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4422B1 -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422B1
KR100564422B1 KR1019990014385A KR19990014385A KR100564422B1 KR 100564422 B1 KR100564422 B1 KR 100564422B1 KR 1019990014385 A KR1019990014385 A KR 1019990014385A KR 19990014385 A KR19990014385 A KR 19990014385A KR 100564422 B1 KR100564422 B1 KR 10056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upling capacitor
forming
wiring line
logic region
inter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946A (ko
Inventor
김승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1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4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ML반도체소자의 로직영역에서 회로를 보호하도록 하는 디커플링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으로서, 반도체기판의 셀영역 상에 제1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를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도 제1 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을 형성한 후 수직배선라인으로 상층부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의 상,하부층을 연결하여 상,하부층 사이의 질화막을 유전체로 하여 전원전압의 스트레스를 접지전원으로 인가하여 완충하므로 내부회로의 보호 효과를 증가시키 뿐만아니라 셀영역 및 로직영역의 단차를 줄이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콘택플러그 게이트 디커플링커패시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Description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 The Decoupling Capacitor Of MML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커플링 커패시터의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커필링 커패시터의 최종적인 구성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반도체기판 20 : 필드산화막
30 : 제1폴리게이트 40 : 제2폴리게이트
50 : 제1층간절연막 60 : 제1콘택플러그
70 : 비트라인 75 : 수평배선라인
80 : 제2층간절연막 90 : 제2콘택플러그
95 : 수직배선라인 100,105 : 하부층
110,115 : 상부층 120 : 제3층간절연막
130,130a : 메탈콘택플러그 140 : 메탈라인
본 발명은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직영역의 수직배선라인으로 연결되는 하부층, 질화막 및 상부층으로 된 디커플링커패시터를 형성하여 질화막을 유전체로 하여 전원전압의 스트레스를 접지전원으로 인가하여 완충하므로 회로의 보호 효과를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로직영역과 셀영역의 단차를 줄이도록 하는 디커플링 커패시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커플링 커패시터(Decoupling Capacitor)는 제1폴리 실리콘층을 게이트전극으로 하여 전원전압과 내부전원전압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게이트산화막을 커패시터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1폴리 실리콘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나 내부 전원 전압(VINT)을 인가하도록 연결하고 실리콘기판에 접지 전극을 연결하여 전압이 수시로 올라가고 내려갈때 마다 게이트산화막이 커패시터의 역할을 하게 되어 단시간 내에 접지전압에서 전원전압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전압을 공급하므로서 내부회로등을 급격한 전압으로 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디커플링 커패시터의 구성을 살펴 보면, 전기적으로 도전이 가능한 내부 회로에 전원 전압이 급속하게 인가되어 내부회로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게이트산화막 상에 폴리실리콘층을 적층하여 식각 한 후 형성한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디커플링커패시터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한 게이트산화막은 차세대 64MDRAM의 경우에는 70Å정도의 두께로 적층되어지는 것으로서, 이 산화막의 유전율은 3.9정도의 값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이용하여 디 커플링 커패시터를 사용하고자 하면, 반도체기판 상에 차지하는 면적이 상당하게 커지므로 반도체기판의 면적을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반도체기판의 셀영역 상에 제1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를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도 제1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을 형성한 후 수직배선라인으로 상층부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의 상,하부층을 연결하여 상,하부층 사이의 질화막을 유전체로 하여 전원전압의 스트레스를 접지전원으로 인가하여 완충하므로 회로의 보호 효과를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양 영역의 단차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영역과 로직영역으로 분리된 MML반도체소자에서, 셀영역의 제1층간절연막 상에 비트라인을 적층할 때 동시에 로직영역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배선라인과; 상기 수평배선라인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단차로 각각 연결되는 제2메탈라인 및 수직배선라인과; 상기 수직배선라인에 연결되도록 제2층 간절연막 상에 하부층, 질화막 및 상부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디커플링커패시터 와; 상기 디커플링커패시터의 상부층에 연결되는 제1메탈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메탈라인과 수직배선라인은 필드산화막사이에 형성된 접합층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셀영역의 반도체기판 상에 제1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을 형성 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의 필드산화막 상에 제1폴리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제1층간절연막을 적층하여 상기 콘택전극에 연결되는 제1콘택플러그를 형성한 후 셀영역에 비트라인을 적층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는 수평배선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제2층간절연막을 적층하여 셀영역의 콘택전극으로 연결되는 제2콘택플러그 및 로직영역의 수평배선라인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선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의 셀영역 상에는 하부층, 질화막 및 상부층으로 된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 상에도 하부층, 질화막 및 상부층으로 된 디커플링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제3층간절연막을 적층한 후 셀영역의 전하저장전극에 연결된 메탈콘택플러그 상에 메탈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서 디 커플링커패시터 상에 제1메탈라인를 형성하고, 제2메탈라인은 수평배선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커패시터 구조 및 그 형성방법을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 커플링 커패시터 구조는 셀영역과 로직영역으로 분리된 MML반도체소자에서, 셀영역의 제1층간절연막(50) 상에 비트라인(70)을 적층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배선라인(75)과; 상기 수평배선라인(75)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단차로 각각 연결되는 제2메탈라인(145) 및 수직배선라인(95)과; 상기 수직배선라인(95)에 연결되도록 제2층간절연막(80)상에 수평으로 하부층(105), 질화막(107) 및 상부층(115)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디커플링커패시터 (B)와; 상기 디커플링커패시터(B)의 상부층(115)에 연결되는 제1메탈라인(1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은 다른 실시에에 따른 디커플링 커패시터 구조로서, 상기 제2메탈라인(140)과 수직배선라인(95a)은 필드산화막(25) 사이에 형성된 접합층 (Junction Region)(75a)에 연결되어져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메탈라인(142)은 전원전압(VCC)의 역할을 하고, 제2메탈라인(15)은 접지전압(VOUT)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디커플링커패시터(B)의 질화막(107)이 전하를 저장하여 급격한 전압을 완충하도록 하는 유전체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커패시터의 형성방법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영역의 반도체기판(10) 상에 제1폴리게이트(30) 및 콘택전극(40)을 형성 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의 필드산화막(20) 상에 제1폴리게이트(30)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과물 상에 제1층간절연막을 적층하여 상기 콘택전극(40)에 연결되는 제1콘택플러그(60)를 형성한 후 셀영역에 비트라인(70)을 적층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는 수평배선라인(75)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 상에 제2층간절연막(50)을 적층하여 셀영역의 콘택전극(40)으로 연결되는 제2콘택플러그(90) 및 로직영역의 수평배선라인(75)으로 연결되는 수직배선라인(95)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은 상기 결과물의 셀영역 상에는 하부층(100), 질화막(102) 및 상부층(110)으로 되고, 실린더 형상으로 된 전하저장전극(A)을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 상에도 하부층(105), 질화막(107) 및 상부층(115)으로 되고, 수평으로 적층되는 디커플링커패시터(B)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과물 상에 제3층간절연막(120)을 적층한 후 셀영역의 전하저장전극(A)에 연결된 메탈콘택플러그(130) 상에 메탈라인(140)을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서 디 커플링커패시터(B) 상에 제1메탈라인(142)를 형성하고, 제2메탈라인 (145)은 수평배선라인(75)과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도 5는 디커플링 형성방법은 거의 전 공정이 동일하나 로직영역에 필드산화막(15) 사이에 접합층(75a)을 형성하여 디커플링커패시터(B)를 연결한 다는 점이 다르다.
이때, 종래에는 로직영역에 디커플링 커패시터가 없으므로 층간절연막을 적층하는 경우, 셀영역의 높이는 높고 로직영역은 너무 낮아서 단차가 현저하게 발생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커플링 커패시터(B)의 높이로 인하여 로직영역에 적층되는 제3층간절연막(12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양 영역의 단차가 많이 줄어들게어 되어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 커플링 커패시터 형성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반도체기판의 셀영역 상에 제1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를 형성함과 동시에 로직영역에도 제1폴리게이트 및 콘택전극을 형성한 후 수직배선라인으로 상층부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의 상,하부층을 연결하여 상,하부층 사이의 질화막을 유전체로 하여 전원전압의 스트레스를 접지전원으로 인가하여 완충하므로 회로의 보호 효과를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디커플링커패시터의 높이로 인하여 층간절연막을 적층할 때, 양 영역의 단차를 줄이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3)

  1. 셀영역과 로직영역으로 분리된 MML반도체소자에 있어서,
    셀영역의 제1층간절연막 상에 비트라인을 적층할 때 동시에 로직영역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배선라인과;
    상기 수평배선라인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단차로 각각 연결되며,반도체 소자의 필드산화막 사이에 형성된 접합층에 연결되어 있는 제2메탈라인 및 수직배선라인과;
    상기 수직배선라인에 연결되도록 제2층간절연막상에 수평으로 하부층, 질화막 및 상부층으로 형성되는 디커플링커패시터와;
    상기 디커플링커패시터의 상부층에 연결되는 제1메탈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19990014385A 1999-04-22 1999-04-22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KR10056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85A KR100564422B1 (ko) 1999-04-22 1999-04-22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85A KR100564422B1 (ko) 1999-04-22 1999-04-22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46A KR20000066946A (ko) 2000-11-15
KR100564422B1 true KR100564422B1 (ko) 2006-03-28

Family

ID=1958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385A KR100564422B1 (ko) 1999-04-22 1999-04-22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724B1 (ko) 2010-02-05 2011-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장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267B1 (ko) * 2001-06-30 2004-12-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복합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177135B2 (en) 2003-09-23 200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chip bypass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8554B1 (ko) 2005-06-23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디커플링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7999299B2 (en) 2005-06-23 2011-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apacitor for peripheral circuit
KR100791339B1 (ko) 2006-08-25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탄화 저항 패턴을 포함하는 복합칩 반도체 소자 및 그제조 방법
KR100951742B1 (ko) * 2007-12-26 2010-04-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레이아웃 방법
KR100955939B1 (ko) * 2008-04-18 2010-05-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KR102045864B1 (ko) * 2013-03-14 201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888A (ja) * 1993-07-13 1995-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950026000A (ko) * 1994-02-28 1995-09-18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98166A (ja) * 1996-09-20 1998-04-14 Nippon Steel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7145A (ja) * 1997-06-27 1999-01-2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888A (ja) * 1993-07-13 1995-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950026000A (ko) * 1994-02-28 1995-09-18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98166A (ja) * 1996-09-20 1998-04-14 Nippon Steel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7145A (ja) * 1997-06-27 1999-01-2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724B1 (ko) 2010-02-05 2011-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장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 방법
US8470667B2 (en) 2010-02-05 2013-06-25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reservoir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46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7636B2 (en) Structure for reducing contact aspect ratios
KR100442892B1 (ko) 스택 셀을 위한 보호 베리어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6316801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apacitive element structure and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I223894B (en) A method for fabricating a window of a buried capacitor
KR10035613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CN1348217A (zh) 一种半导体装置及其形成方法
JPH10178157A (ja) 半導体装置の金属配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4422B1 (ko) Mml반도체소자의 디커플링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US6559499B1 (en) Process for fabricating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capacitors with a multilevel metallization
KR100695028B1 (ko) 집적회로용 대머신 커패시터
US7141471B2 (en)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5990508A (en) Ferroelectric memory
US6858442B2 (en) Ferroelectric memory integrated circuit with improved reliability
US20020030215A1 (en) Semiconductor device
US6515364B2 (en) Semiconductor device
CN101656254B (zh) 动态随机存取内存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534160B1 (ko) 집적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20000008446A (ko) 공정 토폴로지 개선을 위한 고집적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5122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콘택 형성방법 및 그 구조
KR1008719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저장 캐패시터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010059014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41554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셀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3275A (ko) 디램에서의 스토리지 전극 형성 방법
KR19980045611A (ko) 강유전체 커패시터 제조방법
KR980006096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4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