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0373B1 - Selector of coin turning type - Google Patents

Selector of coin turn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373B1
KR100560373B1 KR1019990043369A KR19990043369A KR100560373B1 KR 100560373 B1 KR100560373 B1 KR 100560373B1 KR 1019990043369 A KR1019990043369 A KR 1019990043369A KR 19990043369 A KR19990043369 A KR 19990043369A KR 100560373 B1 KR100560373 B1 KR 10056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elector
roller
groove
shap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7518A (en
Inventor
다나카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37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0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과제)(assignment)

본 발명은 셀렉터 전체의 사이즈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코인의 직경 사이즈의 변경을 쉽게 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인 전동식 셀렉터의 기능을 추가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making the size of the entire selector as small as possib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from the purpose of making it easy to change the diameter size of the sorting coi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adding a function of the coin-operated selector.

(해결수단)(Solution)

본 발명은 적어도, 투입된 코인을 주위 테두리에 의하여 전동시키기 위한 원호형의 통로수단과, 이 통로수단을 전동하는 코인의 위 테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단면이 거의 ∧자형인 홈수단과, 를 구비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n arc-shaped passage means for rolling the introduced coin by a peripheral rim, a groove means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for guiding the upper rim of the coin for driving the passage means. It is a coin electric selec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셀렉터, 코인, 통로수단, 홈수단, 롤러Selector, coin, channel, groove, roller

Description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SELECTOR OF COIN TURNING TYPE}Coin-operated selector {SELECTOR OF COIN TURNING TYP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아래쪽에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제거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FIG. 1.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4 is a front view of FIG. 3.

도 5는 도 2를 A-A 선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viewed from the line A-A. FIG.

도 6은 도 2를 밑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from below;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8 is a front view of FIG. 7.

도 9는 도 7을 경사 윗쪽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7 viewed from above the inclination.

도 10은 도 7의 배면도이다. 10 is a rear view of FIG. 7.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를 제거한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FIG. 11 is a partial view showing a part where main parts of FIG. 10 are removed.

도 12는 도 8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8 removed. FIG.

도 13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1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본 발명은 투입된 코인을 굴리면서 선별하기 위한 코인 전동(轉動)식 셀렉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파칭코 슬롯, 즉 핀볼-스타일 슬롯 머신 등의 게임기에 사용되는 코인 전동식 셀렉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명세서의 용어 「코인」에는 통화인 작은 원판형의 경화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의 용어「코인」에는 게임 등에 사용되는 원판형의 메달 이든지 토큰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motorized selector for sorting by rolling the input coi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in operated selectors used in game machines such as pachinko slots, ie pinball-style slot machines. Moreover, of course, the term "coin" of this specification includes hardening of the small disk shape which is currency. In addition, the term "coin" of this specification includes, of course, a disk-shaped medal or a token used in a game or the like.

메달 게임기 든지 핀볼-스타일 슬롯 머신 등에 사용되고 있는 코인 전동식 셀렉터는 여러가지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실개평6-25963(실원소4-23240)호 공보에 상기의 셀렉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실개평6-2596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코인 전동식 셀렉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실원평4-23240호는 미국특허 5,293,981호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여기에 부기한다. Various coin electric selectors are used in medal game machines and pinball style slot machines. For example, said selector i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25963 (real element 4-23240) by this applicant. 7 schematically shows a coin powered select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5963. In addition, Patent Application No. 4-23240 adds that constitutes US Patent No. 5,293,981.

도 13(A)는 상기 셀렉터의 전체를 거의 좌상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B)는 상기 셀렉터를 옆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A)의 셀렉터는 횡으로 길고 큰 본체 프레임(4)을 갖고 있다. 이 본체 프레임(4)의 각각의 끝부에는 부착편(19와 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편(19와 18)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4)은 핀볼-스타일 슬롯 머신내에 전체가 경사하여 고정된다. 즉 본체 프레임(4)은 수평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이 기울여져 있음과 동시에 폭방향도 기울어져서 고정된다(도 13(B)를 참조). Fig. 1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elector from almost the upper left. Fig. 1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ector viewed from the side. The selector in Fig. 13A has a long and large main body frame 4 laterally. Attached pieces 19 and 18 are formed at each end of the main body frame 4, respectively. By means of these attachment pieces 19 and 18, the body frame 4 is fixed to the whole in a pinball-style slot machine. That is, the main body frame 4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s also fixed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see FIG. 13 (B)).

그리고 본체 프레임(4)의 거의 중앙부밑에는 약간 큰 장방형의 창문(9)이 개구되어 있다. 이 창문(9)의 위 테두리에는 횡으로 긴 장방형의 얇은 코인 가이드(10)가 고정되어 있다(도 13(B)를 참조). 또한 코인 가이드(10) 윗쪽의 본체 프레임(4)에는 피벗축(8)이 부착되어 있다. 이 피벗축(8)에는 굴곡된 작은 판아암(11)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판아암(11)의 하반부는 창문(9)내에 출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A)의 좌반부에 도시되어 있는 피스톨형의 것은 도어판(5)이다. A slightly larger rectangular window 9 is opened below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4. On the upper edge of this window 9,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thin coin guide 10 is fixed (see Fig. 13 (B)). In addition, a pivot shaft 8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frame 4 above the coin guide 10. A curved small plate arm 11 is rotatably attached to this pivot shaft 8. That is, the lower half of the plate arm 11 is made accessible in the window 9. The pistol-shaped thing shown in the left half part of FIG. 13 (A) is the door plate 5.

이 도어판(5)은 스프링(도시생략)을 개재하여 본체 프레임(4) 상부의 피벗축(8)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피벗축(8)과 스프링(도시생략)을 이용하여 도어판(5)과 판아암(11)이 일체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판아암(11)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도어판(5)도 움직이는 것으로 된다. 본체 프레임(4)과 도어판(5)과의 각각의 상단부는 각각 외향으로 굴곡되어 코인의 투입구(1)에 형성되어 있다(도 13(A)를 참조). 도 13(A)의 우반부에 도시되어 있는 거의 장방형의 것은 커버판(17)이다. 이 커버판(17)에는 작은 원주형의 솔레노이드(16)가 배치되어 있다. The door plate 5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pivot shaft 8 above the main body frame 4 via a spring (not shown). That is, the door plate 5 and the plate arm 11 can be integrally rotated using the pivot shaft 8 and the spring (not shown). Therefore, the door plate 5 also moves only by moving the plate arm 11. The upper ends of the main body frame 4 and the door plate 5 are each bent outward and are formed in the coin inlet 1 (see Fig. 13A).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one shown in the right half of Fig. 13A is the cover plate 17. A small columnar solenoid 16 is disposed on the cover plate 17.

이 솔레노이드(16)에는 L자형으로 굴곡된 뚜껑판(15)이 윗쪽에서 피벗축(14)에 지지 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16)의 on off에 의해서 가늘고 길다란 코인의 낙하구멍(12)이 개폐되는 것으로 된다. 또 도 13(A)의 우단부에 도시되는 부호 13은 뚜껑부이고 커버판(17)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부(13)와 본체 프레임(4)에 의해 가늘고 길다란 코인의 출구(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코인 전동식 셀렉터는 코인이 투입구(1)에 투입된다. The solenoid 16 is supported on the pivot shaft 14 from above by a cover plate 15 curved in an L shape. Accordingly, the drop hole 12 of the thin and long coin is opened and closed by turning the solenoid 16 on and off.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13 shown at the right end part of FIG. 13A is a lid part, and is formed by a part of cover plate 17. As shown in FIG. By the lid 13 and the main body frame 4, an elongated coin outlet 2 is formed.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coin-operated selector described above, coins are injected into the inlet 1.

투입된 코인은 본체 프레임(4)의 아래 테두리에 형성된 레일(7)을 굴러 가면서 낙하한다(도 13(B)를 참조). 레일(7)을 전동(轉動)하는 코인(A)이 진짜인 경우에는, 코인 가이드(10)와 도어판(5)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더욱 전동을 계속 할 수 있다. 레일(7)을 전동하는 코인이 진짜가 아니고 직경이 작을 때는, 코인 가이드(10) 또는 도어판(5)으로부터 벗어나 낙하한다. 레일(7)을 전동하는 코인이 진짜가 아니고 직경이 클 때는, 코인 가이드(10)의 부착판(101) 등에 의해서 정지된다. 이 경우, 예를들면 도어판(5)이 스프링(도시생략)에 저항하여 움직이면 판아암(11)도 움직이는 것으로 된다. The coin entered falls while rolling the rail 7 formed in the lower edge of the main body frame 4 (refer FIG. 13 (B)). When the coin A which drives the rail 7 is genuine, the coin guide 10 and the door board 5 are guided, and the rolling can continue further. When the coin which drives the rail 7 is not genuine and its diameter is small, it will fall out of the coin guide 10 or the door board 5, and fall. When the coin which drives the rail 7 is not real and its diameter is large, it stops by the attachment plate 101 of the coin guide 10, etc.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door plate 5 moves against a spring (not shown), the plate arm 11 also moves.

그 결과, 부착판(101) 등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코인은 판아암(11)에 의해서 낙하하는 것으로 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코인 전동식 셀렉터는 횡방향으로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착시킬 때에 셀렉터 전체를 비스듬히 하기 위해서 부착 공간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별되는 코인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셀렉터를 전면적으로 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coins stopped by the attachment plate 101 or the like fall by the plate arms 11.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in-operated selector described above is large in the lateral direction. Moreover, when attaching,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ttachment space was large in order to obliquely whole the selector. Moreover, when changing the size of the coins to be sor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lector must be completely modifi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셀렉터 전체의 사이즈를 될 수 있는한 작게 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은 셀렉터 전체를 비스듬히 하는 것 없이 수직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 코인의 직경 사이즈의 변경을 쉽게 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인 전동식 셀 렉터의 기능을 추가할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making the size of the entire selector as small a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making it possible to attach the entire selector vertically without oblique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making it easy to change the diameter size of the sorting coi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object of adding a function of a coin electric selector.

본 발명은 적어도, 투입된 코인을 주위 테두리에 의하여 전동시키기 위한 원호형의 통로수단과, 이 통로수단을 전동하는 코인의 위 테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단면이 거의 ∧자형의 홈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t least an arc-shaped passage means for driving the coin input by the peripheral edge and a groove means having a substantially cross-section for guiding the upper edge of the coin for driving the passage means. It is a coin powered sele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수단이 회전가능한 한 쌍의 롤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in powered selector, wherein the groove means is formed by a pair of rotatable roll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 수단이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n powered se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means is driven to rot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로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홈수단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 셀렉터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n electric sel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means is movabl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mea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수단이 회전가능한 롤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 셀렉터이다. Moreover, this invention is a coin electric selector characterized by the said groove means comprised by the rotatable roller.

(발명의 제 1실시의 형태)(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을 제 1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about 1s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아래 쪽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제거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를 A-A 선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 도 5의 코인(C)은 설명을 위해 부가한 것이다. 도 6은 도 2를 밑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FIG. 1. 4 is a front view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viewed from the line A-A. FIG. In addition, the coin C of FIG. 5 is added for descrip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from below;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는 전체가 두께가 있는 횡으로 길고 거의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도 1를 참조). 본 실시예의 셀렉터는 직각삼각형의 가장 긴 변부가 위에 다음으로 긴 변부가 밑에 있도록 설치된다(도 2를 참조). The coin motorized sel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versely long, almost right triangle with a whole thickness (see Fig. 1). The selector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such that the longest side of the right triangle is next to the longest side (see FIG. 2).

그리고 해당 셀렉터에서는 코인이 위의 예각부에서 투입되어 밑의 예각부를 향해서 전동 된다. 즉 코인은 해당 셀렉터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개구(21)로부터 투입된다. 개구(21)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약 1/4의 원으로 되는 원호통로(22)에 의하여 상기 전동이 가이드 된다. 또 원호통로(22)는 새 같은 형상을 한 약간 두꺼운 판(2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새 형상의 판(23)의 각각의 사이드는 큰 본체 프레임(25)과 약간 작은 도어(31)에 의하여 끼워져 있다. 또 도어(31)는 윗쪽에 있는 한 쌍의 피벗축(32)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본체 프레임(25)에 부착되어 있다. In the selector, coins are injected from the upper acute portion and driven toward the lower acute portion. That is, coins are injected from the opening 21 formed at the top of the selector. The coin injected from the opening 21 is guided by the circular arc path 22 which becomes a circle of about 1/4. The arc passage 22 is formed of a slightly thick plate 23 having a bird-like shape. Each side of the plate 23 of the new shape is sandwiched by a large body frame 25 and a slightly smaller door 31. The door 31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frame 25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by a pair of pivot shafts 32 located above.

본체 프레임(25)의 정상부 가까이에는 인형형의 약간 큰 창문(27)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통로(22) 근처의 창문(27) 테두리에는 외향의 차폐편(28)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5)의 장변부 하반부에는 바깥쪽에 아암편(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편(51)은 더욱 하향으로 굴곡되고 그 상단부에는 피벗축(52)이 고정되어 있다. 또 피벗축(52)은 도어(31)를 향하여 돌출 되어 있다. 피벗축(52)에는 우선 전둘레 주위면의 중앙에 홈을 가지는 롤러(53)가 회전가능하게 외장되어 있다(도 5와 도 6를 참조). 그리고 더욱 피벗축(52)에는 사이드편면에 테이퍼를 가지는 롤러(55)가 회전가능하게 외장되어 있다. 이 경우, 롤러(55)의 테이퍼면이 홈이 있는 롤러(53)에 대향하여 외장된다. Near the top of the main body frame 25, a doll-shaped slightly larger window 27 is opened. And the shielding piece 28 of the outward direction is formed in the edge of the window 27 near the arc path 22. As shown in FIG. The arm piece 51 is formed in the lower half part of the long side part of the main body frame 25 at the outer side. This arm piece 51 is bent further downward and the pivot shaft 52 is fixed to the upper end part. The pivot shaft 52 protrudes toward the door 31. First, the pivot shaft 52 is rotatably enclosed with a roller 53 having a groove in the center of the front circum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see FIGS. 5 and 6). Further, a roller 55 having a taper on the side surfac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pivot shaft 52. In this case, the tapered surface of the roller 55 is faced against the grooved roller 53.

따라서 한 쌍으로 되는 롤러(53와 55)에 의하여 단면 V자형의 작은 구멍(56)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도 5와 도 6을 참조). 또 롤러(55)는 피벗축(52)에 외장된 스프링(57)에 의해서 가볍게 눌러진다. 스프링(57)은 예컨대 도어(31)의 원통형부(59)내의 플러그(58)에 의해서 지지된다. 아암(51)내의 작은 장방형체는 솔레노이드(61)이다. 솔레노이드(61)의 플런저에는 타원형의 작은 링크(62)를 개재하여 긴 L자형의 조작편(63)이 각각 피벗지지되어 있다(도 6을 참조). 그리고 조작편(63)의 선단부 하면에는 약간 긴 로드(65)가 고정되어 있다. 이 로드(65)의 선단은 롤러(53)의 홈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Therefore,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form a small hole 56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see FIGS. 5 and 6). Moreover, the roller 55 is lightly pressed by the spring 57 external to the pivot shaft 52. The spring 57 is for example supported by a plug 58 in the cylindrical portion 59 of the door 31. The small rectangular body in the arm 51 is the solenoid 61. The plunger of the solenoid 61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ong L-shaped operation piece 63 via the elliptical small link 62 (refer FIG. 6). And a slightly long rod 65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piece 63. The tip of the rod 65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oller 53.

따라서 예컨대 통상 on의 솔레노이드(61)가 off되면 L자형의 조작편(63) 중앙의 피벗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결과, 로드(65)의 선단이 롤러(55)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롤러(53)가 홈을 통하여 롤러(55)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 원호통로(22)의 아래쪽으로는 긴 롤러식의 레일(20)이 회전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다. Therefore, for example, when solenoid 61 of normally on is turned off, it rotates about the pivot axis of the center of L-shaped operation piece 63. FIG. As a result, the tip of the rod 65 falls from the roller 55. In other words, the roller 53 falls from the roller 55 through the groove. Further, under the arc passage 22, a long roller rail 20 is rotatably arranged.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상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코인 전동식 셀렉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상태로 사용된다. 바꿔 말하면 한 쌍으로 되는 롤러(53와 55)에 의하여 단면 V자형의 작은 홈(56)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된다. The coin motorized selector of this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above structure is used in the state shown in FIG. 5 and FIG. In other words,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are used in a state where a small groove 56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이 상태에 있어서 선별되는 코인(C)이 개구(21)에 투입되면 해당 코인(C)은 원호통로(22)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전동하는 것으로 된다(도 4를 참조). 그리고 상기 코인(C)이 진짜인 경우는 바꿔 말하면 상기 코인(C)이 선별되는 코인인 경우는 원호통로(22)를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즉 코인(C)의 아래 테두리는 원호통로(22)에 의해서 가이드되고 해당 코인(C)의 위 테두리는 한 쌍의 롤러(53와 55)의 작은 홈(56)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코인(C)이 진짜인 경우는 즉 선별되는 코인인 경우에는 원호통로(22)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더욱 아래쪽으로 전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한 쌍의 롤러(53와 55)는 회전가능하므로 진짜코인(C)은 원활하게 또한 빠르게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coin C to be sorted is put into the opening 21, the coin C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 to be driven (see Fig. 4). In the case where the coin C is genuine, in other words, when the coin C is selected, the coin C passes through the arc passage 22. That is, the lower edge of the coin C is guided by the circular arc passage 22, and the upper edge of the coin C is guided by the small grooves 56 of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Therefore, when the coin C is genuine, that is, when the coin is sorted, the coin C smoothly passes through the arc passage 22 and is driven further downward. In this case, since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are rotatable, the real coins C pass smoothly and quickly.

따라서 스프링(57)은 약한 탄성력의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 이다. 또한 예컨대 소형의 전기 모터(도시생략)에 의해서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이 경우, 예를들면 피벗축(52)을 회전가능의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롤러(53와 55)를 회전시키면 코인(C)의 통과속도가 빠르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개구(21)에 투입된 코인이 진짜가 아닌 경우에는 예컨대 투입된 코인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원호통로(22)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즉 코인의 아래 테두리는 원호통로(22)에 의해서 가이드되지만 해당 코인의 위 테두리는 한 쌍의 롤러(53와 55)의 작은 홈(56)에 의해서 가이드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Therefo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pring 57 has a weak elastic for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roller may be rotated by, for example, a small electric motor (not shown).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ivot shaft 52 rotatable, for example. In addition, when the rollers 53 and 55 are rotated, the passage speed of the coin C is of course high. If the coin put into the opening 21 is not genuine, for example, if the coin has a small diameter,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arc passage 22. That is, the lower edge of the coin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 but the upper edge of the coin is not guided by the small grooves 56 of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또한 직경이 작은 코인이라도 진동하고 있으면 외견상 직경이 큰 것으로 되어 마치 진짜코인과 같이 된다. 이 경우는 스프링(57)이 작용하고 바꿔 말하면 스프링(57)이 코인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된다. 이리하여 코인의 직경이 작은 경우는 한 쌍의 롤러(53와 55)로부터 벗어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된다. 개구(21)에 투입된 코인이 진짜가 아닌 경우 가령 투입된 코인의 직경이 큰 경우도 원호통로(22)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즉 코인의 아래 테두리는 원호통로(22)에 의해서 가이드되지만 해당 코인의 위 테두리는 한 쌍의 롤러(53와 55)에 맞닿아 정지되는 것으로 된다. In addition, if a small coin is vibrated, the outer diameter becomes large and becomes like a real coin. In this case, the spring 57 acts, in other words, the spring 57 absorbs the vibration of the coin. Thus, when the diameter of a coin is small, it will fall out of a pair of rollers 53 and 55 and fall downward. If the coin put into the opening 21 is not genuine, for example, even if the coin is large in diameter,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arc passage 22. That is, the lower edge of the coin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 but the upper edge of the coi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to be stopped.

바꿔 말하면 코인의 직경이 큰 경우는 원호통로(22)와 한 쌍의 롤러(53와 55)와의 사이에 끼워져 이동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는 도어(31)를 피벗축 중심으로 개폐함으로써 간단히 직경이 큰 코인을 아래쪽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61)를 작동하도록 하면 롤러(53)가 이동되는 것으로 되어 직경이 큰 코인은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롤러(53와 55)에 의하여 단면 V자형의 작은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호통로(22)로부터 보면 상기 작은 홈(56)은 단면 ∧자형인 것은 물론 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diameter of the coin is large, the coin is interposed between the arc passage 22 and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and cannot move. In this case,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31 to the pivot axis center, it is possible to simply drop a large coin downward. In addition, when the solenoid 61 is operated, the roller 53 is moved, so that a coin having a large diameter falls downwar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mall groove 56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by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However, as seen from the arc passage 22, the small groove 56 is of course U-shaped in cross section.

또한 단면형상이 ∧자형의 작은 홈(56)이면 좋기 때문에 다른 부재 예를들면 한개의 롤러 또는 반원판형에 작은 홈(56)을 형성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더욱이 작은 홈(56)의 단면형상은 정확히는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면이 한개이지만 2개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진짜코인(C)의 직경을 변경하는 경우는 롤러(53) 또는 롤러(55) 또는 이들의 한 쌍의 롤러를 교체만으로 될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또 한 쌍의 롤러(53와 55)의 좁은 접속부가 원주형으로 되어 있는 것은 한 쌍의 롤러(53와 55)가 떨어져도 진짜코인 이외의 것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Further,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a U-shaped small groove 56, of course, the small groove 56 may be formed in another member, for example, one roller or semi-circular plate shape. Furthermo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mall grooves 56 is exactly one inclined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of course two are good.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real coin (C)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only the roller 53 or the roller 55 or a pair of rollers can be replaced. Moreover, the narrow connection part of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is circumferential in order to prevent a pass other than a genuine coin even if the pair of rollers 53 and 55 fall.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2nd embodiment of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을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about 2nd Exampl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을 경사 윗쪽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를 제거한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코인 전동식 셀렉터는 개략 전체가 횡으로 긴 상자모양으로 되어 있다(도 7을 참조). 그리고 또한 본 실시예의 셀렉터는 상자 전체가 아래쪽으로 경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을 참조).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FIG. 7.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7 viewed from above the inclination. 10 is a rear view of FIG. 7. FIG. 11 is a partial view showing a part where main parts of FIG. 10 are removed.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8 removed. FIG. In the coin-operated sel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outline is formed in a laterally long box shape (see FIG. 7). In addition, the selector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hape in which the whole box was inclined downward (refer FIG. 8).

해당 셀렉터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코인이 상부의 예각부에서 투입되어 하부의 예각부를 향하여 전동된다(도 12를 참조). 우선 코인은 해당 셀렉터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개구(221)로부터 투입된다. 개구(221)로부터 투입된 코인은 약 1/4 원으로 되는 원호통로(222)에 의하여 상기 전동이 가이드된다. 또 원호통로(222)는 학 같은 형상을 한 약간 두꺼운 판(223)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도 12를 참조). 그리고 학 형상의 판(223)은 큰 본체 프레임(225) (도 12을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학 형상의 판(223)은 약간 작은 도어체(231)(도 11을 참조)에 의해서 덮어져 있다. At the time of use of the selector, coins are introduced from the upper acute angle portion and driven toward the lower acute angle portion (see FIG. 12). First, coins are introduced from the opening 221 formed at the top of the selector. The coin injected from the opening 221 is guided by the arc path 222 which becomes about 1/4 round. The arc passage 222 is formed by a slightly thick plate 223 having a crane-like shape (see FIG. 12). And the crane shaped plate 223 is fixed to the large main body frame 225 (refer FIG. 12). Furthermore, the crane-shaped plate 223 is covered by a slightly smaller door body 231 (see Fig. 11).

또 도어체(231)는 거의 오각형의 수지성형품과 L자형의 금속판(231M)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체(231)는 상부중앙에 있는 피벗축(232)에 의해서 본체 프레임(225)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225)의 정상부 가까이에는 도끼형의 약간 큰 창문(227)이 개구되어 있다(도 12를 참조). 그리고 원호통로(222) 근처의 창문(227) 테두리에는 초생달형의 개폐판(226)이 대략 Y자형의 아암판(229)을 개재하고 피벗축(22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0을 참조). 개폐판(226)과 아암판(229)은 후기 하는바와 같이 통로에 쌓여진 코인을 제거하여 캔슬하기 위한 것이다. The door body 231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pentagram-shaped resin molded article and an L-shaped metal plate 231M. In addition, the door body 231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frame 225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pivot shaft 232 in the upper center. Near the top of the main frame 225, an ax-shaped slightly larger window 227 is opened (see FIG. 12). The crescent-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226 is supported by the pivot shaft 228 via an approximately Y-shaped arm plate 229 at the edge of the window 227 near the arc passage 222 (Fig. 10). Referenc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26 and the arm plate 229 is for canceling by removing coins accumulated in the passage as described later.

또 아암판(229)이 긴 외단부에는 도어체(231)를 개폐하기 위한 조작편(224)이 형성되어 있다(도 10을 참조). 이 조작편(224)은 본체 프레임(225)을 관통가능으로 되는 것은 물론 이다. 본체 프레임(225)의 위 테두리 중앙에는 약간 큰 아암(251)이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251)은 더욱 하향으로 굴곡되고 그 선단부에는 돌출축(252)이 고정되어 있다(도 10을 참조). 또 돌출축(252)은 도어체(231)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출축(252)에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롤러(253)가 회전가능하게 외장되어 있다. 이 롤러(253)의 베이스 단부 전둘레에는 홈(255)이 형성되어 있다(도 9를 참조). Moreover, the operation piece 22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ody 231 is formed in the outer end part of which the arm plate 229 is long (refer FIG. 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ration piece 224 can penetrate the body frame 225. A slightly larger arm 251 is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center of the upper edge of the body frame 225. The arm 251 is bent further downward, and a protruding shaft 252 is fixed to the tip portion thereof (see FIG. 10). The protruding shaft 252 protrudes toward the door 231. The roller 25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protruding shaft 252 via a spacer. Grooves 255 are formed in the entire base end of the roller 253 (see FIG. 9).

홈(255)은 후기하는 바와같이 해당 롤러(253)를 돌출축(252)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롤러(253)의 선단부 전둘레에는 홈(2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56)은 후기하는 바와같이 전동하는 코인의 위 테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 홈(256)의 사이드면들중 한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롤러(253)에는 단면이 거의 V자형의 홈(256)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도어체(231)의 상부에는 도 11의 우측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J자형의 누름편(233)이 피벗축(235)에 지지되어 현수되어 있다. The groove 255 is for sliding the roller 253 in the protruding axis 252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Furthermore, the groove 256 is formed in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53. This groove 256 is for guiding the upper edge of the coin to be driven as described later.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groove 256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 other words, the roller 253 is formed with a groove 256 having a substantially V-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11, the J-shaped pressing piece 233 is supported by the pivot shaft 235 and suspen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body 231. As shown in FIG.

또 누름편(233)은 도어체(231)를 요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있어 통과하는 코인을 본체 프레임(225)에 누른다. 따라서 작은 스프링(236)이 도어체(231)와 누름편(233)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11을 참조). 더욱이 도어체(231)의 상부에는 Γ자형의 스토퍼편(237)이 피벗축(235)에 의해 지지되어 현수되어 있다. 또 스토퍼편(237)는 도어체(231)를 요동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스토퍼편(237)의 하단부에 의해서 원호통로(222)로부터 오는 코인의 통과가 방지된다(도 12를 참조). 도 10의 좌상부에 도시된 작은 장방형체는 아암(251)내의 솔레노이드(261)이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iece 233 penetrates the door body 231 so as to oscillate, and presses the coin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frame 225. Therefore, the small spring 236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door body 231 and the pressing piece 233 (refer FIG. 11). Furthermore, a g-shaped stopper piece 237 is supported and suspen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body 231 by the pivot shaft 235. The stopper piece 237 penetrates the door body 231 so as to be able to swing. And the passage of the coin coming from the circular arc path 222 is prevented by the lower end part of the stopper piece 237 (refer FIG. 12). The small rectangle shown in the upper left of FIG. 10 is the solenoid 261 in the arm 251.

솔레노이드(261)의 플런저(도시생략)에는 타원형의 작은 링크(도시생략)가 피벗지지 되어 있다. 더욱이 작은 링크에는 L자형의 링크(도시생략)가 피벗지지 되어 있다. 그리고 L자형 링크에는 긴 스프링편(263)이 피벗축(26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9를 참조). 스프링편(263)의 선단부 하면에는 약간 긴 로드(265)가 고정되어 있다. 이 로드(265)의 선단은 상기한 롤러(253)의 홈(256)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된다(도 9를 참조). 따라서, 솔레노이드(261)가 on되면, 스프링편(263)이 피벗축(26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An elliptical small link (not shown)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plunger (not shown) of the solenoid 261. Furthermore, L-shaped links (not shown) are pivotally supported on the small links. And the long spring piece 263 is supported by the L-shaped link by the pivot shaft 262 (refer FIG. 9). A slightly longer rod 265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spring piece 263. The tip of the rod 265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256 of the roller 253 described above (see FIG. 9). Therefore, when solenoid 261 is turned on, spring piece 263 is rotated about pivot axis 262.

이 결과, 로드(265)가 이동하여 롤러(253)는 도 9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체(231)에 접근하는 것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코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롤러(253)의 홈(256)이 원호통로(222)에 대응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롤러(253)가 도어체(231)에 접근하면 해당 롤러(253)에 의해서 스토퍼편(237)의 돌기(239)가 눌 러진다(도 8을 참조). 따라서 스토퍼편(237)의 하단부가 인입되기 때문에 원호통로(222)로부터의 코인은 더욱 전동하는 것으로 된다(도 12를 참조). 바꿔 말하면 원호통로(222)로부터의 코인은 본체 프레임(225)의 고정레일(271)을 전동하는 것으로 된다. As a result, the rod 265 moves and the roller 253 approaches the door 231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In other words, the groove 256 of the roller 253 for guiding the coin corresponds to the arc passage 222.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ller 253 approaches the door body 231, the protrusion 239 of the stopper piece 237 is pressed by the roller 253 (refer FIG. 8). Therefore, since the lower end part of the stopper piece 237 is pulled in, the coin from the circular arc path 222 is made to roll further (refer FIG. 12). In other words, the coin from the arc passage 222 drives the fixed rail 271 of the main frame 225.

또 고정레일(271)의 가까이에는 계수용의 3개의 센서(S)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S)는 고정레일(271)을 통과하는 코인을 예컨대 자기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또 센서(S)의 수를 3개로 한 것은 못된 장난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도 10의 좌측에 도시되는 약간 큰 장방형체도 솔레노이드(272)이다. 솔레노이드(272)의 플런저에는 축(279)을 개재하고 U자형의 가동레일(273)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10을 참조). 즉 U자형의 가동레일(273)의 각각의 상단부는 본체 프레임(225)에 피벗축(277)에 지지되어 있다. In addition, three sensors S for counting are arranged near the fixed rail 271. The sensor S detects, for example, magnetically or optically the coin passing through the fixed rail 271.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sensors S is set to three in order to prevent the malfunction by the mischief. The slightly larger rectangle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0 is also a solenoid 272. The plunger of the solenoid 272 is arrange | positioned rotatably by the U-shaped movable rail 273 via the shaft 279 (refer FIG. 10). That is,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U-shaped movable rails 273 is supported by the pivot shaft 277 by the main body frame 225.

그리고 가동레일(273)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경사 구멍이 개구되어 축(279)이 관통되어 있다(도 9를 참조). 더욱이 가동레일(273)에는 아암편을 개재하여 스토퍼(275)가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72)가 off 될 때는 가동레일(273)이 본체 프레임(225)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275)는 본체 프레임(225)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솔레노이드(272)가 off 될 때는 고정레일(271)로부터 오는 코인은 스토퍼(275)에 저지되어 금고(도시생략)안에 낙하된다(도 12를 참조). 솔레노이드(272)가 on 될 때는 가동레일(273)이 본체 프레임(225)의 안쪽에 위치한다. A pair of inclined holes are open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rail 273 to penetrate the shaft 279 (see FIG. 9). Moreover, the stopper 275 is formed in the movable rail 273 via the arm piece. When the solenoid 272 is off, the movable rail 273 is located outside the main frame 225. The stopper 275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225. That is, when the solenoid 272 is off, the coin coming from the fixed rail 271 is blocked by the stopper 275 and falls in the safe (not shown) (refer FIG. 12). When the solenoid 272 is turned on, the movable rail 273 is located inside the body frame 225.

그리고 스토퍼(275)는 본체 프레임(225)의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솔레노 이드(272)가 on 될 때는, 코인은 가동레일(273)을 전동하여 계속 본체 프레임(225)에 가이드되어 낙하된다(도 7을 참조). 본체 프레임(225)에 가이드되어 낙하하는 코인은 예컨대 호퍼의 탱크(도시생략)안에 수납된다. 또 도 11의 거의 중앙에 도시된 작은 원은 코인 통로 조정용의 강철구(291) 이다. 이 강철구(291)는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본체 프레임(225)에 대하여 접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강철구(291)는 개구(221)에 투입되는 코인의 두께에 따라서 원호통로(222)의 폭을 조정하기위한 것이다. The stopper 275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frame 225. Therefore, when the solenoid 272 is turned on, the coin is guided to the main body frame 225 by falling on the movable rail 273 (see Fig. 7). Coins guided to the main frame 225 and falling down are stored in, for example, a tank (not shown) of the hopper. In addition, the small circle shown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FIG. 11 is the steel sphere 291 for coin passage adjustment. The steel ball 291 is rotatable and is arranged to be accessible to the body frame 225. That is, the steel ball 291 is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arc passage 222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coin injected into the opening 221.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상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제 2 실시예의 코인 전동식 셀렉터는, 통상, 솔레노이드(261와 272)를 각각 on으로 하여 사용된다. 즉 롤러(253)의 홈(256)이 원호통로(222)의 위치에 대응한다. 그리고 가동레일(273)이 본체 프레임(225)의 안쪽에 위치한다. 또 스토퍼편(237)은 도어체(231)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고 스토퍼(275)는 본체 프레임(225)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물론 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코인이 개구(221)에 투입되면 해당 코인은 원호통로(22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전동 낙하된다. The coin motorized sel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ually used with solenoids 261 and 272 on. In other words, the groove 256 of the roller 253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arc passage 222. And the movable rail 273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frame 225. Moreover, of course, the stopper piece 237 is located outside the door body 231, and the stopper 275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frame 225.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when a coin is thrown into the opening 221, the coin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2 and falls electrically.

그리고 해당 코인이 진짜인 경우에는 바꿔 말하면 해당 코인이 선별된 코인인 경우에는 원호통로(222)를 빠져 나간다. 즉 코인의 아래 테두리는 원호통로(222)에 의해서 가이드되고 해당 코인의 위 테두리는 홈(256)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따라서 코인이 진짜인 경우에는 원호통로(222)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더욱 아래쪽으로 전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경우, 롤러(253)는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진짜코인은 원활하게 또한 신속하게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스프링(236)은 약한 탄성력의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 이다. In other words, if the coin is real, in other words, if the coin is a selected coin, it exits the arc passage 222. That is, the lower edge of the coin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2 and the upper edge of the coin is guided by the groove 256. Therefore, if the coin is genuine, it passes smoothly through the circular arc path 222 and is to be transmitted further downward. In this case, since the roller 253 is rotatable, the real coins pass smoothly and quickly. Therefo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pring 236 has a weak elastic force.

또한 예컨대 소형의 전기모터(도시생략)에 의해서 롤러(253)를 회전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이 경우, 예를들면 피벗축(252)을 회전가능한 부착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롤러(253)를 회전구동하면 코인의 통과 속도가 빠르게 되는 것은 물론 이다. 개구(221)에 투입된 코인이 진짜가 아니고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원호통로(222)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코인의 아래 테두리는 원호통로(222)에 의해서 가이드되지만 해당 코인의 위 테두리는 홈(256)에 의해서 가이드되지 않는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roller 253 may be rotated by, for example, a small electric motor (not shown).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pivot shaft 252 needs to have a rotatable attachment structure. In addition, when the roller 253 is driven to rotate, of course, the passage speed of the coin is increased. If the coin put into the opening 221 is not genuine and has a small diameter, the coin has not passed through the arc passage 222. In this case, the lower edge of the coin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2, but the upper edge of the coin is not guided by the groove 256.

따라서 직경이 작은 코인은 예컨대 경사지게 되어 도어체(231)내부를 낙하하여 캔슬되는 것으로 된다. 또 직경이 작은 코인일지라도 진동하고 있으면 외견상, 직경이 큰 것으로 되어 마치 진짜코인과 같이 된다. 이 경우는 스프링(236)이 작용하여 코인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코인의 직경이 작은 경우는 롤러(253)의 홈(256)으로부터 벗어나 캔슬되는 것으로 된다. 개구(221)에 투입된 코인이 진짜가 아니고 직경이 큰 경우도, 원호통로(222)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Therefore, the coin having a smaller diameter is inclined, for example, to fall inside the door body 231 and be canceled. In addition, even if the coin is small in diameter, if it oscillates, it is apparent that the diameter is large and becomes like a real coin. In this case, the spring 236 acts to absorb the vibration of the coin. Therefore, when the diameter of a coin is small, it will be canceled away from the groove | channel 256 of the roller 253. FIG. Even if the coin put into the opening 221 is not genuine and has a large diameter, the coin has not passed through the arc passage 222.

코인의 아래 테두리는 원호통로(222)에 의해서 가이드되지만 해당 코인의 위 테두리는 롤러(253)에 맞닿는다. 바꿔 말하면 코인의 직경이 큰 경우는, 원호통로(222)와 롤러(253)와의 사이에 유지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아암판(229)을 피벗축(228)중심으로 개폐함으로써 직경이 큰 코인을 간단히 낙하시 켜 캔슬할 수 있다. 즉 아암판(229)의 조작에 의해서 개폐판(226)이 움직임과 동시에 조작편(224)을 개재하여 도어체(231)가 개폐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롤러(253)에 단면이 거의 V자형인 홈(256)이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원호통로(222)로부터 보면 해당 홈(256)은 단면이 ∧자형이다. The lower edge of the coin is guided by the arc passage 222, but the upper edge of the coin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253. In other words, when the diameter of the coin is large, it is held between the circular arc path 222 and the roller 253 and cannot move. In this case, by opening and closing the arm plate 229 at the pivot axis 228 center, a coin with a large diameter can be easily dropped and canceled. In other words, the door 231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operation piece 224 at the same time a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26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arm plate 22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oves 256 having a substantially V-shaped cross section are formed in the roller 253. In other words, when viewed from the arc passage 222, the groove 256 is U-shaped in cross section.

또한 단면형상이 ∧자형인 홈(256)이면 좋기 때문에 예컨대 2개의 롤러에 의해서 홈(256)을 형성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또한 다른 부재 예를들면 반원판형에 홈(256)을 형성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더욱이 홈(256)의 단면형상은 정확히는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면이 한개이지만 2개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 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코인을 변경하는 경우는, 롤러(253)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선택코인의 직경을 변경하는 경우, 롤러(253)의 교체에 의해서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Furthermore, since the groove 256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may be us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groove 256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two rollers.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groove 256 may be formed in another member, for example, a semi-circular plate shape. Furthermo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s 256 is exactly one inclined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of course, may be two. In addition, when changing a selection coin in this Example, it can carry out only by replacing the roller 253. FIG. For example, when changing the diameter of a selection coin, of course, it can carry out by replacement of the roller 253.

또한 선택코인의 두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롤러(253)의 교체에 의해서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본 실시예는, 통상, 솔레노이드(261와 272)를 각각 on으로 하여 사용한다. 그렇지만 전술한 것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같이 솔레노이드(261)를 on으로 하고 솔레노이드(272)를 오프로 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예를들면 솔레노이드(261와 272)를 각각 on으로 하여 제 1의 금고(도시생략)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 1의 금고가 가득차게 되었을 때에 솔레노이드(272)를 오프로 하여 제 2의 금고(도시생략)를 사용할 수 있다. Moreover, of course, even when changing the thickness of a selection coin, it can be performed by replacing the roller 253. In this embodiment, the solenoids 261 and 272 are usually turned on and used respectively. However, 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olenoid 261 can be turned on and the solenoid 272 can be turned off. For example, the solenoids 261 and 272 are turned on respectively to use a first safe (not shown). And when the 1st vault becomes full, the solenoid 272 can be turned off and a 2nd vault (not shown) can be used.

또 솔레노이드(261)는 통상은 on으로 되어 있고 해당 셀렉터의 사용 장치에 트러블이 있으면 off 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이 경우, 개구(221)에 투입된 코인이 진짜이더라도 캔슬되는 것은 물론 이다. 또한 솔레노이드(261)의 위치를 롤러(253)의 부근으로 함과 동시에 로드(265)의 조작기구를 변경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272)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 부근의 본체 프레임(225) 이나 아암(251) 이나 금속판(231M)등을 제거한다. 이 결과,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도 8과 도 10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콜렉터를 약 반정도의 크기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In addition, the solenoid 261 is normally turned on and can be turned off if there is a problem in the device used by the selector. In this case, of course, even if the coin put into the opening 221 is genuine, it is cancelled. In addition, while the position of the solenoid 261 is near the roller 253,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rod 265 is changed. Then, the solenoid 272 is removed and the main body frame 225, the arm 251, the metal plate 231M, and the like are removed. As a result, although not shown, the collec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S. 8 and 10 can be about half the size.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 만으로 콜렉터 전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호형의 통로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콜렉터 전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인 가이드용의 롤러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 간단히 선별 코인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호형의 통로수단과 코인 가이드 롤러와의 채용에 의하여 셀렉터를 수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인 가이드 롤러를 이동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코인의 선택을 초기의 단계에서 행할수 있다고 하는 큰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entire collector can be reduced by only adding a simple configur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entire collector can be reduced by employing an arc-shaped passage means. 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ize of a sorting coin can be changed simply by replacing the roller for coin guides.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lector can be vertically attached by employing an arc-shaped passage means and a coin guide roller.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coin guide roller moveable, a great effect is obtained that the coin can be selected at an early stage.

Claims (5)

적어도, At least, 투입된 코인을 주위 테두리에 의하여 전동시키기 위한 원호형의 통로수단과, Arc-shaped passage means for transmitting the coin input by the peripheral edge, 이 통로수단을 전동하는 코인의 위 테두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단면이 거의 ∧자형의 홈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 A coin powered selecto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ubstantially U-shaped groove means having a cross section for guiding the upper edge of the coin for driving the passage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수단이 회전가능한 한 쌍의 롤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전동식의 셀렉터. The coin operated sel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groove means is formed by a pair of rotatable rolle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수단이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 3. A coin powered sel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roller means is driven to ro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홈수단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 The coin selector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 means is movab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mean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수단이 회전가능한 롤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5. A coin powered sel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groove means is constituted by a rotatable roller.
KR1019990043369A 1998-10-09 1999-10-08 Selector of coin turning type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3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35598A JP3507839B2 (en) 1998-10-09 1998-10-09 Coin rolling selector
JP98-324355 1998-10-09
JP99-249562 1999-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18A KR20000047518A (en) 2000-07-25
KR100560373B1 true KR100560373B1 (en) 2006-03-14

Family

ID=1816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3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0373B1 (en) 1998-10-09 1999-10-08 Selector of coin turning typ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07839B2 (en)
KR (1) KR1005603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82660B1 (en) 2000-02-15 2004-07-16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SELECTOR OF THE BEARING TYPE.
JP5651853B2 (en) * 2011-02-01 2015-01-14 旭精工株式会社 Coin selector
CN107341896A (en) * 2016-05-03 2017-11-10 宁波工程学院 A kind of coin sor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322A (en) * 1987-01-12 1988-09-14 오까다 마사하루 Coin separator
JPS6435683A (en) * 1987-07-31 1989-02-06 Hitachi Ltd Automatic cash handler
JPH01128182A (en) * 1987-11-13 1989-05-19 Sanyo Electric Co Ltd Overflow apparatus for coin packed cylinder
JPH07296215A (en) * 1994-04-21 1995-11-10 Niles Parts Co Ltd Coin sel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322A (en) * 1987-01-12 1988-09-14 오까다 마사하루 Coin separator
JPS6435683A (en) * 1987-07-31 1989-02-06 Hitachi Ltd Automatic cash handler
JPH01128182A (en) * 1987-11-13 1989-05-19 Sanyo Electric Co Ltd Overflow apparatus for coin packed cylinder
JPH07296215A (en) * 1994-04-21 1995-11-10 Niles Parts Co Ltd Coin se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23217A (en) 2000-04-28
KR20000047518A (en) 2000-07-25
JP3507839B2 (en) 200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165B1 (en) Coin selector
US5005688A (en) Device for validating and accumulating bills and coins
KR100560373B1 (en) Selector of coin turning type
US5931732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isks
US5577591A (en) Coin selecting apparatus
JP3547125B2 (en) Medal selector
JP4318060B2 (en) Coin rolling type selector
JP6033616B2 (en) Lift polishing machine
EP0991030B1 (en) Coin dispenser arrangement
JP2010072859A (en) Coin image acquisition device for use in coin identification apparatus, coin sorting device having coi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coin sorting device for use in coin insertion device of game machine
JP4318059B2 (en) Coin rolling type selector
US6283267B1 (en) Coin selector assembly
US20060113160A1 (en) Bill processing apparatus
US7850072B2 (en) Billing process apparatus
US3500838A (en) Unitary coin sorting and counting device
JP4072749B2 (en) Disc guide device
JP2009020918A (en) Coin counting sensor device for coin rolling selector
JP6182766B2 (en) Coin selector
JP2005190227A (en) Coin selector
JP3976968B2 (en) Disc body sorting device
JP4359673B2 (en) Disc guide device
JP3538101B2 (en) Game ball winning device
JP3974502B2 (en) Amusement machine medal selector
US3241645A (en) Coin sorting device
JP3888953B2 (en) Prize-winning device for bullet ball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0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