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0665B1 -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665B1
KR100560665B1 KR1020030044676A KR20030044676A KR100560665B1 KR 100560665 B1 KR100560665 B1 KR 100560665B1 KR 1020030044676 A KR1020030044676 A KR 1020030044676A KR 20030044676 A KR20030044676 A KR 20030044676A KR 100560665 B1 KR100560665 B1 KR 10056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emory cells
read
circuit
respon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479A (ko
Inventor
최종현
서동일
이규찬
서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665B1/ko
Priority to US10/761,396 priority patent/US7260002B2/en
Priority to DE102004031959A priority patent/DE102004031959B4/de
Publication of KR2005000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665B1/ko
Priority to US11/826,367 priority patent/US7486576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8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e.g. for preventing inadvertent or unauthorised reading or writing; Status cells; Test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4Memory cell 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e.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reading or writing; Status cells; Test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독출 방지 유니트를 포함한다. 독출 방지 유니트는 파워-오프되기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파워-온시 독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허여되지 않은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AD PROTEC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리세트 명령이 입력되기 전후의 백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백 바이어스 전압이 리세트 명령의 입력에 따라 변화될 때 생기는 PN 접합의 순 바이어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플레이트 전압이 리세트 명령의 입력에 따라 변화될 때 생기는 데이터 초기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 회로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0 : 독출 방지 유니트
210 : 리세트 제어 회로 220 : 스위치
230 : 전압 검출 회로 300 : 디램 코어
310 : 메모리 셀 어레이 320 : 웰
330 :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340 :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며, 각 메모리 셀은 하나의 액세스 트랜지스터 (access transistor)와 하나의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메모리 셀은 커패시터에 전하들이 저장되었는 지의 여부에 따라 데이터 '0' 또는 데이터 '1'을 저장할 수 있다.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하들은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누설된다. 즉, DRAM 장치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소실된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만약 전원이 차단될 때, DRAM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소실된다.
불행하게도, 비록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DRAM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는 수초까지 유지될 수 있다. 만약 전원이 차단되고 바로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메모리 셀들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는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가 읽혀지는 원하지 않는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되고 바로 전원이 다시 공급되더라도,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차단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원 공급 후에 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에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을 초기화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 이후에 수행되는 최초의 읽기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디램 코어와; 그리고 파워-오프 이전에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가 파워-온시 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램 코어는 상기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웰 영역과; 그리고 상기 웰 영역에 공급될 백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웰 영역에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킨다. 또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웰 영역에 상기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램 코어는 각각이 플레이트 노드를 갖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공급될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보다 낮은 리세트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킨다. 또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 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보다 낮은 리세트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레지스터와; 상기 파워-온시 전원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레지스터를 초기화시키는 파워-온 검출 회로와;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된 명령이 독출 명령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독출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기입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게 하며, 다음의 독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레지스터의 값을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백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와;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며,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바이어스되는 웰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보다 높은 리세트 전압을 상기 웰에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전압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리세트 전압이 상기 웰에 공급될 때,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된다.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리세트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백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와;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며,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바이어스되는 웰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웰에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또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상기 웰에 공급될 때,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된다.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전원 전압 또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각각이 플레이트 노드를 갖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레이트 노드에 공급될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플레이트 전압보다 낮은 리세트 전압을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로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전압은 접지 전압이다. 상기 리세트 전압이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공급될 때,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된다.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리세트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각각이 플레이트 노드를 갖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레이트 노드에 공급될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접지 전압을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로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압이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들로 공급될 때,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된다.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디램 코어와; 파워-온시 전원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파워-온 검출 회로와; 상기 파워-온 검출 회로의 출력에 따라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레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된 명령이 독출 명령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독출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기입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게 하며, 다음의 독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레지스터의 값을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행들과 열들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및 래치 신호를 발생하는 리세트 제어 회로와;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행 어드레스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리프레쉬 제어 회로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로부터의 행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상기 행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행 선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버스트 기입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트 기입 수단은, 파워-오프 이전에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가 파워-온시 읽혀지지 않도록, 상기 행들 각각이 선택될 때마다 상기 열들을 소정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열들의 메모리 셀들에 동일한 데이터를 기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기입 수단은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열 어드레스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회로와; 상기 열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상기 열들을 상기 소정 단위로 각각 선택하기 위한 열 선택 신호들을 발생하는 열 선택 회로와;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출력 라인들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와; 상기 열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열들을 상기 소정 단위로 선택하고 선택된 열들을 상기 입출력 라인들에 각각 연결하는 열 게이트 회로와; 그리고 상기 선택된 열들의 데이터가 대응하는 메모리 셀들에 저장되도록 감지 증폭 동작을 수행하는 감지 증폭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래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에서 첫 번째로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저장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저장된 어드레스와 일치할 때, 상기 리세트 제어 회로는 상기 비교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 및 상기 버스트 기입 수단을 비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DRAM 장치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DRAM 장치에 국한되지 않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독출 방지 유니트 (read protection unit) (200)과 DRAM 코어 (300)를 포함한다. DRAM 코어 (300)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메모리 셀 어레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기입 회로,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데이터 독출 회로,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예를 들면, DRAM 코어 (300)의 예가 U.S. Patent No. 6,564,287에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FIXED CAS LATENCY AND/OR BURST LENGTH"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어 있으며, 레퍼런스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출 방지 유니트 (200)는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에 (즉, 파워-오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원이 공급된 후에 (즉, 파워-온 이후에) 독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DRAM 장치 (100)는 파워-오프 이전에 소정 명령 (이후, 리세트 명령이라 칭함)의 입력에 따라 모든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를 데이터 '0' 또는 데이터 '1'로 초기화함으로써 독출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DRAM 장치 (100)는 파워-온시 독출 명령이 최초로 입력될 디램 코어 (300)의 때 독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독출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독출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 양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 (310)와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back-bias voltage generator circuit) (330)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 (310)는 웰 (320)에 형성된다. 이 웰 (320)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변 회로 (예를 들면, 감지 증폭 회로)가 형성되는 웰과 독립하게 형성될 것이다.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330)는 메모리 셀 어레이 (310)가 형성된 웰 (320)에 백 바이어스 전압 (VBB)을 공급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 (310)와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330)는 도 1의 DRAM 코어 (300)를 구성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백 바이어스 전압 (VBB)은 메모리 장치 내에 포함된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생 커패시턴스 (parasitic capacitance)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외부 신호의 언더슈트 (undershoot)로 인한 메모리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웰 (320)에 공급된다.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330)의 일예가 U.S. Patent No. 5,262,989에 "CIRCUIT FOR SENSING BACK-BIAS LEVEL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어 있으며, 레퍼런스로 포함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도 1의 독출 방지 유니트 (200)를 구성하는 리세트 제어 회로 (reset control circuit) (210)와 스위치 (switch) (220)를 더 포함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 (RST_CMD)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nRESET)를 발생한다. 스위치 (220)는 초기화 신호 (nRESET)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 전원 전압 (VC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백 바이어스 전압 (VBB)을 공급하는 전압 라인 (301)에 연결된 소오스를 갖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리세트 명령이 입력될 때 초기화 신호 (nRESET)를 로우로 활성화시킨다. 초기화 신호 (nRESET)가 활성화될 때,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330)는 비활성화되고 스위치 (220)의 PMOS 트랜지스터는 턴 온된다. 이는 스위치 (220)의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압 라인 (301)으로 VCC 또는 EVC 전압이 공급되게 한다. 즉, 웰 (320)에는 백 바이어스 전압 (VBB) 대신에 VCC 또는 EVC 전압이 공급되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는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세트 명령 (RST_CMD)이 입력되기 이전에, 웰 (320)에는 백 바이어스 전압 (VBB)이 인가된다. 이는 메모리 셀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보유하게 한다. 만약 리세트 명령 (RST_CMD)이 파워-오프 이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면,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초기화 신호 (nRESET)를 활성화시키며, 이는 웰 (320)에 VBB 전압 대신에 VCC 또는 EVC 전압이 공급되게 한다. 웰 (320)에 VCC 또는 EVC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웰 (320)과 N형 불순물 영역 (321) 사이의 PN 접합이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 (MC)의 커패시터에 전하들이 충전되게 한다. 웰 (320)에 형성된 모든 메모리 셀들은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계없이 데이터 '1'를 저장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모든 메모리 셀들이 데이터 '1'을 저장하기 때문에, 파워-오프 이후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는 독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기되며, 따라서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전압 검출 회로 (230)를 더 포함한다. 전압 검출 회로 (230)는 전원 전압 (VC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검출 결과로서 검출 신호 (DET)를 발생한다. 전원 전압 (VC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이 소정 전압보다 낮아질 때, 전압 검출 회로 (230)는 검출 신호 (DET)를 활성화시킨다.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검출 신호 (DET)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nRESET)를 활성화시킨다. 초기화 신호 (nRESET)가 활성화될 때,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 (330)는 비활성화되고 스위치 (220)의 PMOS 트랜지스터는 턴 온된다. 이는 스위치 (220)의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압 라인 (301)으로 VCC 또는 EVC 전압이 공급되게 한다. 즉, 웰 (320)에는 백 바이어스 전압 (VBB) 대신에 VCC 또는 EVC 전압이 공급되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는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 (310)와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 (plate voltage generator circuit) (340)를 포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메모리 셀 어레이 (310)는 워드 라인들과 비트 라인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각 메모리 셀은 액세스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각 메모리 셀에 있어서, 커패시터의 일 전극은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비트 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전극은 플레이트 전압 (Vp)을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플레이트 전압 (Vp)이 공급되는 커패시터 전극은 이하 "플레이트 노드"라 칭한다.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 (340)는 메모리 셀 어레이 (310)의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플레이트 전압 (Vp)을 공급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 (310)와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 (340)는 도 1의 DRAM 코어 (300)를 구성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도 1의 독출 방지 유니트 (200)를 구성하는 리세트 제어 회로 (210)와 스위치 (220)를 더 포함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리세트 명령 (RST_CMD)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RESET)를 발생한다. 스위치 (220)는 초기화 신호 (RESET)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 접지 전압 (VSS)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플레이트 전압 (Vp)을 공급하는 전압 라인 (301)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리세트 명령 (RST_CMD)이 입력될 때 초기화 신호 (RESET)를 하이로 활성화시킨다. 초기화 신호 (RESET)가 활성화될 때,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 (340)는 비활성화되고 스위치 (220)의 NMOS 트랜지스터는 턴 온된다. 이는 스위치 (220)의 N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압 라인 (301)이 접지 전압에 연결되게 한다. 즉,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는 플레이트 전압 (Vp) 대신에 접지 전압 (VSS)이 공급되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는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세트 명령 (RST_CMD)이 입력되기 이전에, 메모리 셀 (MC)의 플레이트 전극 (즉, 전압 라인) (301)에는 플레이트 전압 (Vp)이 인가된다. 이는 메모리 셀 (MC)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보유하게 한다. 만약 리세트 명령 (RST_CMD)이 파워-오프 이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면,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초기화 신호 (RESET)를 활성화시키며, 이는 메모리 셀 어레이 (310)의 메모리 셀 (MC)의 플레이트 노드 (301)에 Vp 전압 대신에 접지 전압 (VSS)이 공급되게 한다. 액세스 트랜지스터 (Tr)에 연결된 커패시터 전극 (CN)이 플로팅 상태에 있기 때문에, 메모리 셀 어레이 (310)의 메모리 셀의 플레이트 노드 (301)에 접지 전압 (VSS)이 공급될 때, 커패시터 (C)에 충전된 전하들이 커플링 효과에 의해서 전압 라인 (301)으로 방전된다. 즉, 모든 메모리 셀들은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계없이 데이터 '0'를 저장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모든 메모리 셀들이 데이터 '0'을 저장하기 때문에, 파워-오프 이후에 다 시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는 독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기되며, 그것에 대한 설명은 그러므로 생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전압 검출 회로 (230)를 더 포함한다. 전압 검출 회로 (230)는 전원 전압 (VC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검출하며, 검출 결과로서 검출 신호 (DET)를 발생한다. 전원 전압 (VC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이 소정 전압보다 낮아질 때, 전압 검출 회로 (230)는 검출 신호 (DET)를 활성화시킨다. 리세트 제어 회로 (210)는 검출 신호 (DET)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RESET)를 활성화시킨다. 초기화 신호 (RESET)가 활성화될 때,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 (340)는 비활성화되고 스위치 (220)의 NMOS 트랜지스터는 턴 온된다. 이는 스위치 (220)의 N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압 라인 (301)으로 접지 전압 (VSS)이 공급되게 한다. 즉,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플레이트 전압 (Vp) 대신에 접지 전압 (VSS)이 공급되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는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DRAM 코어 (300)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독출 방지 유니트 (200)를 포함하며, 독출 방지 유니트 (200)는 독출/기입 제어 회로 (read/write control circuit) (240), 레지스터 (register) (250) 그리고 파워-온 검출 회로 (power-on detector circuit) (260)로 구성된다. 파워-온 검출 회로 (260)는 전원 전압이 인가될 때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로서 파워-온 검출 신호 (POR)를 발생한다. 레지스터 (250)는 전원 전압이 인가된 후 기입 명령이 인가되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레지스터 (250)의 정보는 파워-온 검출 신호 (POR)에 의해서 설정된다. 파워-온 검출 신호 (POR)에 의해서 설정된 레지스터 값은 전원 전압이 인가된 후 기입 명령이 최초로 인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독출/기입 제어 회로 (240)는 DRAM 코어 (300)의 기입/독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레지스터 (2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DRAM 코어 (300)의 독출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한다.
예시적인 파워-온 검출 회로들이 U.S. Patent No. 6,236,249에 "POWER-ON RESET CIRCUIT FOR A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 U.S. Patent No. 6,040,722에 "POWER-ON RESET CIRCUIT WITH ADJUSTABLE INTERVAL", U.S. Patent No. 5,578,951에 "CMOS CIRCUIT FOR IMPROVED POWER-ON RESET TIMING" 그리고 U.S. Patent No. 5,039,875에 "CMOS POWER-ON RESET CIRCUIT"라는 제목으로 각각 게재되어 있으며, 레퍼런스로 포함된다.
회로 동작에 있어서, 파워-온 이후 최초로 입력된 명령이 독출 명령일 때, 예를 들면, 독출/기입 제어 회로 (240)는 레지스터 (250)에 저장된 데이터 '0'에 응답하여 DRAM 코어 (300)의 독출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한다. 만약 파워-온 이후 최초로 입력된 명령이 기입 명령일 때, 독출/기입 제어 회로 (240)는 레지스터 (250)를 데이터 '1'로 설정함과 동시에 DRAM 코어 (300)의 기입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이후, 독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레지스터 (250)가 데이터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독출/기입 제어 회로 (240)는 레지스터 (250)에 저장된 데이터 '1'에 응답하여 DRAM 코어 (300)의 독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파워-오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파워-온 이후에 바로 액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기입 동작이 수행된 후 독출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351)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 (351)는 워드 라인들 (WL0-WLm)과 비트 라인들 (BL0-BLn, BL0B-BLnB)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 (MC) (도면에서, "○" 표기됨)을 포함한다. 행 선택 회로 (352)는 독출/기입 동작 모드에서 외부로부터의 행 어드레스 (XADDR)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들 (WL0-WLm) 중 하나를 선택한다. 또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행 선택 회로 (352)는 리프레쉬 제어 회로 (refresh control circuit) (353)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들 (WL0-WLm)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열 선택 회로 (357)는 정상적인 독출/기입 동작 모드에서 외부로부터의 열 어드레스 (XADDC)에 응답하여 열 선택 신호들 (CSL0-CSLi)을 발생한다. 또한, 열 선택 회로 (357)는 카운터 (358)를 포함하며, 카운터 (358)는 버스트 기입 동작 모드에서 프로그램 레지스터 (359)에 프로그램된 버스트 길이 값에 따라 열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예를 들면, 버스트 길이가 4이면, 카운터 (358)는 연속적으로 열 어드레스를 4번 생성한다. 또는, 버스트 길이가 모든 열 선택 신호들을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될 때 (이후, 이러한 버스트 길이를 "풀 버스트 길이"라 칭함), 카운터 (358)는 모든 열 선택 신호들 (CSL0-CSLi)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또는 동시에 여러 개씩 활성화되도록 열 어드레스를 생성할 것이다. 버스트 길이가 풀 버스트 길이로 설정될 때, 카운터 (358)는 워드 라인이 활성화될 때마다 초기화된다. 결과적으로, 카운터 (358)는 모든 열 선택 신호들 (CSL0-CSLi)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또는 동시에 여러 개씩 활성화되도록 열 어드레스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것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레지스터 (359)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모드 레지스터 세트 회로 (mode register set: MRS)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 증폭 회로 (354)는 비트 라인 쌍들 (BL0, BL0B)-(BLn, BLnB)에 각각 연결된 감지 증폭기들 (도면에는, "SA"로 표기됨)을 포함한다. 감지 증폭기들 (SA)은 대응하는 쌍들의 비트 라인들의 전압들을 감지 증폭한다. 열 게이트 회로 (355)는 열 선택 회로 (357)로부터 출력되는 열 선택 신호들 (CSL0-CSLi)에 응답하여 비트 라인 쌍들 중 일부를 선택한다. 데이터 입력 회로 (356)는 초기화 신호 (nRESET)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면, 초기화 신호 (nRESET)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데이터 입력 회로 (356)는 기입 동작 모드에서 외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렇게 입력된 데이터는 열 게이트 회로 (355)를 통해 선택된 비트 라인 쌍들로 전달된다. 초기화 신호 (nRESET)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데이터 입력 회로 (356)는 입출력 라인들 (IOj)을 동일한 값들 (예를 들면, 로직 '1')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리세트 제어 회로 (270), 어드레스 레지스터 (280), 그리고 비교 회로 (290)를 더 포함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70), 어드레스 레지스터 (280), 그리고 비교 회로 (290)는 도 1에 도시된 독출 방지 유니트 (200)를 구성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70)는 리세트 명령 (RST_CMD)이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만약 리세트 명령 (RST_CMD)이 입력되면, 리세트 제어 회로 (270)는 초기화 신호 (nRESET)를 활성화시킨다. 프로그램 레지스터 (359)는 초기화 신호 (nRESET)의 활성화에 따라 풀 버스트 길이의 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는 초기화 신호 (nRESET)의 활성화에 따라 셀프 리프레쉬 모드와 마찬가지로 워드 라인들 (WL0-WLm)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행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게다가,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는 셀프 리프레쉬 명령 (SR_CMD)가 입력될 때 워드 라인들 (WL0-WLm)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행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리세트 명령 (RST_CMD)이 입력될 때, 리세트 제어 회로 (270)는 또한 래치 신호 (LAT)를 발생한다. 래치 신호 (LAT)가 활성화될 때, 리프레쉬 제어 회로(353)에서 생성된 첫 번째 행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280)에 래치된다. 비교 회로 (290)는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로부터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레 지스터 (280)에 저장된 행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비교 회로 (290)는 판별 결과로서 비교 신호 (COMP)를 활성화시키며, 리세트 제어 회로 (270)는 비교 신호 (COMP)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와 데이터 입력 회로 (356)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회로 (356)는 인버터들 (INV10, INV12, INV14, INV16, INV18), NOR 게이트들 (G10, G14), NAND 게이트 (G12), PMOS 트랜지스터들 (M10, M14), 그리고 NMOS 트랜지스터들 (M12, M16)로 구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 신호 (WRITE_CTRL)는 기입 동작이 수행될 때 하이로 활성화되며, 데이터 라인 (DIO0)은 기입/독출 동작시 하이로 프리챠지된다. 제어 신호 (WRITE_CTRL)가 로우로 비활성화되고 제어 신호 (nRESET)가 로우로 활성화될 때, NAND 및 NOR 게이트들 (G12, G14)은 각각 하이-레벨 신호들을 출력한다. 이는 트랜지스터들 (M12, M14)이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들 (M10, M16)이 턴 온되게 한다. 따라서, 제어 신호 (nRESET)가 로우로 활성화될 때, 입출력 라인 (IO0)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입출력 라인 (IO0B)은 로우 레벨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지 동작이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파워-오프 이전에 메모리 셀 어레이 (351)에 저장된 데이터가 파워-온 이후에 독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먼저, 전원 전원이 차단되기 이전에, 리세트 명령 (RST_CMD)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에 제공된다. 리세트 제어 회로 (270)는 리세트 명령 (RST_CMD)의 입력에 따라 초기화 신호 (nRESET)를 활성화시킨다. 초기화 신호 (nRESET)의 활성화에 따라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는 행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프로그램 레지스터 (359)는 풀 버스트 길이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고 데이터 입력 회로 (356)는 입출력 라인들 (IOj)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다.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가 초기화 신호 (nRESET)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행 어드레스를 발생함에 따라, 행 선택 회로 (352)는 행 어드레스에 워드 라인 (예를 들면, WL0)을 선택한다.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에 의해서 생성된 초기 행 어드레스는 리세트 제어 회로 (270)의 제어 하에 어드레스 레지스터 (280)에 저장된다.
열 선택 회로 (357)는 내부 카운터 (358)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열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열 선택 신호들 (CSL0-CSLi)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입출력 라인 구조가 X8이라고 가정하면, 하나의 열 선택 신호가 활성화될 때 8개의 비트 라인 쌍들이 선택될 것이다. 열 선택 신호가 활성화될 때, 8개의 열 게이트 트랜지스터 쌍들이 턴 온되며, 입출력 라인들 (IOj) 상의 데이터 값들은 열 게이트 회로 (355)의 턴 온된 트랜지스터들을 통해 대응하는 비트 라인 쌍들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감지 증폭기들 (SA)가 활성화됨에 따라, 선택된 열 선택 신호의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 '1'이 쓰여질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열 선택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됨에 따라, 선택된 워드 라인의 메모리 셀들에는 모두 데이터 '1'이 저장된다.
선택된 워드 라인 (WL0)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에 모두 데이터 '1'이 저장되 면,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는 다음의 워드 라인 (WL1)이 선택되도록 행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행 선택 회로 (352)는 행 어드레스에 워드 라인 (예를 들면, WL0)을 선택한다. 이와 동시에, 열 선택 회로 (357)는 내부 카운터 (358)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열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열 선택 신호들 (CSL0-CSLi)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킴에 따라,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된 워드 라인 (WL1)의 메모리 셀들에는 데이터 입력 회로 (256), 입출력 게이트 회로 (255) 그리고 감지 증폭 회로 (354)를 통해 데이터 '1'이 저장된다.
워드 라인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동안, 비교 회로 (290)는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에서 생성된 행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레지스터 (280)에 저장된 행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한다. 리프레쉬 제어 회로 (353)에서 생성된 행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레지스터 (280)에 저장된 행 어드레스와 일치할 때, 즉, 모든 워드 라인들이 선택됨에 따라 메모리 셀 어레이 (351)의 모든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 '1'이 저장될 때, 리세트 제어 회로 (270)는 비교 회로 (290)의 출력 신호 (COMP)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nRESET)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들에 동일한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종료된다. 메모리 셀들에 동일한 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파워-오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파워-온 이후에 독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이는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워-오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가 파워-온 후에 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9)

  1.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디램 코어와; 그리고
    파워-오프 이전에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가 파워-온시 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를 리셋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램 코어는
    상기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웰 영역과; 그리고
    상기 웰 영역에 공급될 백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웰 영역에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웰 영역에 상기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램 코어는
    각각이 플레이트 노드를 갖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공급될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보다 낮은 리세트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보다 낮은 리세트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레지스터와;
    상기 파워-온시 전원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레지스터를 초기화시키는 파워-온 검출 회로와;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된 명령이 독출 명령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독출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기입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게 하며, 다음의 독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레지스터의 값을 가변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0. 백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와;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며,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바이어스되는 웰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보다 높은 리세트 전압을 상기 웰에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전압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인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전압이 상기 웰에 공급될 때,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리세트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4. 백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와;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며,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바이어스되는 웰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웰에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또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상기 웰에 공급될 때,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백 바이어스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전원 전압 또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7. 각각이 플레이트 노드를 갖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레이트 노드에 공급될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플레이트 전압보다 낮은 리세트 전압을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로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전압은 접지 전압인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전압이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에 공급될 때,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리세트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1. 각각이 플레이트 노드를 갖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플레이트 노드에 공급될 플레이트 전압을 발생하는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접지 전압을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들로 공급하는 독출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압이 상기 메모리 셀들의 플레이트 노드로 공급될 때, 상기 플레이트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독출 방지 수단에 의해서 비활성화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방지 수단은
    상기 전원 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라인과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4.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디램 코어와;
    파워-온시 전원 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파워-온 검출 회로와;
    상기 파워-온 검출 회로의 출력에 따라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레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된 명령이 독출 명령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독출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워-온 다음에 최초로 입력되는 명령이 기입 명령일 때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게 하며, 다음의 독출 명령에 따라 상기 디램 코어의 액세스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레지스터의 값을 가변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6. 행들과 열들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리세트 명령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및 래치 신호를 발생하는 리세트 제어 회로와;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행 어드레스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리프레쉬 제어 회로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로부터의 행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상기 행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행 선택 회로와; 그리고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버스트 기입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트 기입 수단은, 파워-오프 이전에 상기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가 파워-온시 읽혀지지 않도록, 상기 행들 각각이 선택될 때마다 상기 열들을 소정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열들의 메모리 셀들에 동일한 데이터를 기입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기입 수단은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열 어드레스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 회로와;
    상기 열 어드레스들에 응답하여 상기 열들을 상기 소정 단위로 각각 선택하기 위한 열 선택 신호들을 발생하는 열 선택 회로와;
    상기 초기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출력 라인들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와;
    상기 열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열들을 상기 소정 단위로 선택하고 선택된 열들을 상기 입출력 라인들에 각각 연결하는 열 게이트 회로와; 그리고
    상기 선택된 열들의 데이터가 대응하는 메모리 셀들에 저장되도록 감지 증폭 동작을 수행하는 감지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에서 첫 번째로 출력되 는 행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저장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 회로를 더 포함하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가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저장된 어드레스와 일치할 때, 상기 리세트 제어 회로는 상기 비교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프레쉬 제어 회로 및 상기 버스트 기입 수단을 비활성화시키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KR1020030044676A 2003-07-02 2003-07-02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676A KR100560665B1 (ko) 2003-07-02 2003-07-02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761,396 US7260002B2 (en) 2003-07-02 2004-01-22 Methods and devices for preventing data stored in memory from being read out
DE102004031959A DE102004031959B4 (de) 2003-07-02 2004-06-24 DRAM und Betriebsverfahren
US11/826,367 US7486576B2 (en) 2003-07-02 2007-07-13 Methods and devices for preventing data stored in memory from being read 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676A KR100560665B1 (ko) 2003-07-02 2003-07-02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479A KR20050004479A (ko) 2005-01-12
KR100560665B1 true KR100560665B1 (ko) 2006-03-16

Family

ID=3355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6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665B1 (ko) 2003-07-02 2003-07-02 독출 방지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260002B2 (ko)
KR (1) KR100560665B1 (ko)
DE (1) DE10200403195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3909B2 (en) 2011-08-22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6940B4 (de) * 2005-11-29 2016-06-30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icht-flüchtigen Speichern eines Statuswertes
US8547756B2 (en) 2010-10-04 2013-10-01 Zeno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8130547B2 (en) * 2007-11-29 2012-03-06 Zeno Semiconductor, Inc. Method of maintaining the state of semiconductor memory having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7903480B2 (en) * 2008-01-31 2011-03-08 Qimonda Ag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10340276B2 (en) 2010-03-02 2019-07-02 Zeno Semiconductor, Inc. Method of maintaining the state of semiconductor memory having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KR20130027155A (ko) 2011-09-07 201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억 소자
US10289808B2 (en) * 2013-12-20 2019-05-14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processing
US9805802B2 (en) 2015-09-14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memory module, and memory system
US9804793B2 (en) * 2016-03-04 2017-10-3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 write zero operation
US9905284B2 (en) * 2016-03-09 2018-02-27 Toshiba Memory Corporation Data reading procedure based on voltage values of power supplied to memory cells
US11200940B2 (en) * 2019-11-13 2021-12-14 Arm Limited Devices and methods to store an initialization state
US11621036B2 (en) * 2020-07-14 2023-04-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operating an integrated circuit and integrated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5761A (en) * 1978-03-09 1979-03-20 Motorola Inc. Ram retention during power up and power down
KR890005159B1 (ko) 1987-04-30 1989-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 바이어스 전압 발생기
JP2680007B2 (ja) 1987-12-04 1997-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メモリ
US5185717A (en) * 1988-08-05 1993-02-09 Ryoichi Mori Tamper resistant module having logical elements arranged in multiple layers on the outer surface of a substrate to protect stored information
JPH0390942A (ja) 1989-09-01 1991-04-16 Oki Electric Ind Co Ltd 主記憶装置の制御方式
JPH05101201A (ja) * 1991-10-09 1993-04-23 Rohm Co Ltd オプシヨン設定回路
JPH08137763A (ja) * 1994-11-04 1996-05-31 Fujitsu Ltd フラッシュメモリ制御装置
JP4033310B2 (ja) * 1997-12-16 2008-01-1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機器の補助記憶装置及び情報機器
KR100367697B1 (ko) 1998-10-28 2003-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메모리소자의초기화신호발생회로
JP2000148594A (ja) * 1998-11-10 2000-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Romデータの読み出しプロテクト回路
KR100451156B1 (ko) 2001-11-30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장 광기록재생장치
DE10208246A1 (de) 2002-02-26 2003-05-28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r Speich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integrierten Speichers
US6735142B1 (en) * 2002-10-01 2004-05-11 Nanoamp Solutions, Inc. Power-up control circuit with a power-saving mode of op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3909B2 (en) 2011-08-22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31959B4 (de) 2010-11-25
DE102004031959A1 (de) 2005-01-27
US20070263461A1 (en) 2007-11-15
US7260002B2 (en) 2007-08-21
KR20050004479A (ko) 2005-01-12
US20050002219A1 (en) 2005-01-06
US7486576B2 (en) 200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57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eventing data stored in memory from being read out
US7310284B2 (en) Page access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764572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US595324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DRAM capable of holding data without refresh
US7626877B2 (en) Low voltage sense amplifier and sensing method
US6934211B2 (en) DRAM with refresh control function
KR100678427B1 (ko)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시험 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기억 장치
US7130211B2 (en) Interleave control device using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US6542426B2 (en) Cell data protection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refresh mode
EP0704850B1 (en) Dynamic memory
US68318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 bitline clamping for gain cell DRAM devices
US20080094931A1 (en) Memory device performing partial refresh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184517B1 (ko) 메모리 장치의 동적 리프레시를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34513B1 (ko)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경로의 리셋 회로,리셋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46100B1 (ko) 계층 전달 센싱구조를 갖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셀 어레이회로
US20070047363A1 (en) Memory
US7295474B2 (en) Operating an information storage cell array
KR100756778B1 (ko) Psram의 로우 액티브 제어회로
US6731556B2 (en) DRAM with bias sensing
US7414876B2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having power control function
US20250131955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ow hammer counter initialization
EP1132923A1 (en) Bit line sense circuit and method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KR100569562B1 (ko) Psram의 액티브 제어회로
KR100454258B1 (ko) 향상된 프리차지 타임을 가지기 위한 메모리 장치
KR2015012236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