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8871B1 -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 Google Patents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871B1
KR100558871B1 KR1020040060463A KR20040060463A KR100558871B1 KR 100558871 B1 KR100558871 B1 KR 100558871B1 KR 1020040060463 A KR1020040060463 A KR 1020040060463A KR 20040060463 A KR20040060463 A KR 20040060463A KR 100558871 B1 KR100558871 B1 KR 10055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mirror
groove
shaft
base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566A (ko
Inventor
황희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8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1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foldable along the vehicle, e.g. in case of external force appli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긴 길이를 갖는 샤프트 지지구(11)를 갖추어 차체의 측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샤프트 지지구(11)에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가스저장실(15a)에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는 샤프트(14)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샤프트(14)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샤프트(14)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의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교대로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20a)과 돌기(20b)를 갖는 상승부재(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와 상승부재(20)의 상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아웃사이드 미러를 이루는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부면에 상기 상승부재(20)의 홈(20a)과 돌기(20b)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호 형상의 돌기(30b)와 홈(30a)이 교대로 형성된 하강부재(30)를 포함하며, 사람이나 물체에 부딪혀 접혀지는 경우 초기에 설정된 위치로 복귀한다.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 복귀, 가스, 홈, 돌기

Description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Outside mirror structure with setting position return function of a vehicle}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나타낸 차체측 베이스플레이트 부위의 상세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나타낸 미러측 프레임의 상세도;
도4의 (a) 및 (b)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 도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나타낸 차체측 베이스플레이트 부위의 상세도;
도6은 도5의 샤프트 지지구에 장착되는 샤프트 부위를 나타낸 단면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가스 누설 방지 구조를 나타낸 요부 상세도;
도8은 본 발명의 요부인 상승부재와 하강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9는 본 발명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샤프트 지지구
14 : 샤프트 15a : 가스저장실
20a, 30a : 홈 20b, 30b : 돌기
20 : 상승부재 20c, 20d : 경사면
30 : 하강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이나 물체에 부딪혀 접혀지는 경우 초기에 설정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된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2)는 주행 중 운전자의 후사면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차체(1)의 외부에 설치되며, 주로 자동차의 측방이나 후방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게 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아웃사이드 미러(2)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주차 등을 위하여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바, 이 구조는 좁은 골목길을 지나가면서 아웃사이드 미러(2)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는 경우, 아웃사이드 미러(2)가 접혀져 운전자의 후사면 시계를 확보하는데 곤란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이 매우 크다. 여기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는 아웃사이드 미러(2)가 주행을 위하여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는 주차 등을 위하여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2 및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나타낸 차 체측 베이스 플레이트부위 및 미러측 프레임의 상세도로서, 차체(1)의 측부에 베이스플레이트(3)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부로 길게 샤프트(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에 스프링(5)이 끼워 설치되며, 이 스프링(5)이 상부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4)에 스토퍼(4a)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테두리(3a)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3a)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 떨어져 여러 개의 홈(3b)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4)에는 아웃사이드 미러(2)를 이루는 프레임(6)이 장착되어 상기 테두리(3a)와 스프링(5)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6)은 샤프트(4)가 끼워지는 샤프트홀(6a)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에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테두리(3a) 상면과 접촉하는 표면에 상기 샤프트홀(6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즉 상기 홈(3b)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떨어져 여러 개의 돌기(6b)가 형성된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는 도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플레이트(3)의 테두리(3a)에 형성된 홈(3b)의 내부로 프레임(6)의 돌기(6b)가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고 이 상태가 스프링(5)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는 아웃사이드 미러(2)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는 경우, 아웃사이드 미러(2)를 이루는 프레임(6)의 돌기(6b)가 베이스플레이트(3)의 테두리(3a) 상면의 홈(3b) 사이에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주행 중 운전자의 후사면 시계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사고 위험이 매우 큰 문제 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미러가 사람 또는 물체 등에 경미하게 충돌하여 약간 접히는 경우 원래의 설정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된,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접혀질 수 있도록 차체의 측부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하로 긴 길이를 갖는 샤프트 지지구를 갖추어 차체의 측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 지지구에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가스저장실에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는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의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교대로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과 돌기를 갖는 상승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와 상승부재의 상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아웃사이드 미러를 이루는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부면에 상기 상승부재의 홈과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호 형상의 돌기와 홈이 교대로 형성된 하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는 상기 상승부재의 홈 과 돌기가 연결되는 부위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승부재의 홈을 기준으로 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는 방향의 경사각이 아웃사이드 미러를 펴는 방향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는 상기 하강부재의 홈은 돌기에 비하여 더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를 나타낸 차체측 베이스플레이트 부위의 상세도로서, 차체의 측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상하로 긴 길이를 갖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샤프트 지지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지지구(11)의 상단부에는 내측 및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면서 상하로 소정 거리 떨어져 2개 이상의 개소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11a)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돌기(11a)의 사이에 홈(1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11b)에 패킹용 고무링(12)이 끼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샤프트 지지구(11)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턱(13)이 돌출 형성된다.
도6은 도5의 샤프트 지지구에 장착되는 샤프트 부위를 나타낸 단면 상세도로서, 상기 샤프트 지지구(11)의 내측으로 끼워 결합되는 샤프트(14)의 상부 외측에 가스저장실(15a)을 갖는 가스하우징(15)이 고정된다.
상기 가스하우징(15)은 샤프트(14)의 외부를 감싸면서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 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 가스하우징(15)의 가스저장실(15a) 하부에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 가스하우징(1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지지구(11)의 상단이 끼워 결합된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스하우징(15)의 하단에 샤프트 지지구(11)의 외표면까지 돌출된 스토퍼(15b)가 형성됨으로써 샤프트 지지구(11)의 상단부가 가스하우징(15)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샤프트 지지구(11)의 돌기(11a) 사이에 설치된 고무링(12)에 의해 가스하우징(15)의 가스저장실(15a)에 충전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저장실(15a)의 내부에 충전되는 가스의 압력은 샤프트(14) 및 가스하우징(15)에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베이스플레이트(10) 및 샤프트지지구(13)에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가스의 압력에 직접 영향을 받아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는 부재 또는 이 부재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힘을 받는 부재(이하, '상승부재'라 한다)와 가스의 압력에 직접 영향을 받아 하부 방향으로 힘을 받는 부재 또는 이 부재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힘을 받는 부재(이하, '하강부재'라 한다)에 각각 홈과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이 홈과 돌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의 회전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8은 본 발명의 상승부재와 하강부재를 나타낸 상세도로서, 상승부재(20)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회전 중심인 샤프트(14)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반경의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상부면에 교대로 형성되는 홈(20a)과 돌기(20b)를 가지 며, 하강부재(30)는 상기 홈(20a)과 돌기(20b)가 형성된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하부면에 교대로 형성되는 홈(30a)과 돌기(30b)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승부재(20)의 홈과 돌기의 간격과 하강부재(30)의 홈과 돌기의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상승부재(20)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그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샤프트(14)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강부재(30)는 그 하강부재(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승부재(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20a)과 돌기(20b) 및 상기 하강부재(3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30a)과 돌기(30b)는 각각 원호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승부재(20)의 돌기(20b)는 양측 경사면(20c)(20d)이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홈(20a)과 연결되며, 상기 하강부재(30)의 홈(30a)은 돌기(30b)에 비하여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8의 상태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완전히 펼쳐지거나 완전히 접혀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며 하강부재(30)의 돌기(30b)가 상승부재(20)의 홈(20b)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가스저장실(15a)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상승부재(20)에는 상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하강부재(30)에는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하강부재(30)의 돌기(30b)가 상승부재(20)의 홈(20b)에 위치된 상태를 유 지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아웃사이드 미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혀진 상태는 하강부재(30)가 회전하여 그 돌기(30b)가 이웃한 홈(20b)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즉, 아웃사이드 미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미러를 회전시켜 접는 경우, 아웃사이드 미러에 연결된 하강부재(30)의 돌기(30a)가 상승부재(20)의 완만한 경사면(20d)을 따라 그 상승부재(20)의 돌기(20a) 쪽으로 이동하다가 도9에 도시된 것처럼 하강부재(30)의 돌기(30a)가 상승부재(20)의 돌기(20a)의 상단을 통과하면서 급한 경사면(20c)을 따라 이웃한 홈(20b)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가능하다.
반면에, 아웃사이드 미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미러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에 연결된 하강부재(30)의 돌기(30a)가 상승부재(20)의 완만한 경사면(20d)을 따라 그 상승부재(20)의 돌기(20a) 쪽으로 이동하다가 충격력이 제거되면 가스저장실(15a)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하강부재(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아웃사이드 미러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에 의하면, 아웃사이드 미러가 경미한 충격에 의해 약간 회전되는 경우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주행 중 운전자의 후사면 시계가 확보되는 안정성을 갖는다.

Claims (3)

  1. 접혀질 수 있도록 차체의 측부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하로 긴 길이를 갖는 샤프트 지지구(11)를 갖추어 차체의 측부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샤프트 지지구(11)에 상하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가스저장실(15a)에 충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힘을 받는 샤프트(14)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샤프트(14)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샤프트(14)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의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도록 교대로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20a)과 돌기(20b)를 갖는 상승부재(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와 상승부재(20)의 상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아웃사이드 미러를 이루는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부면에 상기 상승부재(20)의 홈(20a)과 돌기(20b)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호 형상의 돌기(30b)와 홈(30a)이 교대로 형성된 하강부재(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재(20)의 홈(20a)과 돌기(20b)가 연결되는 부위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20c)(20d)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20a)(20d)의 경사각은 상승부재(20)의 홈(20a)을 기준으로 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는 방향의 경사각이 아웃사이드 미러를 펴는 방향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부재(30)의 홈(30a)은 돌기(30b)에 비하여 더 큰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KR1020040060463A 2004-07-30 2004-07-30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63A KR100558871B1 (ko) 2004-07-30 2004-07-30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63A KR100558871B1 (ko) 2004-07-30 2004-07-30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66A KR20060011566A (ko) 2006-02-03
KR100558871B1 true KR100558871B1 (ko) 2006-03-10

Family

ID=3712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871B1 (ko) 2004-07-30 2004-07-30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8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181A (en) 1985-01-22 1988-03-01 Niles Parts Co., Ltd.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a door mirror of automobiles
JPH0558959U (ja) * 1992-01-23 1993-08-03 市光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機構
JP2003104124A (ja) 2001-09-28 2003-04-09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
KR20030028706A (ko) * 2001-10-02 2003-04-10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외부 미러 지지 암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181A (en) 1985-01-22 1988-03-01 Niles Parts Co., Ltd.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a door mirror of automobiles
JPH0558959U (ja) * 1992-01-23 1993-08-03 市光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機構
JP2003104124A (ja) 2001-09-28 2003-04-09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
KR20030028706A (ko) * 2001-10-02 2003-04-10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외부 미러 지지 암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66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8626T3 (es) Mejoras en una disposicion de seguridad, o relacionadas con esta.
JP4992956B2 (ja) カップホルダ
ES2257653T3 (es) Faro de vehiculo automovil que comprende medios perfeccionados de conexion al chasis del vehiculo.
ES2250856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levantar un capo de un automovil en caso de colision.
ES2636017T3 (es) Columna de dirección para un vehículo de motor
JP2003191818A (ja) 自動車の対人保護装置
KR101848772B1 (ko) 라바콘용 이동장치
KR100558871B1 (ko) 설정 위치 복귀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JP2007522024A (ja) 安全装置
EP1424247B1 (en) A safety arrangement
KR100256394B1 (ko)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가드레일
KR101281462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ES2266666T3 (es) Acumulador de energia para elevar una compuerta de vehiculo.
KR20190008601A (ko) 차량용 고임목
JP3883982B2 (ja) 自動車用安全装置
KR102261873B1 (ko)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KR200470254Y1 (ko) 출몰식 로드마커
WO2003086825A1 (en) A safety device for lifting a part of the hood or bonnet of a motor vehicle
JP2010149603A (ja) 車両用フードリフトアップ装置
KR200207045Y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KR100471295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 방지구조
KR100527117B1 (ko) 보행자보호를 위한 후드상승장치
CN116434521B (zh) 一种用于交通安全的行人指引装置
KR101180720B1 (ko) 전복방지 및 충격흡수형 범퍼
KR101921749B1 (ko) 무게추 하중을 이용한 도로표지병의 충격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