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206B1 - Microwave - Google Patents
Microwa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0206B1 KR100560206B1 KR1020030049775A KR20030049775A KR100560206B1 KR 100560206 B1 KR100560206 B1 KR 100560206B1 KR 1020030049775 A KR1020030049775 A KR 1020030049775A KR 20030049775 A KR20030049775 A KR 20030049775A KR 100560206 B1 KR100560206 B1 KR 100560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y
- microwave oven
- air
- exhaust
- control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조리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케비티(110)와; 전장실(130); 그리고 상기 케비티 (110)와 전장실(130)의 외부를 감싸는 아웃케이스(200)와; 도어(300); 그리고 상기 케비티 (11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판넬(4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판넬 (400)의 일측에는 상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측흡입구(410)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실(130)의 후측에 는 후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후측흡입구(3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측흡입구(410)와 후측흡입구(37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방배기구(1,2,3,4)를 통해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는 것과 동시에 배출 또한 용이해진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내부냉각이 용이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wave oven.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vity 110 into which food is added and cooked; Battlefield room 130; And an outer case 20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avity 110 and the battlefield room 130; Door 300; And it is composed of a control panel 40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avity (110). And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400 is provided with an upper suction port 410 to allow the upper air flows into the microwave ove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chamber 130 so that the rear air flows into the microwave oven The rear suction port 371 is formed.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410 and the rear suction port 37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wave oven through the front exhaust ports 1, 2, 3 and 4.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ile the quantity of the air which flows into the inside of a microwave oven increases, discharge also becomes easy. Therefore, the internal cooling of the microwave becomes easy.
전자레인지, 흡입구, 배기구Microwave, Intake, Exhaus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Figure 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case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irflow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ase plate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irflow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케비티 어셈블리 110: 케비티100: cavity assembly 110: cavity
130: 전장실 135: 송풍팬 어셈블리130: electric battle room 135: blowing fan assembly
150: 어퍼베리어 155: 하부베리어150: upper barrier 155: lower barrier
160: 기판어셈블리 210: 프론트 플레이트160: substrate assembly 210: front plate
230: 어퍼 플레이트 270: 백 플레이트230: upper plate 270: back plate
271: 후측흡입구 290: 베이스 플레이트271: rear suction port 290: base plate
290a: 관통공 300: 도어 290a: through hole 300: door
400: 컨트롤판넬 410: 상측흡입구400: control panel 410: upper inle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흡입유로와 배기유로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전자레인지 내부를 냉각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flow of a microwave ov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cooling the inside of a microwave oven by forming a plurality of suction passages and an exhaust passage.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마그네트론에서 극초단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극초단파를 음식물 등의 피 가열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일반적으로 주방가구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통상적 개념의 전자레인지와, 가스오븐레인지 등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기 기능을 구비하는 콤보형(Combo) 전자레인지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면 개폐 방식과, 상부에서 하부로 개방되는 드롭다운(Drop dowm) 방식으로 나눌수 있다.A microwave oven is a device that generates microwaves in a magnetron by supplying electric current, and heats food by irradiating such microwaves with heated objects such as food. Such a microwave oven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microwave oven of a conventional concept placed on a kitchen furniture and the like, and a combo microwave oven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gas oven range or the like and having an exhaust function. In addition, the door of the microwave oven may be divided into a side open method commonly used, and a drop dowm method that opens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측면개폐 방식의 도어가 적용된 전자레인지의 종래 기술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of the microwave oven to which the side opening / closing door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는, 케비티(Cabity 12)와, 상기 케비티 측면에 형성되는 전장실(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비티(12) 의 개구된 전면은 위한 도어(3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30)는 케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케비티(12)의 전면을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외측에는 외부케이싱(40)이 상부에서 하부로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장실(20)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케비티(12)는 전장실(20)의 내부에 설치된 전장 부품에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전장실(20)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는 마그네트론(22)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24),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팬어셈블리(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어셈블리(26)는,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에어플로를 발생시키는 팬(26a)과, 이러한 팬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팬가이드(26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가이드(26b)의 후방에는 모터(M)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26a)을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터(M)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모터(M)에 의해 팬(26a)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22)의 일측에는 흡입가이드(2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팬(66a)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흡입가이드(28)에 의해 안내되고, 케비티(12)의 우측 벽면에 천공된 흡입구(12a)를 통해 케비티(12) 내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은 케비티(12)의 타측 벽면에는 배출구(12b)가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케비티(12)의 전면에는 프론트 플레이트(4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방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실(20)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백 플레이트(46)에는, 다수개의 흡입공(46a)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와 같은 외부케이싱(40)과 플레이트(42,44,46)는 전자레인지의 주기능을 하는 케비티어셈블리(10)를 보호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케비티어셈블리(10)를 보호하기 위하여, 판금등에 의한 철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The
그리고 도면 기호중 미설명된 32는 케비티(12)에 투입되는 조리물의 시간등을 입력하는 컨트롤보드이다.In addition, 32,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 symbols, is a control board for inputting the time of food to be put into the
상기와 같은 측면개폐 방식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Air Flow)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ir flow (Air Flow) of the side-opening microwave ove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팬(26a)이 회전하게 되면, 백 플레이트(28)의 흡입공(46a)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20)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팬(26a)에 의해 전장실 (2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공기는 마그네트론(22)의 측면에 설치된 흡입가이드(28)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흡입가이드(28)의 내측은 케비티(12)의 흡입구(12a)까지 연장된 상태이므로, 공기가 흡입구(12a)를 통해 케비티(12) 내부로 흡입된다. 이러한 공기는 케비티(12) 내부를 거쳐 배출구(12b)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는 케비티(12) 내부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의 수분등을 포함하여 다습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케비티(12)에서 배출된 다습한 공기는 외부케이싱(40)의 배출공(40a)을 통해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된다.First, whe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측면개폐 방식 전자레인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ide-opening type microwave ove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일반적인 측면개폐 방식의 전자레인지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소형의 체적을 가진 상태이다. 그러나 콤보형 전자레인지는 상대적으로 큰 체적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케비티가 대형화 된다. 이러한 케비티의 대형화는 케비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등의 대형화를 수반시킨다. 따라서 대형의 전장부품에서는 보다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은 전장부품의 정상적인 동작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A typical side-opening microwave oven has a small volume as shown in FIG. 1. However, combo-type microwave ovens have a relatively large volume, which increases the size of the cavity. The enlargement of such a cavity entails the enlarge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etc. for driving a cavity. Therefore,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in a large electrical component, this heat causes a problem that inhibit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ical component.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은 송풍팬어셈블리에 의해 냉각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형화된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흡입 공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백 플레이트에 천공된 흡입공(46a)를 통해서는 필요한 양만큼의 공기가 흡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흡입된 공기의 양이 늘어나면 그에 따라 충분한 배출경로를 형성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출공(40a)만으로는 늘어난 공기를 정상적으로 배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수반시킨다.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ical components must be cooled by the blower fan assembly. However, more intake air is needed to cool the larger electronic components. However,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amount of air cannot be sucked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흡입경로와 배출경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와 전장 부품등을 용이하게 냉각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uction paths and discharge paths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cool the cavity and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microwave oven. do.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는, 조리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케비티와; 상기 케비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과; 상기 케비티와 전장실의 외부를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케비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케비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동작의 종류를 입력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측흡입구와; 상기 전장실의 후측에 설치되어 후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후측흡입구와; 상기 상측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전자레인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전방배기구와;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측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전방배기구를 통해 전자레인지의 전방으로 강제 배출되도록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icrowave ov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is put into the cooking and cooking;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parts for controlling the cavity are installed; An outer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avity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to form an exterior;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 control panel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avity and inputting a type of operation by the user; An upper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and allowing upper air to flow into the microwave oven; A rear suction por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ttlefield room and allowing rear air to flow into the microwave oven; A front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and the rear suction port to the front of the microwave oven;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the air blowing through the upper inlet and the rear suction inlet into the microwave oven, and forming an air flow to force the discharged air to the front of the microwave oven through the front exhaust ven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n assembly.
그리고 상기 상측흡입구는 컨트롤판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upper suction por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trol panel.
그리고 상기 전방배기구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exhaust port is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more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는, 조리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케비티와; 상기 케비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과; 상기 케비티와 전장실의 외부를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케비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케비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동작의 종류를 입력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측흡입구와; 상기 전장실의 후측에 설치되어 후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후측흡입구와; 상기 상측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전자레인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방배기구와;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측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방배기구를 통해 전자레인지의 하방으로 강제 배출되도록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icrowave ov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vity in which food is added and cooked;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parts for controlling the cavity are installed; An outer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avity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to form an exterior;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 control panel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avity and inputting a type of operation by the user; An upper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and allowing upper air to flow into the microwave oven; A rear suction por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ttlefield room and allowing rear air to flow into the microwave oven; A downward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and the rear suction por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crowave oven;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compartment, the air blowing through the upper inlet and rear suction inlet into the inside of the microwave oven, and forming an air flow to force the discharged air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crowave oven through the lower exhaust ven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n assembly.
그리고 상기 하방배기구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lower exhaust por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는, 조리물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케비티와; 상기 케비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과; 상기 케비티와 전장실의 외부를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케비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케비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동작의 종류를 입력하는 컨트롤판넬과; 상기 컨트롤판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상측흡입구와; 상기 전장실의 후측에 설치되어 후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후측흡입구와; 상기 상측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전자레인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전방배기구와; 상기 상측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전자레인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방배기구와;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측 흡입구와 후측흡입구를 통해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전방배기구와 하방배기구를 통해 전자레인지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icrowave ov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vity in which food is added and cooked;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parts for controlling the cavity are installed; An outer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avity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to form an exterior;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A control panel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avity and inputting a type of operation by the user; An upper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and allowing upper air to flow into the microwave oven; A rear suction por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battlefield room and allowing rear air to flow into the microwave oven; A front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and the rear suction port to the front of the microwave oven; A downward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suction port and the rear suction por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crowave oven; 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room, the air through the upper inlet and rear suction inlet flows into the microwave oven, and the air flow is formed to forcibly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to the outside of the microwave oven through the front and lower exhaust ven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wing fan assembl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자레인지 내부로 보다 많은양의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흡입된 공기는 배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r amount of external air can be sucked into the microwave oven, and the sucked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by the exhaust port.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아웃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전자레인지 좌측면이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left side of the microwave oven in a state where the outer case is separated.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자레인지는 내부에서 조리를 수행하는 케비티 어셈블리(100)와 상기 케비티 어셈블리(100)의 외부를 감싸는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200)와 상기 케비티 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icrowave oven covers the
먼저 케비티 어셈블리(100)는 조리될 음식물이 투입되는 케비티(110)와, 상기 케비티(110)의 우방에 형성되어 상기 케비티(110)를 제어하기 위한 전장실(130)로 구성되며, 상기 전장실(130)은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주전장실(130a)과, 케비티(110)의 상방에 형성되는 보조전장실(130b)로 구성된다.First, the
상기 케비티(110)는 조리될 음식이 투입되는 곳으로 음식물의 균일 가열을 위해 바닥부는 유동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상기 유동은 음식물을 회전시키는 것을 물론 음식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좌우로 유동 시킬수 도 있다. 그리고 케비티 (110)의 우측 벽면에는 주전장실(130a) 내부의 공기중 일부를 케비티(110)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해 벽면을 천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흡기구(110a)가 구비되어 있으며, 좌측 벽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구(110b)가 천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흡기구(110a)를 통해 케비티(110) 내부로 흡입되고, 배기구(110b)를 통해 케비티(1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케비티(110)는 하방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케비티(110)의 하면과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은 전자레인지 주전장실(130a)의 공기를 케비티(110)의 하방으로 안내하는 배기덕트(300)가 된다. 상기 배기덕트(300)의 좌측은 케비티(110)의 하면 좌측부에 설치된 하부베리어(155)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베리어(155)가 설치되면, 케비티(110)의 우측에는 배기구(110b)를 통해 배출된 케비티 (110) 내부의 증기가 소정 시간 저장되는 배기공간(350)이 형성된다.The
상기 케비티(110)의 우방에 형성되는 주전장실(130a)은 전자레인지의 실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주전장실(130a)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조리실로 안내하기 위한 도파관(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마그네트론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시켜 공급하기 위한 고압 트랜스포머(도시되지 않음)와 고압케패시터(도시되지 않음)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포머, 고압케패시터 등의 전장 부품을 냉각시키고 고내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 어셈블리 가 설치된다.The main electric field chamber 130a formed at the right side of the
상기 케비티(110)의 상방에 형성되는 보조전장실(130b)에는, 보조전장실 (130b)을 좌우로 분리시키는 어퍼베리어(Upper Barrier 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퍼베리어(150)는 수직으로 2단 절곡된 구조를 가진 수직평면부(150a)와, 상기 수직평면부(150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소정 크기 절곡된 상측테두리부(150b)와,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하측테두리부(150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테두리부(150b)의 일측에는 상측테두리부(150b)의 상면보다 낮게 절곡된 기판안착면(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어퍼베리어(150)는 상기 하측테두리부(150c)가 케비티 (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수직평면부(150a)에는 기판어셈블리(160)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auxiliary electric field chamber 130b formed above the
상기 기판어셈블리(160)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돌기(160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160a) 내부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어셈블리(160)의 고정돌기(160a)를 어퍼베리어(150)의 기판안착면에 수용시킨 다음, 스크류를 체결하면 어퍼베리어(150)의 전면에 기판어셈블리(160)가 설치된다.The
상기와 같은 어퍼베리어(150)가 설치되면, 보조전장실(130b)이 분리되는 것은 물론 케비티(11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흡기구(110a)와 배기구(110b)가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배기구(110b)를 통해 배출된 케비티(110) 내부공기가 주전장실 (130a)측으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When the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케비티(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Front Plate 210)와, 케비티의 상부에 구비되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 230)와, 케비티의 좌우에 구비되는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도시되지 않음)와, 케비티의 배면에 구비되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 270)와, 케비티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90)로 구성되어 있다.The outer case 200 includes a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3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부착시키기 위한 래치홀(210a)과 힌지홀(210b)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하방에는 소정 크기의 전방배기구(1,2,3,4)가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배기구(1,2,3,4)는 배기덕트(300)에 의해 안내된 공기와 배기공간(350)에서 하부베리어(155)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전자레인지 전방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전후를 관통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상방에는 프론트 브라켓(220)이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브라켓(220)에는 상기 케비티(11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며, 전자레인지의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판넬(400)이 부착된다. 상기 컨트롤판넬(400)의 전면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동작의 종류를 입력하는 버튼(400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판넬(400)의 후방에는 상기 컨트롤판넬(400)을 프론트 브라켓(220)에 고정시키는 컨트롤판넬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판넬(400)의 배면과 컨트롤판넬 브라켓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버튼(400a)의 신호를 상기 기판어셈블리(160)로 전달하기 위한 컨트롤글라스(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A front surface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컨트롤판넬(4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상측흡입구(4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측흡입구(410)는 컨트롤판넬(400)의 상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면의 폭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판넬 상면의 폭이 넓은곳의 상측흡입구(410)는 장형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곳은 그 크기 또한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측흡입구(410)는 컨트롤판넬(410)의 상면을 관통한 상태이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상측흡입구(410)를 통해 전자레인지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케비티(110) 상면에 형성된 보조전장실(130b)측으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upper suction holes 41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도어(300)는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비티(1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에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는 인체에 유해하므로, 전자레인지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반드시 도어(300)가 케비티 전체를 폐쇄시켜야 한다. 이와같은 도어(300)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10)와 맞닿으며, 힌지(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하부에 힌지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의 배면 상부에는 프론트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래치홀(210a)에 결합되는 래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프론트 플레이트(210)에 도어(300)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어퍼 플레이트(230)은 상기 케비티(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조전장실 (130b) 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230)는 프론트 브라켓(220)과 대응되는 폭과 후방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어퍼 플레이트(230)의 테두리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도록 천공된 체결공(230a)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케비티(110)의 주전장실(130a)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높이와 대응되고, 상기 어퍼 플레이트(230)의 후방으로 연장된 길이와 대응되는 폭으로 구성된다.The side plate (not shown) is installed to protect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main electric compartment 130a of the
상기 백 플레이트(270)는 상기 케비티(110)의 후면을 보호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270)는 상기 어퍼 플레이트(230)의 폭과 대응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높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백 플레이트(270)의 내부, 즉 주전장실(130a) 벽면측에는 다수개의 후측흡입구(2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측흡입구(271)은 상기 백 플레이트(270)를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측흡입구(271)를 통해 주전장실(130a)이 전자레인지 후면과 연통된 상태가 된다. 상기과 같은 후측흡입구(271)의 전방에는 송풍팬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팬 어셈블리가 회전하면, 송풍팬 어셈블리 후방의 공기가 송풍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주전장실(130a)과 전자레인지 외부와의 기압 차이에 의해 상기 후측흡입구(271)를 통해 전자레인지 후방의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 즉 주전장실(130a)로 흡입 된다.Th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90)는 상기 케비티의 하면을 보호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90)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폭과 대응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테두리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천공된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The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210,230,270,290)는 전자레인지의 주 기능을 하는 케 비티 어셈블리(100)를 보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 되어야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플레이트는 판금등에 의한 철판으로 제작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ir flow of the microwave oven, and more specifically, the intake and discharge of 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공기의 흡입은, 송풍팬 어셈블리(135)의 송풍팬(135a)이 회전하면, 송풍팬(135a) 전방의 공기가 주전장실(130a)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자레인지 외부와 주전장실(130a) 사이에는 소정의 기압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압 차이는 주전장실(130a)의 기압이 전자레인지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압이 높은 전자레인지 외부 공기가 전자레인지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주전장실(130a)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것은 2개의 흡입경로를 가지게 된다. 전자레인지 상부의 공기는 컨트롤판넬(4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흡입구(410)를 통해 케비티 상측의 보조전장실(130b)을 경유하여 주전장실(130a)로 흡입된다. 또한, 송풍팬 어셈블리(135)의 배면측은 상기 백 플레이트(270)에 천공되어 있는 후측흡입구(271)에 의해 전자레인지 후방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팬(135a) 회전에 의해 소정의 기압 차이가 발생하면, 전자레인지 후방의 공기가 백 플레이트(270)의 후측흡입구(271)를 통해 주전장실(130a) 내부로 흡입된다.First, intake of air is performed when the blowing
따라서, 주전장실(130a)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측흡입구(410)와 후측흡입구 (271)를 통해 동시에 주전장실(130a)로 흡입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attlefield chamber 130a is simultaneously sucked into the main battlefield chamber 130a through the
그리고 공기의 배출은 상기 흡입과 마찬가지로 송풍팬 어셈블리(135)에 의해 이루어진다. 송풍팬(135a)의 회전에 의해 주전장실(130a) 내부의 공기가 주전장실 (130a)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전장실(130a)의 하방은 케비티 (110)와 베이스 플레이트(29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덕트(300)와 연통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30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배기덕트(300)로 유입된 주전장실(130a)의 공기는 프론트 플레이트(210)의 전방배기구(1,2,3)을 통해 전자레인지 전방으로 배출된다.The air is discharged by the
이때 송풍팬(135a)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의 일부는 주전장실(130a)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을 냉각시킨 다음, 흡입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흡입가이드는 케비티의 흡입구(110a)까지 연장된 상태로, 안내된 공기는 케비티(110) 내부로 유입된다. 케비티(110) 내부를 통과한 공기는 케비티의 배출구(110b)를 통해 전자레인지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공간(35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기공간(350)과 배기덕트(300) 사이에는 하부베리어(155)가 설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하부베리어(155)에 의해 배기공간(350)의 공기가 배기덕트 (300)를 통해 주전장실(130a)로의 역류가 방지되며, 프론프 플레이트(210)의 전방배기구 1,2,3번과 4번 사이를 분리시킨다. 따라서 1,2,3번 배기구로는 배기덕트 (300)의 공기가 배출되고, 4번 배기구로는 배기공간(350)의 공기가 배출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air moved forward by the
도 5에는 본 발명 에어플로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9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90)는 전자레인지를 뒤집은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바닥면이 드러난 상태이다.5 shows a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내부 중앙에는 소정 크 기의 하방배기구(29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방배기구(290a)는 배기덕트 (300)로 안내되는 공기를 전자레인지 하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 (290)를 천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하방배기구(290a)가 베이스 플레이트(290)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 에어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에어플로는 2개의 흡입경로와 2개의 배출경로가 형성된다.As shown, the inner bottom of the
먼저 공기의 흡입은 컨트롤판넬(400)의 상측흡입구(410)와, 백 플레이트 (270)의 후측흡입구(271)를 통해 동시에 주전장실(130a)로 흡입된다. 그리고 배출을 살펴보면, 송풍팬(135a)의 회전에 의해 주전장실(130a) 내부의 공기가 주전장실 (130a)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300)와 케비티 (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덕트(300)로 유입된 공기는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방배기구(1,2,3)와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하방배기구(290a)로 각각 나누어진다.First, the suction of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attle chamber 130a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따라서 배기덕트(300)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방배기구(1,2,3)를 통해 전자레인지 전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덕트(300)의 공기중 나머지는 베이스 플레이트(290)의 하방배기구(290a)을 통해 전자레인지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물론 주전장실(130a)의 공기 일부는 주전장실 (130a)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을 냉각시킨 다음, 흡입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흡입가이드는 케비티(110)의 흡입구(110a)까지 연장된 상태로, 안내된 공기는 케비티(110) 내부로 흡입된다. 케비티(110) 내부를 통과한 공기는 케비티(110) 의 배출구(110b)를 통해 전자레인지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공간(350)으로 흡입된다. 이러한 배기공간(350)의 공기는 하부베리어(155)에 의해 안내되어, 프론프 플레이트(210)의 전방배기구 4번을 통해 전자레인지 전방으로 배출된다.Therefore, a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이와 같이 되면,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가 보다 원활해지게 되므로,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와 전장 부품이 커지더라도 전장실의 냉각이 확실해진다.In this way, since the airflow of the microwave oven becomes smoother, even if the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and the electric component become large, cooling of the electric compartment is assur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보다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more broadly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는 다수개의 흡입구와 배기구로 구성되어 진다. 따라서 대형의 전자레인지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는 전자레인지 내부, 특히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을 원활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The airflow of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take and exhaust. Therefore, a sufficient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to a large microwave oven. This air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moothly cooled inside the microwave oven, in particular the electrical compartment is installed electrical components.
또한 다수개의 배출구조에 의해 내부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nal air is easily discharged by a plurality of discharg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에어플로에 있어서는, 흡입과 배출이 각각의 베리어에 의해 분리되므로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배출공기가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점도 기대된다.
In the air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ction and the discharge are separated by the respective barriers, it is also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exhaust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to enter the suction sid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9775A KR100560206B1 (en) | 2003-07-21 | 2003-07-21 | Microwave |
PCT/KR2004/001727 WO2005008138A1 (en) | 2003-07-21 | 2004-07-13 | Air flow system in oven |
US10/565,212 US7375310B2 (en) | 2003-07-21 | 2004-07-13 | Air flow system for circulating air in a microwave oven |
EP04748424.1A EP1649220B1 (en) | 2003-07-21 | 2004-07-13 | Air flow system in an ov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9775A KR100560206B1 (en) | 2003-07-21 | 2003-07-21 | Microwa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0565A KR20050010565A (en) | 2005-01-28 |
KR100560206B1 true KR100560206B1 (en) | 2006-03-10 |
Family
ID=3722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9775A Expired - Lifetime KR100560206B1 (en) | 2003-07-21 | 2003-07-21 | Microwa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02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2112B1 (en) * | 2006-09-01 | 2008-10-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er |
US8941041B2 (en) | 2006-09-01 | 2015-01-27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system |
KR100795539B1 (en) * | 2006-10-26 | 2008-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er |
KR101291273B1 (en) * | 2006-10-26 | 2013-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Device |
KR100879778B1 (en) * | 2007-01-26 | 2009-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ponent Service Structure of Hooded Microwave Oven |
-
2003
- 2003-07-21 KR KR1020030049775A patent/KR10056020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0565A (en) | 2005-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9206B1 (en) | Wall mounting type microwave oven | |
KR20180080062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030047647A (en) | Micro wave oven with humidity sensor | |
KR100432229B1 (en) | Wall mounting type microwave oven | |
KR100694254B1 (en) | Microwave Air Flow System | |
KR100560206B1 (en) | Microwave | |
RU2415345C2 (en) | Device for food cooking | |
JP2004184059A (en) | Wall-mounted microwave oven | |
KR100402578B1 (en) | An air flow system for micro wave oven | |
KR20040019624A (en) | Door Coo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 |
KR20070008045A (en) | Microwave oven exhaust | |
KR100395639B1 (en) | Microwave oven | |
KR100512634B1 (en) | A ventilation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 |
KR100369819B1 (en) | Microwave oven | |
KR19980058169U (en) | Hooded microwave oven | |
KR200189531Y1 (en) | Microwave oven | |
KR100373091B1 (en) | Microwave oven | |
KR100518442B1 (en) | Air guide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 |
KR100369820B1 (en) | Microwave oven | |
KR100437396B1 (en) | Air circulation apparatus of cooking room in microwave oven | |
KR100286026B1 (en) | microwave | |
KR100284683B1 (en) | Wall Mounted Microwave Oven | |
KR980008922U (en) | Microwave | |
KR100217189B1 (en) | Heating oven | |
KR100468122B1 (en) | Microwave 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401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