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4179B1 -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 Google Patents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179B1
KR100564179B1 KR1019990001690A KR19990001690A KR100564179B1 KR 100564179 B1 KR100564179 B1 KR 100564179B1 KR 1019990001690 A KR1019990001690 A KR 1019990001690A KR 19990001690 A KR19990001690 A KR 19990001690A KR 100564179 B1 KR100564179 B1 KR 10056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arrier strip
region
di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탠스베리알랜엘.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1999000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1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접촉자는 대응 결합 접촉자를 수용하는 결합 단부, 커넥터로 삽입되는 보유부, 및 결합 단부에 반대에 위치한 장착 단부를 구비한다. 장착 단부는 실질적으로 절연 하우징을 깎지 않고 절연 하우징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전이 영역을 갖는다. 접촉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모서리와 복수개의 접촉자들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시트를 스탬핑하는 단계-각각의 접촉자는 캐리어 스트립의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장착 단부를 구비함-, 접촉자들의 장착 단부들 내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접촉자를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촉자, 깎임 방지, 캐리어 스트립, 전이 영역, 가융성 요소

Description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CONTACT WITH ANTI-SKIVING FEATURE}
도1은 본 발명의 접촉자의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캐리어 스트립 상의 본 발명의 일련의 접촉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캐리어 스트립과 접촉자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4는 도3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캐리어 스트립과 접촉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접촉자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의 선 VI-VI을 따라 취한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접촉자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5에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의 평면도.
도8은 도7의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접촉자와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촉자
11 : 결합 단부
15 : 노치
19 : 전이 영역
21 : 보유부
100 : 커넥터
103 : 구멍
117 : 가융성 요소
200 : 캐리어 스트립
본 발명은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을 실질적으로 깎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접촉자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접촉자들을 분리할 때, 일반적으로 절단 공구는 버어(burr) 영역을 갖는 절단 모서리를 생성한다. 그 절단부가 삽입 중에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이동할 때, 버어는 커넥터 하우징의 보유부로부터 재료 층을 깎아낸다. 커넥터 하우징의 깎임은 접촉자를 보유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제공된 보유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버어에 의해 깎여진 하우징의 일부분이 커넥터 하우징을 통과한 후에도 접촉자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깎여진 부분을 접촉자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커넥터 조립 공정에 부가적인 단계가 필요하다. 커넥터 조립체는 예를 들어 가융성 요소(fusible element)를 접촉자에 고착시키기 전에 그 깎여진 부분을 접촉자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브러싱 단계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부가적인 단계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깎여진 부분이 제거되지 않으면, 그러한 깎여진 부분은 가융성 요소가 접촉자에 적절하게 부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깎여진 부분이 발생되는 것은 특히 자동화된 적용에서 허용될 수 없다. 명확하게, 본 기술 분야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을 깎지 않으면서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 가능한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자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에 커넥터 하우징의 깎여진 부분이 상부에 남지 않는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자가 제거 단계를 요함 없이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후에 가융성 요소가 부착될 수 있는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적은 단계들로 조립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의 한 태양에서 접촉자에 의해 달성된다. 접촉자는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삽입 가능하고, 접점은 대응 결합 접촉자를 수용하는 결합 단부, 커넥터로 삽입되는 보유부, 및 결합 단부의 반대에 위치한 장착 단부를 갖는다. 장착 단부는 실질적으로 절연 하우징을 깎지 않고 절연 하우징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된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캐리어 스트립에 의해 달성된다. 캐리어 스트립은 모서리를 갖는 시트 재료 및 적어도 하나의 접촉자를 포함한다. 접촉자는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윈도우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 장착 단부로부터 연장된 보유부, 및 보유부로부터 연장된 결합 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절연 하우징 및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가능한 접촉자를 갖는다. 접촉자는 대응 결합 접촉자를 수용하는 결합 단부, 커넥터와 결합하는 보유부, 및 결합 단부의 반대에 위치하고 보유부에 인접한 다이 조절된(die controlled) 영역을 갖는 장착 단부를 구비한다. 다이 조절된 영역은 실질적으로 하우징을 깎지 않고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접촉자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모서리와 복수개의 접촉자들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를 스탬핑하는 단계-각각의 접촉자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장착 단부를 구비함-와, 상기 접촉자들의 상기 장착 단부들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자들을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용도 및 이점들은 명세서와 도면들을 참조할 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접촉자(10)의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아래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접촉자(10)는 커넥터(100)의 부품이다.
접촉자(10)는 대응 결합 커넥터(도시안됨)로부터 연장된 대응 접촉자(도시안됨)과 상호 작용하도록 커넥터(100)로부터 연장된 결합 단부(11)를 구비한다. 한 실시예로서, 도1에 도시된 블레이드형 접촉자는 바람직하게는 대응 결합 커넥터 상의 이중 비임 접촉자와 상호 작용한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접촉자도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장착 단부(13)는 접촉자(10)의 결합 단부(11)의 반대에 위치한다. 장착 단부(13)는 바람직하게는 아암(17)이 측면에 위치된 노치(15)를 포함한다. 노치(15)를 형성하는 벽은 대체로 매끄러운 전이 영역(19)을 포함한다. 전이 영역(19)은 두께가 감소된 영역이고, 바람직하게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지거나 둥근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영역(19)은 결합 단부(11)에 가장 근접한 노치(15) 벽 영역 상에 위치한다. 노치(15)와 전이 영역(19)의 이점은 아래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보유부(21)는 커넥터(10)의 결합 단부(11)와 장착 단부(13)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보유부(21)는 커넥터(100) 내에서 억지 끼워맞춤된 접촉자(10)의 일부분이다. 보유부(21)는 차후의 제조 단계 중에 결합 단부(11)를 향해 일어날 수 있는 땜납의 위킹(wicking)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위킹 방지 구멍(2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자(10)의 제조 단계들은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종래의 스 탬핑 기계와 같은 기계 장치들은 캐리어 스트립(200) 상에 일련의 접촉자(10)들을 형성한다. 캐리어 스트립(200)은 적절한 전도성 재료의 시트이다. 접촉자(10)의 윤곽을 형성하고 위킹 방지 구멍(23)을 펀칭하는 것 외에도, 스탬핑 공정에서 접촉자(10) 내에 윈도우(25)를 형성한다.
윈도우(25)를 형성하고 보유부(21)에 인접한 벽의 일부분은 전이 영역(19)을 생성하도록 변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이 영역(19)은 다이 조절된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코이닝(coining) 작업에 의해 전이 영역(19)이 형성된다. 그러나, 전이 영역(19)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들도 이용될 수 있다.
코이닝 단계 후에, 절단 단계는 캐리어 스트립(200)으로부터 접촉자(10)들을 절단하여, 개별적인 접점을 형성한다. 캐리어 스트립(200)으로부터 절단될 때, 접촉자(10)의 윈도우(25)는 노치(15)가 된다. 접촉자(10)들은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절단된 후에 커넥터(100)에 배치된다.
커넥터(100)는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커넥터(100)는 결합면(105)과 장착면(107) 사이에 연장된 구멍(103) 어레이를 갖는 절연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결합면(105)에 인접하여, 각각의 구멍(103)은 바람직하게는 도입면(109, 111)들을 갖는다. 도입면(109, 111)들은 커넥터(100) 조립 중에 접촉자(10)와 구멍(103)들이 정렬되도록 보조한다.
또한, 구멍(103)들은 도6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105) 및 장착면(107) 사이에 폭이 감소된 부분을 포함한다. 폭이 감소된 부분은 억지 끼워맞춤을 이용하여 접촉자(10)를 보유하는 보유 영역(113)을 형성한다. 도5 및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영역(113)은 구멍(103)을 형성하는 벽들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리브(rib)일 수 있다. 보유 영역(113)은 구멍(103)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로서 도시되었지만, 다른 돌출부들이 폭이 감소된 부분을 형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응 결합 커넥터는 접촉자(10)와 결합하는 이중 비임 접촉자를 구비하므로, 절연 하우징(101)은 각각의 구멍(103)과 연통하는 한 쌍의 비임 수용 노치(117)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노치(117)들은 접촉자(10)들과 결합 중에 이중 비임들의 말단부들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 노치(117)들은 이중 비임 접촉자들이 접촉자(10)와 결합할 때 이중 비임의 편향을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100)는 재유동 기술, 바람직하게는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도시안됨)에 표면 장착된다. 표면 장착을 보조하기 위해, 구멍(103)은 장착면(107)에 인접한 확대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부(115)는 땜납 볼과 같은 가융성 요소(117)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국제 공보 번호 제WO 98/15989호(국제 출원 제PCT/US97/18066호)는 땜납 볼을 접촉자에 고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접촉자(10)가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것은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접촉자(10)가 캐리어 스트립(200)으로부터 절단된 후에 접촉자(10)가 커넥터(100)로 삽입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접촉자(10)의 장착 단부(13)가 먼저 구멍(103)으로 들어간다. 접촉자(10)의 아암(17)들은 이 아암(17)들이 보유 영역(113)과 정렬되지 않으므로 보유 영역(113) 옆으로 자유롭게 지나간다. 그러나, 접촉자(10)의 전이 영역(19)은 삽입 중에 보유 영역(113)과 정렬되고 결합한다. 접촉자(10)가 커넥터(100)로 더 삽입되면 보유부(21)가 보유 영역(113)과 결합된다. 전이 영역(19)은 그 형상으로 인해 삽입 중에 보유 영역(113)을 깎지 않는다. 접촉자(10)가 커넥터(100)로 삽입되는 것은 자동화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접촉자(10)가 커넥터(100)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면, 예를 들어 전술된 국제 공보 번호 제WO 98/15989호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자(10)에 가융성 요소(117)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융성 요소(117)는 깎여진 부분을 접촉자(10)로부터 브러싱하는 것과 같은 접촉자(10)의 중간 제작 단계를 필요로 함 없이도 접촉자(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중 아암(17)과 노치(15)는 접촉자(10) 상의 가융성 요소(117)의 안전성과 배치를 개선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먼저, 이중 아암(17)과 노치(15)는 종래의 접촉자들보다 가융성 요소(117)가 부착될 수 있는 더 큰 표면 영역을 제공한다. 더 큰 표면 영역은 가융성 요소(117)와 접촉자(10) 사이에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노치(15)는 가융성 요소(117)를 접촉자(10) 상에 정렬시키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재유동 중에, 가융성 요소(117)는 접촉자(10) 상에 적절하게 중심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노치(15)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영역으로 유입된다. 가융성 요소(117)가 빈 공간 영역으로 재유동됨에 따라 가융성 요소(117)의 나머지가 빈 공간 영역으로 변위된다. 즉, 가융성 요소(117)는 재유동 중에 중심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것은 보다 균일한 커넥터(100)를 제공하도록 보조한다.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도 본 발명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또 다른 유사한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개조예 및 추가예들이 제조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의 내용에 따라 그 범주가 제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는 커넥터 하우징을 실질적으로 깎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깎여진 부분을 접촉자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부가적인 단계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깎여진 부분이 없으므로 가융성 요소가 접촉자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다.

Claims (32)

  1.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접촉자이며,
    결합 접촉자를 수용하는 결합 단부와,
    커넥터로 삽입되는 보유부와,
    상기 결합 단부의 반대에 위치하고, 절연 하우징을 실질적으로 깎지 않고 절연 하우징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전이 영역을 갖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다이 조절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조절된 영역은 코이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두께가 감소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감소된 영역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부는 벽에 의해 형성된 노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부는 상기 전이 영역의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9. 모서리를 구비하고 있는 시트 재료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전이 영역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와, 상기 장착 단부로부터 연장된 보유부와, 상기 보유부로부터 연장된 결합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분은 다이 조절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조절된 영역은 코이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2. 제9항에 있어서, 벽은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고, 상기 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변형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영역은 상기 보유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영역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영역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스트립.
  16.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가능하고, 결합 접촉자를 수용하는 결합 단부와, 커넥터와 결합하는 보유부와, 상기 결합 단부에 반대에 위치하고 상기 보유부에 인접한 다이 조절된 영역을 갖고 실질적으로 절연 하우징을 깎지 않고 절연 하우징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장착 단부를 포함하는 접촉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조절된 영역은 코이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조절된 영역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조절된 영역은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부는 벽에 의해 한정된 노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부는 상기 전이 영역의 측면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에 부착 가능한 가융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융성 요소는 땜납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4. 접촉자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모서리와 복수개의 접촉자들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를 스탬핑하는 단계-각각의 접촉자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장착 단부를 구비함-와,
    상기 접촉자들의 상기 장착 단부들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자들을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자들은 실질적으로 절연 하우징을 깎지 않고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들의 영역을 다이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다이 조절 단계는 상기 윈도우들의 영역을 코이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들의 상기 윈도우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단계는 상기 윈도우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매끄럽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단계는 상기 윈도우들의 상기 일부분을 테이퍼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단계는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상기 모서리의 반대에 위치한 상기 윈도우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장착 단부들을 가로질러 상기 접촉자들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절단부가 상기 윈도우들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제조 방법.
KR1019990001690A 1998-01-20 1999-01-20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90A KR100564179B1 (ko) 1998-01-20 1999-01-20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071,985 1998-01-20
US09/191,609 1998-11-13
KR1019990001690A KR100564179B1 (ko) 1998-01-20 1999-01-20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179B1 true KR100564179B1 (ko) 2006-03-29

Family

ID=4174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6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179B1 (ko) 1998-01-20 1999-01-20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1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574A (ja) * 1983-11-08 1985-06-25 アンプ・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平形型打ち接触端子を持つコネクタ
JPH05251129A (ja) * 1991-12-27 1993-09-2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接触子固定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JPH05326058A (ja) * 1992-05-14 1993-12-10 Molex Inc 薄型電気コネクタ
JPH09259989A (ja) * 1996-02-28 1997-10-03 Molex Inc 異なる長さの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H10116645A (ja) * 1996-05-10 1998-05-06 Molex Inc 改良された端子保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574A (ja) * 1983-11-08 1985-06-25 アンプ・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平形型打ち接触端子を持つコネクタ
JPH05251129A (ja) * 1991-12-27 1993-09-2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接触子固定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JPH05326058A (ja) * 1992-05-14 1993-12-10 Molex Inc 薄型電気コネクタ
JPH09259989A (ja) * 1996-02-28 1997-10-03 Molex Inc 異なる長さの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H10116645A (ja) * 1996-05-10 1998-05-06 Molex Inc 改良された端子保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2528A (en) Solder post retention means
US5575666A (en) Electrical contacts
CA12276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rk contacts
US4733465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tact pin
KR20170031074A (ko) 개선된 연결 탭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시이트 금속 부품
US7891992B2 (en) Press-fit contact
US5380218A (en) Pressure-contact terminal structure
EP0372767B1 (en) Miniature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US643190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use with fine wires
EP4360128A1 (de) Elektrische anordnung mit positionierhilfe und herstellungsverfahren
US4748841A (en)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 contact pin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di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A1091319A (en) Method of producing multiple contact assemblies and contacts therefor
US6406336B1 (en) Contact with anti-skiving feature
US468521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jack
KR100564179B1 (ko)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US7156688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EP087887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or
US5643017A (en) Female termin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497511B2 (ja) 電気的スイッチ及びそのスイッチの製造方法
CA1080819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splaceable sidewall terminal element
JP2529156B2 (ja) 電気端子ピ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0939417A1 (en) A blade fuse
EP0139786B1 (en) Press fit connector insulator and contact
US5014535A (en) Apparatus for forming embossments on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WO2003103093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