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482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4482B1 KR100564482B1 KR1020030083543A KR20030083543A KR100564482B1 KR 100564482 B1 KR100564482 B1 KR 100564482B1 KR 1020030083543 A KR1020030083543 A KR 1020030083543A KR 20030083543 A KR20030083543 A KR 20030083543A KR 100564482 B1 KR100564482 B1 KR 100564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indoor unit
- drain
- indoor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패널을 전면상부패널과 전면하부패널로 나누고, 이러한 전면하부패널의 하단부에만 드레인홀을 형성하여, 실내기의 도립설치시에는 전면하부패널을 거꾸로 설치하여 사용토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front panel into a front upper panel and a front lower panel, and forms a drain hole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lower panel, and when installing the indoor uni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by using the front lower panel upside down. It is about.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100)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25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하부에 구비되고,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드레인팬(230)과; 상기 드레인팬(2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면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하부패널(120)과;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전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상부패널(11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드레인팬(230)의 선단에 형성되는 드레인부(232)가 노출되는 드레인홀(124)이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은 실내기(100)의 도립설치시에 함께 도립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절감 및 단열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250 in which heat exchange occurs; A drain pa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50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A front lower panel 12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drain pan 230 to form a front lower exterior;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nel 120,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ront upper panel (110) to form a front upper appearance; The lower end of the front lower panel 120 is formed with a pair of drain holes 124 exposing the drain portion 232 formed at the tip of the drain pan 230. In addition, the front lower panel 120 is inverted when the inverted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reduction and heat insulation effect is increased.
공기조화기, 전면패널, 도립설치, 드레인홀Air Conditioner, Front Panel, Inverted Installation, Drain Ho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전면패널이 탈거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moved.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성하는 전면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하부패널의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lower pane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Figure 8 is an intern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도립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verted installation stat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110. 전면상부패널100.
112. 스위치노출공 114. 차폐판112. Switch
120. 전면하부패널 122. 배관공120. Front
124. 드레인홀 128'. 상측절곡단부124. Drain hole 128 '. Upper bend end
128'. 하측절곡단부 130. 측면패널128 '.
140. 후면패널 150. 상면패널140.
160. 패널홀더 170. 토출구160. Panel holder 170. Outlet
200. 하부프레임 208. 팬슬라이딩부200.
210. 흡입구 220. 필터커버210.
222. 에어필터 230. 드레인팬222.Air filter 230.Drain pan
232. 드레인부 234. 선단고정부재232.
236. 후단고정부재 240. 측면드레인팬236. Rear
242. 측면드레인부 250. 실내열교환기242.
260. 중앙프레임 300. 상부프레임260.Center frame 300.Upper frame
310. 베리어 320. 수직안내부310. Barriers 320. Vertical Guides
330. 하우징어셈블리 332. 실내팬330. Housing Assembly 332. Indoor Fan
334. 팬모터 336. 팬하우징334.
338. 모터마운트 340. 배출구338.
342. 하우징장착안내부 350. 배기안내부재342.
356. 히터설치구 360. 전기히터356.
362. 히터지지판 370. 콘트롤박스362.
372. 전압트랜스 374. 보드372.
376. 전원스위치376. Power Switch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패널을 전면상부패널과 전면하부패널로 나누고 이러한 전면하부패널의 하단부에만 드레인홀을 형성하여, 실내기의 도립설치시에는 전면하부패널을 거꾸로 설치하여 사용토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he front panel is divided into a front upper panel and a front lower panel, and a drain hole is formed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lower panel, and the front lower panel is installed upside down when the indoor unit is inverted. It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nfigured for us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device installed in a space or a wall of an indoor room such as an office or a home to cool or heat an indoor room. The air conditioner is a compressor-condenser-expansion valve-evaporator. .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In particular, an air conditioner is an outdoor unit (sometimes called an 'outdoor' or a 'heat sink') mainly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also called an 'indoor' or 'heat absorbing side') mainly installed inside a building. The outdoor unit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nd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indoor heat exchanger).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As is well known, an air conditioner may be broadly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tegrally installed.
도 1에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일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nd FIG. 2 shows an indoor unit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주로 건물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건물의 외부에 주로 설치되는 실외기(50)로 구성되며,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50) 사이에는 냉매배관(60)이 연결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ir conditioner is mainly composed of an
상기 실내기(10)는 대략 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관은 전면패널(12), 측면패널(14), 후면패널(16) 그리고, 상면패널(18)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하면은 개구되어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상면패널(18)의 후반부도 상하로 관통되어 토출구(20)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20)에는 연결덕트(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되어 실내기(10)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연결하기도 한다.The
상기 전면패널(12)에는 상기 냉매배관(60)의 일단이 관통되고,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42)에 형성되는 드레인부(42')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관통공(12')이 형성된다. One end of the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는 상하를 구획하는 베리어(22)가 설치되고, 상기 베리어(22)의 상측에는 콘트롤박스(24)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박스(24)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며, 이러한 콘트롤박스(24)의 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3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토출구(20)가 형성된다.A
상기 베리어(22)의 저면에는 팬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 징(30)은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팬(32)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팬하우징(30)에는 상기 실내팬(32)을 구동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된다.The
상기 팬하우징(30)의 하부에는 증발기라고도 불리는 실내열교환기(4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실내팬(32)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상호간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하단이 상기 측면패널(14)에 고정되거나 전면패널(12) 및 후면패널(16)에 고정되기도 한다.An
상기 실내열교환기(40)의 하부에는 드레인팬(42)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42)은 상기 실내기(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44)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A
상기 드레인팬(42)의 전면 우측에는 드레인부(4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부(42')는 상기 전면패널(12)의 관통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팬(42)에 고인 응축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한편 도 3에는 실내기의 측면설치 또는 도립설치에 대비한 전면패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panel in preparation for the side installation or inverted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패널(80)의 하반부에는 드레인팬(42)이 거꾸로 설치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드레인홀(82,82')이 상하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측면설치에 대비한 측면드레인팬(도시되지 않음)의 측면드레인홀(84)도 좌우 에 쌍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lower half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패널(12)에서는 실내기(10)의 도립설치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실내기(10)를 거꾸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팬(42)도 거꾸로 설치하여야 하는데, 상기 전면패널(12)에는 드레인팬(42)의 도립설치에 대비한 별도의 드레인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verted installation of th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패널(80)에서는 드레인팬(42)의 도립설치에 대비하여 상하에 쌍으로 드레인홀(82,82')을 각각 형성하므로 작업능률 및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즉 상기 드레인팬(42)의 도립설치에 대비하여 사용하지 않은 또하나의 드레인홀(82')을 전면패널(80)에 더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이러한 부가적인 드레인홀(82')을 통해 외부와의 열전달이 일어나므로 단열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That is, anoth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패널이 복수개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front pane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하부패널의 상하단을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하고 하단부에만 드레인홀을 형성하여, 실내기의 도립설치시에는 전면하부패널도 동시에 도립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configu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lower panel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to form a drain hole only at the lower end, when the inverted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is also inverted at the same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와, 응축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드레인부가 구비된 드레인팬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드레인부와 대응되는 다수의 드레인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in which heat exchange takes place, a drain pan having a plurality of drain parts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and a front panel forming a front appearance. The front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rain holes corresponding to the drain portion is formed.
상기 전면패널은 상측에 설치되는 전면상부패널과, 상기 전면상부패널의 하측에 설치되는 전면하부패널로 구성된다.The front panel includes a front upper panel installed at an upper side, and a front lower panel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front upper panel.
그리고 상기 전면하부패널은 실내기의 도립설치시에 도립설치된다.The front lower panel is inverted when the indoor unit is inverted.
상기 드레인홀은 상기 전면하부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된다.The drain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lower panel.
그리고 상기 드레인홀은 상기 전면하부패널의 하단부 좌우측에 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holes are form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s of the front lower panel.
또한 상기 전면하부패널에는 측면드레인팬의 측면드레인부가 노출되는 측면드레인홀이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lower panel is further formed with a side drain hole to expose the side drain portion of the side drain pa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실내기의 도립설치가 용이해지고, 비용절감 및 단열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verted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is easy, and the cost reduction and the heat insulation effect are increas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하부패널의 상세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를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의 도립설치된 외부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is shown. And, Figure 7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ront lower pane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air flows insid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rted installed external state of the is shown in front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외관은 대략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120)과,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30),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40), 그리고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패널(15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상기 전면패널(110,120)은 상하 두부분으로 구획되어 상대적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전면상부패널(110)과, 상기 전면상부패널(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전면하부패널(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상부패널(110)과 전면하부패널(120) 사이에는 패널홀더(160)가 구비되어, 상기 전면상부패널(110)의 하단과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상단을 상기 측면패널(130)에 밀착시킨다.The
상기 전면상부패널(110)의 상단 좌측부에는 스위치노출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노출공(112)은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스위치(376)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노출공(112)은 공기조화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노출공(112)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차폐판(114)에 의해 차폐된다.The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250)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되는 배관공(122)이 좌우에 형성된다. 상 기 배관공(122)은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유동되는 고압배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되는 고압배관공(122')과, 저압배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되는 저압배관공(122")으로 구성된다.The front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230)의 드레인부(232)가 노출되는 드레인홀(124)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홀(124)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측면드레인팬(240)의 측면드레인부(242)가 노출되는 측면드레인홀(126)이 더 형성된다.In the front
한편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절곡단부(128,128')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상단은 후방으로 일정부분 절곡된 다음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측절곡단부(128)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단은 후방으로 절곡된 다음 하방을 재차 절곡되어 상기 상측절곡단부(128)와 대칭되는 하측절곡단부(128')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은 상하단이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므로 도립설치시에도 주위부품과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the bent ends 128 and 128 ′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상기 상면패널(150)은 상기 실내기(100)의 상면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패널(150)의 후측은 상하로 관통되어 토출구(170)를 형성하며, 이러한 토출구(170)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The
상기 측면패널(130)의 하단부에는 하부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13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측면프레임부(202)와 상기 측면프레임부(202)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선단프레임부(204) 및 상기 측면프레임부(202)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후단프레임부(20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200) 내측에는 사각형의 흡입구(210)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한다.The
상기 측면프레임부(202)의 상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팬슬라이딩부(208)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팬슬라이딩부(208)는 상기 측면프레임부(202)로부터 측방(내측)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230)과 실내열교환기(250)를 지지하는 한편, 상면에는 드레인팬(230)이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전방에는 필터커버(220)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필터커버(220) 후방에는 사각형의 에어필터(2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220)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선단에 체결되면, 상기 에어필터(222)가 상기 흡입구(210)를 차폐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게 된다.A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는 드레인팬(230)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2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2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전면에는 상기 드레인팬(230) 내부에 고인 응축수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드레인부(232)가 형성된다. The
따라서 상기 드레인부(232)는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드레인홀(1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팬(230)의 바닥면은 일정부분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에 고인 응축수가 선단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드레인팬(230)의 전후단부에는 드레인팬(230)이 상기 하부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팬고정부재(234,23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230)의 선단에는 선단고정부재(234)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팬(230)의 선단부와 상기 선단프레임부(204)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Meanwhil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상기 드레인팬(230)의 후단부에는 후단고정부재(236)가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팬(230)과 후단프레임부(206)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단고정부재(236)는 상기 후단프레임부(206)와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The rear
상기 드레인팬(230)의 좌측단 상부에는 측면드레인팬(2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측면드레인팬(24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25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100)가 건물의 내부에 눕혀져 설치될 때, 실내열교환기(25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A
그리고 상기 측면드레인팬(240)의 하단부에는 측면드레인부(24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드레인부(242)는 상기 측면드레인팬(240)에 고인 응축수가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측면드레인홀(126)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드레인팬(230)의 상면에는 실내열교환기(250)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과 후면은 차폐되어 공기의 유동 을 차단한다.An
상기 패널홀더(160)의 후방에는 중앙프레임(260)이 설치된다. 상기 중앙프레임(260)은 상기 측면패널(130)에 고정되는 부분인 측면부(252)와 상기 후면패널(140)에 고정되는 부분인 후면부(254)로 구성되고, 이러한 중앙프레임(260)의 내측으로는 팬안내가이드(256)가 더 형성된다.The
즉, 상기 실내기(100)가 도립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와 드레인팬(230)이 거꾸로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중앙프레임(260)의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 팬안내가이드(256)가 상기 드레인팬(23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중앙프레임(260)의 상측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상부프레임(30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00)은 상하를 구획하는 베리어(310)와, 상기 베리어(31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수직안내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베리어(3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332)으로부터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배출공(3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베리어(310)의 하부에는 하우징어셈블리(330)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어셈블리(330)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실내팬(332)과, 상기 실내팬(332)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334)와, 상기 실내팬(332)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팬하우징(33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상기 팬모터(334)의 외주면에는 팬모터(334)의 장착을 위한 모터마운트(338)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팬하우징(336)의 상단에는 상기 실내팬(332)에 의해 토출되 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배출구(340)가 형성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배출구(340)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하우징장착안내부(34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장착안내부(342)는 상기 배출구(34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베리어(31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우징장착부(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한다.Meanwhile, the housing mounting
상기 수직안내부(320)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기안내부재(35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31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안내부(3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기히터(360)의 후단이 걸어져 고정되는 히터설치홈(322)이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베리어(310)의 상측에는 배기안내부재(35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안내부재(350)는 상기 실내팬(332)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측면판(352)와 전면판(354)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리어(310)의 배출공(312)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의 전면판(35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기히터(360)가 관통되는 히터설치구(356)가 형성된다. An
상기 히터설치구(356)를 통해서는 전기히터(360)가 설치된다. 상기 전기히터(3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것으로,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와 상부프레임(300)의 수직안내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토출구(17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팬(33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전기히터(360)의 선단에는 히터지지판(362)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지지판(362)이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의 전면판(354)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히터(360)의 후단이 상기 수직안내부(320)에 형성된 히터설치홈(322)에 수용되면 전기히터(360)의 장착이 완료된다. A
그리고 상기 전기히터(360)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전기히터(36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의 히터설치구(356)는 별도의 차폐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And the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의 전방에는 콘트롤박스(370)가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박스(370)에는 전압트랜스(372)나 보드(374)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부품이 장착되며, 좌측 선단부에는 전원스위치(376)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스위치(376)가 상기 전면상부패널(110)의 스위치노출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370)의 상부는 상기 상면패널(150)이 차폐한다.The
한편 상기 흡입구(210)와 토출구(170)에는 연결덕트(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즉 상기 실내기(100)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 직접 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100)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흡입구(210)와 토출구(170)에 설치된다.Meanwhile, a connection duct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또한 상기 측면패널(130)이나 후면패널(140)과 같은 외관케이스의 내부에는 외부와의 단열을 위해 단열부재(380)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단열부재(380)가 외부케이스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열재고정가이드(382)가 중앙부에 더 설치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exterior case such as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 실내기(100)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First, look at the operating state whe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실내기(100)는 일반적으로 도 8과 같이 직립된 상태로 사용되며, 이때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하방으로부터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실내팬(332)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흡인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외부(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다.The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먼저 상기 에어필터(222)에 의해 공기중의 이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으로 작동될 때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여,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열교환기(25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되는 것이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한편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를 통해 열교환이 일어날 때 온도차에 의해 실내열교환기(250)에 응축수가 생성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하방으로 내려와 상기 드레인팬(230)에 집수된다. 상기 드레인팬(230)으로 낙하된 응축수는 선단부로 이송되어 상기 드레인부(232)를 통해 실내기(100) 외부로 배출된다.Meanwhile, when heat exchange occurs through the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를 통과하면서 열을 빼앗긴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336)의 측방을 통해 상기 실내팬(332)으로 유입된 다음,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33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팬하우 징(33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배출구(34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Air deprived of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팬하우징(336)의 배출구(34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와 상부프레임(300)의 수직안내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구(170)를 통해 외부(공기조화를 위한 공간)로 토출된다. 물론 이때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토출구(170)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사이에 별도의 연결덕트가 더 설치되어 공기를 안내하기도 한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100)가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동안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 내부의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 내부의 냉매는 공기중으로 열을 방출하게 되므로, 상기 실내기(100)와 실외기의 구성부품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side the outdoor unit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while the
다음으로 상기 실내기(100)가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작동유체)의 흐름을 반대로 하여 실내열교환기(250)가 응축기의 역할을 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기히터(360)를 작동시켜 간단히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Next, look at the case where the
상기 전기히터(360)를 이용한 난방의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실내팬(3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외부(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를 통과한다.Looking at the case of heating using the
이때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팬하우징(336)의 측방을 통해 상기 실내팬(332)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332)에 의해 강제 송풍되 는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336)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배기안내부재(35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때 상기 전기히터(360)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가열되므로, 상기 배기안내부재(35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전기히터(360)에 의해 뜨거워지고, 이러한 뜨거운 공기는 상기 토출구(170)를 통해 실내공간(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되면 실내공간의 난방이 실현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실내기(100)는 필요에 따라 거꾸로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를 도립시켜 설치하는 경우에는 실내열교환기(2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와 드레인팬(230)의 설치상태를 도 9과 같이 바꾸어야 한다.Meanwhile, the
즉 도 8에 도시(직립된 상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와 드레인팬(230)을 전방으로 당겨 분리한 다음, 실내기(100)를 거꾸로 세우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와 드레인팬(230)을 상기 중앙프레임(260) 상부에 설치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upright state), the
그리고 상기 전면하부패널(120)도 분리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와 같이 거꾸로 장착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230)의 드레인부(232)는 실내기(100)가 직립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하부패널(120)의 드레인홀(1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프레임(260) 상면에 상기 드레인팬(230)과 실내열교환기(25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팬(230)의 후단부를 상기 중앙 프레임(260)의 선단부에 올려놓은 다음, 드레인팬(230)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드레인팬(230)의 양단이 상기 중앙프레임(260)의 팬안내가이드(256) 상면에 얹어진 상태로 슬라이딩하여 후방으로 밀려들어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와 드레인팬(230)이 거꾸로 장착된 상태가 도 9에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먼저 상기 실내팬(332)이 회전한다.As shown in FIG. 9, the
상기 실내팬(3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외부(실내공간 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를 통과하면서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차가운 공기가 된다.As the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250)의 표면에서는 열교환시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드레인팬(230)에 집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230)에 고인 응축수는 선단부의 드레인부(232)를 통해 외부(전방)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실내열교환기(250)를 통과한 공기는 하방으로 내려와 상기 팬하우징(336)의 측면을 통해 상기 실내팬(332) 내부로 유입되고, 실내팬(332)으로 유입된 공기는 원주방향으로 토출되어 상기 토출구(170)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70)에는 연결덕트(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되기도 하며, 이러한 연결덕트가 상기 토출구(170)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안 내하게 된다.Meanwhi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패널을 상하로 나누어 전면상부패널과 전면하부패널로 구성하였으며, 전면하부패널의 상하단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다.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ront panel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nels, and the front upper panel and the front lower panel were configured to have symmetrical shapes.
따라서 실내기가 거꾸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하부패널도 함께 거꾸로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실내기의 도립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upside down, since the front lower panel may also be installed upside down,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실내기 도립설치시 전면하부패널을 함께 거꾸로 설치하므로, 실내기 도립설치에 대비한 별도의 드레인홀을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종래에는 실내기의 도립설치에 대비하여 전면하부패널에 별도의 드레인홀을 추가로 더 형성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면하부패널을 거꾸로 설치하므로 별도의 드레인홀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lower panel is installed upside down when the indoor unit is inverted,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form a separate drain hole for the indoor unit inverted. In other words, in the prior art, an additional drain hole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front lower panel in preparation for the inverted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lower panel is installed upside down,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dditional drain hole.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 드레인홀 형성에 소요되는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드레인홀 수량 감소로 인해 단열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ork maneuver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additional drain hol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at insulation is improved due to the reduced number of drain hole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3543A KR100564482B1 (en) | 2003-11-24 | 2003-11-24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US10/756,296 US7263850B2 (en) | 2003-11-24 | 2004-01-14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NB2004100073812A CN100354573C (en) | 2003-11-24 | 2004-03-02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3543A KR100564482B1 (en) | 2003-11-24 | 2003-11-24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9803A KR20050049803A (en) | 2005-05-27 |
KR100564482B1 true KR100564482B1 (en) | 2006-03-29 |
Family
ID=3866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35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482B1 (en) | 2003-11-24 | 2003-11-24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44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54279B2 (en) * | 2014-04-18 | 2018-07-11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WO2020183607A1 (en) * | 2019-03-12 | 2020-09-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Indoor unit |
-
2003
- 2003-11-24 KR KR1020030083543A patent/KR1005644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9803A (en) | 2005-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31133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64482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75314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18410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564483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69336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64485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75313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641420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75305B1 (en) | Drain Fan of Air Conditioner | |
KR100553039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64481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553038B1 (en) | Housing assembly installation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100564484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1010454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607265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82246A (en) | Drain pan structure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50051770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060005068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060083018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50057906A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1024178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0432569C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060083016A (en) | Air conditioner | |
KR20070074403A (en) | Drain pan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3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32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