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1871B1 - 광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871B1
KR100561871B1 KR1020040058840A KR20040058840A KR100561871B1 KR 100561871 B1 KR100561871 B1 KR 100561871B1 KR 1020040058840 A KR1020040058840 A KR 1020040058840A KR 20040058840 A KR20040058840 A KR 20040058840A KR 100561871 B1 KR100561871 B1 KR 10056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light source
optical bench
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214A (ko
Inventor
서성동
손진승
정미숙
조은형
진영수
김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8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06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 G11B33/1426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by cooling plates, e.g. f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픽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일측에 마운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광학벤치, 상기 광학벤치에 결합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학벤치의 마운트 삽입공에 끼워지는 소정 높이의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광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픽업 장치{Optical pickup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픽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학벤치 및 방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광학벤치 11:마운트 삽입공
13:제 1 광통과공 15:메인 광검출기
17:배선 18:패드
19:모니터 광검출기 20:방열판
22:마운트 23:제 2 광통과공
25:광원 30:렌즈부
40:미러부 40a:제 1 미러
40b:제 2 미러 50:광경로 분리부
100:정보 저장매체
본 발명은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의 배치를 위한 얼라인먼트(alignment) 공정과 본딩(bonding)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설계된 광경로 상에 광원의 배치가 용이한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은 CDP, CD-ROM, DVDP, DVD-ROM, BD(Blue-ray Disk) 등의 광기록재생장치에 채용되어,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접촉식으로 광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한다.
최근, 광기록재생장치가 개인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PDA), 휴대용 MP3 플레이어, 휴대용 CDP 등에 널리 채용되면서, 소형화, 박형화 및 고밀도 정보기록/재생이 가능한 광픽업이 요구된다.
종래의 광픽업은 광원, 서브마운트(submount), 광학벤치(Si optical bench), 광검출기(photo detector), 렌즈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광원으로 주로 LD칩(Laser Diode chip)이 사용되었다.
광픽업 장치에서 이러한 광학 부품들의 위치는 설계되는 광경로에 따라 결정되며, 광경로 상에서 광학 부품들의 얼라인먼트(alignment)와 본딩(bonding)은 제조된 광픽업 장치의 정밀성과 재현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에는 LD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빨리 방출하기 위한 목적과 LD칩을 광경로에 배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브마운트가 사용되었다. 이를 위해, 종래 광픽업 장치는 광학벤치 상에 서브마운트가 배치되고, 상기 서브마운트 상에 LD칩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광픽업 장치의 구조에서는, 광원을 설계된 광경로 상에 배치하기 위해서 두 번의 얼라인먼트 공정과 두 번의 본딩 공정이 요구되었다. 구체적으로, 광학벤치 상에 서브마운트를 배치할 때 요구되는 얼라인먼트 공정과 본딩공정, 상기 서브마운트 상에 LD칩을 배치할 때 요구되는 얼라인먼트 공정과 본딩공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광픽업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번의 얼라인먼트 공정 및 두 번의 본딩 공정에서는 광픽업 장치의 제조과정 중에 LD칩의 위치 정렬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과 본딩공정에 따른 조립공차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조공정의 복잡성, 생산성의 저하, 광원의 위치 정렬 불량 등으로 인하여 광픽업 장치의 소형화에 대한 한계 등에 직면하였으며, 종래 광픽업 장치의 구조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의 배치를 위한 얼라인먼트(alignment) 공정과 본딩(bonding)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설계된 광경로 상에 광원의 배치가 용이하며, 보다 정밀하고 재현성 있는 광픽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종래 열전도도가 높지 않은 광학벤치 상에 광원을 배치할 경우 나타나는 열발생의 문제가 해결되어,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는 광픽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마운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광학벤치, 상기 광학벤치에 결합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학벤치의 마운트 삽입공에 끼워지는 소정 높이의 광원 장착용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광픽업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광픽업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광학벤치 및 방열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일측에 마운트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광학벤치(10), 상기 광학벤치(10)에 결합되는 방열판(20), 상기 방열판(20)과 일체로서 형성되어 상기 광학벤치(10)의 마운트 삽입공(11)에 끼워지는 마운트(22) 및 상기 마운트(22)의 상면에 장착되는 광원(2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광픽업 장치는 렌즈부(30), 미러부(40) 및 광경로 분리부(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광학벤치(10)에는 상기 광원(25)으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제 1 광통과공(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방열판(20)에는 상기 제 1 광통과공(13)에 대응되는 제 2 광통과공(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광원(25)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광학벤치(10)에 마련된 제 1 광통 과공(13)과 상기 방열판(20)에 마련된 제 2 광통과공(23)을 통과하여 정보 저장매체(100)로 입사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정보 저장매체(100)로부터 반사된 광이 제 1 미러(40a)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벤치(10)의 일면에 메인 광검출기(15)와 모니터 광검출기(1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 광검출기(19)는 상기 광원(25)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직접 수광하여, 광원(25)의 광량을 모니터링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메인 광검출기(15)는 정보 저장매체(100)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정보 재생신호(RF 신호) 및 서보 구동에 사용되는 에러신호(예컨대, 포커스 에러신호, 트랙킹 에러신호 및/또는 틸트 에러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렌즈부(30)는 광원(25)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집속하여 정보 저장매체(100)에 광스폿을 형성시킨다. 상기 렌즈부는 굴절 렌즈, 회절 렌즈 및 그린(GRIN) 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러부(40)는 상기 광학벤치(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25)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 1 광통과공(13)및 제 2 광통과공(23)으로 반사시켜 정보 저장매체(100)로 입사시키는 제 1 미러(40a)와, 상기 광학벤치(10)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정보 저장매체(100)에서 반사되어 제 1 미러(40a)로부터 전달된 반사광을 상기 메인 광검출기(15)로 입사시키는 제 2 미러(40b)를 구비한다.
상기 광경로 분리부(50)는 상기 광원(25)으로부터 출사되어 정보 저장매체(100)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와 상기 정보 저장매체(100)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경로를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경로 분리부(50)는 회절광학소자, 즉 HOE(Hologram Optical Element) 또는 DOE(Diffractive Optical Element)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경로 분리부(50)는 정보 저장매체(100)로 향하는 광을 직진 투과시키고, 정보 저장매체(100)에서 반사된 광을 회절 투과시킴으로서, 광의 경로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저장매체(100)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경로 분리부(50)를 회절투과한 광은 상기 정보 저장매체(100)쪽으로 진행하는 광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진행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메인 광검출기(15)에 수광된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광원(25) 장착용 마운트(22)가 마련된 방열판(20)은 일측에 마운트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광학벤치(10)과 결합되며, 상기 마운트(22)의 상면에 광원(25)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22)에 장착된 상기 광원(25)은 상기 광학벤치(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계된 광경로 상에 상기 광원(25)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20)은 몰딩, 사출, 식각 또는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상기 마운트(22)와 하나의 몸체로 제조되며, 상기 방열판(20)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마운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벤치와 상기 마운트 삽입공에 끼워지는 광원 장착용 마운트가 마련된 방열판이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광학벤치 상에 마운트의 셀프 얼라인먼트(self alignment)를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에서는 구조상 마운트가 광학벤치 상에 오토 얼라인(auto align)되기 때문에, 광학벤치 상에서 마운트의 얼라인먼트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광원을 설계된 광경로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종래 광픽업 장치에서는 광학벤치 상에 서브마운트가 배치되고, 상기 서브마운트 상에 LD칩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원을 설계된 광경로 상에 배치하기 위해서 두 번의 얼라인먼트 공정과 두 번의 본딩 공정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광원을 설계된 광경로 상에 배치하기 위해서 방열판이 결합된 광학벤치 및 광원 사이에 한 번의 얼라인먼트(alignment) 공정과 본딩(bonding)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정밀하고 재현성 있는 광픽업 장치가 제조될 수 있으며, 반면에 제조원가는 줄일 수 있다. 또한, 설계된 광경로 상에 광원의 배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얼라인먼트 공정과 본딩 공정에 따른 조립공차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정밀하고 재현성 있는 광픽업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방열판은 몰딩, 사출, 식각 또는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마운트와 하나의 몸체로 제조되며, 상기 방열판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한다.
상기 광학벤치(SiOB: Silicon Optical Bench)의 일면에 상기 메인 광검출기(15) 및 상기 모니터 광검출기(19)와 외부 회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17) 및 패드(18)가 마련된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광원을 설계된 광경로 상에 배치하기 위해서 방열판이 결합된 광학벤치 및 광원 사이에 한 번의 얼라인먼트(alignment) 공정과 본딩(bonding)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얼라인먼트 공정 및 본딩 공정에 따른 조립공차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더욱 정밀하고 재현성 있는 광픽업 장치가 제조될 수 있으며, 반면에 제조원가는 줄일 수 있다.
또한,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판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광원의 열화가 방지되고 광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Claims (8)

  1. 일측에 마운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광학벤치;
    상기 광학벤치에 결합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광학벤치의 마운트 삽입공에 끼워지는 소정 높이의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의 상면에 장착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방열판은 몰딩 공정에 의해 단일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방열판은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단일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벤치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제 1 광통과공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에 상기 제 1 광통과공에 대응하는 제 2 광통과공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벤치의 일면에 메인 광검출기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직접 수광하는 모니터 광검출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벤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제 1 및 제 2 광통과공으로 반사시켜 정보 저장매체로 입사시키는 제 1 미러와, 상기 광학벤치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정보 저장매체에서 반사되어 제 1 미러로부터 전달된 반사광을 상기 메인 광검출기로 입사시키는 제 2 미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벤치의 일측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정보 저장매체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와 상기 정보 저장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경로를 분리하는 광경로 분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KR1020040058840A 2004-07-27 2004-07-27 광픽업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6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840A KR100561871B1 (ko) 2004-07-27 2004-07-27 광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840A KR100561871B1 (ko) 2004-07-27 2004-07-27 광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214A KR20060010214A (ko) 2006-02-02
KR100561871B1 true KR100561871B1 (ko) 2006-03-17

Family

ID=3712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8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1871B1 (ko) 2004-07-27 2004-07-27 광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8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239A (ja) 2001-11-30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239A (ja) 2001-11-30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214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7051A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compatible optical pickup device adopting the same
US6747939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KR20060095433A (ko) 광헤드, 광정보재생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252023A1 (en) Integrated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integrated optical system
JP2008090945A (ja) 光ピックアップ
CN1129123C (zh) 光学头及其制造方法、光信息记录/再现设备
US6522619B2 (en)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with different calorific valu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79555A (ko) 광헤드 및 그 광헤드의 광경로 조정방법
KR100647300B1 (ko) 광학 벤치, 집적 광학 시스템 및 광학 정렬 방법
KR100561871B1 (ko) 광픽업 장치
US7808863B2 (en) Laser/detector device for optical recording with adjustable detector position
US6873592B2 (en) Slim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634522B1 (ko) 광픽업 장치 및 상기 광픽업 장치에 구비된 서브마운트와광학 벤치의 결합 방법
US20060120226A1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JP2007058902A (ja) 光ピックアップ
JP4556781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製造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585065B1 (ko) 광출력모듈 및 이를 채용한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531792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픽업장치의 베이스 광학계
JP2001236681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77783A1 (en) Light-e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optical pickup and optical pickup
JP2012113785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507876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30242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電子機器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製造方法
JP201404915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調整方法
JP201405992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