003-05-09 Toshiba Corp コンビカード用lsi、コンビカード及びコンビカードの使用方法
US7792759B2 (en) * 2002-07-29 2010-09-07 Emv Co. Llc Methods for performing transac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DE10311966A1 (de) * 2003-03-18 2004-12-16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karte
US20070114281A1 (en) * 2003-08-27 2007-05-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rd reader having contact and non-contact interface
KR100560768B1 (ko) * 2003-09-05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인터페이스 집적회로 카드
WO2007026291A2 (en) * 2005-09-02 2007-03-08 Nxp B.V. Data carrier with a radio frequency interface
CN100504921C (zh) 2006-06-29 2009-06-24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智能卡操作系统和方法
JP5347813B2 (ja) * 2009-08-03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5364C1 (ko) * 1989-10-24 1990-08-23 Angewandte Digital Elektronik Gmbh, 2051 Brunstorf, De
NL9101608A (nl) * 1991-09-24 1993-04-16 Nedap Nv Chipkaart met identificatiemogelijkheid op afstand.
EP1376460B1 (de) * 1995-06-02 2008-04-09 Nxp B.V. Chipkarte
JP3360002B2 (ja) * 1996-03-14 2002-12-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接触式・非接触式兼用icカード及び接触式・非接触式兼用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FR2752076B1 (fr) * 1996-08-05 1998-09-11 Inside Technologies Systeme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microcircuit a fonctionnement mixte, avec ou sans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06034A (ja) 2001-05-08
ATE404939T1 (de) 2008-08-15
WO1999016017A1 (en) 1999-04-01
JP4216347B2 (ja) 2009-01-28
DE69839872D1 (de) 2008-09-25
KR20000069106A (ko) 2000-11-25
EP0939935A1 (en) 1999-09-08
CN1244272A (zh) 2000-02-09
EP0939935B1 (en) 2008-08-13
CN1122941C (zh) 2003-10-01
US6145749A (en) 200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879B1 (ko)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단자들의 전위들을 균등화하기 위한 전위 균등화 수단을 갖는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그러한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
EP0939936B1 (en) Dual-mode data carrier and circuit for such a data carrier with improved mode change-over
KR100540857B1 (ko) 이중-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간략화된 데이터 전달 수단을 가진 상기 데이터 캐리어를 위한 회로
US7369982B2 (en) Multi-mode smart card emulator and related methods
EP1057096B1 (en) Data carrier with obscured power consumption
KR101210000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 카드
CN103748596B (zh) 利用负调制的非接触通信方法
MX2014005449A (es) Tecnicas para configurar los contactos de un conector.
KR100563755B1 (ko)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의 전위를 차단하는 이중 모드 데이터 캐리어 및 상기 데이터 캐리어용 회로
KR100390964B1 (ko) 데이터 처리 장치와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JP2000113148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カード
KR100449995B1 (ko) 전기도전성물체,특히칩카드상에서의집적회로의존재검출시스템
WO2001006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wo different types of integrated circuit cards with a single connector
EP1083517A2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terminal mode and RF mode with a digital circuit
WO2001075787A1 (en) Data carrier having a chip including means for the controllable voltage supply to a further component of the data carrier
US6760858B1 (en) Method enabling an exchange of data between a smart card and an apparatus
HK1032653A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data processing device
JPH04370891A (ja) Icカードに対するデータの書込み読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