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1114B1 - 이동국, 송신 방법, iq 다중화 장치 및 iq 다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 송신 방법, iq 다중화 장치 및 iq 다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114B1
KR100561114B1 KR1020037015067A KR20037015067A KR100561114B1 KR 100561114 B1 KR100561114 B1 KR 100561114B1 KR 1020037015067 A KR1020037015067 A KR 1020037015067A KR 20037015067 A KR20037015067 A KR 20037015067A KR 100561114 B1 KR100561114 B1 KR 10056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delete delete
output
chan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502A (ko
Inventor
니와노가쯔히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543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611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broadband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6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with mean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97Direct sequence modulation interference
    • H04B2201/709709Methods of preventing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스크램블부(54)가 확산기(52) 및 분배기(53)의 출력신호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에 따라서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8
cc(I),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9
(cc(Q))를 결정한다.
스크램블부, 확산기, 분배기, I신호, Q신호

Description

이동국, 송신 방법, IQ 다중화 장치 및 IQ 다중화 방법{MOBIL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 IQ MULTIPLEXING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고속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 송신 방법, IQ 다중화 장치 및 IQ 다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이동체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제3세대로 불리우는 복수의 통신방식이 ITU(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IMT-2000으로서 적용되고, 그 중에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대하여는 2001년에 일본에서 상용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W-CDMA방식은 이동국 당 최대 2Mbps(bit per second) 정도의 통신속도가 얻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규격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1999년 통합된 규격판이며 릴리스 99(Release 1999)판으로서 최초의 사양이 결정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개념도이며, 도면에서, 1은 기지국, 2는 기지국(1)과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이동국, 3은 기지국(1)이 이동국(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다운링크(down link), 4는 이동국(2)이 기지국 (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업링크(up link)이다.
도 2는 이동국(2)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11은 개별데이터용 채널(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의 데이터(DPDCH)를 병렬로 분배하며,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DPDCH6)을 출력하는 분배기, 12는 분배기(11)에서 출력된 데이터(DPDCH1~DPDCH6) 및 제어용 채널(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의 제어 데이터(DPC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를 승산하여 스펙트럼 확산을 행하는 확산기, 13은 확산기(12)의 출력신호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I신호 : Inphase신호, Q신호 : Quadrature신호)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부, 14는 스크램블부(13)에 의해 생성된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직교변조하는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부, 15는 변조부(14)에 의해 생성된 변조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 16은 주파수 변환부(15)에서 출력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이다.
도 3은 확산기(12) 및 스크램블부(13)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21~26은 분배기(11)에서 출력된 데이터(DPDCH1~DPDCH6)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1~Cd,6)을 승산하는 승산기, 27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 DPC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를 승산하는 승산기, 31~36은 승산기 (21~2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D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1
d)를 승산하는 승산기, 37은 승산기(27)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2
c)를 승산하는 승산기이다.
38은 승산기(31~33)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 39는 승산기(34~37)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 40은 가산기(39)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허수(j)를 승산하는 승산기, 41은 가산기(38)의 출력신호와 승산기(40)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 42는 가산기(4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Sdpch,n)을 승산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하는 승산기이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국(2)이 기지국(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국(2)이 기지국(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업링크(4)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나, W-CDMA 규격에서는 1개의 이동국(2)이 업링크(4)를 사용하는 경우에, 통신서비스에 필요한 통신속도에 따라 최대 6개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6개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와 1개의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국(2)의 분배기(11)는 개별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를 병렬로 배치하며,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DPDCH6)를 출력한다.
확산기(2)의 승산기(21~26)는 분배기(11)가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 (DPDCH1~DPDCH6)를 출력하면, 그 데이터(DPDCH1~DPDCH6)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1~Cd,6)를 승산하며, 확산기(12)의 승산기(27)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D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를 승산한다.
스크램블부(13)는 확산기(12)의 출력신호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한다.
즉, 스크램블부(13)의 승산기(31~36)는 확산기(12)에서의 승산기(21~2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D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3043611316-pct00003
d)를 승산하며, 스크램블부(13)의 승산기 (37)는 확산기(12)에서의 승산기(27)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3043611316-pct00004
c)를 승산한다.
여기서, 도 4는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5
d,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6
c)가 취하는 값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7
d,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8
c)는 데이터(DPDCH1~DPDCH6)와 제어 데이터 DPCCH의 출력비를 결정하기 위한 계수이며, 3GPP 규격의 TS25. 213v3. 6. 0(2001-06)(Releasel999)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표의 우측은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09
d,
Figure 112005068437489-pct00010
c)가 취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스크램블부(13)의 가산기(38)는 승산기(31~3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고, 스크램블부(13)의 가산기(39)는 승산기(34~37)의 출력신호를 합산한다.
또, 스크램블부(13)의 승산기(40)는 가산기(39)의 출력신호를 Q축에 할당함으로써, 가산기(39)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허수(j)를 승산한다.
여기서, 데이터(DPDCH1,DPDCH3,DPDCH5)에 대하여는 I축에 할당되고, 데이터 (DPDCH2,DPDCH4,DPDCH6)에 대하여는 Q축에 할당되나, I/Q축에 대한 데이터용 채널의 할당방법은 3GPP의 규격의 TS25. 213에 규정되어 있다.
다음, 스크램블부(13)의 가산기(41)는 가산기(38)의 출력신호와 승산기(40)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며, 스크램블부(13)의 승산기(42)는 가산기(41)의 출력신호에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Sdpch, n)를 승산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한다.
Q변조부(14)는 상기와 같이 하여 스크램블부(13)가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하면 그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직교변조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주파수 변조부(15)는 변조부(14)가 변조신호를 생성하면 그 변조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그 무선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16)에 출력한다. 그에 따라, 안테나(16)에서 무선주파수 신호가 기지국(1)에 송신된다.
기지국(1)은 이동국(2)에서 송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며 이동국(2)과 역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기의 종래 예에서는 6개의 데이터용 채널을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5이하의 경우, 데이터 DPDCH1에서 순번으로 I/Q축에 할당되어, 불필요한 데이터 채널에 관한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또,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는 필요하게 되는 통신서비스 및 통신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도 5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인 경우에서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경우,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는 I축에 할당되며,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는 Q축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DPDCH1)와 제어 데이터(DPCCH)가 서로 직교함으로써, 기지국 (1)에서는 양채널을 분리하여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2 ~ 6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단,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2 ~ 6의 경우, 동일축의 채널성분은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를 사용함으로써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 예에서는 기지국(1)과 이동국(2) 사이에, 다운링크(3)와 업링크(4)를 1개씩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기지국(1)이 이동국(2)에 송신하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또다른 고속화를 실현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운링크(3)외에 다운링크(5)를 새로이 추가하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가 제안 검토되어 있다(TR 25. 858v1.0. 0(2001-12)"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Physica Layer Aspects(Releases5)"를 참조).
또한, 새로이 다운링크(5)를 추가할 경우, 이동국(2)이 고속 다운링크 패킷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ACK/NACK) 등을 기지국(1)에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나, 도 6과 같이, 그 응답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전용의 제어용 채널(업링크 채널(6))에 대하여는 종래의 제어용 채널과 동일하게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에 의해 분리ㆍ인식한 후에, 종래의 업링크(4)에 추가 다중화하는 방향으로 검토되고 있다. TR 25. 858에서는 전용의 제어용 채널을 "additional DPDCCH"로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통신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새로이 추가하는 전용의 제어용 채널을 I축 또는 Q축에 할당되는 필요가 있으나, 전용의 제어용 채널을 I축 또는 Q축에 할당함으로써 I축 또는 Q축의 피크출력이 증대하면 예로써, 이동국 (2)의 변조부(14)가 내장하는 직교변조기(또는 직교변조 증폭구)에서 그 입출력 특성의 비선형인 영역을 사용하게 되므로 뒤틀림이 발생한다.
또,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이 평형이 붕괴되면 변조부(14)에서 출력되는 직교변조후의 변조신호의 피크출력이 I축과 Q축의 평형이 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되며, 예로써, 이동국(2)의 주파수 변조부(15)가 내장하는 증폭기를 사용하여 무선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경우, 그 진폭기의 입출력 특성의 비선형 영역을 사용하게 되므로 뒤틀림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증폭기에서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비선형 성분이 출력하면 그 비선형 성분이 인접주파수 대역의 신호성분과 간섭하여 인접주파수 대역을 방해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증폭기의 뒤틀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접주파수 대역에의 방해를 억제할 수 있는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은,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수단, 및 상기 IQ 다중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소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변조된 복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IQ 다중화 수단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하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신 방법은,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단계; 및 상기 IQ 다중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복소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복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장치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방법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의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이동국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확산기 및 스크램블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진폭계수(
Figure 112004057408608-pct00011
d,
Figure 112004057408608-pct00012
c)가 취할 수 있는 값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인 경우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확산기, 분배기 및 스크램블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역스크램블부, 역확산기 및 합성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치가 1인 경우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인 경우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2인 경우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9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인 경우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2인 경우의 복소평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변조파형의 CCDF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은 변조파형의 CCDF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변조파형의 CCDF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은 변조파형의 CCDF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은 변조파형의 CCDF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변조파형의 CCDF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51은 개별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를 병렬로 분해하고,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DPDCH6)을 출력하는 분배기, 52는 분배기(51)에서 출력된 데이터(DPDCH1~DPDCH6) 및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 ADPCCH(ADPCCH : additional DPC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를 승산하여 스펙트럼 확산을 행하는 확산기, 53은 확산기(52)에 의한 스펙트럼 확산후의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분배하는 분배기, 54는 확산기(52) 및 분배기(53)의 출력신호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부이다.
또한, 분배기(51), 확산기(52), 분배기(53) 및 스크램블부(54)에서 IQ 다중화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61은 이동국(2)에서 송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62는 안테나(61)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 63은 주파수 변환부(62)에서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직교복조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하는 직교복조부이다.
또한, 안테나(61), 주파수 변환부(62) 및 직교복조부(63)로 수신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64는 직교복조부(63)에서 출력된 복소 신호(I신호, Q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를 승산하여 역스크램블부, 65는 역스크램블부(64)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채널분배용의 확산부호를 승산하여 각 채널의 데이터를 분리하는 역확산기, 66은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DPDCH6)를 통합하여, 개별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를 재현하는 데이터용 채널 통합부, 67은 I축 및 Q축에 배분되어 있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합성하는 합성기이다.
또한, 역스크램블부(64), 역확산기(65), 데이터용 채널 통합부(66) 및 합성기(67)로 IQ 분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확산기(52), 분배기(53) 및 스크램블부(54)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71 ~ 76은 분배기(51)에서 출력된 데이터(DODCH1~DPDCH6)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 1 ~ Cd, 6)를 승산하는 승산기, 77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를 승산하는 승산기, 78은 새로이 추가할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c)를 승산하는 승산기, 81 ~ 86은 승산기(71 ~ 7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D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13
d)를 승산하는 승산기, 87은 승산기(77)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14
c)를 승산하는 승산기, 88, 89는 분배기(5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15
cc)를 승산하는 승산기이다.
90은 승산기(81 ~ 83, 8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 91은 승산기(84 ~ 87, 89)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 92는 가산기(9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허수(j)를 승산하는 승산기, 93은 가산기(90)의 출력신호와 승산기(92)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 94는 가산기(9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 (Sdpch, n)을 승산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하는 승산기이다.
도 10은 역스크램블부(64), 역확산기(65) 및 합성기(67)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100은 직교복조부(63)에서 출력된 복소 신호(I신호, Q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Sdpch, n)를 승산하는 승산기, 101 ~ 104는 역스크램블부(64)에서 출력된 I신호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 1, Cd, 3, Cd, 5. Ccc)를 각각 승산하는 승산기, 105 ~ 109는 역스크램블부(64)에서 출력된 Q신호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 2, Cd, 4, Cd, 6, Cc, Ccc)를 각각 승산하는 승산기, 110 ~ 118은 승산기(101 ~ 109)의 출력신호를 확산신호 시간 길이에 걸쳐서 장시간 적분하는 적분기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국(2)이 기지국(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6개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와 2개의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국(2)의 분배기(51)는 개별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를 병렬로 분배하여,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 DPDCH6)를 출력한다(스텝 ST1).
확산기(52)는 분배기(51)가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 DPDCH6)를 출력하면 그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 DPDCH6) 및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DCH, ADPCCH)에 대하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를 승산하여 스펙스트럼 확산을 시행한다(스텝 ST2).
즉, 확산기(52)의 승산기(71 ~ 76)는 분배기(51)에서 출력된 복수의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 DPDCH6)에 대하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 1, ~ Cd, 6)를 승산하며, 확산기(52)의 승산기(57)의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에 대하여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를 승산하고, 확산기(52)의 승산기(78)는 새로이 추가할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에 대해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c)를 승산한다.
분배기(53)는 확산기(52)의 승산기(78)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에 대해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cc)를 승산하면, 승산기(78)의 출력데이터를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 89)에 분배한다(스텝 ST3).
또한,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 89)에 대한 분배비는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도 좋으나, 본 예에서는 1 : 1의 비로 분배하는 것으로 한다.
스크램블부(54)는 확산기(52) 및 분배기(53)의 출력신호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T4).
즉,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1 ~ 86)는 확산기(52)에서의 승산기(71 ~ 7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D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3043611316-pct00016
d)를 승산하며,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54)는 확산기(52)에서의 승산기(77)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DPCCH용의 진폭계수 (
Figure 112003043611316-pct00017
c)를 승산한다.
또,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는 분배기(5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3043611316-pct00018
cc)(I)를 승산하며,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9)는 분배기(5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3043611316-pct00019
cc)(Q)를 승산한다.
또한,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3043611316-pct00020
cc(I),
Figure 112003043611316-pct00021
cc(Q))는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가산기(93)에서 출력되는 I신호의 신호출력과 Q신호의 신호출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2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인 경우의 복소평면이나, 예로써, 데이터(DPDCH1)의 신호출력의 "1.5"이고, 제어 데이터(DPCCH)의 신호출력이 "1.0"이면 I축의 제어 데이터(ADPCCH(I))의 신호전력이 "0.5"으로 되도록,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2
cc)(I),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3
cc(Q))가 결정된다.
다음, 스크램블부(54)의 가산기(90)는 승산기(81 ~ 83, 8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고, 스크램블부(54)의 가산기(91)는 승산기(84 ~ 87, 89)의 출력신호를 합산한다.
또,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92)는 가산기(91)의 출력신호를 Q축에 할당함으로써, 가산기(9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허수(j)를 승산한다.
다음, 스크램블부(54)의 가산기(93)는 가산기(90)의 출력신호와 승산기(9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며,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94)는 가산기(9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Sdpch, n)를 승산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한다.
변조부(55)는 상기와 같이 하여 스크램블부(54)가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하면 그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직교변조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T5).
주파수 변환부(56)는 변조부(55)가 변조신호를 생성하면, 그 변조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그 무선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57)에 출력한다(스텝 ST6). 이에 따라, 안테나(57)에서 무선주파수 신호가 기지국(1)에 송신된다.
기지국(1)의 주파수 변환부(62)는 안테나(61)가 이동국(2)에서 송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면, 그 무선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T7).
직교복조부(63)는 주파수 변환부(62)가 베이스밴드 신호를 출력하면, 그 베이스밴드 신호를 직교변조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T8).
역스크램블부(64)는 직교복조부(63)가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출력하면, 그 복소 신호(I신호, Q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를 승산한다(스텝 ST9).
즉, 역스크램블부(64)의 승산기(100)가 직교복조부(63)에서 출력된 복소 신호 (I신호, Q신호)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용의 식별부호(Sdpch, n)를 승산한다.
역확산기(65)는 역스크램블부(64)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를 승산하여 각 채널의 데이터를 분리한다(스텝 ST10).
즉, 역확산기(65)의 승산기(101 ~ 104)는 역스크램블부(64)에서 출력된 I신호 대해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 1, Cd 3, Cd, 5, Ccc)를 각각 승산하며, 역확산기(65)의 승산기(105 ~ 109)는 역스크램블부(64)에서 출력된 Q신호에 대해서 채널분리용의 확산부호(Cd, 2, Cd, 4, Cd, 6, Cc, Ccc)를 각각 승산한다.
그리고, 역확산기(65)의 적분기(110 ~ 118)는 승산기(101 ~ 109)의 출력신호를 확산부호 시간 길이에 걸쳐서 시간적분함으로써,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 DPDCH6)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를 재현한다.
또한,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 DPDCH6)는 데이터용 채널 통합부 (66)에 의해 통합되어서, 개별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가 재현된다(스텝 ST11).
또, 역확산기(65)의 적분기(113)의 출력신호와 적분기(118)의 출력신호가 합성기(67)에 의해 합성되고, 새로이 추가되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가 재현된다(스텝 ST12).
이상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스크램블부(54)가 확산기(52) 및 분배기(53)의 출력신호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I신호, Q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을 고려하여,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4
cc(I),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5
cc(Q))를 결정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예로써, 주파수 변환부 (56)에서의 증폭기의 뒤틀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접주파수 대역에의 방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6개의 데이터용 채널을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5이하의 경우, 데이터(DPDCH1)부터 순번으로 I/Q가 할당되고, 불필요한 데이터용 채널에 대한 처리는 시행하지 않는다.
또,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는 필요로 하는 통신서비스와 통신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 7 및 도 8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응부분을 나타냄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58은 확산기(52)에 의한 스펙트럼 확산후의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 (ADPCCH)를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 또는 승산기(89)에 출력하는 셀렉터(IQ 다중화 수단), 68은 역확산기(despreader)(65)의 적분기(113) 또는 적분기(118)에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셀렉터(IQ 분리수단)이다.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분배기(53)가 확산기(52)에서의 승산기(78)의 출력데이터를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 89)에 분배하며,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 89)가 I신호의 신호출력과 Q신호의 신호출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ADPCCH용의 진폭계수(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6
cc(I),
Figure 112005068437489-pct00027
cc(Q))를 분배기(53)의 출력신호에 승산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I축 및 Q축 중에서 신호출력이 작은 쪽의 축에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 (ADPCCH)를 할당함으로써, 셀렉터(58)가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을 고려하며, 확산기(52)에서의 승산기(78)의 출력데이터를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 또는 승산기(89)에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3GPP 규격의 TS25. 213에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이면, 그 데이터용 채널을 I축에 할당하고(도 15 참조),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2이면, 각 데이터용 채널을 I축과 Q축에 할당하도록(도 16 참조), I축 및 Q축에 대해서 데이터용 채널을 교대로 할당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과의 평형을 취하는 관점에서, 이동국(2)의 셀렉터(58)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홀수이면 확산기(52)에서의 승산기(78)의 출력데이터를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9)에 출력하며,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Q축에 할당하도록 한다.
기지국(1)의 셀렉터(68)는 Q축에 할당되어 있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 (ADPCCH)를 얻기 위하여, 역확산기(65)의 적분기(118)에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입력하여 그 제어 데이터(ADPCCH)를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짝수이면, 이동국(2)의 셀렉터(58)는 확산기(52)에서의 승산기(78)의 출력데이터를 스크램블부(54)의 승산기(88)에 출력하여,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I축에 할당하도록 한다.
기지국(1)의 셀렉터(68)는 I축에 할당되어 있는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 (ADPCCH)를 얻기 위해, 역확산기(65)의 적분기(113)에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입력하여, 그 제어 데이터(ADPCCH)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예로써, 주파수 변환부(56)에서의 증폭기의 뒤틀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접주파수 대역에의 방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에 따라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할당하는 축을 결정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이동국 (2)의 셀렉터(58)가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을 계측하여,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할당하는 축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의 형태 3.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I축 및 Q축 중에서 신호출력이 작은 쪽의 축에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할당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항상 Q축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의 확산부호 길이는 256정도이며,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와 같은 정도로 고려된다.
따라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의 신호출력은 데이터용 채널의 데이터(DPDCH1) 등의 신호출력과 비교하여 작으며, 또 예로써 인터넷 등의 이용을 고려한 경우, 다운링크로 송신하는 데이터량과 비교하여 업링크로 송신하는 데이터랴은 많지 않다고 고려되므로, HSDPA용 링크를 많이 설정하는 경우,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인 것이 고려된다.
여기서, 도 21 ~ 도 26은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도면에서 N으로 표시)를 변동하여,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I축 또는 Q축에 할당하는 경우에, 스크램블부(54)의 출력파형에서의 CCDF(Compli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특성의 시뮬레이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I"가 I축에 제어 데이터 (ADPCCH)를 할당하는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며, "Q"가 Q축에 제어 데이터(ADPCCH)를 할당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CCDF특성이란, 순시출력이 평균출력에 대해서 시간적으로 얼마만큼 상회하는가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CCDF특성이 우측으로 갈수록 평균출력에 비하여 큰 순시출력으로 되는 비율이 큰(출력변동이 큰)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용 채널의 설정수가 1(N = 1)에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Q축에 할당한 특성을 보면 평균출력에서 3.5㏈정도 이상 높은 순시출력으로 되는 시간적 비율은 0.1%이다.
증폭기로서는, 변동이 큰 신호가 입력할수록 뒤틀림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뒤틀림을 억제하기 위해 보다 큰 출력까지 선형성이 요구됨으로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 = 1(데이터용 채널은 DPDCH1뿐 임)의 경우는 제어 데이터(ADPCCH)의 할당축이 I인가 Q인가에 따라 특성이 크게 다르며, Q축에 할당된 쪽이 뒤틀림의 발생이 적다.
같은 모양으로, N에 따라 데이터가 할당된 축이 절체되며, N가 홀수이면 Q축에, N가 짝수이면 I축에 할당된 쪽이 CCDF특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할당방법과 일치되며, CCDF특성의 관점에서 뒤틀림을 저감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인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N = 1의 경우와 비교하여, N > 1의 경우는 I축과 Q축과의 차가 크지 않으므로, 뒤틀림의 정도도 차가 적은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I축의 신호출력과 Q축의 신호출력과의 평형을 취하는 관점과, 증폭기의 입력신호특성의 관점에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DPCCH)와 함께,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Q축에 할당하여도 실용상 문제를 발생하는 것이 적은 것으로 고려된다.
이와 같이,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ADPCCH)를 항상 Q축에 할당하는 경우,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배기(53), 합성기(67) 또는 셀렉터(58, 68)가 불필요하게 되어 회로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은 고속으로 데이터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IQ 다중화 되어 있는 복소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3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수단, 및
    상기 IQ 다중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소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복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IQ 다중화 수단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단계; 및
    상기 IQ 다중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복소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복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포함하고,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38.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장치로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Q 다중화 장치.
  39. 데이터용 채널의 송신 데이터와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IQ 다중화하여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IQ 다중화 방법으로서, 제어용 채널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추가할 제어 데이터를 Q축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Q 다중화 방법.
KR1020037015067A 2002-01-29 2002-08-21 이동국, 송신 방법, iq 다중화 장치 및 iq 다중화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561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0465 2002-01-29
JP2002020465 2002-01-29
PCT/JP2002/008435 WO2003065628A1 (en) 2002-01-29 2002-08-21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78A Division KR100561115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79A Division KR100561116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57022593A Division KR100850297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80A Division KR100803240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77A Division KR100803239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502A KR20040011502A (ko) 2004-02-05
KR100561114B1 true KR100561114B1 (ko) 2006-03-15

Family

ID=27654356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79A Expired - Lifetime KR100561116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77A Expired - Lifetime KR100803239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57022593A Expired - Lifetime KR100850297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80A Expired - Lifetime KR100803240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37015067A Expired - Lifetime KR100561114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송신 방법, iq 다중화 장치 및 iq 다중화 방법
KR1020047019878A Expired - Lifetime KR100561115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79A Expired - Lifetime KR100561116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77A Expired - Lifetime KR100803239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57022593A Expired - Lifetime KR100850297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20047019880A Expired - Lifetime KR100803240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78A Expired - Lifetime KR100561115B1 (ko) 2002-01-29 2002-08-21 이동국, 기지국,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8) US7289423B2 (ko)
EP (6) EP1404031B1 (ko)
JP (3) JP3795045B2 (ko)
KR (6) KR100561116B1 (ko)
CN (8) CN101615923B (ko)
BR (1) BRPI0208395B1 (ko)
DE (5) DE60211903T2 (ko)
MX (1) MXPA04001892A (ko)
WO (1) WO2003065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423B2 (en) 2002-01-29 2007-10-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003269B2 (en) 2002-02-20 2006-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dicated physica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90163B2 (en) 2002-08-08 2012-05-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enhanced coding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7363039B2 (en) 2002-08-08 2008-04-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diversity in multipl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CA2535555A1 (en) * 2003-08-13 2005-03-03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241272B2 (ja) 2003-08-29 2009-03-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送信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ノード装置
US9526682B2 (en) 2004-07-16 2016-12-27 L'oreal Fine O/W emulsion
US7746764B2 (en) * 2004-10-22 2010-06-29 Parkervision, Inc. Orthogonal signal generation using vector spreading and combining
JP2006270510A (ja) * 2005-03-24 2006-10-05 Seiko Epson Corp 受信装置および信号復調方法
CN101366218A (zh) * 2006-03-20 2009-02-11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站、固定站及无线通信系统
WO2008086532A1 (en) 2007-01-11 2008-07-17 Qualcomm Incorporated Using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7367B2 (en) * 2007-08-06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of traffic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01794A1 (en) * 2008-02-08 2009-08-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devices over shared resources
US8958460B2 (en) 2008-03-18 2015-02-17 On-Ramp Wireles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media access control system
US8477830B2 (en) 2008-03-18 2013-07-02 On-Ramp Wireless, Inc. Light monitoring system using a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US8363699B2 (en) 2009-03-20 2013-01-29 On-Ramp Wireless, Inc. Random timing offset determination
US7639726B1 (en) * 2009-03-20 2009-12-29 On-Ramp Wireless, Inc. Downlink communication
KR101036585B1 (ko) * 2010-11-12 2011-05-24 진영이티에스 (주) 방전 기능이 구비된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KR102047834B1 (ko) 2018-07-27 2019-11-22 기림에어테크(주) 교육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1721A (ja) * 1996-05-27 1997-12-12 Sony Corp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US6173007B1 (en) * 1997-01-15 2001-01-09 Qualcomm Inc. High-data-rate supplemental channel for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FI105377B (fi) * 1997-05-29 2000-07-3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kahden rinnakkaisen kanavan koodijakoiseksi lähettämiseksi sekä menetelmän toteuttava radiolaite
US6108369A (en) * 1997-07-11 2000-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hannelization code allocation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s
KR100369794B1 (ko) * 1997-08-18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송신장치의대역확산신호발생장치및방법
JPH11275059A (ja) 1998-03-26 199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速度伝送方法および可変速度伝送装置
ATE266915T1 (de) * 1998-06-30 2004-05-15 Siemens Ag Luftschnittstelle für telekommunikationssysteme mit drahtloser telekommunikation zwischen mobilen und/oder stationären sende-/empfangsgeräten
FI981546A7 (fi) * 1998-07-03 2000-01-04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ja matkapuhelinjärjestelmä
KR100270656B1 (ko) * 1998-08-06 2000-11-01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송신장치 및 방법
US6724813B1 (en) * 1998-10-14 2004-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licit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116923B2 (ja) 1998-11-25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拡散変調回路
BR0011085A (pt) * 1999-05-31 2002-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transmissão por portal em sistema de comunicação cdma
GB9923207D0 (en) * 1999-10-01 1999-12-08 Lucent Technologies Inc Power offset assignment for the physical control channel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JP2001267959A (ja) * 2000-03-17 2001-09-28 Fujitsu Ltd Cdma受信装置
JP2001285252A (ja) * 2000-03-31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変調装置および変調方法
JP2001308746A (ja) * 2000-04-25 2001-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US6442217B1 (en) 2000-05-22 2002-08-27 Sicom, Inc. Digital communication receiver with digital, IF, I-Q balancer
JP2002033716A (ja) * 2000-07-18 2002-01-31 Sony Corp Cdma拡散方法およびcdma端末装置
GB0020088D0 (en) * 2000-08-15 2000-10-04 Fujitsu Ltd Adaptive beam forming
KR100438447B1 (ko) 2000-10-20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버스트 파일롯 송신장치 및 방법
JP3956085B2 (ja) * 2000-12-20 2007-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回路
US7031377B2 (en) * 2001-01-26 2006-04-18 Agere Systems Inc. Receiver and low power digital filter therefor
JP2002290275A (ja) * 2001-03-26 2002-10-04 Fujitsu Ltd スペクトル拡散信号受信装置及び干渉キャンセル装置
US20020141387A1 (en) * 2001-04-03 2002-10-03 David Orsha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livery of internet services from a central system to multiple internet service providers at guaranteed service levels
CA2380039C (en) 2001-04-03 2008-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data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83037A1 (en) * 2001-05-31 2002-12-05 Griffin, Sinatra Frank Panic relief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415550B1 (ko) * 2001-10-05 2004-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간단한구조를 갖는 간섭 제거 장치
DE10149544B4 (de) * 2001-10-08 2004-11-11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m Ermitteln des Zeitversatzes eines CDMA-Signals und Computerprogramm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7289423B2 (en) * 2002-01-29 2007-10-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333457B2 (en) * 2002-11-06 2008-02-19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for use in wireless data transmissions from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1954T2 (de) 2007-01-25
EP2809010A1 (en) 2014-12-03
JP3919787B2 (ja) 2007-05-30
EP1471658B1 (en) 2006-05-31
DE60211753D1 (de) 2006-06-29
KR100561116B1 (ko) 2006-03-15
MXPA04001892A (es) 2004-06-15
US20050135300A1 (en) 2005-06-23
CN100521590C (zh) 2009-07-29
US8897119B2 (en) 2014-11-25
CN101615923B (zh) 2014-12-10
BRPI0208395B1 (pt) 2016-06-28
CN101615924B (zh) 2014-12-10
CN1617480A (zh) 2005-05-18
EP1471658A3 (en) 2004-11-03
CN101615923A (zh) 2009-12-30
US8064326B2 (en) 2011-11-22
KR100850297B1 (ko) 2008-08-04
US7145863B2 (en) 2006-12-05
EP1471656B1 (en) 2006-01-11
DE60211903T2 (de) 2007-01-18
EP1471657A2 (en) 2004-10-27
EP1404031A1 (en) 2004-03-31
EP1471657A3 (en) 2004-11-03
DE60211753T2 (de) 2006-12-28
EP1471676B1 (en) 2008-11-26
BR0208395A (pt) 2004-06-15
KR20040011502A (ko) 2004-02-05
CN1617483A (zh) 2005-05-18
DE60230065D1 (de) 2009-01-08
CN100558022C (zh) 2009-11-04
KR20040111730A (ko) 2004-12-31
US20120033593A1 (en) 2012-02-09
EP1471676A1 (en) 2004-10-27
KR20040111727A (ko) 2004-12-31
CN100471096C (zh) 2009-03-18
KR20040111729A (ko) 2004-12-31
US7102993B2 (en) 2006-09-05
CN100471095C (zh) 2009-03-18
CN101615925A (zh) 2009-12-30
KR20050120821A (ko) 2005-12-23
EP1471657B1 (en) 2006-05-24
CN100446446C (zh) 2008-12-24
EP1471656A3 (en) 2004-11-03
JP3795045B2 (ja) 2006-07-12
CN101615924A (zh) 2009-12-30
DE60211954D1 (de) 2006-07-06
WO2003065628A1 (en) 2003-08-07
JP2005143129A (ja) 2005-06-02
JP4383541B2 (ja) 2009-12-16
CN1617481A (zh) 2005-05-18
US20050122949A1 (en) 2005-06-09
EP1471658A2 (en) 2004-10-27
CN1547820A (zh) 2004-11-17
US7953124B2 (en) 2011-05-31
KR100803239B1 (ko) 2008-02-14
DE60211903D1 (de) 2006-07-06
US20080069057A1 (en) 2008-03-20
CN101615925B (zh) 2014-12-10
US7307943B2 (en) 2007-12-11
DE60208727T2 (de) 2006-11-02
EP1471656A2 (en) 2004-10-27
CN1617482A (zh) 2005-05-18
KR20040111728A (ko) 2004-12-31
HK1070203A1 (zh) 2005-06-10
EP1404031B1 (en) 2006-05-31
DE60208727D1 (de) 2006-04-06
JPWO2003065628A1 (ja) 2005-05-26
US20050174969A1 (en) 2005-08-11
US20080069056A1 (en) 2008-03-20
US7289423B2 (en) 2007-10-30
KR100561115B1 (ko) 2006-03-15
KR100803240B1 (ko) 2008-02-14
EP1471676A4 (en) 2005-12-14
US20050130686A1 (en) 2005-06-16
JP2009147983A (ja) 2009-07-02
HK1076211A1 (en) 2006-01-06
US20040100925A1 (en)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3541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43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3559034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iq多重装置及びiq多重方法
JP4015683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39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15686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3588104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iq多重装置及びiq多重方法
JP4383540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15685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37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44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42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15684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45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40B1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36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38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69154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24841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69155B2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HK1076211B (en) Iq multiplexing device and iq multiplexing method
HK1076209A1 (en) Iq multiplexing device and method
HK1076209B (en) Iq multiplexing device and method
HK1076210B (zh) Iq复用装置和iq复用方法
JP2006180541A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2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