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4944B1 -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944B1
KR100564944B1 KR1020040030319A KR20040030319A KR100564944B1 KR 100564944 B1 KR100564944 B1 KR 100564944B1 KR 1020040030319 A KR1020040030319 A KR 1020040030319A KR 20040030319 A KR20040030319 A KR 20040030319A KR 100564944 B1 KR100564944 B1 KR 10056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unit
power supply
self
supply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882A (ko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944B1/ko
Priority to US10/895,104 priority patent/US20050243484A1/en
Publication of KR2005010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9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H02H3/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im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 H02H3/33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with means to produce an artificial imbalance for other protection or monitoring reasons or remote control the main function being self testing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operativ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에 연결되어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로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누전검출부와,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누전검출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셀프 테스트 동작시 상기 누전검출부와 상기 구동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셀프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으로 누전차단기를 테스트 할 수 있으며, 리셋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ELECTRIC LEAK BREAKER FOR SELF-TEST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 2 : 부하
10 : 영상변류기 20 : 누전검출부
30 : 구동부 31 : 트립코일
32 : 사이리스터 33 : 다이오드 브리지
40 : 차단부 41 : 리셋 버튼
50 : 테스트부 51 : 테스트 버튼
100 : 셀프 테스트부 110 : 누전 발생 회로
120 : 제어부 130 : 표시장치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셀프 테 스트를 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부하에 누전이 발생할 경우 누전을 감지하여 부하에 전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구이다. 누전차단기를 이용하면, 누전으로 인한 인체의 전기적 충격 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누전 차단기는 "누설 전류를 고려한 누전 차단기" 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실용신안공보(출원번호; 20-2003-30832)에 게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전원단(1)과 부하단(2)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H, N)과,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전류차를 감지하기 위한 영상변류기(ZCT, 10)와, 누전 발생시 영상변류기(10)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증폭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누전검출부(20)와, 상기 누전검출부(20)에서 발생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기 위한 구동부(30)와, 전원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구동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 라인을 온/오프 하는 차단부(40)와, 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테스트 동작시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테스트 회로(50)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 회로(50)는 제 1 스위치(SW1)와 저항(R)으로 이루어진다. 테스트 동작시 테스트 버튼(Test, 51)을 누르면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가 발생된다. 상기 차단부(40)는 전원라인(Hotline; H)에 설치된 제 2 스위치(SW2)와 중성라인(Neutralline; N)에 설치된 제 3 스위치(SW3)로 구성되며,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 발생시 구동부(30)의 제어에 의해 오프(Off)된다.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 치는 리셋 버튼(Reset, 41)을 누르면 다시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부하 누전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전원라인(H)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부하단(2)을 거쳐 중성라인(N)으로 흐른다. 부하단(2)에 누전이 발생되면, 중성라인(N)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감소하여 전원라인(H)과 중성라인(N)을 따라 흐르는 전류량이 달라진다. 영상변류기(10)는 달라진 전류량을 감지한다. 누전검출부(20)는 영상변류기(10) 양단 사이의 전압차를 감지하여 누전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로서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구동부(30)는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차단부(40)에 있는 2 스위치(SW2) 및 제 3 스위치(SW3)를 턴-오프 시켜서, 누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들을 방지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테스트 동작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테스트 버튼(51)을 누르면 테스트 회로(50)에 있는 제 1 스위치(SW1)가 닫힌다. 제 1 스위치(SW1)가 턴-온 되면 전원라인(H)에 흐르는 전류 중의 일부는 부하단(2)을 거치지 않고 중성라인(N)으로 흐르게 되어 전원라인(H)과 중성라인(N)으로 흐르는 전류량은 달라진다. 이후 동작은 부하 누전시와 동일하며, 차단부(40)의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턴-오프 된다. 턴-오프 된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리셋 버튼(41)을 누르면 다시 턴-온 된다.
사용자는 누전차단기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을 두고 주기적으로 누전차단기를 테스트해야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차단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테스트 버튼(51)을 눌러서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테스트 동작이 완료되면 반드시 리셋 버튼(41)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동작을 수행하는, 그리고 테스트 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리셋 버튼을 누리지 않아도 되는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는, 전원단과 부하단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라인 사이의 전류차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에 연결되어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로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누전검출부와;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주기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켜서 상기 누전감지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그리고 셀프 테스트 동작시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셀프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셀프 테스트부는 부하단에 누전 발생 시에는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서 소정의 전압을 인가 받으면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교류파를 정류파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류파를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 제공하는 정류회 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프 테스트부는 상기 정류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정류파의 주파수를 참조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주기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셀프 테스트부는 셀프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전 발생 회로와; 상기 정류파의 주파수를 참조하여 상기 누전 발생 회로에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누전감지부에서 검출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그리고 검출신호 발생될 경우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제공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검출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누전감지부의 이상(異狀)을 외부에 알리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부의 이상(異狀)을 외부에 알린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는 LED 또는 경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전 발생 회로는 저항(R)과 사이리스터(SCR)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리스터는 게이트 단자로 상기 셀프 테스트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수동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수동 테스트 회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 테스트 동작시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는 주기적으로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를 발생시켜서 누전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자동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하지 않고 테스트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리셋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는, 전원단(1)과 부하단(2)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H, N)과, 상기 전원 공급 라인 사이의 전류차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ZCT, 10)와, 상기 영상변류기(10)의 양단의 전압차를 감지하여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로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누전검출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는 차단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40)는 개폐접점을 가지는 스위치들로 구성된다. 스위치는 전원라인(H)과 중성라인(N)에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차단부(40)는 리셋 버튼(41)을 구비한다. 전원 공급 라인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리셋 버튼(41)을 누르면 스위치가 닫혀서 전원 공급 라인은 다시 연결된다.
상기 차단부(40)는 구동부(3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동부(30)는 부하에 기준치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할 때, 상기 차단부(40)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전원 공급 라인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러나 셀프 테스트 동작시에는 상기 차단부(40)에 상기 소정의 힘보다 작은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전원 공급 라인이 차단되지 않 도록 한다.
셀프 테스트부(100)는 상기 누전검출부(20)와 구동부(3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셀프 테스트부(100)는 상기 누전검출부(20)에서 검출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구동부(30)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셀프 테스트부(100)는 누전 발생 회로(110), 제어부(120), 그리고 표시장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누전 발생 회로(110))는 셀프 테스트 신호(STest)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STest)를 발생한다. 상기 셀프 테스트 신호는 상기 제어부(12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제공되는 신호(예를 들면,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파 또는 정류파)를 감지하여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셀프 테스트 동작시 누전검출부(20)에서 발생되는 검출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누전검출부(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0)에서 셀프 테스트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누전검출부(20)에서 검출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기준치 이하의 검출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검출부(20)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누전검출부(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구동신호는 부하에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또는 셀프 테스트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부하에 기준치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에는 높은 전압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부(30)에 인가하여 전원 공급 라인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러나 셀프 테스트 시에는 상기 구동부(30)에 부하 누전시보다 낮은 전압의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만을 테스트한다.
즉, 상기 구동부(30)는 구동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거나 차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는 최소한의 구동신호의 전압 레벨을 임계전압이라 정의한다.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임계전압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구동부(30)는 임계전압 또는 이 보다 높은 전압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으면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임계전압보다 낮은 구동신호를 입력받으면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20)의 테스트 결과에 따른 상기 누전검출부(20) 또는 상기 구동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는 표시장치(130)에 의해 외부에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는, 전원단(1)과 부하단(2)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H, N)과, 상기 전원 공급 라인 사이의 전류차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ZCT, 10)와,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누전검출부(20)와, 전원 공급 라인에 설치된 차단부(40)와, 상기 차단부(40)를 제어하는 구동부(30)와, 셀프 테스트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30)는 트립코일(SOL)(31), 사이리스터(SCR1)(32), 그리고 다이오드 브리지(DB)(33)를 포함한다. 상기 트립코일(31)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부하에 기준치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될 때 상기 차단부(40)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킨다.
상기 사이리스터(32)는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 된다. 상기 사이리스터(32)가 턴-온 되면 상기 트립코일(31)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다이오드 브리지(33)는 상기 트립코일(31)과 사이리스터(32)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 브리지(33)는 전원 공급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교류파를 정류파로 변환한다. 교류파가 60Hz이면, 정류파는 120Hz를 갖는 맥류파이다. 상기 다이오드 브리지(33)에서 발생된 정류파는 누전검출부(20) 또는 셀프 테스트부(100)의 전압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사이리스터(32)의 게이트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사이리스터(32)가 턴-온 되면 정류파는 더 이상 상기 셀프 테스트부(100)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셀프 테스트부(100)는 셀프 테스트 신호(STest)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전 발생 회로(110)와, 상기 누전 발생 회로(110)에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120)와, 테스트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장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누전 발생 회로(110)는 저항(R1)과 사이리스터(SCR2)로 구성된다. 사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단자에는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가 입력된다. 셀프 테스트 신호(STest)가 입력되면 전원라인(H)에 흐르던 전류가 상기 누전 발생 회로(110)를 통해 그라운드(Ground)로 흐르게 된다. 이때, 전원라인(H)과 중성라인(N) 사이에서는 전류차가 발생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누전 발생 회로(110)에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다이오드 브리지(33)에서 발생된 정류파(Vc)(예를 들면, 60Hz 또는 120Hz의 주파수를 갖는 맥류파)를 받아들여서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STest)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정류파(Vc)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C)를 지나면서 평활되어 상기 제어부(120)에서 직류 전원 전압(Vdc)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셀프 테스트 동작시 누전검출부(20)에서 발생되는 검출신호를 입력단자(IN)를 통해 받아들여서 상기 누전검출부(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셀프 테스트 동작시 상기 누전검출부(20)에서 검출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기준치 이하의 검출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누전검출부(20)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표시장치(13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누전검출부(20)의 이상 여부를 외부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는 셀프 테스트 동작시 상기 누전검출부(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 후에, 상기 구동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출력단자(OUT)를 통해 상기 구동부(30)에 있는 사이리스터(32)의 게이트 단자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구동신호는 부하에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와 셀프 테스트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에 각각 그 전압 레벨을 달리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부하에 누설전류가 발생된 경우에 입력단자(IN)를 통해 받아들인 신호를 출력단자(OUT)로 바이패스(bypass) 시키거나, 정류파(Vc)의 피크(peak) 부근에서 트리거(trigger)된 신호를 구동신호로 출력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이유는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갖는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갖는 구동신호가 상기 사이리스터(32)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상기 사이리스터(32)는 턴-온 되고, 상기 트립코일(31)은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셀프 테스트 시에는 임계전압보다 낮은 구동전압을 출력하기 위해서 입력단자(IN)를 통해 받아들인 신호를 지연시켜서 정류파(Vc)가 감소하는 부분에서 트리거된 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때 임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갖는 구동신호가 상기 사이리스터(32)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상기 사이리스터(32)는 턴-온 되지만, 전원 공급 라인은 차단되지 않는다.
상기 사이리스터(32)가 턴-온 되면 정류파(Vc)는 더 이상 상기 셀프 테스트부(100)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즉, 셀프 테스트 동작시 상기 제어부(120)에 공급되던 정류가(Vc)가 갑자기 차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구동부(3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20)는 셀프 테스트 동작시 구동신호가 상기 구동부(30)에 인가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부(3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표시장치(130)는 상기 구동부(30)의 이상을 외부에 표시한다.
도 3에서 상기 표시장치(130)는 하나의 저항(R2 또는 R3)과 하나의 LED(RD1 또는 RD2)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누전검출부(20)에 이상이 있으면 LED(RD1)을 통해, 상기 구동부(30)에 이상이 있으면 LED(RD2)를 통해 외부에 알린다. 그러나 상기 표시장치(130)는 반드시 LED를 통해 구현되는 것만은 아니며, 알람 등 경보장치를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회로(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테스트 회로(도 1 참조, 50)는 전원 공급 라인에 수동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수동 테스트 동작시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한다. 차단된 전원 공급 라인은 리셋 버튼(51)을 누르면, 다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에 의하면,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를 할 수 있으므로, 일정 기간마다 지속적으로 누전차단기를 테스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동작 후에 리셋 버튼을 눌러서 전원 공급 라인을 원상 복귀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2)

  1.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전원단과 부하단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라인 사이의 전류차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에 연결되어 누설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로서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누전검출부와;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이 공급될 때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을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주기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켜서 상기 누전검출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그리고 셀프 테스트 동작시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셀프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테스트부는, 부하단에 누전 발생 시에는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서 소정의 전압을 인가 받으면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교류파를 정류파로 변환하는, 변환된 정류파를 상기 셀프 테스트부에 제공하는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테스트부는, 상기 정류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정류파의 주파수를 참조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주기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테스트부는, 셀프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전 발생 회로와;
    상기 정류파의 주파수를 참조하여 상기 누전 발생 회로에 주기적으로 셀프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누전감지부에서 검출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그리고 검출신호 발생될 경우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제공 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검출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누전감지부의 이상(異狀)을 외부에 알리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부의 이상(異狀)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발생 회로는, 저항(R)과 사이리스터(SCR)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리스터는 게이트 단자로 상기 셀프 테스트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경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라인에 수동적으로 누설전류를 발생시키는 수동 테스트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 테스트 동작시 상기 구동부에 임계전압 또는 그 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KR1020040030319A 2004-04-30 2004-04-30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19A KR100564944B1 (ko) 2004-04-30 2004-04-30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US10/895,104 US20050243484A1 (en) 2004-04-30 2004-07-21 Electric leak breaker for self-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19A KR100564944B1 (ko) 2004-04-30 2004-04-30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882A KR20050104882A (ko) 2005-11-03
KR100564944B1 true KR100564944B1 (ko) 2006-03-30

Family

ID=3518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944B1 (ko) 2004-04-30 2004-04-30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243484A1 (ko)
KR (1) KR1005649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838B1 (ko) 2010-08-20 2010-11-11 주식회사 코본테크 누전테스트전류라인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킨 누전차단기의 pba 조립방법
KR101016780B1 (ko) * 2010-03-18 2011-02-25 (주)예네 직류전압 누전차단기
KR101790490B1 (ko) 2009-10-02 2017-10-26 세미컨덕터 콤포넨츠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지락 회로 차단기 및 방법
KR20190080221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도담엔지니어링 비누전보 방지 누전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926B1 (ko) * 2005-07-12 2007-02-15 파워플러스콤 주식회사 누설전류 감지식 전원 차단 장치
KR100756011B1 (ko) * 2006-01-24 2007-09-07 유택성 일체식 2단 접점 개폐구조를 갖는 자동복귀형 누전차단기.
CN100477056C (zh) * 2006-04-03 2009-04-08 温州三蒙科技电气有限公司 带指示灯和自动监测多重保护电路断路器装置
KR100843149B1 (ko) * 2007-03-27 2008-07-02 인터피온반도체주식회사 Gfi 장치 및 gfi 콘트롤 칩과 scr 칩을 원패키지화한 집적회로 패키지
KR101064454B1 (ko) * 2009-03-10 2011-09-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측기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장치 및 방법
FR2961910B1 (fr) 2010-06-23 2012-08-17 Areva T & D Sas Procede de localisation d'arc interne dans une ligne a isolation gazeuse et dispositif associe
US8907678B2 (en) * 2010-12-10 2014-12-09 Raritan America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nsing ground leakage and automated self testing thereof
KR101410745B1 (ko) * 2012-06-15 2014-06-24 한국전기연구원 누전차단기 및 그 제어 방법
FR3001838B1 (fr) * 2013-02-06 2015-03-20 Alstom Technology Ltd Dispositif de traitement de signal dans une installation electrique
GB2521188A (en) * 2013-12-12 2015-06-17 Eaton Ind Netherlands Bv Alternating current circuit breaker with self-test capability
US10615588B2 (en) * 2016-07-13 2020-04-07 Chengli Li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US10571526B2 (en) 2016-07-13 2020-02-25 Chengli Li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CN110133177A (zh) * 2019-06-14 2019-08-16 上海安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漏电保护功能的高锰酸钾指数分析仪
US11114430B2 (en) * 2019-10-22 2021-09-07 Chengli Li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and power connector employing the same
DE102019135553A1 (de) * 2019-12-20 2021-06-24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System mit Selbstprüffunktion und Verfahren zum Verifizieren der Selbstprüffunktion eines Systems
CN111602602A (zh) * 2020-05-21 2020-09-01 昭苏县西域马业有限责任公司 一种冬季为动物提供温水的水槽装置及控制方法
CN111614059B (zh) * 2020-07-09 2022-09-09 上海复旦微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接地故障保护系统
KR102291191B1 (ko) * 2020-09-10 2021-08-18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CN219201872U (zh) * 2022-04-21 2023-06-16 东莞市拓诚实业有限公司 一种泄漏电流检测电路及其装置
TWI782732B (zh) * 2021-10-04 2022-11-01 柯伯呈 漏電電阻值測試良劣判斷之互動測驗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9065B2 (en) * 2003-06-16 2006-12-12 Hubbell Incorporated Self testing digital fault interrup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490B1 (ko) 2009-10-02 2017-10-26 세미컨덕터 콤포넨츠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지락 회로 차단기 및 방법
KR101016780B1 (ko) * 2010-03-18 2011-02-25 (주)예네 직류전압 누전차단기
KR100992838B1 (ko) 2010-08-20 2010-11-11 주식회사 코본테크 누전테스트전류라인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킨 누전차단기의 pba 조립방법
KR20190080221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도담엔지니어링 비누전보 방지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43484A1 (en) 2005-11-03
KR20050104882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944B1 (ko)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US7492559B2 (en) Intelligent life tes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US7592924B2 (en) Intelligent life tes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eakage current protection
US6804094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KR200439685Y1 (ko) 저압 차단기용 전자식 트립 및 고장 표시 제어 장치
US20090316312A1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N111864694B (zh) 剩余电流保护电路
US20190326845A1 (en) Motor drive
US20050036250A1 (en) Power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128837A (ja) 漏電検出回路のテスト方法及び漏電検出装置
KR100978269B1 (ko)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
KR100804518B1 (ko)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US20030043516A1 (en) Electrical 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KR200440531Y1 (ko) 누전 차단기
CN102570384B (zh) 通地泄漏断路器
JP3554675B2 (ja) 漏電警報機能付回路遮断器及び漏電遮断器
KR20230114589A (ko) 감도 조정이 가능한 아크 펄스 감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한 누전 차단기
KR100268016B1 (ko) 누전차단기의 누전전류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919450B1 (ko) 누전검출과 트립코일 구동에 분리된 전원을 사용하는 누전차단기
KR20000001251U (ko) 누전차단기의 경보장치
KR200407956Y1 (ko) 과전압·누설전류 겸용 차단기
KR100705548B1 (ko) 과전압·누설전류 겸용 차단기
KR100712672B1 (ko) 일체식 2단 접점 개폐구조를 갖는 자동복귀형 누전차단기
JP3006171B2 (ja) 報知装置
JPH0819166A (ja) 地絡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