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4586B1 -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586B1
KR100564586B1 KR1020030081100A KR20030081100A KR100564586B1 KR 100564586 B1 KR100564586 B1 KR 100564586B1 KR 1020030081100 A KR1020030081100 A KR 1020030081100A KR 20030081100 A KR20030081100 A KR 20030081100A KR 100564586 B1 KR100564586 B1 KR 10056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driver
logic gate
internal node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294A (ko
Inventor
조근희
이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586B1/ko
Priority to US10/970,016 priority patent/US7236012B2/en
Publication of KR2005004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58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비트 구성에 따른 출력신호의 슬루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상기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단을 풀업시키는 풀업 드라이버, 및 상기 출력단을 풀다운시키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특히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드라이버 및/또는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의 전류 구동능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Data output driver for controlling slew rate of output signal according to bit organiza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DDR SDRAM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논리게이트의 상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식 디램 및 램버스(RAMBUS) 디램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즉 동시에 출력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는 칩 설계시에 결정 된다. 즉 칩 설계시에 X4, X8 또는 X16 등의 여러 가지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들중 하나가 선택되고 그에 따라 내부 회로들이 설계된다.
반면에 DDR(Double Data Rate) SDRAM(Synchronous DRAM)의 경우에는 칩 설계시에 여러 가지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들이 하나의 칩에 함께 설계된 뒤 나중에 제조과정중 본딩 와이어(Bonding Wire) 연결과정에서 하나의 비트 구성이 결정된다. 즉 본딩 와이어(Bonding Wire) 연결상태에 따라 X4, X8 또는 X16의 제품이 결정된다.
그런데 DDR SDRAM에서 여러 가지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들을 하나의 칩에 설계할 때 대두되는 문제점중 하나가 비트 구성에 따라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slew rate)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슬루율은 통상적으로 어떤 신호의 단위 시간당 전압변화 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승시간(rising time)이나 하강시간(falling time)으로 불리기도 한다.
도 1은 DDR SDRAM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DDR(Double Data Rate) SDRAM(Synchronous DRAM)의 경우에는 칩 설계시에 여러 가지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들이 하나의 칩에 함께 설계된다.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 X4, X8, X16 등의 비트 구성들을 모두 고려하여, 도 1에서와 같이 16개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들(1-16)을 2개 또는 3개씩 그룹으로 묶어서 각 그룹에 동일한 파우워 라인, 즉 동일한 전원전압 라인(VDDQ) 및 동일한 접지전압 라인(VSSQ)을 연결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X16 제품에서는 16개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들(1-16)이 모두 사용되는 반면에 X4 제품에서는 각 VDDQ/VSSQ에 연결되어 있는 2개 또는 3개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들중 1개만이 사용되게 된다(4개 그룹으로 묶일 경우). 따라서 X16 제품에 비해 X4 제품이 더 우수한 VDDQ/VSSQ 파우워 특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X16 제품에 비해 X4 제품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더 커진다. 즉 일반적으로 X16에 비해 X8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더 크고 X8에 비해 X4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더 크다.
그러나 설계단계에서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여러 가지 비트 구성들을 하나의 칩에 옵션(option) 설계하고 여러 가지 비트 구성들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슬루율을 맞추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른 비트 구성들에서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슬루율이 최적점(optimum point)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다시말해 여러 가지 비트 구성들을 하나의 칩에 설계하는 경우에는 비트 구성에 따라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트 구성에 따른 출력신호의 슬루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단을 풀업시키는 풀업 드라이버, 및 상기 출력단을 풀 다운시키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드라이버 및/또는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의 전류 구동능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풀업 드라이버는, 풀업 구동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전원전압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데이터를 반전시켜 상기 풀업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1논리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논리게이트의 전류 구동능력이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가변된다.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는, 풀다운 구동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를 반전시켜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2논리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논리게이트의 전류 구동능력이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가변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 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출력단(DQ)을 풀업시키는 풀업 드라이버(21), 및 출력단(DQ)을 풀다운시키는 풀다운 드라이버(23)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서는, 풀업 패쓰(path)와 풀다운 패쓰내에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BITORG)에 의해 게이팅되는 가변저항이 형성된다. 따라서 비트 구성에 따라 풀업 패쓰의 강도(strength)와 풀다운 패쓰의 강도가 달라짐으로써 출력단(DQ)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슬루율이 조절된다.
다시말해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BITORG)에 응답하여 풀업 드라이버(21) 및 풀다운 드라이버(23)의 전류 구동능력이 가변되어 출력단(DQ)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슬루율이 조절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풀업 드라이버(21)는, 풀업 구동신호(DOKP)에 의해 제어되고 전원전압(VDDQ)과 출력단(DQ) 사이에 연결되는 풀업 트랜지스터(211), 및 출력 데이터(DOUT)를 반전시켜 풀업 구동신호(DOKP)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213)를 구비하고, 논리게이트(213)의 전류 구동능력이 비트 구성 정보신호들(BITORG)에 응답하여 가변된다.
풀다운 드라이버(23)는, 풀다운 구동신호(DOKN)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단(DQ)과 접지전압(VSSQ) 사이에 연결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231), 및 출력 데이터(DOUT)를 반전시켜 풀다운 구동신호(DOKN)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233)를 구비하고, 논리게이트(233)의 전류 구동능력이 비트 구성 정보신호들(BITORG)에 응답하여 가변된다.
여기에서는 풀업 드라이버(21)의 전류 구동능력 및 풀다운 드라이버(23)의 전류 구동능력이 모두 가변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풀업 드라이버(21)의 전류 구동능력 및 풀다운 드라이버(23)의 전류 구동능력중 어느 하나만이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논리게이트(213)의 전류 구동능력 및 논리게이트(233)의 전류 구동능력중 어느 하나만이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1,P2,P3),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1,N2,N3), 및 저항들(R1,R2)을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2,P3) 및 저항(R2)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2,N3) 및 저항(R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1)는 풀업 구동신호(DOKP)(또는 풀다운 구동신호 DOKN)를 출력하는 노드(A)와 내부노드(B) 사이에 연결되고 출력 데이터(DOUT)에 의해 게이팅된다. 저항(R1)은 내부노드(B)와 접지전압(VSSQ) 사이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2,N3)은 내부노드(B)와 접지전압(VSSQ) 사이에 연결되고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X8,X16)에 의해 게이팅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1)는 풀업 구동신호(DOKP)(또는 풀다운 구동신호 DOKN)를 출력하는 노드(A)와 내부노드(C) 사이에 연결되고 출력 데이터(DOUT)에 의해 게이팅된다. 저항(R2)은 내부노드(C)와 전원전압(VDDQ) 사이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2,P3)은 내부노드(C)와 전원전압(VDDQ) 사이에 연결되고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X8,X16)에 의해 게이팅된다.
여기에서 비트 구성 정보신호(X8)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이 8비트임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비트 구성 정보신호(X16)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이 16비트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도 3에 도시된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동작이 좀더 설명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풀다운 패쓰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비트 구성이 X4일 경우에는 비트 구성 정보신호들(X8,X16)이 모두 논리"로우"가 되어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2,N3)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저항(R1)만이 풀다운 패쓰에 포함되므로 풀다운 패쓰의 강도가 약화된다. 즉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풀다운 패쓰의 전류 구동능력이 약화된다.
비트 구성이 X8일 경우에는 비트 구성 정보신호(X8)은 논리"하이"가 되고 비트 구성 정보신호(X16)은 논리"로우"가 되어 엔모스 트랜지스터(N2)는 턴온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3)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엔모스 트랜지스터(N2)의 턴온저항과 저항(R1)이 노드(B)와 접지전압(VSS) 사이에서 병렬연결되므로 풀다운 패쓰의 강도가 X4 구성일 때 보다 더 강해진다. 즉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풀다운 패쓰의 전류 구동능력이 더 커진다.
다음에 비트 구성이 X16일 경우에는 비트 구성 정보신호(X8)은 논리"로우"가 되고 비트 구성 정보신호(X16)은 논리"하이"가 되어 엔모스 트랜지스터(N2)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N3)가 모두 턴온된다. 이에 따라 엔모스 트랜지스터(N2)의 턴온저항, 엔모스 트랜지스터(N3)의 턴온저항, 및 저항(R1)이 노드(B)와 접지전압(VSS) 사이에서 병렬연결되므로 풀다운 패쓰의 강도가 X8 구성일 때 보다 더 강해진다. 즉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풀다운 패쓰의 전류 구동능력이 더 커진다.
한편 상술하였듯이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서는 X16에 비해 X8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더 크고 X8에 비해 X4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더 크다. 즉 여러 가지 비트 구성들이 하나의 칩에 설계되는 경우에는 비트 구성에 따라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달라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서는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풀다운 패쓰의 전류 구동능력이 X4에 비해 X8에서 더 커지고 논리게이트(213 또는 233)의 풀다운 패쓰의 전류 구동능력이 X8에 비해 X16에서 더 커진다. 따라서 여러 가지 비트 구성들이 하나의 칩에 설계되더라도 비트 구성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풀다운 패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풀업 패쓰에 대해서도 동일한 동작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X16에 비해 X4에서 VDDQ/VSSQ 파우워 특성이 더 양호하고 이에 따라 X16에 비해 X4에서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더 커진다. 따라서 X4 구성의 경우에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조립 단계에서 연결되는 VDDQ/VSSQ 파우워 패드의 수를 줄임으로써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조절될 수도 있다.
즉 조립 단계에서 연결되는 VDDQ/VSSQ 파우워 패드의 수가 줄어들면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풀다운 패쓰의 강도 및 풀업 패쓰의 강도가 약화되며 그 결과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비트 구성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출력신호의 슬루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비트 구성에 따른 출력신호의 슬루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단을 구동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의 제1논리레벨 동안 상기 출력단을 풀업시키는 풀업 드라이버; 및
    상기 출력 데이터의 제2논리레벨 동안 상기 출력단을 풀다운시키는 풀다운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풀업 드라이버 및/또는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의 전류 구동능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 드라이버는,
    풀업 구동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전원전압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풀업 트랜지스터; 및
    데이터를 반전시켜 상기 풀업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논리게이트의 전류 구동능력이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게이트는,
    상기 논리게이트의 출력단과 내부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해 게이팅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내부노드와 상기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내부노드와 상기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 각각에 의해 게이팅되는 복수개의 다른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게이트는,
    상기 논리게이트의 출력단과 내부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해 게이팅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내부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내부노드와 상기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 각각에 의해 게이팅되는 복수개의 다른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드라이버는,
    풀다운 구동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및
    데이터를 반전시켜 상기 풀다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논리게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논리게이트의 전류 구동능력이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에 응답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게이트는,
    상기 논리게이트의 출력단과 내부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해 게이팅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내부노드와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내부노드와 상기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 각각에 의해 게이팅되는 복수개의 다른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게이트는,
    상기 논리게이트의 출력단과 내부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에 의해 게이팅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내부노드와 상기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내부노드와 상기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비트 구성(Bit organization) 정보신호들 각각에 의해 게이팅되는 복수개의 다른 엔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KR1020030081100A 2003-11-17 2003-11-17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100A KR100564586B1 (ko) 2003-11-17 2003-11-17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US10/970,016 US7236012B2 (en) 2003-11-17 2004-10-22 Data output driver that controls slew rate of output signal according to bit organ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100A KR100564586B1 (ko) 2003-11-17 2003-11-17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294A KR20050047294A (ko) 2005-05-20
KR100564586B1 true KR100564586B1 (ko) 2006-03-29

Family

ID=3456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1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586B1 (ko) 2003-11-17 2003-11-17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36012B2 (ko)
KR (1) KR100564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51B1 (ko) * 2005-01-0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70685B1 (ko) * 2005-03-31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출력 드라이버
US7498844B2 (en) * 2005-09-29 2009-03-03 Hynix Semiconductor Inc. Output driver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7786778B1 (en) * 2007-01-31 2010-08-31 Marvell International Ltd. Output voltage slew rate control in hard disk motor drive
US7911243B2 (en) * 2007-04-20 2011-03-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river with programmable power commensurate with data-rate
KR100878310B1 (ko) * 2007-06-11 2009-01-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회로
KR100845809B1 (ko) * 2007-06-28 2008-07-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KR100951659B1 (ko) * 2007-12-11 2010-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 드라이빙 회로
KR100942972B1 (ko) 2008-06-04 2010-02-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출력 드라이버
KR100983512B1 (ko) * 2008-08-14 2010-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회로의 출력 회로
CN101814842A (zh) * 2009-02-24 2010-08-25 飞思卡尔半导体公司 具有可调整驱动电流的高频电源开关电路
KR20100109773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1035407B1 (ko) 2009-06-04 2011-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KR101096260B1 (ko) * 2009-10-30 2011-1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출력회로
KR101197272B1 (ko) * 2009-10-30 2012-11-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출력회로
US8237495B2 (en) * 2010-07-07 2012-08-07 Broadcom Corporation High efficiency amplifier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8643419B2 (en) * 2011-11-04 2014-02-04 Silicon Laboratories Inc. Flexible low power slew-rate controlled output buffer
US9390772B2 (en) 2012-05-22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option pads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structure thereof,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JP2024034598A (ja) 2022-09-01 2024-03-13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311A (en) * 1990-06-07 1992-07-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djusting impedance matching driver
EP0717501A1 (en) 1994-12-15 1996-06-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drive buffer
US5917758A (en) * 1996-11-04 1999-06-29 Micron Technology, Inc. Adjustable output driver circuit
KR100414751B1 (ko) 1997-05-28 2004-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데이타 출력 버퍼
US5977790A (en) 1997-06-27 1999-11-0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programmable slew rate control output driver
JPH1125678A (ja) * 1997-06-27 1999-01-29 Samsung Electron Co Ltd 出力ドライバ及び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434966B1 (ko) 1997-12-31 2004-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출력 드라이버
US6288563B1 (en) * 1998-12-31 2001-09-11 Intel Corporation Slew rate control
US6384621B1 (en) * 2001-02-22 2002-05-07 Cypress Semiconductor Corp. Programmable transmission line impedance matching circuit
US6812734B1 (en) * 2001-12-11 2004-11-02 Altera Corporation Programmable termination with DC voltage leve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36012B2 (en) 2007-06-26
KR20050047294A (ko) 2005-05-20
US20050105294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586B1 (ko) 비트 구성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는 데이터출력 드라이버
US6839286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programmable impedance control circuit
US9641175B2 (en) Output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utput circuit, and method of adjusting characteristics of output circuit
US7239560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on-die termination circuit and on-die termination method
US920980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edance calibration function to data output buffer and semiconductor module having the same
US7019555B2 (en) Circuit for performing on-die termination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method
US8471602B2 (en) Output driver and semiconductor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368189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output circuit constituted of plural unit buffer circuits in which impedance thereof are adjustable
US7688120B2 (en) Output driv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01779373A (zh) 用于输入/输出缓冲器的动态阻抗控制
KR20050101865A (ko) 온-다이 터미네이션 제어 회로 및 온-다이 터미네이션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20050022042A (ko) 데이터 출력드라이버
US20070126477A1 (en) Output driver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10488914B2 (en) Wiring with external terminal
KR102798952B1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8754688B2 (en) Signal out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894260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on-die termination circuit and on-die termination method
US659042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therein
US904143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ull-up circuit and pull-down circuit
US20080278201A1 (en) Buffering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US8050111B2 (en) Data strobe signal generating circuit capable of easily obtaining valid data window
US7667483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tion impedance
US6344763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that can suppress generation of signal skew between data input/output terminals
US7005890B2 (en) Device for generating a bit line selection signal of a memory device
KR100628375B1 (ko) 휴즈를 사용하여 사이즈를 조절하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