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9582B1 -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582B1
KR100559582B1 KR1020030101439A KR20030101439A KR100559582B1 KR 100559582 B1 KR100559582 B1 KR 100559582B1 KR 1020030101439 A KR1020030101439 A KR 1020030101439A KR 20030101439 A KR20030101439 A KR 20030101439A KR 100559582 B1 KR100559582 B1 KR 10055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ressure
diaphragm
swash plate
actu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0884A (ko
Inventor
권춘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5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5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1Load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3External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4Se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온도, 설정온도, 실내온도, 태양광 등과 같은 외부 온도조건을 측정하고, 이를 이상기체방정식이 적용된 제어로직을 통해 적절한 액츄에이터 제어전압 또는 전력신호를 출력시켜 이상기체 및 저항선을 활용한 압력 변화가 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작동을 유도하여 저압 및 고압 유체의 작동을 통한 중심축의 변화를 가져오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온도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고 쾌적한 실내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다 발전된 FATC시스템 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사판식 압축기, 제어유닛, 온도조절 액츄에이터, 다이아프램

Description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Variable swash type compressor for automobile}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제어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신호 완료후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종래의 기계식 가변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유닛 20 : 온도조절 액츄에이터
30 : 다이아프램 30a : 개폐부재
31 : 압축 스프링 40 : 고압 포트
41 : 고압 토출구 50 : 저압 포트
51 : 저압 토출구 60 : 실린더
70 : 피스톤로드 80 : 중심축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압 설정값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이상기체와 저항선을 활용하여 압력 변화가 가능한 다이아프램을 구성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에어컨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냉방장치는 열교환기인 응축기, 증발기와 증발밸브, 그리고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압축기는 엔진으로부터 일정 토크를 받아서 일을 하는 보기류로서 3 ~ 5kW(약 엔진일의 10%)의 파워를 소모하기 때문에 차량의 연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작동 충격을 주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연비향상과 운전성 증대를 위해 현재 고정형 클러치 타입의 압축기에서 가변 압축기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변 압축기는 저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압축률을 낮추는 기계식 가변 압축기와 저압을 센싱하여 그 값에 따라 압축률을 정해서 전기적으로 압축률을 조절하게 하는 전자식 가변 압축기가 있다.
이중 기계식 가변 압축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100)을 이용하여 저압(Ps:suction pressure)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가변 압 축기로 작동된다.
즉, 저압이 다이아프램(100)의 설정압보다 높아지게 되면 제어밸브(200)를 열어서 고압이 들어오게 하여 중심축(300)을 밀어내며 사판(400)의 경사가 커지고, 압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저압이 다이아프램(100)의 설정압보다 낮아지게 되면 제어밸브(200)를 막아서 고압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중심축(300)을 당기게 하므로 사판(400)의 경사가 작아지고, 압축률이 낮아지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에어컨의 경우, 저압 설정이 일정한 경우, 증발기의 증발온도 측면에서 본다면, 에어컨은 항상 최저온도로 제어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FATC(Full Auto Temperature Control)가 적용된 차량에서 미리 맞추어진 설정온도에 따라 에어컨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외기온도, 설정온도, 실내온도, 태양광 등과 같은 외부 온도조건을 측정하고, 이를 이상기체방정식이 적용된 제어로직을 통해 적절한 액츄에이터 제어전압 또는 전력신호를 출력시켜 이상기체 및 저항선을 활용한 압력 변화가 가능한 다이아프램의 작동을 유도하여 저압 및 고압 유체의 작동을 통한 중심축의 변화를 가져오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온도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고 쾌적한 실내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다 발전된 FATC시스템 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자 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고압 및 저압이 유동되는 고압 및 저압 포트(40,50)와; 상기 저압 포트(50)의 저압과 다이어프램의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고압 포트(40)에 형성된 고압 토출구(4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개폐부재(30a)를 갖는 다이아프램(30)과; 상기 개폐부재(30a)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원위치(폐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다이어프램(30)에 포함된 압축스프링(31)과; 상기 고압 토출구(41)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압이 유입되어 사판과 연결되는중심축(8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60) 및 피스톤로드(70)와; 소정의 제어로직에 의해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를 구동시키는 제어유닛(10)과; 상기 제어유닛(10)에 의해 전압을 제어하는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특히, 상기 제어로직은 외기온도, 설정온도, 실내온도, 태양광의 외부 온도조건을 입력하게 될 경우, 덕트의 토출온도(Tv)를 결정하고, 이어서 상기 토출온도(Tv)와 노즐손실온도(Tloss)의 차(-)를 유도하여 냉매증발온도(Tevap)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냉매증발온도(Tevap)에 대한 냉매포화곡선의 함수에서 냉매증발압력(Pevap)을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압력(Pdiap)이 냉매증발압력(Pevap)으로 검출되는 제3단계와;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압력(Pdiap)을 이상기체방정식(Pv=nRT)에 적용하여 다이아프램(30)의 온도(Tdiap)를 검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대한 이상기체온도 및 액츄에이터(20)의 입력값의 사전측정함수를 통하여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압(V) 및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력(power)을 검출하여 이를 상기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에 출력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제어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신호 완료후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이상기체와 저항선을 활용한 압력 변화가 가능한 다이아프램(30)을 구성하되, 외부 온도조건을 통해서 설정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이상기체방정식을 이용하여 제어로직을 구성하고, 이를 상기 다이아프램(30)에 적용함으로써, 적절한 저압 설정값의 변화를 유도하게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다 발전된 FATC시스템 개발을 도모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기체방정식을 이용한 제어로직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유닛(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적절한 다이아프램(30)의 설정압력을 유도하기 위한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는 다이아프램(30)에서 이상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저항에 제어유닛(10)에서 제어하는 온도에 맞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압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일례로 PWM(Pulse Width Modulation)을 들 수 있다.
즉, 전원으로 12V가 들어올 때 필요한 다이아프램(30)의 이상기체 온도를 위한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에 의한 가변 저항이 변화되어 다이아프램(30)의 작동을 실시토록 하는 바, 일측에 개폐부재(30a)를 갖는 상기 다이아프램(30)은 고압이 유동되는 고압 포트(40)의 하단에 형성된 고압 토출구(41)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압 토출구(41)와 연결된 실린더(60)의 일측은 사 판(미도시)의 작동을 구현하는 중심축(80)을 갖는 피스톤로드(7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면부호 31은 다이아프램(30)의 몸체에 장착되어 고압을 실린더(6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인 고압 토출구(41)를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재(30a)를 통해 탄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절한 다이아프램(30)의 설정압력을 유도하기 위한 제어로직은 이상기체방정식을 이용하게 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차트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외기온도, 설정온도, 실내온도, 태양광 등과 같은 외부 온도조건을 입력하게 될 경우, 먼저 덕트의 토출온도(Tv)를 결정하고, 이어서 상기 토출온도(Tv)와 노즐손실온도(Tloss)의 차(-)를 유도하여 냉매증발온도(Tevap)를 검출하며, 상기 냉매증발온도(Tevap)에 대한 냉매포화곡선의 함수에서 냉매증발압력(Pevap)을 검출하고, 상기 냉매증발압력(Pevap)에서 다이아프램(30)의 압력(Pdiap)이 검출된다. 즉, 냉매증발압력(Pevap)이 다이아프램(30)의 압력(Pdiap)으로 정해진다.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압력(Pdiap)을 이상기체방정식(Pv=nRT)에 적용하여 다이아프램(30)의 온도(Tdiap)를 검출하고, 이에 대한 이상기체온도 및 액츄에이터(20)의 입력값의 사전측정함수를 통하여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압(V) 및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력(power)을 검출하여 이를 통해 상기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어로직을 통해 적절한 저압 설정값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사판의 기울기와 압축률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포트(50)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일정압력, 즉 다이아프램(30) 아래의 이상기체의 압력 이상이 되면, 다이아프램(30)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고압이 고압 토출구(41)를 통해 실린더(60) 내로 충전될 경우, 상기 실린더(60) 내에는 고압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70)의 선단에 장착된 중심축(80)이 뒤로 밀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판의 기울기가 커지게 됨은 물론, 압축률이 높아지게 된다.
반면에, 저압 포트(50)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다이아프램(30) 아래의 이상기체의 압력 이하가 되면, 다이아프램(30)이 작동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압이 고압 포트(40)의 고압 토출구(41)를 통해 실린더(60) 내로 충전되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60) 내에는 그대로 저압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사판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됨은 물론, 압축률이 낮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의하면, 차량 실내의 온도를 수동으로 조절하지 않고 쾌적한 실내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유 지할 수 있는 보다 발전된 FATC시스템 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고압 및 저압이 유동되는 고압 및 저압 포트(40,50)와;
    상기 저압 포트(50)의 저압과 다이어프램의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고압 포트(40)에 형성된 고압 토출구(4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개폐부재(30a)를 갖는 다이아프램(30)과;
    상기 개폐부재(30a)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원위치(폐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다이어프램(30)에 포함된 압축스프링(31)과;
    상기 고압 토출구(41)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압이 유입되어 사판과 연결되는중심축(8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60) 및 피스톤로드(70)와;
    소정의 제어로직에 의해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를 구동시키는 제어유닛(10)과;
    상기 제어유닛(10)에 의해 전압을 제어하는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로직은 외기온도, 설정온도, 실내온도, 태양광의 외부 온도조건을 입력하게 될 경우, 덕트의 토출온도(Tv)를 결정하고, 이어서 상기 토출온도(Tv)와 노즐손실온도(Tloss)의 차(-)를 유도하여 냉매증발온도(Tevap)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냉매증발온도(Tevap)에 대한 냉매포화곡선의 함수에서 냉매증발압력(Pevap)을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다이어프램(30)의 압력(Pdiap)이 냉매증발압력(Pevap)으로 검출되는 제3단계와;
    상기 다이아프램(30)의 압력(Pdiap)을 이상기체방정식(Pv=nRT)에 적용하여 다이아프램(30)의 온도(Tdiap)를 검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대한 이상기체온도 및 액츄에이터(20)의 입력값의 사전측정함수를 통하여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압(V) 및 액츄에이터(20)의 제어전력(power)을 검출하여 이를 상기 온도조절 액츄에이터(20)에 출력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3. 삭제
KR1020030101439A 2003-12-31 2003-12-31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5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39A KR100559582B1 (ko) 2003-12-31 2003-12-31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39A KR100559582B1 (ko) 2003-12-31 2003-12-31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884A KR20050070884A (ko) 2005-07-07
KR100559582B1 true KR100559582B1 (ko) 2006-03-10

Family

ID=3726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4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9582B1 (ko) 2003-12-31 2003-12-31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5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884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646A (en) Automotive automatic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526771B2 (en) Freezing cycle apparatus
EP177229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of air conditioner
US4894999A (en) Automatic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3646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00175401A1 (en) Displacement control system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6650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2520572A (ja) Co2で作動可能な空調システム
US6585494B1 (en) Variable-capacity control for refrigerating cycle without using a large pressure control valve
US5022232A (en) Automatic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for automotive vehicles
JP445779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66260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side pressure regulation in a vapor compression cycle
US7014427B1 (en) Capacity controller of capacity variable compressor
KR101151995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US4928499A (en) Automatic air conditioner system with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559582B1 (ko) 자동차용 가변 사판식 압축기
US11685232B2 (en) Electronic control valve for HVAC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HVAC system
CN111852815A (zh) 压缩机的控制装置、压缩机及空调系统
US20040184925A1 (en) Control valve system
JP4616103B2 (ja)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及び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の制御方法
WO2003106204A1 (ja)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装置
JP3080280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14038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상토크 산출방법
JP3968841B2 (ja) 冷凍サイクル
JP2988078B2 (ja) 油圧ファン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3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30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