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8821B1 - 모듈라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라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821B1
KR100558821B1 KR1019980049535A KR19980049535A KR100558821B1 KR 100558821 B1 KR100558821 B1 KR 100558821B1 KR 1019980049535 A KR1019980049535 A KR 1019980049535A KR 19980049535 A KR19980049535 A KR 19980049535A KR 100558821 B1 KR100558821 B1 KR 10055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board
housing
connector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나르두스 엘.에프. 파그만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riority to KR101998004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821B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모듈라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단자의 집단 장착을 위해 단자 캐리어를 사용한다. 캐리어는 커넥터를 통해서 차폐부를 제공하도록 차폐될 수 있다. 기판 장착 시스템은 억지 끼움, 부유성 표면 장착, 땜납 볼 및 관입성 재유동 배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라 커넥터 {MODULAR CONNECTORS}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합 단자 및 다른 요소가 부착될 수 있는 복수개의 회로 기판 모듈로 제조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나란한 관계로 정렬된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된 커넥터가 개시되어 왔다. 이런 하나의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4,521,014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 도시된 구조는 제작비가 높고 소형화가 어렵다.
유럽 특허 공개 제0,752,739호(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공유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인용 설명됨)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소형화된 고속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나란히 적층된 회로 기판을 이용하는 모듈라(modular) 커넥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1997년 1월 1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784,743호는 고속 케이블 상호 접속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유사한 형식의 모듈라 커넥터를 설명하고 있다. 1997년 1월 1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784,744호는 이런 고속 커넥터를 표면 장착하기 위한 배열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 출원 모두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공유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기술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에서는 고주파수 성능을 개선시키고 제작비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성능을 고려할 때, 현재의 광범위하게 상용되는 2 mm의 그리드 피치를 갖는 배면 커넥터 시스템은 500 피코초(picosecond)의 상승 시간(0.7 GHz)에서 10% 누화(cross talk) 수준에서 동작한다. 이들 시스템에서 전기적으로 개선된 제품은 500 피코초의 상승 시간에서 6% 누화의 성능 수준에 도달한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에서 60 내지 100 피코초(3.5 내지 6 GHz)의 신호 상승 시간에서 특히 1% 누화의 성능 수준은 약 2.5 기가비트/초(Gigabits/second) 속도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시스템에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로 기판 요소의 적층된 조립체로부터 모듈라 양식으로 형성된 전기 커넥터 및 상호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접촉 단자, 특히 리셉터클 단자에는 단자의 정합 영역에 차폐부가 구비된다. 상호 접속부를 통해서 수반될 수 있는 차폐부에 의해 누화 성능이 향상되고 커넥터에 신호 조절 요소를 합체시킬 수도 있는 가능성도 구비하게 된다.
제작비는 회로 기판 상에 동시에 장착되도록 복수개의 단자를 소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단자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된다. 캐리어는 하우징에 모듈을 보유하고 그리고/또는 단자를 억지 끼움(press fitting)하기 위한 삽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특성을 실현한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커넥터(20)는 복수개의 회로 모듈(22)을 포함한다. 각 모듈(22)은 상업상 FR4로 판매되는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된 대체로 편평한 인쇄 회로 기판 재료 단편으로 제조될 수 있는 회로 기판(24)을 포함한다. 또한, 기판(24)은 적절한 절연성 재료, 특히 그 표면상에 도전성 트레이스를 잘 형성할 수 있는 또는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처리된 것으로 성형 또는 주조된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24)은 모서리(24a)와 같은 한 모서리의 영역으로부터 모서리(24b)와 같은 제2 모서리의 영역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도전성 트레이스(도2a)를 수반한다. 양호하게는, 접지 트랙은 이들 트레이스의 차폐를 위해 단자 트레이스와 짜맞쳐져 있다. 또한, 회로 트레이스를 수반하는 측면(도1a에서 상향으로 배열된 측면)에 대향하는 기판(24)의 측면은 연속적인 차폐층 또는 접지층으로 덮혀 있다. 이런 구조는 상술한 유럽 특허 출원 공개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모듈은 그 트랙 수납 측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단자 세트를 갖는다. 도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자 세트는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26)를 포함한다. 도1aaa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캐리어(26)는 복수개의 정렬된 개구(30)를 갖고 절연성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28)을 포함한다. 튜닝 포크 단자(32)와 같은 리셉터클 단자는 각각의 개구(30)에 수납되며, 단자의 측면 모서리 상에 보유 미늘(barb, 33)에 의해 보유된다. 단자의 살부(tine, 34)는 오프셋 영역(35)을 거쳐 기판(24)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표면 장착되도록 된 표면(38)을 갖는 기부(36)까지 연장된다. 양호하게는, 표면(38)은 하우징(28)의 상부 표면(28c)과 대체로 공통 평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배치/장착 페그(도시 안됨)와 같은 적절한 배치 및 보유 구조물이 회로 기판(24) 상에서 단자 캐리어의 배치 및 보유를 돕기 위해 하우징(2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억지 끼움 단자(42)를 갖는 억지 끼움 단자 캐리어(40)가 모서리(24b)를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억지 끼움 단자 캐리어(40)는 단자(14)에 억지 끼움 삽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연장부(44)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캐리어(26, 40)는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커넥터(20)는 절연 하우징(46)도 포함한다. 하우징(46)은 리셉터클 단자(32)와 정렬되는 위치에 있는 복수개의 리드-인(lead-in) 개구(52)를 갖는 전방벽(50) 및 상부벽(48)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내벽(53)이 각각 하나의 회로 모듈(22)을 수납하는 평행하게 적층된 복수개의 격실을 형성하도록 상부벽(48)과 하부벽(53)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우징은 회로 모듈(22)과 정합 커넥터 사이에 접지 접속을 이루는 복수개의 접지 스프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지 스프링(56)은 단자 캐리어(26)에 의해 수반될 수 있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회로 모듈(22)은 완전 직각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하우징(46)에 삽입된다. 양호하게는, 모듈은 하우징과 모듈 부분 사이의 간섭 끼움에 의해 하우징에 보유된다. 이런 간섭 끼움은 단자 캐리어(26) 및/또는 억지 끼움 캐리어(40)의 두께 또는 폭 크기, 또는 두께 및 폭 크기 모두를 격벽(53) 사이의 슬롯에 적절한 간섭 끼움되는 크기로 (사이징)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모듈(22)은 각각의 모듈 사이에 공간(62)이 있도록 지지된다. 이런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격실들이 모듈(22) 상에 장착되도록 한다. 커넥터(20)는 다른 접지 스프링(5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커넥터가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에 커넥터를 접지시키도록 된다. 접지된 스프링(58)은 위치 결정 포스트(63) 상에 수납된 장착 구조물(60)에 의해 보유된다. 접지는 접지 스프링(58)과 접촉하고 접지 스프링(56)과 유사한 접촉 스프링(도시 안됨)을 통해서 모듈(22)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단자 캐리어(40)는 하우징 상부(48)의 하부 표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된 힘 전달 연장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억지 끼움 삽입력이 상부(48)에 가해지면, 그 힘은 연장부(44)를 통해 캐리어 하우징(40)으로 직접 가해서 회로 기판으로 억지 끼움 단자(42)를 민다. 이것은 단자(42)와 회로 기판(24) 사이의 땜납 계면으로 전단 응력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르게는, 삽입력은 적절한 공구 작업에 의해 하우징(40)에 직접 가해질 수 있다.
도1c는 도1b의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며, 리드-인 개구(52)를 구비한 전방면(50)을 도시하고 있다. 도1d는 커넥터(20)의 상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며, 접지 스프링(56)이 하우징 상부(48)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어 정합 헤더의 차폐 접촉부와 정합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2a 및 도2b에는 도1a에 도시된 리셉터클 모듈과 유사한 모듈(22')이 도시되어 있으며, 주요 차이점은 리셉터클 캐리어(26)의 위치에 절연체(66) 및 복수개의 접촉 핀(68)을 포함하는 핀 캐리어(64)가 회로 기판(24) 상에 장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4)은 그 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로 트레이스(70)를 갖는다. 억지 끼움 단자 캐리어(40)는 억지 끼움 단자(42)가 접촉 패드(72)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판의 한 모서리 상에 고정된다. 핀 캐리어(64)는 회로 기판의 다른 모서리에 가해진다. 한 변형예에서, 핀 캐리어(64)는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6)의 하면 너머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접촉 핀(74)을 가질 수 있다. 접촉 핀(74)은 회로 기판 내의 도금된 관통 구멍(76)에 수납되도록 된다. 다르게는, 접촉 핀(74)은 캐리어 본체(66)의 하면과 대체로 같은 높이로 될 수 있어서(도14b), 회로 기판(24) 상에 핀 캐리어(64)의 표면 장착을 제공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4)에는 도전성 트레이스(70)에 의해 수반되는 신호를 신호 조절 및 신호 변조시키기 위해 적절한 피동 또는 능동 전자 요소(78)가 위치될 수 있다.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캐리어(40)는 캐리어(40)의 하면과 대체로 공통 평면에 있는 표면 장착 패드(80)를 갖는 억지 끼움 단자(42)를 포함한다. 패드(80)에는 예컨대 패드(80)를 형성하기 위해 U자 형상으로 일체형 탭을 만곡시킴으로써 억지 끼움 핀(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3a의 분해도 및 도3b의 조립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헤더 커넥터는 리셉터클 헤더(20)에 대해 설명된 것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모듈(22)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커넥터에서, 절연 재료로 형성된 본체(82)는 하우징(82)의 전방벽(84)이 일체 형성된 절연 페룰(86)의 열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a의 하우징(46)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측판(88)은 페룰(86)이 측판 기부의 개구(90)에 수납된 상태로 절연 하우징(82) 상에 장착된다. 이 실시예의 측판은 차폐용으로 다이 캐스트 아연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래치 구조물(92)은 측판 상에 케이블 커넥터를 래치 정합시키기 위해 측판(88)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4a, 도4b, 및 도4c는 케이블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22")을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 회로 기판(24")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대체로 동일한 형태이며 복수개의 튜닝 포크 접촉부(32)를 갖는 단자 캐리어(26)를 포함한다. 단자 캐리어(26)에 대향하는 기판(24")의 단부에는 절연성 커버(98)에 수납된 복수개의 절연 변위 접촉부(IDC) 단자(96)를 포함하는 절연 변위 접촉(IDC) 캐리어(94)가 있다. IDC 단자의 하면(100)은 회로 기판(24") 상에 표면 장착되도록 된다. 종래와 같이, IDC 단자(96)는 도체(102)가 커버의 채널(104)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 커버(98)에 조립된다. 도체를 부착시키기 위해 커버를 IDC 단자(96)쪽으로 누르면, 도체(102)는 IDC 단자(96) 안으로 들어가도록 되어서, 이런 형태의 커넥터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단자의 직립부가 도체(102)를 둘러싼 절연체를 거쳐 나아가도록 한다. 배출 와이어(105)는 존재하는 경우 IDC 단자(96) 중 하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케이블의 또다른 고정을 위해, 금속 변형 완화 페룰(104)이 케이블(106)에 부착될 수 있다. 변형 완화 페룰(102)은 페그에 의해 또는 기판(24")의 경유부(108)를 통해 땜납되어 기판(24")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 모듈(22")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4")에 리셉터클 캐리어(26) 및 IDC 캐리어(94)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도4c는 도1a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단자 캐리어(26)를 도시한다. 살부(34) 및 오프셋부(35)에 의해 형성된 각 튜닝 포크 단자의 대향되는 캔티레버 부분들은 기부(36)에서 서로 정합된다. 기부(36)의 면은 부분(35)에 의해 한정된 오프셋부에 의해 살부(34)의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오프셋 크기는 신호 핀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부(34) 사이에 수납되어 기부(36)를 지나가기에 충분하다.
도5a, 도5b,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는 모듈(22")을 수납하기 위해 평행한 복수개의 슬롯(111)을 갖고 절연 재료로 형성된 케이블 커넥터 하우징(110)으로 복수개의 케이블 커넥터 모듈(22")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듈(22")은 하우징(110)으로 끼워진다. 차폐된 커넥터는 하우징(110) 및 모듈(22")에 의해 형성된 유닛 둘레의 적절한 변형 완화 구조물과 함께 금속 차폐부(112)를 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조립되고 완전 차폐된 케이블 커넥터는 도5c에 도시되었다.
도6a 및 도6b는 IDC 캐리어(94) 대신 도체(102)가 박피되어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접촉 패드 상에 직접 땜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5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다른 형태의 케이블 커넥터 모듈(22")을 도시하고 있다.
도7a 및 도7b는 모듈이 엇갈림 쌍(differential pair) 배열을 제공하도록 교호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거의 같은 리셉터클 인쇄 회로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8a는 도1a에 도시된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접촉 캐리어(2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폐부가 일체로 형성된 접촉 스프링(112)을 갖는 주위 금속 차폐부를 포함한다. 접촉 스프링(112)은 하우징(46) 내의 슬롯(114)을 통해 연장된다.
도8b는 다른 실시예뿐만 아니라 도8a의 리셉터클 실시예와도 사용 가능한 개조된 형태의 리셉터클 단자 캐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캐리어(26')는 복수개의 단자 수납 개구(30)를 갖는 본체(28)를 갖는다. 개구 중 한 개구(30')는 상부 모서리를 따라 릴리프 처리(relieved)된다. 릴리프 처리는 중심 튜닝 포크 단자(32')가 거리(FMLB) 만큼 다른 단자(32)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것은 동일한 길이의 핀 세트의 중심 핀이 정합 중에 나머지 핀이 단자(32)와 정합하기에 앞서 단자(32')와 정합하고, 정합 분리 중에 나머지 핀이 단자(32)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단자(32')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리셉터클 조립체에 정합 단자 핀과의 "최초 접속, 최후 분리(first-make, last-break)" 기능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능성은 커넥터의 리셉터클 측에 구비되어 정합 헤더에 핀의 길이를 달리하지 않을 수 있게 해준다.
도9a는 상술한 캐리어(40)와 같은 억지 끼움 단자 캐리어의 단면도이다. 이 배열에서, 절연성 재료로 된 본체(118)는 각각의 내부에 억지 끼움 핀(42)이 수납된 복수개의 슬롯(120)(도10)을 갖는다. 각각의 핀(42)은 단자를 보유하기 위한 미늘을 갖는 보유부(122)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는 또한 회로 기판(24) 상의 접촉 패드에 땜납된 표면 장착 패드(80)를 형성하기 위해 U자 형상으로 만곡된 탭(124)을 포함한다. 억지 끼움부(128)는 종래와 같이 그 내부에 압압됨으로써 관통 구멍(130)에 보유되도록 바늘의 눈 형상과 같은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9b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장착에서, 절연체(132)는 하부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채널(134)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표면 장착 단자 부재(136)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접촉 패드(144)에 또는 회로 기판(24)의 트레이스 상의 접촉 패드 상에 각각 표면 장착되도록 된 표면 장착면(140, 142)을 형성하기 위해 코어부(138) 둘레에 권취된다. 단자 부재(136)는 어느 정도 떠있을 수 있으며 만곡부(145, 147)에 의해 본체(132) 상에 유지된다.
도9c에 도시된 다른 변형예에서, 절연체(146)는 내부에 장착된 금속 단자(148)를 갖는다. 단자(148)는 회로 기판(24) 상에 땜납되도록 된 표면 장착부(150)를 포함한다. 단자의 대향 단부(152)가 벽부(152)로 연장되며 그곳에 고정된 땜납 볼(solder ball, 158)과 같은 용융성 요소를 갖는다. 땜납 볼(158)은 재유동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접촉 패드(160)와의 땜납 접속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인쇄 회로 기판 장착의 다른 실시예가 도9d에 도시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162)은 내부에 고정된 금속 땜납 단자(164)를 갖는다. 단자(164)는 회로 기판(24) 상에 표면 장착되도록 된 표면 장착부(166)를 갖는다. 미부(168)는 도금된 관통 구멍(170)으로 연장되도록 된다. 관입성 재유동 기술을 사용해서, 관통 구멍(170)에 수납된 땜납 반죽은 도금된 관통 구멍(170)과 전기적으로 연통하도록 미부(168)를 용융시킨다.
도11a 및 도11b에는 차폐된 리셉터클 캐리어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절연 하우징(28)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튜닝 포크 접촉부(32)를 수반한다. 또한, 주위 차폐부(170)는 개별 튜닝 포크 접촉부(32)의 전기 차폐부를 제공한다. 차폐부(170)의 각 단부는 회로 기판(24) 상에 땜납되는 억제부(172)(도12)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28)의 하부로 향한다. 개별 단자들을 차폐시키기 위해, 탭(174)(도12)은 차폐부(170)로부터 펀칭되어서 인접 단자(32)들 사이의 하우징(28)에 형성된 슬롯에서 연장되도록 만곡된다. 탭(174)은 회로 기판(24) 상에 형성된 적절한 접지 접촉 패드 상에 땜납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개별 단자 또는 단자 그룹 둘레에서의 유효한 차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다.
도13은 정합 헤더 커넥터에 수납된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열에서, 리셉터클 캐리어(26)의 차폐부로부터의 접촉 스프링(112)은 (상부에서) 한 모서리를 따라서 직접적으로 그리고 하부에서 접지 스프링(58)을 통해 직접적으로 헤더의 측판(116)과 정합하도록 위치된다. 접촉 핀(113)은 튜닝 포크 접촉부(32)에 의해 수납되며 그 선단부는 살부(34)에서의 오프셋 때문에 기부(36)를 통과한다.
도14a 및 도14b는 도2a와 관련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차폐부(180)가 헤더 캐리어에 부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1a, 도11b, 및 도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차폐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배열에서, 차폐부(180)는 개별 접촉 핀(68) 또는 그룹 접촉핀을 대체로 둘러싸기 위해 차폐부로부터 펀칭되어 접혀진 탭(18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스프링(184)은 차폐부(18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15는 여러 개의 상술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케이블 상호 접속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단일 단부라면, 도5a, 도5b, 및 도5c에 대체로 도시된 형태의 케이블 커넥터(200)가 사용된다. 개선된 고속 성능을 위해서, 도12a, 도12b,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폐된 리셉터클 캐리어가 케이블 커넥터(200)에 사용된다. 케이블 커넥터(200)는 대체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각 헤더 커넥터(202)와 정합한다. 다시, 개선된 고속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 도14a 및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폐된 핀 캐리어가 모듈 형성 헤더(202) 상에 사용된다. 직각 헤더 커넥터(200)는 회로 기판(204)의 한 단부 상에 장착된다. 대체로 도1a에 도시된 형태의 또는 더 높은 속도를 위해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폐된 리셉터클 접촉 캐리어를 사용하는 형태의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206)가 사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6)는 커넥터(208', 206') 및 회로 기판(204')에 의해 부분적으로 나타난 경면 대칭 배열로 배면(210)을 통해서 연장된 차폐된 핀 헤더와 정합된다.
제작비는 다중 단자를 위치시켜서 동시에 정밀하게 배치시키는 단자 캐리어 조립체의 사용에 의해 개선된다. 캐리어를 위한 하우징에는 선택 및 배치(pick and place) 장치에 의한 배치를 허용하는 편평 표면이 형성된다. 차폐 배열을 사용하면 저비용의 누화로 고속 상호 접속이 달성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조 및 부가가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단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르는 범위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및 상호 접속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고주파수 성능을 개선시키고 제작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a, 도1aa, 도1aaa, 도1b, 도1c, 및 도1d는 본 발명에 따른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2a 및 도2b는 직각 헤더 모듈 구성부의 사시도.
도2c 및 도2d는 도2b에 도시된 모듈에 사용된 단자 블록 또는 캐리어의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도2b에 도시된 모듈에 사용된 직각 헤더의 사시도.
도4a, 도4b, 및 도4c는 케이블 커넥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모듈 또는 부분들의 사시도.
도5a, 도5b, 및 도5c는 도4b에 도시된 형태의 모듈을 사용하는 리셉터클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도4a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 모듈과 유사한 케이블 커넥터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7a 및 도7b는 다른 신호 쌍에 대해 배열된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8a는 차폐된 리셉터클 접촉부를 갖는 직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8b 및 도8c는 제작후 폐기 기능을 갖는 리셉터클 캐리어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도면.
도9a, 도9b, 도9c 및 도9d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단자 캐리어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한 도면.
도10은 도9a에 도시된 단자 캐리어의 전방 입면도.
도11a는 차폐된 리셉터클 캐리어의 평면도.
도11b는 차폐된 리셉터클 캐리어의 측면도.
도12는 도13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3은 헤더 커넥터와 정합된 도8a에 도시된 직각 커넥터의 측면도.
도14a 및 도14b는 각각 회로 모듈 상에 표면 장착시키기 위해 차폐된 핀 캐리어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15는 이전 도면에서 도시된 여러 개의 커넥터로 제조된 상호 접속 시스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커넥터
22 : 회로 모듈
24 : 회로 기판
26 : 리셉터클 단자 조립체
28 : 하우징
30 : 정렬된 개구
32 : 튜닝 포크 단자
34 : 살부
35 : 오프셋 영역
40 : 단자 캐리어

Claims (15)

  1. 정합 계면 및 장착 계면을 갖는 전기 커넥터이며,
    (a)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의해 수반되고 상기 정합 계면에 인접한 본체의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장착 계면에 인접한 본체의 제2 영역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도전성 회로 트레이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과,
    (b)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본체 상에 장착되고 전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과,
    (c) 각 단자를 트레이스 중 하나와 정합시키는 방식으로 하우징에 의해 수반되는 복수개의 전기 단자와,
    (d) 대체로 평행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의 회로 기판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단자는 커넥터가 장착된 회로 요소와의 전기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착 계면을 따라 배열된 변형 가능한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트레이스 상에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한 표면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를 전기적으로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표면 장착 기술에 의해 회로 기판 상에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차폐 관계로 위치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억지 끼움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단자를 회로 기판으로 누르기 위한 삽입력을 수용하고 상기 단자에 삽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힘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요소는 열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요소는 땜납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간섭 끼움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자 요소를 수납하기 위해 회로 기판의 한 측면 상에 하나의 개구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며,
    (a)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모서리부를 갖는 절연체와 상기 제1 모서리부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모서리부에 인접한 영역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도전성 트레이스를 구비한 전기 기판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와,
    (b) 각 단자가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요소를 통해 도전성 트레이스 중 하나에 부착되도록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1 영역에 복수개의 전기 접촉 단자를 갖는 본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에서 전기 접속 계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c) 각 단자를 대응하는 변형 가능한 요소를 통해 트레이스 중 하나에 전기 접속시키는 단계와;
    (d) 정합 커넥터와 정합하는 위치에 접촉 단자를 위치시키기 위해 하우징에 회로 기판을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각 회로 트레이스에 전기 도전성 요소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회로 트레이스에 각 전기 단자를 전기 접속시키는 단계는 표면 장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회로 기판을 장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본체와 하우징 사이에 간섭 끼움을 발생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 상에 장착되고 삽입 방향을 따라 정합 접촉부를 수납하도록 된 대체로 선형인 리셉터클 접촉 단자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접촉부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80049535A 1997-11-19 1998-11-18 모듈라커넥터 KR10055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535A KR100558821B1 (ko) 1997-11-19 1998-11-18 모듈라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74,536 1997-11-19
KR1019980049535A KR100558821B1 (ko) 1997-11-19 1998-11-18 모듈라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821B1 true KR100558821B1 (ko) 2006-05-25

Family

ID=4174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535A KR100558821B1 (ko) 1997-11-19 1998-11-18 모듈라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8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1746A (en) * 1993-09-13 1995-06-06 Berg Technology, Inc. Orien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1746A (en) * 1993-09-13 1995-06-06 Berg Technology, Inc. Orien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8376B1 (en) Modular connecto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75066A (en) Coaxial contact element
JP341277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12057663B2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CN113258325A (zh) 高频中板连接器
US6641438B1 (en) High speed, high density backplane connector
US680841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nhanced electrical performance
EP0270598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042394A (en) Right-angle connector
EP022021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EP1023747B1 (en) Connector system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US6109976A (en)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US8662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EP1538716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module
US20040067680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07004261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plane with independently configurable contacts
JPH10270133A (ja) 一体化されたpcbアセンブリを有するコネクタ
US7188408B2 (en) Method of making a straddle mount connector
WO1999026321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109297B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CN100502154C (zh) 带有电线管理系统的电气连接器
JP2001015187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20240047907A1 (en) Cable assembly for a cable connector module
KR100558821B1 (ko) 모듈라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