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9773B1 - 가변 지지형 베어링 - Google Patents

가변 지지형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773B1
KR100559773B1 KR1020030054956A KR20030054956A KR100559773B1 KR 100559773 B1 KR100559773 B1 KR 100559773B1 KR 1020030054956 A KR1020030054956 A KR 1020030054956A KR 20030054956 A KR20030054956 A KR 20030054956A KR 100559773 B1 KR100559773 B1 KR 10055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variable support
inner ring
ring
b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711A (ko
Inventor
임채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7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7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 등에서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내륜 및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운동하는 다수개의 볼들과; 상기 볼들과 내륜 또는 볼들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어 반경(radial)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크가변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축의 토크 변화에 따라 지지하는 강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축 하중 등이 변화되더라도 베어링을 다시 선정하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축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볼 베어링, 내륜, 외륜, 수동 변속기, 축

Description

가변 지지형 베어링{Variable Supporting Type Bearing}
도 1은 FR 타입의 수동 변속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지지형 베어링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변속기 케이스 55 : 회전 축
60 : 가변 지지형 베어링 61 : 내륜
62 : 외륜 63 : 볼
65 : 토크가변 지지기구 66 : 중간륜
66a : 그루브 67 : 탄성 부재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 등에서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의 토크 변화에 따라 가변적인 지지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가변 지지형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FR 타입의 수동 변속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수동 변속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0) 내에 클러치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입력 축(11)과, 상기 입력 축(1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종감속 장치를 회전시키는 메인 축(12)과, 상기 메인 축(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입력 축(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메인 축(12)에 전달하되 일정한 속도비가 형성되도록 하는 카운터 축(13)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에서 상기 입력 축(11), 메인 축(12) 그리고, 카운터 축(13)이 변속기 케이스(10) 내에 지지되도록 변속기용 베어링(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용 베어링(20)은 통상적으로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보다는 마찰 저항이 작은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이 많이 사용되는 바, 변속기에 사용되는 구름 베어링에는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니들 베어링 등이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입력 축(11)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20')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상기 볼 베어링(20')은 상기 입력 축(11)의 둘레에 결합되어 축(11)과 동시에 회전되는 내륜(21)과, 상기 내륜(21)의 외주측에 위치되는 외륜(22)과, 상기 내륜(21)과 외륜(22)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축(11)의 회전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볼(23)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볼 베어링을 포함한 변속기에 사용되는 베어링들은 변속기의 대응 토크에 대하여 하나의 강성만을 가지면서 축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의 축 하중 또는 대응 토크가 변화될 경우에는 내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베어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한 볼 베어링은 축과 수직으로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사용하는 레이디얼(radial) 베어링의 일종으로서, 수동 변속기 등의 대량생산과 사용시의 교환성에서는 유리하나, 축의 하중 조건 등이 변하면 내구 문제가 발생되어 수명이 짧아지므로, 변속기의 대응 토크 즉, 축 하중에 맞는 베어링을 정확하게 선정하여 교체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륜의 내측에 토크 변화에 따라 지지하는 강성이 변화되는 토크가변 지지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축 하중 등 축의 회전 토크가 변화되더라도 베어링을 다시 선정하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지지형 베어링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지지형 베어링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내륜 및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 이에 위치되어 구름 운동하는 다수개의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수단과 내륜 또는 구름수단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어 반경(radial)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크가변 지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지지형 베어링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변 지지형 베어링(60)이 도 2에서의 수동 변속기의 입력 축과 같은 회전 축(55)을 변속기 케이스(50) 내에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상세하게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지지형 베어링(60)은 일반적인 볼 베어링 구조에 볼(63)들과 외륜(62) 사이에 토크가변 지지기구(65)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가변 지지형 베어링(60)은 회전 축(55)에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내륜(61)과, 상기 내륜(61)의 외주측에 위치되어 변속기 케이스(50)측에 고정되는 외륜(62)과, 상기 내륜(61)과 외륜(62)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운동하면서 상기 축(55)의 회전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볼(63)들과, 상기 볼(63)들과 외륜(62)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축(55)을 지지할 때 반경(radial)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크가변 지지기구(6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크가변 지지기구(65)는 상기 볼(63)과 외륜(62) 사이에 삽입되어 내륜(61)과 대향된 위치되어 볼(63)이 구름 운동하는 중간륜(66)과, 상기 중간륜(66)과 외륜(62) 사이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67)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륜(66)은 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상기 볼(63)이 구름 운동하도록 그루브(66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67)는 환형상의 플레이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횡단면의 형상은 중앙부(67a)가 중간륜(66)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양단부(67a)는 외륜(62)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륜(62)은 상기 탄성 부재(67)가 안정되게 장착되는 안착부(62a)를 갖는데, 이 안착부(62a)는 외륜(62)의 외주를 따라 길게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즉, 환형상의 탄성 부재(67)가 상기 외륜(62)의 안착부(62a)에 내재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륜(66)을 탄성력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륜(62)과 중간륜(66) 사이에는 상기 중간륜(66)이 반경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G)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토크가변 지지기구(65)가 외륜(62)과 볼(63)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 내륜(61)과 볼(63)들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에는 축을 중심으로 내륜, 탄성부재, 중간륜, 볼들 그리고 외륜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륜, 탄성부재, 중간륜은 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볼 베어링에 토크가변 지지기구(65)가 적용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토크가변 지지기구는 볼 베어링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아니하고, 통상의 구름 운동 구조를 갖는 롤러 베어링과 니들 베어링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지지형 베어링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61)은 회전축(55)에 결합되고, 외륜(62)은 변속기 케이스(50) 등에 고정된다. 그리고 토크가변 지지기구(65)는 상기 외륜(62)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지만, 반경 방향으로는 가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축(55)이 회전하게 되면 내륜(6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때, 중간륜(66)의 내측에 연속하여 배열된 볼(63)들이 구름운동하면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축(55)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축(55)의 레이디얼(radial) 방향 즉, 반경 방향으로 걸리는 하중 조건에 변화되는 경우에도 토크가변 지지기구(65)의 탄성 부재(67)가 탄성력 있게 가변되면서 중간륜(66) 등을 지지하게 되므로 수동 변속기 등의 대응 토크 변화에 따라 베어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축 등의 하중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지지형 베어링은 토크가변 지지기구를 통해 대응 토크 변화에 따라 지지하는 강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축 하중 등이 변화되더라도 베어링을 다시 선정하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축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내륜 및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운동하는 다수개의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수단과 내륜 또는 구름수단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어 반경(radial)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크가변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름수단은 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크가변 지지수단은 상기 내륜과 볼들 사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는 내륜 및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운동하는 다수개의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수단과 내륜 또는 구름수단과 외륜 사이에 장착되어 반경(radial)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크가변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름수단은 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크가변 지지수단은 상기 외륜과 볼들 사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가변 지지수단은 상기 볼과 외륜 사이에 삽입되어 내륜과 대향된 위치되어 볼이 구름 운동하는 중간륜과, 상기 중간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환형상의 플레이트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은, 그 중앙부가 중간륜에 접촉되고 양단부는 외륜에 지지되는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은 상기 탄성 부재가 안정되게 장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외륜의 외주를 따라 길게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지지형 베어링.
KR1020030054956A 2003-08-08 2003-08-08 가변 지지형 베어링 Expired - Fee Related KR10055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956A KR100559773B1 (ko) 2003-08-08 2003-08-08 가변 지지형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956A KR100559773B1 (ko) 2003-08-08 2003-08-08 가변 지지형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711A KR20050018711A (ko) 2005-02-24
KR100559773B1 true KR100559773B1 (ko) 2006-03-10

Family

ID=3722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9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9773B1 (ko) 2003-08-08 2003-08-08 가변 지지형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7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711A (ko)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6355A1 (en) Single row deep groove radial ball bearing
WO2006088144A1 (ja) シャフト装置
US6158897A (en) Gear with bearing arrangement
JPH0314947A (ja) 遊星歯車装置のキャリア組立体
GB2410773A (en) Roller bearing assembly having roller biasing means
KR100559773B1 (ko) 가변 지지형 베어링
JP4618915B2 (ja) 総ころ軸受およびこれを用いた遊星歯車減速装置
JP2000220711A (ja) ハーフ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5168857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03042149A (ja) 複合ころがり軸受
US6561946B2 (en) Toroidal-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1012699A (ja) 保持器端面のガイド構造
JP3648383B2 (ja) 可変径プーリ
JP2005098405A (ja) ころ軸受
JPS6128121Y2 (ko)
KR200247094Y1 (ko) 수동 변속기용 베어링 및 베어링 리테이너
JP2001289244A (ja) 外輪回転型転がり軸受
JPH11336785A (ja) 定速度三脚継ぎ手
JPH07217660A (ja) スラスト玉軸受
JPH10274303A (ja) 摩擦式無段変速機
JP4458224B2 (ja) ボールねじ装置
US10344838B2 (en) Planetary roller speed changer
KR200271355Y1 (ko) 복열 구조의 클러치 베어링
JPH026518Y2 (ko)
JP2003097574A (ja) 転が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