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338B1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1338B1 KR100561338B1 KR1020030085512A KR20030085512A KR100561338B1 KR 100561338 B1 KR100561338 B1 KR 100561338B1 KR 1020030085512 A KR1020030085512 A KR 1020030085512A KR 20030085512 A KR20030085512 A KR 20030085512A KR 100561338 B1 KR100561338 B1 KR 100561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image signal
- error diffusion
- color image
- dithe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10000000712 G cell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9447 Y1-Y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270131 Agaricus moelle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력 영상신호 중 R(Red), Blue(B)신호에 비해서 G(Green)신호가 영상 표시 장치에 인가함에 있어 발광 휘도가 높으므로 R 및 B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마다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하프토닝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처리하며, G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하프토닝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 처리한다. 이때, 하프토닝 기법은 오차확산 방법 또는 디더링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발광 휘도가 높은 G 영상신호에 대해서 오차확산을 적용함에 있어 프레임별로 오차확산 커널의 형태를 변동시키거나 디더링을 적용함에 있어 프레임별로 디더링 행렬을 변동시킴으로써, G셀의 발광화소의 위치를 프레임별로 분산시켜 G셀의 평균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G셀의 평균 발광 휘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저계조를 표시할 때 발생하는 G셀의 발광의 시인성을 저감시켜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low gradation expression. Since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is higher when the G (Green) signal is appli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an the R (Red) and Blue (B) signals among the input video signals, the half having the same pattern for each of the R and B video signals has the same pattern.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by using a toning technique, and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by using a half-toning technique having a different pattern for each G image signal. In this case, an error diffusion method or a dithering method may be used as the half-toning techniqu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ixel of the G cell is framed by varying the shape of the error diffusion kernel for each frame in applying the error diffusion to the G image signal having high emission luminance or by changing the dither matrix for each frame in applying the dithering.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G cells can be reduced by dispersing each other. Accordingly, there is a unique effect of reducing the visibility of light emission of the G cell generated when displaying low gray scale by reducing the average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G cell, thereby improving the low gray scale expressive power.
PDP, 커널(KERNEL), 오차 확산, Red, Green, Blue, 발광 휘도, 디더링PDP, Kernel, Error Diffusion, Red, Green, Blue, Luminance Luminance, Dithering
Description
도 1은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C plasma display panel.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de array of a plasma display panel.
도 3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ay scale display method of a plasma display panel.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차확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오차확산 처리 알고리즘(Floyd-Steinberg Algorithm)에 대한 블록이며, 도 4의 (b)는 이때 사용되는 커널(KER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rror diffusion method generally used in a plasma display panel. FIG. 4A is a block for an error diffusion processing algorithm (Floyd-Steinberg Algorithm), and FIG. 4B is used at this tim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kernel (KERNE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에서 R, B 영상신호에 대해 프레임별 사용되는 커널(KER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rnel (KERNEL) used for each frame for R and B video signals in an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에서 G(Green) 영상신호에 대해 프레임별 사용되는 커널(KER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rnel KERNEL used for each frame for a G (Green) video signal in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 방법을 적용함에 사용하는 2×2 크기의 디더링 행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 2 × 2 dither matrix used in applying a dith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low gray level expressive power and a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최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평면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들 평면 표시 장치 중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른 평면 표시 장치에 비해 휘도 및 발광효율이 높으며 시야각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40인치 이상의 대형 표시 장치에서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할 표시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Recently, flat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plasma display panel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mong these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e plasma display panel has advantages of higher luminance and luminous efficiency and wider viewing angle than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erefore, the plasma display panel is in the spotlight as a display device to replace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CRT) in a large display device of 40 inches or mor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 방전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평면 표시 장치로서, 그 크기에 따라 수십에서 수백 만개 이상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인가되는 구동 전압 파형의 형태와 방전 셀의 구조에 따라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구분된다. A plasma display panel i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characters or images using plasma generated by gas discharge, and tens to millions or more of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ccording to their size. The plasma display panel is classified into a direct current type and an alternating current type according to a shape of a driving voltage waveform applied and a structure of a discharge cell.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이 방전 공간이 절연되지 않은 채 노출되어 있어서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전류가 방전 공간에 그대로 흐르게 되며, 이를 위해 전류 제한을 위한 저항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교류 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전극을 유전체층이 덮고 있어 자연스러운 캐패시턴스 성분의 형성으로 전류가 제한되며 방전시 이온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이 보호되므로 직류형에 비해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DC plasma display panel, the electrode is exposed without the discharge space insulated, so that the current flows in the discharge space while the voltage is appli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resistance for current limitation must be made. On the other hand, in the AC type plasma display panel, the electrode covers the dielectric layer, so that the current is limited by the formation of a natural capacitance component and the life is longer than that of the DC type because the electrode is protected from the impact of ions during discharge.
도 1은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C plasma display panel.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기판(1) 위에 유전체층(2) 및 보호막(3)으로 덮인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이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유리 기판(6) 위에는 절연체층(7)으로 덮인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8)이 형성된다. 어드레스 전극(8) 사이에 있는 절연체층(7) 위에는 어드레스 전극(8)과 평행하게 격벽(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체층(7)의 표면 및 격벽(9)의 양측면에 형광체(10)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 6)은 주사 전극(4)과 어드레스 전극(8) 및 유지 전극(5)과 어드레스 전극(8)이 직교하도록 방전 공간(1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8)과 쌍을 이루는 주사 전극(4)과 유지 전극(5)과의 교차부에 있는 방전 공간이 방전셀(1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배열도를 나타낸다. 2 shows an electrode arrangement diagram of the plasma display panel.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은 m×n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구체적으로 열 방향으로는 어드레스 전극(A1-Am)이 배열되어 있고 행 방향으로는 n행의 주사 전극(Y1-Yn) 및 유지 전극(X1-Xn)이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다. 도 2의 방전셀(12)은 도 1의 방전셀(12)에 대응한다.As shown in FIG. 2, the electrode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re arranged in a matrix of m × n. Specifically, the address electrodes A1 -Am are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n rows of scan electrodes in the row direction ( Y1-Yn and sustain electrodes X1-Xn are arranged in a zigzag. The
일반적으로 이러한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시간적인 동작 변화로 표현하면 리셋 기간, 어드레싱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이루어 진다. In general, the driving method of the AC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reset period, an addressing period, and a sustain period.
리셋 기간은 셀에 어드레싱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각 셀의 상태를 초기화시키는 기간이며, 어드레싱 기간은 패널에서 켜지는 셀과 켜지지 않는 셀을 선택하기 위하여 켜지는 셀(어드레싱된 셀)에 어드레스 전압을 인가하여 벽전하를 쌓아두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서스테인 기간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어드레싱된 셀에 실제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전을 수행하는 기간이다. The reset period is a period of initializing the state of each cell in order to perform an addressing operation smoothly on the cell. The addressing period is an address voltage for a cell (addressed cell) turned on to select a cell that is turned on and a cell that is not turned on in a panel. It is a period of tim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accumulating wall charge by applying a. The sustain period is a period in which a discharge is applied to actually display an image in the addressed cells by applying a sustain puls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1 프레임(1TV 필드)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나누고 이를 시분할 제어하여 계조를 구현한다. 각 서브필드는 앞에서 설명한 리셋 기간, 어드레싱 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256 계조를 구현하기 위해 1 프레임을 8개의 서브필드로 나눈 경우를 나타내었다. 각 서브필드(SF1-SF8)는 리셋 기간(도시하지 않음), 어드레스 기간(A1-A8) 및 서스테인 기간(S1-S8)으로 이루어지며, 서스테인 기간(S1-S8)은 발광 기간(1T, 2T, 4T, …, 128T)의 비가 1:2:4:8:16:32:64:128로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lasma display panel divides one frame (1TV fiel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time-division control them to implement gray scale. Each subfield consists of the reset period, the addressing period and the sustain period described above.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e frame is divided into eight subfields to implement 256 gray levels. Each subfield SF1-SF8 consists of a reset period (not shown), an address period A1-A8, and a sustain period S1-S8, and the sustain periods S1-S8 are
이때, 예를 들어 3이란 계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1T 발광 기간을 가지는 서브 필드(SF1)와 2T 발광 기간을 가지는 서브 필드(SF2)에서 방전 셀을 방전시켜 방전되는 기간의 합이 3T가 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로 다른 발광 기간을 가지는 서브필드를 조합하여 256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At this time, for example, in order to implement a gray scale of 3, the discharge cell is discharged in the subfield SF1 having the 1T light emission period and the subfield SF2 having the 2T light emission period so that the sum of the discharge periods is 3T. In this manner, 256 grayscale images are displayed by combining subfields having different light emission periods.
한편,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저계조를 표현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계조를 가지는 화소를 표시할 수 있는 계조로 표현하고 그 오차를 주위의 화소로 전파하는 방법인 오차확산 방법 을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problem in expressing a low gray level in the plasma display panel. As a method for solving the low gray level, a pixel having a low gray level may be expressed as a gray level capable of displaying the gray level, and the error is propagated to surrounding pixels. The error diffusion method is generally applied.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차확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오차확산 처리 알고리즘(Floyd-Steinberg Algorithm)에 대한 블록이며, 도 4의 (b)는 이때 사용되는 커널(KER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rror diffusion method generally used in a plasma display panel. FIG. 4A is a block for an error diffusion processing algorithm (Floyd-Steinberg Algorithm), and FIG. 4B is used at this tim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kernel (KERNEL).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차 확산 방법은 입력되는 R(Red), G(Green), B(Blue) 영상신호에 대해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와 실제 표시할 수 있는 계조의 오차를 구하고(도 1의 Q블록에서 이루어짐), 이에 대한 오차를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 화소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분배시킴으로서 저계조를 표현한다. 이때, 도 4의 (a)에서 1D, 1H+1D, 1H, 1H-1D 블록은 저계조를 표시하고자 하는 화소의 위치의 주위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블록이고, 7/16, 1/16, 5/16, 3/16은 주위의 화소에 곱해지는 계수를 나타낸다. 오차에 대해서 주위에 전파된 계조의 출력은 도 4의 (b)에서는 RGBq로 나타내었다. 이렇게 주위 화소로 오차가 전파됨을 나타내는 도면이 바로 도 4의 (b)인데,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차(E*)는 주위 화소로 일정한 계수가 곱해져서 전파된다.As shown in (a) of FIG. 4, the error diffusion method calculates an error between a gradation originally intended to be displayed and a gradation that can be actually displayed with respect to an inputted R (Red), G (Green), or B (Blue) video signal. The low gray scale is represented by multiplying and distributing the error by multiplying a constant coefficient to surrounding pixels as shown in (b) of FIG. 4. At this time, in Figure 4 (a) 1D, 1H + 1D, 1H, 1H-1D block is a bloc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urrounding pixels of the position of the pixel to display the low gray, 7/16, 1/16, 5 / 16 and 3/16 represent coefficients to be multiplied by surrounding pixels. The output of the gray scale propagated around the error is indicated by RGB q in FIG. As shown in FIG. 4B, the error E * is propagated by multiplying a constant coefficient to the surrounding pixels as shown in FIG. 4B.
하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오차확산 방법은 R, G, B 영상신호 모두에 대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오차확산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휘도는 G(Green) 형광체의 발광 휘도가 R, B에 비하여 매우 높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잘 인식되어 저계조를 표현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된 다. 즉, R, B 신호에 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휘도는 G신호에 대한 발광 휘도에 비하여 낮으므로 계조 표현 및 시인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G신호는 R, B 신호에 비해 발광휘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잘 인식되어 저계조 표현을 나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conventional error diffusion method applies the error diffusion processing algorithm to the R, G, and B image signals in the same manner. The emission luminan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that of the G (Green) phosphor. Is very high compared to R and B, so it is well recognized visually and causes low gradation to be worse. That is, since the emission luminan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with respect to the R and B signals is lower than that of the G signal, there is no problem in gray scale expression and visibility, but the G signal has a higher luminance than the R and B signals. As a result, a problem arises that the visual recognition is poor and the low gradation expression is ba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표시 장치에서 G 형광체의 발광 휘도가 높아서 발생하는 저계조 표현력 문제를 해결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olving a problem of low gray scale expression caused by high emission luminance of a G phosphor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영상 처리 방법은, (a) 입력 영상신호 중 제1 색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마다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하프토닝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및 b) 입력 영상신호 중 제2 색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하프토닝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색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함에 있어 발광되는 발광 휘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a)에서의 하프토닝 기법은 프레임마다 동일한 형태의 오차 확산 커널을 이용해 오차확산 처리하는 오차확산 방법이며, 상기 단계(b)에서의 하프토닝 기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오차 확산 커널을 이용해 오차확산 처리하는 오차확산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a)에서의 하프토닝 기법은 프레임마다 동일한 형태의 디더링 행렬을 이용하여 디더링하는 디더링 방법이며, 상기 단계(b)에서의 하프토닝 기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디더링 행렬을 이용하여 디더링하는 디더링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 a video display device. The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es: (a) processing an image by using a half-toning technique having a pattern having the same pattern for each frame of a first color image signal among input image signals; And b) processing the second color image signal among the input image signals by using a half-toning technique having a pattern having a different shape for at least one frame. In this case, the second color image signal may be an image signal having the highest light emission luminance to b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half-toning technique in step (a) is an error diffusion method of error diffusion processing using an error diffusion kernel having the same shape for each frame, and the half-toning technique in step (b) is different for at least on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error diffusion method of error diffusion processing using a shape error diffusion kernel. The half-toning technique in step (a) is a dithering method for dithering using a dithering matrix of the same type for each frame, and the half-toning technique in step (b) is for dithering a different type for at least one frame. A dithering method is used for dithering using a matrix.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교차하며 형성되는 제3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패널; 상기 플라즈마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한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나누어 상기 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기 서브필드의 수와 각 서브필드에 할당되는 상기 서스테인 펄스의 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 영상신호 중 제1 색 영상신호 및 제2 색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마다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하프토닝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처리하며, 입력 영상신호 중 제3 색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하프토닝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 색 영상신호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함에 있어 발광되는 발광 휘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sma display panel is provided. The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plasma panel includ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 third electrode formed to intersec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 driving unit driving the plasma panel; And a control unit which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driver to divide one frame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to control the number of the subfields forming the one frame and the number of the sustain pulses allocated to each subfield. The controller processes an image by using a half-toning technique having a pattern having the same pattern for each frame for the first color image signal and the second color image signal among the input image signals, and at least for the third color image signal among the input image signals. An image may be processed by using a half-toning technique having a different pattern for each frame. In this case, the third color image signal may be an image signal having the highest light emission luminance emitted in the display on the plasma display pa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패널(100), 어드레스 구동부(200), 주사·유지 구동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플라즈마 패널(100)은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A1-Am)과 행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전극(Y1-Yn) 및 유지 전극(X1-Xn)을 포함한다. 어드레스 구동부(200)는 제어부(400)로부터 어드레스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방전 셀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 신호를 각 어드레스 전극(A1-Am)에 인가한다. 주사·유지 구동부(300)는 제어부(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주사 전극(Y1-Yn)과 유지 전극(X1-Xn)에 서스테인 전 압을 번갈아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방전 셀에 대하여 유지 방전을 수행한다. The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R, G, B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한 프레임을 몇 개의 서브필드로 나누고, 각 서브필드를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및 유지 방전 기간으로 나누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한 프레임에 들어가는 서브필드의 각 서스테인 기간에 들어가는 서스테인 펄스의 개수를 조절하여 필요한 제어 신호를 어드레스 구동부(200) 및 주사 유지 구동부(300)에 공급한다. The
아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에서 입력 영상신호의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차를 주위 화소에 전파하는 오차확산부(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음)가 수행하는 오차 확산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Hereinafter, an error diffusion unit (not shown in FIG. 5) which propagates an error to surrounding pixels in order to improve the low gray scale expression power of an input image signal i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에서 R, B 영상신호에 대해 프레임별 사용되는 커널(KER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rnel (KERNEL) used for each frame for R and B video signals in an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영상신호 중에서 R(Red)과 B(Blue)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마다 오차확산 처리에 사용되는 커널은 변화되지 않고 동일한 커널을 사용하여 오차확산 처리한다. 즉, R, B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오차(E*)에 대해 주위화소로 전파함에 사용하는 계수를 프레임별로 고정하여 동일한 커널을 사용함으로써 오차확산 처리한다. R, B 영상신호에 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는 G(Green) 영상신호에 대한 발광휘도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동일한 커널을 사용하여 오차확산 처리를 하여도 계조 표현 및 시인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6, the kernels used for the error diffusion processing for each frame among the input video signals R (Red) and B (Blue) are not changed, and the error diffusion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the same kernel. That is, the error diffusion process is performed by using the same kernel by fixing the coefficients used for propagating to the surrounding pixels with respect to the error E * for the R and B video signals. Since the luminan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for the R and B image signals is very low compared to the luminance of the luminance for the G (Green) image signal, there is no problem in gradation expression and visibility even if the error diffusion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the same kernel. Because.
이때, R, B 영상신호에서 프레임별로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커널의 종류는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Floyd-Steinberg 계수을 통한 오차확산에서 사용하는 커널 외에 Fan 계수에 의한 오차확산에서 사용되는 커널 등 그 종류는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In this case, the types of kernels used by fixing the R and B video signals by frame are different from those shown above and the kernels used in the error diffusion by the Fan coefficient in addition to the kernel used in the error diffusion by the Floyd-Steinberg coefficien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variations can be mad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에서 G(Green) 영상신호에 대해 프레임별 사용되는 커널(KER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rnel KERNEL used for each frame for a G (Green) video signal in the error diffu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G(Green)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별로 사용되는 커널의 형태가 계속 변화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렇게 프레임별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커널의 사용하여 오차확산 처리한다. 즉, G(Green)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오차(E*)에 대해 주위화소로 전파함에 사용하는 계수를 프레임별로 변동시킴으로써 다른 형태의 커널을 사용하여 오차확산 처리한다. 이때, 도 7에서는 프레임별로 사용되는 커널에서 커널 내부의 값이 4프레임 단위로 주기성을 가지며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랜덤(RANDOM)하게 변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shape of the kernel used for each frame is continuously changed with respect to the G (Green) video signal, and error diffusion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a kernel having a different form for each frame. That is, the G (Green) video signal is subjected to error diffusion processing using a different type of kernel by varying the coefficient used to propagate the error E * to the surrounding pixels for each frame. In FIG. 7, the kernel internal values are changed with a periodicity in units of 4 frames in the kernel used for each frame, but a randomly varying method may be used.
오차가 주위의 화소에 전파됨에 있어서 오차에 일정한 계수가 곱해져서 전파되며 그 계수 값은 주위 화소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계수의 위치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별로 주기적으로 변동시키거나 랜덤(RANDOM)하게 변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Floyd-Steinberg 계수가 프레임 1에 서는 7/16, 3/16, 5/16, 1/16 의 형태에서 프레임 2에서는 3/16, 5/16, 1/16, 7/16로 프레임 3에서는 5/16, 1/16, 7/16, 3/16, 프레임 4에서는 1/16, 7/16, 3/16, 5/16 형태로 변경되며, 프레임 5부터는 다시 프레임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때, 주기적으로 반복하지 않고 상기 커널의 내부 값을 프레임 마다 랜덤(RANDOM)하게 변화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error propagates to surrounding pixels, the error is multiplied by a constant coefficient, and the coefficient value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rrounding pixel. The positions of these coefficients are periodically changed or randomly (as shown in FIG. 7). RANDOM) to fluctu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Floyd-Steinberg coefficient is 3/16, 5/16, 1 / in
상기와 같이 G(Green)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 별로 오차확산 커널을 변경시키면 오차확산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상의 동일한 위치에 계속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동일한 화소에서 연속하여 G(Green) 셀이 발광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접한 G(Green)셀로 분산시키기 되어, G셀의 발광 발광화소의 위치를 프레임별로 분산시킴으로써 G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를 통해, G 형광체의 발광 휘도가 높아서 발생하는 저계조 표현력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rror diffusion kernel is changed for each frame of the G (Green) image signal, an effect of preventing and dispersing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error diffusion from being continuously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pixe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generated. do. Therefore, the G cells are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continuously in the same pixel and are dispersed in adjacent G cells, thereby reducing the emission luminance of the G cells by distributing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pixels of the G cells frame by frame. That effect occurs. As a result, an effect of improving the low gradation power problem caused by the high luminance of the G phosphor is generated.
이때, 상기 G 영상신호에서 프레임별로 변동시키며 사용하는 커널의 종류는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Floyd-Steinberg 계수을 통한 오차확산에서 사용하는 커널 외에 Fan 계수에 의한 오차확산에서 사용되는 커널 등 그 종류는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In this case, the type of kernel used in the G video signal and fluctuating according to the frame is different from the kernel used in the error diffusion by the Fan coefficient in addition to the kernel used in the error diffusion through the Floyd-Steinberg coefficient.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G(Green) 발광 휘도가 R(Red), B(Blue)에 비하여 매우 높기 때문에 G(Green)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별로 오차확산 커널의 형태를 변동시켜 G셀의 발광휘도를 저감시켰으나, 만약 R(Red), B(Blue)의 발광 휘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와 G 영상신호에 대해서 적용한 방법과 같이 오차확산 커널을 프레임별로 변경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 (Green)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much higher than that of R (Red) and B (Blue), the shape of the error diffusion kernel is varied for each G (Green) video signal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G cell. Although the emission luminance is reduced, if the emission luminance of R (Red) and B (Blue) is high, the error diffusion kernel can be changed frame by frame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method for the G image signal.
또한, 상기와 같이 오차확산 방법을 통해 G 영상신호의 발광 휘도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하프토닝(Halftoning) 기법이 있는데, 상기 오차 확산 방법은 이러한 하프토닝(Halftoning) 기법의 일종이다. 다른 하프토닝 기법으로 디더링 방법이 있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디더링(Dithering)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도 8의 (a)와 (b)는 디더링 방법을 적용함에 사용하는 2×2 크기의 디더링 행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이러한 디더링 행렬을 G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마다 변동시킴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확산 방법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즉, R, B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 마다 동일한 디더링 행렬을 사용하여 저계조를 표현하며, G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프레임 마다 디더링 행렬을 변동시킴으로서 저계조를 표현한다. 여기서, 디더링 행렬을 이용하여 디더링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적용 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G 영상신호에 대한 프레임마다 디더링 행렬의 변동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변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8에 나타낸 디더링 행렬은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디더링 행렬의 값이 변동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halftoning techniques as a method of dispersing the emission luminance of the G image signal through the error diffu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rror diffusion method is a kind of such halftoning technique. Another halftoning technique is a dithering method,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thering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dithering metho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 2 × 2 dither matrix used in applying a dithering method. The dithering matrix is varied from frame to frame for a G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r diffusion method can be effective. In other words, the R and B video signals are represented using the same dithering matrix for each frame, and the low gray scales are represented by varying the dithering matrix for each G video signal. Here, a method of applying a dithering method using a dither matrix is easily applic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t this time, the variation of the dithering matrix for each frame of the G video signal may be repeatedly changed with a certain period. Here, the dither matrix shown in FIG. 8 is an example,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value of the dither matrix may var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휘도가 높은 G 영상신호에 대해서 오차확산을 적용함에 있어 프레임별로 오차확산 커널의 형태를 변동시키거나 디더링을 적용함에 있어 프레임별로 디더링 행렬을 변동시킴으로써, G셀의 발광화소의 위치를 프레임별로 분산시켜 G셀의 평균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G셀의 평균 발광 휘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저계조를 표시할 때 발생하는 G셀의 발광의 시인성을 저감시켜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shape of the error diffusion kernel for each frame in applying the error diffusion to the G video signal having high emission luminance or changing the dither matrix for each frame in applying the dithering,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ixels of the cells may be dispersed for each frame to reduce the average luminance of the G cells. Accordingly, there is a unique effect of reducing the visibility of light emission of the G cell generated when displaying low gray scale by reducing the average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G cell, thereby improving the low gray scale expressive pow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5512A KR100561338B1 (en) | 2003-11-28 | 2003-11-28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5512A KR100561338B1 (en) | 2003-11-28 | 2003-11-28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1850A KR20050051850A (en) | 2005-06-02 |
KR100561338B1 true KR100561338B1 (en) | 2006-03-16 |
Family
ID=3724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55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1338B1 (en) | 2003-11-28 | 2003-11-28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13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7634B1 (en) | 2005-04-28 | 2007-04-12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Data driving circui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KR100662985B1 (en) | 2005-10-25 | 2006-12-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Data driving circui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2003
- 2003-11-28 KR KR1020030085512A patent/KR1005613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1850A (en) | 2005-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97234B1 (en) | A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on plasma display panel and an apparatus thereof | |
KR100599747B1 (en) | Driving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Gradient Expression Method | |
JP4233511B2 (en) |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nd gradation expression method thereof | |
KR20050060218A (en) |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video data for display apparatus | |
KR100536233B1 (en) | A gray display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 |
US7592977B2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processing pictures thereof | |
KR100477972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gray display method thereof | |
KR100599746B1 (en) | Driving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Gradient Expression Method | |
KR20050051842A (en) | A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a method for processing pictures on plasma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61338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02894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gray display method thereof | |
KR100570656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 |
KR100551049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 |
KR100487807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Decreasing False Contour Noise In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21493B1 (en) | Plasma display di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0739047B1 (en) |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gray scale display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78917B1 (en) |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image process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99648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0599659B1 (en) | Plasma Displa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KR100529115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0578826B1 (en) | Image display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99644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0627356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 |
KR2005004056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KR100578833B1 (en) | Addres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plasma display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