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8557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557B1
KR100558557B1 KR1020040004208A KR20040004208A KR100558557B1 KR 100558557 B1 KR100558557 B1 KR 100558557B1 KR 1020040004208 A KR1020040004208 A KR 1020040004208A KR 20040004208 A KR20040004208 A KR 20040004208A KR 100558557 B1 KR100558557 B1 KR 10055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signal
pass
sampling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285A (ko
Inventor
윤용진
이종철
조욱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557B1/ko
Priority to JP2005000860A priority patent/JP4672374B2/ja
Priority to US11/037,602 priority patent/US7295489B2/en
Publication of KR2005007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5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6Write circuits, e.g. I/O line write dr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DDR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동작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가 개시된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은 라이트 명령 신호인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제1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와,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와,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제2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4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와,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 데이터, 샘플링 방법, 외부 클럭 신호, 상승 에지, 하강 에지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Method for data sampling for ue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ircuits thereof}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C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A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C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A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들에 대한 참조 부호들의 설명>
200 :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
300 : 패스 제어 회로
400 : 라이트 제어 회로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 데이터 레이트 방식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도체 소자의 고속화가 요구됨에 따라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뿐만 아니라, 하강 에지(falling edge)에서도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더블 데이터 레이트(DDR: Double Data Rate, 이하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한 사이클 동안에 두 개의 데이터가 리드(read) 동작 또는 라이트(write)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데이터가 샘플링된다.
상기 DDR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장치의 경우, 버스트 형태의 데이터가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에 각각 동기하여 전달되거나 입출력된다. 상기 에스램 장치의 라이트 동작은 라이트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예컨대 입력 데이터들은 두 번째 라이트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임시 레지스터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들은 세 번째 라이트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들에 기입된다. 일반적으로 DDR 에스램 장치는 데이터를 기입할 때 라이트 명령 신호의 입력 후, 다음 사이클의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4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입력받으며,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중심에 서 데이터를 입력받고,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샘플링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CC(Clock Centered) 모드와,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고, 외부 클럭 신호의 중심에서 샘플링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CA(Clock Aligned) 모드를 사용하고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장치는 미국특허 제 6538483호에 “Method and appratus for data sampling”의 제목 하에 개시되어 있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는 미국특허 제6232811호에 “Circuit for controlling setup/hold time of semiconductor device”의 제목 하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C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A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 는 동작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데이터 샘플링을 위한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 및 데이터 샘플링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을 위한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100)는 인가되는 샘플링 클럭 신호(CLK)를 반전하는 제1 반전부(112)와, 상기 샘플링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어드레스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1 패스 게이트(102)와, 상기 제1 패스 게이트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1 패스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1 래치(110)와, 상기 제1 래치의 출력을 연속 반전하는 제2 및 제3 반전부(114, 116)와, 상기 샘플링 클럭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3 반전부의 출력을 통과시키는 제2 패스 게이트(104)와, 상기 제2 패스 게이트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2 패스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2 래치(120)와, 상기 제2 래치의 출력을 반전 출력하는 제4 반전부(118)로 구성된다. 상기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100)는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샘플링 클럭 신호(CLK) 및 어드레스 신호(A0)의 논리 상태에 따라 하나의 패스 제어 신호(PS)를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C 모드에서는 라이트 명령의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External clock: ECLK)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중심에서 4개의 제1 내지 제4 데이터(D1_H, D1_L, D2_H, D2_L)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이어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1 데이터(D1_H)가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에 동기하여 “0”상태의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데이터(D1_H)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2: SCLK1)가 발생되어 제2 데이터(D1_L)가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에 동기하여 “0”상태의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2 데이터(D1_L)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킨다. 이어서, 세 번째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3 데이터(D2_H)가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에 동기하여 “1”상태의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3 데이터(D2_H)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키고, 상기 제2 데이터(D1_L)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세 번째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D1_H)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D1_L)가 메모리 셀에 기입되도록 한다.
그 결과로서, 메모리 셀에 기입될 데이터가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WCLK)의 발생 시점에서 이미 제1 패스(Path1)는 제1 데이터(D1_H)에서 제2 데이터(D1_L)로 바뀌어지고, 제2 패스(Path2)는 제2 데이터(D1_L)가 제3 데이터(D2_H)로 바뀌어져 홀드 마진이 부족하게 됨으로써 데이터 기입시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패스의 데이터들을 일정시간 지연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3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A 모드에서는 라이트 명령의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External clock: ECLK)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4개의 제1 내지 제4 데이터(D1_H, D1_L, D2_H, D2_L)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이어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1 중심에서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1 데이터(D1_H)가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에 동기하여 “0”상태의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데이터(D1_H)를 제1 패스(Path1)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2 중심에서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2: SCLK1)가 발생되어 제2 데이터(D1_L)가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에 동기하여 “0”상태의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2 데이터(D1_L)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킨다. 이어서, 세 번째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세 번째 클럭 신호의 제1 중심에서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3 데이터(D2_H)가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에 동기하여 “1”상태의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3 데이터(D2_H)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키고, 상기 제2 데이터(D1_L)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세 번째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D1_H)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D1_L)가 메모리 셀에 기입되도록 한다.
그 결과로서,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WCLK)의 발생 시점에 이미 제2 패스(Path2)의 제2 데이터(D1_L)가 1/4 사이클 이하의 지점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셋업 마진(M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에스램 장치의 동작 주파수가 높고, 상술한 CC 모드에서 홀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패스의 데이터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CA 모드에서 마찬가지로 셋업 마진이 부족하게 됨으로써 데이터 기입시 에러가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DR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동작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의 패스를 지정해 줌으로써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샘플링해야 할 데이터의 중심 또는 1/4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모든 동작 모드에서 적어도 1/4 사이클 이상의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는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모든 동작 모드에서 충분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하여 셋업 및 홀드시 발생되는 내부 에러를 저감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방법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에 있어서, 라이트 명령 신호인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제1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와,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와,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제2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4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와,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방법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에 있어서, 라이트 명령 신호인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1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와,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2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제1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와,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3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라이트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와,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4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제2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3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4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와,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 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에 있어서, 어드레스 신호 및 샘플링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들을 제1 또는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패스 제어 회로와,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들을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라이트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설명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없이 예를 들어 도시되고 한정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로서,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는 크게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200)와, 패스 제어 회로(300)와, 라이트 제어 회로(400)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200)는 인가되는 샘플링 클럭 신호(SCLK, sampling clock signal)를 반전하는 제1 반전부(212)와, 상기 반전된 샘플링 클럭 신호(/SCLK) 및 어드레스 신호(A0)를 입력으로 하는 제1 낸드 게이트(202)와, 상기 제1 낸드 게이트(202)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2 반전부(216)와, 어드레스 신호(A0)를 반전하는 제3 반전부(214)와, 상기 샘플링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SCLK) 및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반전 신호(/A0)를 입력으로 하는 제2 낸드 게이트(204)와, 상기 제2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4 반전부(218)를 포함한다. 상기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200)는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샘플링 클럭 신호(SCLK) 및 어드레스 신호(A0)의 논리 상태에 따라 패스 제어 신호(PS1, PS2)를 발생한다. 예컨대, 어드레스 신호(A0)가 “1”상태로 입력되고, 샘플링 클럭 신호(SCLK)가 “1”상태에서 “0”상태로 천이되면, 어드레스 신호(A0) 및 샘플링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SCLK)가 제1 낸드 게이트에 입력되어 제1 낸드 게이트(202)는 “0”상태의 제1 패스 제어 신호(PS1)가 발생되고, 어드레스 신호의 반전 신호(/A0) 및 샘플링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SCLK)가 제2 낸드 게이트에 입력되어 제2 낸드 게이트(204)는 “1”상태의 제2 패스 제어 신호(PS2)가 발생된다. 또한, 어드레스 신호(A0)가 “0”상태로 입력되고, 샘플링 클럭 신호(SCLK)가 “1”상태에서 “0”상태로 천이되면, 어드레스 신호(A0) 및 샘플링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SCLK)가 제1 낸드 게이트에 입력되어 제1 낸드 게이트(202)는 “1”상태의 제1 패스 제어 신호(PS1)가 발생되고, 어드레스 신호의 반전 신호(/A0) 및 샘플링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SCLK)가 제2 낸드 게이트에 입력되어 제2 낸드 게이트(204)는 “0”상태의 제2 패스 제어 신호(PS2)가 발생된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스 제어 회로(300)는 제1 데이터(SD1)를 입력 신호로 하고, 반전된 제1 패스 제어 신호(/PS1)를 클럭 신호로 하는 제1 및 제3 클럭 인버터(302, 306)와, 제2 데이터(SD2)를 입력 신호로 하고, 반전된 제2 패스 제어 신호(/PS2)를 클럭 신호로 하는 제2 및 제4 클럭 인버터(304, 308)와,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인버터(302, 304)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럭 인버터(302, 304)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1 래치(310)와, 상기 제3 및 제4 클럭 인버터(306, 308)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3 및 제4 클럭 인버터(306, 308)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2 래치(3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200)에서 “0”상태의 제1 패스 제어 신호(PS1) 및 “1”상태의 제2 패스 제어 신호(PS2)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내지 제4 클럭 인버터(302, 304, 306, 308)에 “1”상태의 반전된 제1 패스 제어 신호(PS1)가 인가되어, 제1 클럭 인버터(302)는 제1 데이터(SD1)를 반전하여 출력하고, 제1 래치(310)는 상기 제1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 출력하여 상기 제1 데이터(SD1)가 제1 패스(Path1)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 클럭 인버터(306)는 제2 데이터(SD2)를 반전하여 출력하고, 제2 래치(320)는 상기 제3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 출력하여 상기 제2 데이터(SD2)가 제2 패스(Path2)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200)에서 “1”상태의 제1 패스 제어 신호(PS1) 및 “0”상태의 제2 패스 제어 신호(PS2)가 발생되면, 상기 제1 내지 제4 클럭 인버터(302, 304, 306, 308)에 “1”상태의 반전된 제2 패스 제어 신호(/PS2)가 인가되어, 제2 클럭 인버터(304)는 제2 데이터(SD2)를 반전하여 출력하고, 제1 래치(310)는 상기 제1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 출력하여 상기 제2 데이터(SD2)가 제1 패스(Path1)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4 클럭 인버터(308)는 제1 데이터(SD1)를 반전하여 출력하고, 제2 래치(320)는 상기 제4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 출력하여 상기 샘플된 제1 데이터(SD1)가 제2 패스(Path2)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라이트 제어 회로(400)는 라이트 클럭 신호(WCLK)를 반전하는 반전부(430)와, 제1 데이터(D1)를 입력 신호로 하고, 반전된 라이트 클럭 신호(/WCLK)를 클럭 신호로 하는 제1 클럭 인버터(402)와, 상기 제1 클럭 인버터(402)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1 클럭 인버터(402)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1 래치(410)와, 상기 제1 래치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고,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WCLK)를 클럭 신호로 하는 제2 클럭 인버터(404)와, 상기 제2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2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2 래치(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이트 제어 회로(400)는 제2 데이터(D2)를 입력 신호로 하고, 반전된 라이트 클럭 신호(/WCLK)를 클럭 신호로 하는 제3 클럭 인버터(406)와, 상기 제3 클럭 인버터(406)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3 클럭 인버터(406)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3 래치(430)와, 상기 제3 래치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고,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WCLK)를 클 럭 신호로 하는 제4 클럭 인버터(408)와, 상기 제4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래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제4 클럭 인버터의 출력을 반전하는 제4 래치(440)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 제어 회로(400)는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라이트 클럭 신호가 인가되면, 각 패스에 따라 제1 및 제2 데이터(D1, D2)를 메모리 셀에 기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C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로서,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C 모드에서는 라이트 명령의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External clock: ECLK)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중심에서 4개의 제1 내지 제4 데이터(D1_H, D1_L, D2_H, D2_L)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상기 외부 클럭 신호는 듀티비가 40% 내지 60%인 클럭 신호를 나타낸다. 이어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1 데이터(D1_H)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2: SCLK2)가 발생되어 제2 데이터(D1_L)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1: PS1)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데이터(D1_H)가 제1 패스(Path 1)에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데이터(D1_L)가 제2 패스(Path 2)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상 기 제1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1)는 어드레스 신호가 “1”상태에서 제1 데이터(D1_H)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키고, 제2 데이터(D1_L)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키다.
이어서,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3 데이터(D2_H)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D1_H)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D1_L)가 메모리 셀에 기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2: SCLK2)가 발생되어 제4 데이터(D2_L)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2: PS2)가 발생되어, 상기 제3 데이터(D2_H)를 제2 패스(Path 2)에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4 데이터(D2_L)를 제1 패스(Path 1)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2)는 어드레스 신호가 “0”상태에서 제3 데이터(D2_H)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키고, 제4 데이터(D2_L)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키다.
이어서,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 즉 다음 사이클의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D2_L)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D2_H)가 메모리 셀에 기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패스 제어 신 호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패스를 지정해 줌으로써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샘플링해야 할 데이터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여 셋업 마진(setup margin: M1) 및 홀드 마진(hold margin: M2)을 충분히 갖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A 모드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타이밍도로서,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DR 에스램 장치의 CA 모드에서는 라이트 명령의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External clock: ECLK)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4개의 제1 내지 제4 데이터(D1_H, D1_L, D2_H, D2_L)가 연속하여 입력된다. 상기 외부 클럭 신호는 듀티비가 40% 내지 60%인 클럭 신호를 나타낸다. 이어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1 중심에서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1 데이터(D1_H)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2 중심에서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2: SCLK2)가 발생되어 제2 데이터(D1_L)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2 중심에서 제1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1: PS1)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데이터(D1_H)가 제1 패스(Path 1)에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데이터(D1_L)가 제2 패스(Path 2)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1)는 어드레스 신호가 “1”상태에서 제1 데이터(D1_H)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키고, 제2 데이터(D1_L)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키다.
이어서,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D1_H)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D1_L)가 메모리 셀에 기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1 중심에서 제1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1: SCLK1)가 발생되어 제3 데이터(D2_H)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2 중심에서 제2 샘플링 클럭 신호(Sampling clock 2: SCLK2)가 발생되어 제4 데이터(D2_L)가 샘플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제2 중심에서 제2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2: PS2)가 발생되어, 상기 제3 데이터(D2_H)를 제2 패스(Path 2)에 샘플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4 데이터(D2_L)를 제1 패스(Path 1)에 샘플링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패스 제어 신호(Path control signal 2)는 어드레스 신호가 “0”상태에서 제3 데이터(D2_H)를 제2 패스(Path2)에 연결시키고, 제4 데이터(D2_L)를 제1 패스(Path1)에 연결시키다.
이어서,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 즉 다음 사이클의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D2_L)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D2_H)가 메모리 셀에 기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제2 중심에서 발생되는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패스를 지정해 줌으로써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샘플링해야 할 데이터의 1/4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적어도 1/4 사이클 이상의 셋업 마진(setup margin: M1) 및 홀드 마진(hold margin: M2)을 갖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에 의하면, DDR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동작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의 패스를 지정해 줌으로써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샘플링해야 할 데이터의 중심 또는 1/4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모든 동작 모드에서 적어도 1/4 사이클 이상의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는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모든 동작 모드에서 충분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하여 셋업 및 홀드시 발생되는 내부 에러를 저감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 원 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되고, 응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는 어드레스 신호 및 샘플링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제1 또는 제2 패스에 샘플링되도록 다양하게 설계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DR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동작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의 패스를 지정해 줌으로써 라이트 클럭 신호(WCLK)가 샘플링해야 할 데이터의 중심 또는 1/4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모든 동작 모드에서 적어도 1/4 사이클 이상의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는 패스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함으로써 모든 동작 모드에서 충분한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하여 셋업 및 홀드시 발생되는 내부 에러를 저감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를 최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0)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에 있어서:
    라이트 명령 신호인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단계;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제1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제2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4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 및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된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럭 신호는 듀티비가 40% 내지 60%인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는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클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패스 제어 신호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가 “1”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2 패스 제어 신호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가 “0”상태인 경우, 상기 제3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4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DR 모드는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중심에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CC(Clock Centered)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CC 모드에서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는 상기 패스에 샘플링된 제1 내지 제4 데이터의 중심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DR 모드는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CA(Clock Aligned)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CA 모드에서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는 상기 패스에 샘플링된 제1 내지 제4 데이터의 1/4 지점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에스램(SRAM)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동작은 세 번의 외부 클럭 신호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CC 및 CA 모드에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동작시 적어도 1/4 사이클 이상의 셋업 마진 및 홀드 마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13.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에 있어서:
    라이트 명령 신호인 첫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단계;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1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
    두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2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제1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제1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제3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라이트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
    세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제2 샘플링 클럭 신호가 발 생되어 제4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제2 패스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3 데이터를 제2 패스에 샘플링하고, 상기 제4 데이터를 제1 패스에 샘플링하는 단계; 및
    네 번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클럭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패스의 제4 데이터 및 상기 제2 패스의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14.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DDR 모드의 데이터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에 있어서:
    어드레스 신호 및 샘플링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클럭 신호인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패스 제어 신호 발생 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들을 제1 또는 제2 패스에 샘플링하는 패스 제어 회로와;
    라이트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샘플링된 데이터들을 상기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라이트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들은 라이트 명령 신호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클럭 신호는 라이트 명령 신호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되어 입력 데이터들을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스 제어 신호는 라이트 명령 신호인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클럭 신호는 라이트 명령 신호인 외부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에스램(SRAM)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샘플링 회로의 라이트 동작은 세 번의 외부 클럭 신호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회로.
KR1020040004208A 2004-01-20 2004-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208A KR100558557B1 (ko) 2004-01-20 2004-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JP2005000860A JP4672374B2 (ja) 2004-01-20 2005-01-05 半導体メモリ装置におけるデータ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そのデータサンプリング回路
US11/037,602 US7295489B2 (en) 2004-01-20 2005-01-18 Method and circuit for writing double data rate (DDR) sampled data in a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208A KR100558557B1 (ko) 2004-01-20 2004-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285A KR20050076285A (ko) 2005-07-26
KR100558557B1 true KR100558557B1 (ko) 2006-03-10

Family

ID=3474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2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557B1 (ko) 2004-01-20 2004-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95489B2 (ko)
JP (1) JP4672374B2 (ko)
KR (1) KR100558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5669B2 (en) * 2005-09-15 2009-04-07 Etron Technology, Inc. Dynamic input setup/hold time improvement architecture
JP2007149206A (ja) * 2005-11-28 2007-06-14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7783911B2 (en) * 2006-06-27 2010-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bus driver launch delay/cycle delay to reduce elastic interface elasticity requirements
US7734944B2 (en) * 2006-06-27 2010-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sm for windaging of a double rate driver
US7752475B2 (en) * 2006-06-27 2010-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te data launch for a double data rate elastic interface
US7739538B2 (en) * 2006-06-27 2010-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uble data rate chaining for synchronous DDR interfaces
US7882322B2 (en) * 2006-06-27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arly directory access of a double data rate elastic interface
JP4974145B2 (ja) 2006-11-21 2012-07-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8913447B2 (en) 2011-06-24 2014-12-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command input and control
US9563597B2 (en) * 2012-03-19 2017-02-07 Rambus Inc. High capacity memory systems with inter-rank skew tolerance
WO2014198275A1 (en) 2013-06-11 2014-12-18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A large electrically excited synchronous generator
KR102509330B1 (ko) * 2018-04-16 2023-03-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샘플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WO2024138663A1 (zh) * 2022-12-30 2024-07-04 深圳市速腾聚创科技有限公司 采样方法、采样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激光测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0944B2 (en) * 2001-06-25 2003-05-27 Rambus Inc. Apparatus for data recovery in a synchronous chip-to-chip system
IL96808A (en) * 1990-04-18 1996-03-31 Rambus Inc Introductory / Origin Circuit Agreed Using High-Performance Brokerage
US5577236A (en) * 1994-12-30 1996-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 controller for reading data from synchronous RAM
KR100268429B1 (ko) * 1997-03-18 2000-11-01 윤종용 동기형반도체메모리장치의데이터의입력회로및데이터입력방법
JP3695902B2 (ja) * 1997-06-24 2005-09-1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788867B2 (ja) * 1997-10-28 2006-06-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2000040363A (ja) * 1998-05-21 2000-02-08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317317B1 (ko) * 1998-12-31 2002-01-16 김영환 반도체입력장치의셋업/홀드타임제어회로
JP3492268B2 (ja) * 2000-01-18 2004-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472913B2 (en) * 2001-01-26 2002-10-29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ampling
US6675272B2 (en) * 2001-04-24 2004-01-06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emory operations among diversely-located memory components
US20030004673A1 (en) * 2001-06-29 2003-01-02 Thurman Robert W. Routing with signal modifiers in a measurement system
US6570791B2 (en) * 2001-08-30 2003-05-27 Micron Technology, Inc. Flash memory with DDRAM interface
JP2003249077A (ja) * 2002-02-21 2003-09-05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952123B2 (en) * 2002-03-22 2005-10-04 Rambus Inc. System with dual rail regulated locked loop
US6807125B2 (en) * 2002-08-22 2004-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reading data transfers that are sent with a source synchronous clock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57827A1 (en) 2005-07-21
KR20050076285A (ko) 2005-07-26
US7295489B2 (en) 2007-11-13
JP4672374B2 (ja) 2011-04-20
JP2005209333A (ja)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7704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put-data controller advantageous to low power and high frequency
WO2019160587A1 (en) Improved timing circuit for command path in a memory device
US7516384B2 (en) Semiconductor memory testing device and test method using the same
US75291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5855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데이터 샘플링 방법 및 그에따른 데이터 샘플링 회로
JP3180317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6190434A (ja) 半導体記憶素子のクロック生成装置およびクロック生成方法
KR100543937B1 (ko) 데이터 출력제어회로
JP2010238347A (ja) パイプラッチ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メモリ装置
US20070076493A1 (en)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483005B2 (en) Internal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75671B1 (ko) 프리차지신호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및그의 구동방법
US20070070713A1 (en) Data output devic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745782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389038B1 (ko) 레이트 라이트 기능을 갖는 동기형 에스램 장치
KR100636676B1 (ko) 내부전압 생성 제어회로 및 이를 이용한 내부전압 생성회로
JP2004152348A (ja) 信号生成回路
KR100536598B1 (ko) 클럭활성화 시점을 선택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909625B1 (ko) 어드레스 동기 회로
KR10062429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레지스터 업데이트 방법및 회로
KR20000015129A (ko) 동기식 디램 반도체 장치의 프리차지 신호 발생회로
KR20010046341A (ko) 리드 레이턴시와 동일한 라이트 레이턴시를 갖는 동기식디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